KR102484138B1 -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38B1
KR102484138B1 KR1020217035838A KR20217035838A KR102484138B1 KR 102484138 B1 KR102484138 B1 KR 102484138B1 KR 1020217035838 A KR1020217035838 A KR 1020217035838A KR 20217035838 A KR20217035838 A KR 20217035838A KR 102484138 B1 KR102484138 B1 KR 10248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rradiation
film
electromagnetic wave
transmiss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028A (ko
Inventor
타카마사 오타니
츠요시 오야마
노리히코 사카이다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material being confined in a container, e.g. in a luggage X-ray scan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material in a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2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impurities, foreign matter, trace amounts

Abstract

보다 고정밀도로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장치 등을 제공한다. X선 투과 화상을 기초로 X선 조사 장치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는 동시에,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X선 조사 장치에 의한 조사 출력이 제어된다. 조사 출력 검출값은,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조사원과 X선 라인 센서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수용 영역(2x) 중 정제 영역(5x)을 제외한 영역 및/또는 플랜지부 영역(9x)의 휘도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따라서, X선 투과 화상 중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고, 이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에 관련된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즉, 이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이 충분히 고휘도가 되도록 X선 조사 장치가 제어된다. 그 때문에, X선 라인 센서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를 보다 넓혀,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정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한 포장체를 검사할 때에 사용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약품이나 식료품 등의 각종 분야에 있어서, 정제 등의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 시트로서, PTP(Press Through Package) 시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PTP 시트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그 용기 필름에 대하여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취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하고 있고, 포켓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여, 거기에 수용된 내용물에 의해 덮개가 되는 커버 필름을 뚫음으로써, 그 내용물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PTP 시트는, 띠상의 용기 필름에 대하여 포켓부를 형성해 가는 포켓부 형성 공정, 그 포켓부에 정제 등의 내용물을 충전해 가는 충전 공정, 그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용기 필름에 대하여 띠상의 커버 필름을 취착하여, PTP 필름을 제조하는 취착 공정, 그 PTP 필름으로부터 최종 제품이 되는 PTP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PTP 시트의 제조시에는, PTP 필름이나 PTP 시트(이하, 이들을 「포장체」라고 총칭한다)를 대상으로 한 검사가 행하여진다. 검사에는, 정제의 이상(예를 들어 포켓부 내에 있어서의 정제의 유무, 균열이나 결락 등의 파손 등)에 관한 검사나, 포켓부 내의 수용 공간이나 포켓부 둘레의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이물질(예를 들어 금속편이나 정제의 파편 등)의 유무에 관한 검사 등이 포함된다.
근년에는, 차광성이나 방습성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의 양 필름이 알루미늄 등을 기재로 한 불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종 검사는 X선 검사 장치 등을 사용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X선 검사 장치는, 포장체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기(X선원)와, 그 포장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다. X선 검사 장치는, X선의 투과량에 따른 휘도에 관한 농담을 갖는 X선 투과 화상을 취득하고, 그 X선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각종 검사를 행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 참조). 한편, X선 투과 화상의 휘도는,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예를 들어 신틸레이터에 의한 광 출력)에 따라 증감된다.
또한, X선 발생기나 X선 검출기의 열화에 따라,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X선 발생기의 조사 출력이 소정 출력이 되도록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 조사 출력을 증대시키도록 X선 발생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등 참조). 이 기술에 대하여, 도 17 및 도 18을 이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X선 발생기에 있어서의 관전류 및 조사 출력의 관계를 간결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로, X선 발생기가 그다지 열화되어 있지 않을 때의 그 관계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X선 발생기가 열화되었을 때의 그 관계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X선 투과 화상의 휘도) 및 조사 출력의 관계를 간결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 18의 예에 있어서, X선 발생기가 그다지 열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 X선 발생기(X선관)에 소정값의 관전류가 흘러, X선 발생기의 조사 출력이 Lt가 되는 경우에는, X선 검출기에 있어서의 검출 출력이 Slt가 된다. 따라서,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는, 출력 Slt부터 최저 검출 출력 Smin까지의 범위가 된다. 그러나, X선 발생기에 열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X선 발생기에 흐르는 관전류가 동일해도, X선 발생기의 조사 출력이 Lt´로 저하되고, 그 결과, X선 검출기에 있어서의 검출 출력이 Slt´가 된다. 따라서,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는, 출력 Slt´부터 최저 검출 출력 Smin까지의 범위로 좁아진다. 상기 기술은, 이와 같이 검출 출력의 범위가 좁아지는 경우에, 예를 들어, 관전류를 Δi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조사 출력을 Lt로 되돌려, 검출 출력 범위의 협소화를 억제한다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38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28514호
그런데,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의 최대 범위(이하, 「계측 가능 계조 범위」라고 한다)는, 최고 검출 출력 Smax부터 최저 검출 출력 Smin까지의 범위가 된다. 한편, 포장체를 투과한 X선에 기초하는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이하, 「유효 계조 범위」라고 한다)에 관해서는, 포켓부(수용 공간)를 투과한 X선에 의한 검출 출력 Sp 또는 플랜지부를 투과한 X선에 의한 검출 출력 Sf부터, 최저 검출 출력 Smin까지의 범위가 된다. 포장체에 있어서는, 포켓부나 플랜지부만이 존재하는 부분이 X선을 가장 투과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유효 계조 범위 내에는, 정제를 투과한 X선에 의한 검출 출력 Sta, 정제의 가루나 파편을 투과한 X선에 의한 검출 출력 Stb 및 금속편 등의 이물질을 투과한 X선에 의한 검출 출력 So 등이 포함되게 되고, 포장체의 검사는, 이들 검출 출력의 차이에 의한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의 차를 이용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검사 대상의 검사 전 등,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 사이에 검사 대상을 개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그 기술을 포장체의 검사에 이용하면, 포장체가 존재하는 분만큼, X선 검출기에 의한 실제의 검출 출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버려, 검출 출력 Sp나 검출 출력 Sf에 대해서도 상당히 낮아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계측 가능 계조 범위에 대하여 유효 계조 범위가 매우 좁아져, X선 검출기의 능력이 충분히 살려지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검출 출력의 계조 나아가서는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계조에 관련된 분해능이 저하되어, 고정밀도의 검사를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과제는, PTP 포장뿐만 아니라, SP(Strip Package) 포장 등, 정제 등의 내용물을 포장하는 다른 포장 분야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X선에 한정하지 않고, 테라헤르츠 전자파 등, 포장체를 투과하는 다른 전자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다 고정밀도로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필름이 취착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로서,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으로부터 상기 포장체를 투과 가능한 전자파를 조사하는 조사원을 갖고 이루어지는 전자파 조사 수단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에 의한 그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휘도에 관련된 농담을 갖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련된 검사를 실행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는 조사 출력 검출 수단과,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조사원과 상기 검출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 중 상기 내용물에 대응하는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의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플랜지부 영역 중의 적어도 일방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한편, 이하의 수단에 있어서도 동일하지만, 상기 「포장체」에는, 제품이 되는 시트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시트」나 「SP 시트」 등의 포장 시트)나, 그 시트상 포장체가 분리되기 전의 띠상 포장체(예를 들어 「PTP 필름」이나 「SP 필름」 등의 포장 필름)가 포함된다. 또한, 전자파로는, X선 또는 테라헤르츠 전자파를 들 수 있다.
또한, 「조사 출력 검출값」으로는, 예를 들어,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의 평균값이나 중심값, 무게 중심값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에는, 띠상 포장체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의 둘레에 위치하고, 최종적인 제품을 얻을 때에 폐기되는 부분(스크랩부)이 포함된다.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전자파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산출된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이 제어된다. 또한, 조사 출력 검출값은,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조사원과 검출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플랜지부 영역 중의 적어도 일방의 휘도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검출부 및 조사원간의 거리의 영향에 의한 전자파의 감쇠를 고려하였을 때, 검출부의 검출 출력으로는, 검출부 및 조사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를 지난 전자파에 의한 것이 가장 높은 출력이 된다. 그 때문에,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조사원 및 검출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영역은, 그 밖의 영역보다 밝은 것이 되기 쉽다(휘도가 높은 것이 되기 쉽다). 또한, 포장체의 영향에 의한 전자파의 감쇠를 고려하였을 때, 검출부의 검출 출력으로는, 내용물을 투과하지 않고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만을 투과한 전자파, 또는 플랜지부만을 투과한 전자파에 의한 것이 가장 높은 출력이 된다. 그 때문에,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나 플랜지부 영역은,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그 밖의 영역보다 밝은 것이 되기 쉽다(휘도가 높은 것이 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조사 출력 검출값은, 전자파 투과 화상 중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산출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에 관련된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즉, 이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이 충분히 고휘도가 되도록, 전자파 조사 수단이 제어된다. 따라서, 검출부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유효 계조 범위)에 있어서의 그 최고값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어, 검출부에 의한 검출 출력의 최대 범위(계측 가능 계조 범위)에 대하여 유효 계조 범위를 보다 넓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출 출력의 계조 나아가서는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계조에 관련된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포장체 중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는, 수용 공간의 형성을 위하여 얇게 늘여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플랜지부 영역보다 밝은 것이 되기 쉽다. 따라서, 유효 계조 범위를 보다 적절하게 설정한다는 점에서는,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랜지부 영역은, 통상,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보다 넓게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사 출력 검출값의 산출에 관련된 용이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는, 플랜지부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값은,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 표현 가능한 최고 휘도(출력 가능한 검출 출력 중 가장 높은 출력이 검출부로부터 출력되었을 때의 휘도. 예를 들어 도 19의 예에서는, 최고 검출 출력 Smax가 출력되었을 때의 휘도)를 갖는 영역에 기초하여 산출된 조사 출력 검출값에 가까운 값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조사 출력 검출값의 산출에 사용되는 영역)의 휘도가,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 표현 가능한 최고 휘도에 가까운 휘도(예를 들어, 최고 휘도의 80∼90% 정도의 휘도)가 되도록,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수단 3과 같이, 제1, 제2 필름 중의 적어도 일방이, 금속제 필름 등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수용 영역 중 내용물 영역 및 포켓부의 외연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부의 외연(측벽부에 대응하는 부위)에서는 전자파가 차폐되기 쉽기 때문에, 보다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얻는다는 점에서는, 그 외연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를 이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수단 2.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포장체에 형성된 분리용의 분리부에 대응하는 분리 영역 및 상기 포장체에 붙여진 각인에 대응하는 각인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검사 장치.
분리부(예를 들어, 절취선이나 슬릿 등)나 각인을 투과할 때에, 전자파는 이들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분리 영역이나 각인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면, 조사 출력 검출값이 부적정해질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분리 영역 및 각인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분리부나 각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를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수단 3.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중의 적어도 일방은, 내부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갖는 동시에, 금속제 필름 또는 금속층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내용물 영역을 특정하는 동시에, 특정한 상기 내용물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을 상기 수용 공간의 윤곽으로서 특정하고, 그 윤곽의 내측을 상기 수용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수용 영역 중 그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또는 2에 기재된 검사 장치.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중의 적어도 일방이, 포켓부를 갖는 동시에, 금속제 필름 또는 금속층을 갖는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자파 투과 화상에서는, 내용물의 주위에 위치하고 포켓부(수용 공간)의 외연에 대응하는 고리상 부위가, 주위와 비교하여 어두운 그림자 부분으로서 나타나게 된다.
이 점을 이용하여,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특정된 내용물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이 수용 공간의 윤곽으로서 특정되고, 그 윤곽의 내측이 수용 영역으로서 특정된다. 따라서, 수용 영역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또한, 비교적 간단히 특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한층 더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단 4.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이물질에 대응하는 이물질 영역을 특정하는 이물질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이물질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이물질 영역(예를 들어, 금속편, 정제의 파편이나 가루, 모발 등의 선상 이물질 등이 있다고 생각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한층 더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를 한층 더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수단 5.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제조 장치.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상기 수단 1 등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수단 6.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제2 필름이 취착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체를 얻을 때에 이용되는 포장체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되는 띠상의 상기 제1 필름과, 반송되는 띠상의 상기 제2 필름을 취착하는 취착 공정과,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공정과,
상기 취착 공정 및 상기 충전 공정을 거쳐 얻어진 상기 포장체의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검사 공정은,
소정의 전자파 조사 수단이 갖는 조사원에 의해,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으로부터 상기 포장체를 투과 가능한 전자파를 조사하는 조사 공정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촬상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에 의한 그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는, 휘도에 관련된 농담을 갖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한 양부 판정을 행하는 양부 판정 공정과,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는 조사 출력 검출 공정과,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는,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조사원과 상기 검출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 중 상기 내용물에 대응하는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의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플랜지부 영역 중의 적어도 일방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제조 방법.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상기 수단 1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도 1은 PTP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PTP 필름 및 검사 영역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PTP 필름 및 각인 영역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X선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X선 검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영역 특정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양부 판정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조사 출력 검출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영역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검출 대상 영역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SP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X선 검사 장치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절취선 영역 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X선 발생기에 있어서의 관전류 및 조사 출력의 관계를 간결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X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출력 및 조사 출력의 관계를 간결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계측 가능 계조 범위 및 유효 계조 범위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포장 시트(시트상 포장체)로서의 PTP 시트(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취착된 커버 필름(4)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시트(1) 중 포켓부(2)(후술하는 수용 공간(2a)) 둘레에 위치하는 시트 플랜지부(1b)에 있어서, 용기 필름(3)에 대하여 커버 필름(4)이 취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이 「제1 필름」을 구성하고, 「커버 필름(4)」이 「제2 필름」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은, 알루미늄을 기재(주재료)로 한 불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기 필름(3)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알루미늄 필름에 대하여 합성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알루미늄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4코너가 원호상으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PTP 시트(1)에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2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부열이, 시트 길이 방향으로 5열 형성되어 있다. 즉, 합계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의 내부 공간인 수용 공간(2a)에는, 「내용물」로서의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PTP 시트(1)에는, 소정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포켓부(2)를 포함하는 시트 소편(6) 단위로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분리부」로서의 절취선(7)이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PTP 시트(1)에는, 시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정제 명칭이나 로트 넘버 등의 각종 정보(본 실시형태에서는 「ABC」의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각인(8a)이 형성된 태그부(8)가 부설되어 있다. 태그부(8)는,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5개의 시트 소편(6)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본체부(1a)와의 사이에서 1개의 절취선(7)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PTP 시트(1)는, 띠상의 용기 필름(3)과 띠상의 커버 필름(4)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띠상 포장체」로서의 띠상의 PTP 필름(9)(도 3, 4 참조)으로부터 최종 제품인 PTP 시트(1)를 직사각형 시트상으로 블랭킹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PTP 필름(9)은, 그 PTP 필름(9)의 반송 방향(PTP 필름(9)의 길이 방향)으로 PTP 시트(1)의 블랭킹 범위(Ka)(이하, 간단히 「시트 블랭킹 범위(Ka)」라고 한다)가 1열로 늘어서는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용기 필름(3)과 커버 필름(4)이 취착된 직후의 PTP 필름(9)을 나타낸다. 도 4는, 후술하는 절취선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에 의해, 절취선(7) 및 각인(8a)이 형성된 PTP 필름(9)을 나타낸다.
또한, PTP 필름(9)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시트 블랭킹 범위(Ka)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PTP 필름(9)의 반송 방향을 따라 띠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부 스크랩(9a)이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 중 상기 시트 플랜지부(1b)에 대응하는 부분 및 측부 스크랩(9a)에 의해, PTP 필름(9)에 있어서의 포켓부(2)(수용 공간(2a)) 둘레의 플랜지부(9b)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는 PTP 포장기(10)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포장기(10)」가 「포장체 제조 장치」를 구성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P 포장기(10)의 최상류측에서는, 띠상의 용기 필름(3)의 원단이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롤상으로 권회된 용기 필름(3)의 인출단측은, 가이드 롤(13)에 안내되어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3)의 하류측에 있어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포켓부 형성 수단으로서의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 냉간 가공에 의해 용기 필름(3)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한번에 형성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 중에 행하여진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P 포장기(10)는, 용기 필름(3)을, 알루미늄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비교적 경질로 소정의 강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도 제조 가능하게 구성된 포장기(겸용기)이다. 그 때문에, 포켓부 형성 장치(16)의 상류측에 있어서, 용기 필름(3)을 가열하여 유연한 상태로 하기 위한 가열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알루미늄제의 용기 필름(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15)는 사용되지 않는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내보내진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가이드 롤(19) 및 필름 받이 롤(20)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이 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이 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이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상시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이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충전 수단으로서의 정제 충전 장치(21)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필름 받이 롤(20)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소정 간격마다 셔터를 여는 것에 의해 정제(5)를 낙하시키는 것으로, 이 셔터 개방 동작에 따라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
한편, 띠상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측에 있어서 롤상으로 권회되어 있다. 롤상으로 권회된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2)을 통하여 가열 롤(23) 쪽으로 안내되어 있다. 가열 롤(23)은, 상기 필름 받이 롤(20)에 압접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롤(20, 23)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보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 롤(20, 23)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에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둘레의 부분에 대하여 커버 필름(4)이 첩착되어,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 이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포장체」로서의 PTP 필름(9)이 제조된다. 한편, 가열 롤(23)의 표면에는, 시일용의 그물코상의 미세한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강하게 압접함으로써, 강고한 시일이 실현되게 되어 있다.
또한, 필름 받이 롤(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필름 받이 롤(20)이 소정량 회전할 때마다, 즉 PTP 필름(9)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후술하는 X선 검사 장치(45)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름 받이 롤(2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9)은, 텐션 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9)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7)은, PTP 필름(9)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필름 받이 롤(20)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이에 의한 PTP 필름(9)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PTP 필름(9)을 상시 긴장 상태로 유지한다.
필름 받이 롤(20)과 텐션 롤(27) 사이에는, PTP 필름(9)의 반송 경로를 따라 X선 검사 장치(45)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X선 검사 장치(45)는, 포켓부(2)의 이상(예를 들어 수용 공간(2a)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유무 등)의 검출, 포켓부(2) 이외의 플랜지부(9b)의 이상(예를 들어 플랜지부(9b)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의 검출을 주목적으로 한 X선 검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검사 항목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검사 항목을 실시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선 검사 장치(45)」가 「검사 장치」를 구성한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9)은, 텐션 롤(29) 및 간헐 이송 롤(30)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0)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9)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9)은, PTP 필름(9)을 탄성력에 의해 긴장되는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간헐 이송 롤(28, 30) 사이에서의 PTP 필름(9)의 늘어짐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 롤(29) 사이에는, PTP 필름(9)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절취선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가 순서대로 배치 설치되어 있다. 절취선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9)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절취선(7)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9)의 소정 위치(상기 태그부(8)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인(8a)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PTP 필름(9)에 있어서의 절취선(7)이나 각인(8a)이 형성된 부위는, 알루미늄 필름이 파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간헐 이송 롤(3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9)은, 그 하류측에 있어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서로 걸려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0)과 텐션 롤(35) 사이에는, PTP 필름(9)의 반송 경로를 따라, 시트 블랭킹 장치(37)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시트 블랭킹 장치(37)는, PTP 필름(9)을 PTP 시트(1) 단위로 그 외연을 블랭킹하는 시트 블랭킹 수단(분리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시트 블랭킹 장치(37)에 의해 블랭킹된 PTP 시트(1)는,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어,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류된다. 단, 상기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PTP 시트(1)는, 완성품용 호퍼(40)로 보내지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배출 수단으로서의 불량 시트 배출 기구에 의해 별도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불량품 호퍼에 이송된다.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 장치(41)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블랭킹 장치(37)에 의한 블랭킹 후에 띠상으로 남은 측부 스크랩(9a)은, 상기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유도된다. 여기서, 연속 이송 롤(36)은 종동 롤이 압접되어 있어, 측부 스크랩(9a)을 협지하면서 반송 동작을 행한다.
재단 장치(41)는, 측부 스크랩(9a)을 소정 치수로 재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재단된 측부 스크랩(9a)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한편, 상기 각 롤(14, 19, 20, 28, 29, 30) 등은, 그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으나, 간헐 이송 롤(14) 등의 각 롤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부(2)가 찌부러져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포켓부(2)가 간헐 이송 롤(14) 등의 각 롤의 각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행하여짐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PTP 포장기(10)의 개략은 이상과 같지만, 이하에 상기 X선 검사 장치(45)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X선 검사 장치(45)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X선 검사 장치(45)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45)는, PTP 필름(9)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장치(51)와, 그 X선이 조사된 PTP 필름(9)의 X선 투과 화상을 취득하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와, X선 조사 장치(51)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의 구동 제어 등 X선 검사 장치(45) 내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나 화상 처리, 연산 처리 등을 실시하기 위한 제어 처리 장치(5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X선」이 「전자파」에 상당한다. 또한, 「X선 투과 화상」이 「전자파 투과 화상」을 구성하고, 「제어 처리 장치(53)」가 「화상 처리 수단」을 구성하고, 「X선 조사 장치(51)」가 「전자파 조사 수단」을 구성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가 「촬상 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는, X선을 차폐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차폐 박스(도시 생략) 내에 수용되어 있다. 차폐 박스는, PTP 필름(9)을 통과시키기 위한 슬릿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는, 외부로의 X선의 누설을 극력 억제한 구조로 되어 있다.
X선 조사 장치(51)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반송되는 PTP 필름(9)의 용기 필름(3)측에 배치되어 있다. X선 조사 장치(51)는, PTP 필름(9) 중 후술하는 검사 영역(Kb)의 폭 방향 중심부와 상대하는 위치에, X선을 조사하는 조사원(51a)을 갖고 있다. 조사원(51a)은, X선을 발생시키는 X선관이나 X선을 뽑아내기 위한 콜리메이터(각각 도시 생략)를 갖고 있어, PTP 필름(9)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확산(팬각)을 갖는 팬빔상의 X선을, 용기 필름(3)측으로부터, PTP 필름(9)에 대하여 조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각(팬각)은, PTP 필름(9) 중 후술하는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범위를 조사 가능한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PTP 필름(9)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도 소정의 확산을 갖는 콘빔상의 X선을 조사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X선 조사 장치(51)의 상기 X선관에 투입되는 관전류는, 제어 처리 장치(53)(특히 후술하는 마이크로컴퓨터(71))에 의해 증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전류의 증감에 따라, X선 조사 장치(51)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조사 출력은 증감된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는, PTP 필름(9)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X선 조사 장치(51)와 대향하도록, PTP 필름(9)을 사이에 두고 X선 조사 장치(51)와는 반대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필름(4)측)에 배치되어 있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는, PTP 필름(9)을 투과한 X선을 검출 가능한 복수의 X선 검출 소자가 필름 폭 방향을 따라 1열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X선 라인 센서(52a)를 갖고, PTP 필름(9)을 투과한 X선을 촬상(노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X선 검출 소자로는, 예를 들어 신틸레이터에 의한 광 변환층을 갖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선 라인 센서(52a)」가 「검출부」를 구성한다.
X선 라인 센서(52a)는, PTP 필름(9)을 투과하여 자신에게 조사된 X선의 강도에 따른 검출 출력을 출력한다. 단, X선 라인 센서(52a)는, 자신에게 조사된 X선의 강도가 소정의 최소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일정한 최저 검출 출력을 출력하고, 자신에게 조사된 X선의 강도가 소정의 최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일정한 최고 검출 출력을 출력한다.
한편, X선 라인 센서(52a)에 있어서의 검출 출력의 최대 범위(이하, 「계측 가능 계조 범위」라고 한다)는, 최고 검출 출력부터 최저 검출 출력까지의 범위가 되는데, PTP 필름(9)을 투과한 X선에 기초하는 X선 라인 센서(52a)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이하, 「유효 계조 범위」라고 한다)는, 가장 감쇠되지 않고 PTP 필름(9)을 투과한 X선에 의한 검출 출력부터, 최저 검출 출력까지의 범위가 된다.
그리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는, X선 라인 센서(52a)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휘도에 관한 농담을 갖는 X선 투과 화상을 얻는다. X선 투과 화상의 휘도는, X선 라인 센서(52a)에 의한 검출 출력에 따라 증감되며, X선 투과 화상 중 상기 최저 검출 출력에 대응하는 영역(좌표)은 최저 휘도가 되고, X선 투과 화상 중 상기 최고 검출 출력에 대응하는 영역(좌표)은 최고 휘도가 된다.
또한,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에 의해 취득된 X선 투과 화상은, PTP 필름(9)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그 카메라(52) 내부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화상 신호)로 변환된 뒤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제어 처리 장치(53)(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대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 처리 장치(53)는, 그 X선 투과 화상을 화상 처리하는 등을 하여 후술하는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조사원(51a) 및 X선 라인 센서(52a)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L1) 상에, PTP 필름(9)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부위 중, 그 PTP 필름(9)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하는 부위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의 반송에 따라, 플랜지부(9b) 및 수용 공간(2a)이 번갈아 경로(L1)를 통과해 가게 된다. 또한, 경로(L1)를 수용 공간(2a)이 통과할 때에는, 그 수용 공간(2a)에 수용된 정제(5)가 그 경로(L1)를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제어 처리 장치(53)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 처리 장치(53)는, X선 검사 장치(45)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컴퓨터(71),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 장치(도시 생략), CRT나 액정 등의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 장치(도시 생략), 각종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 각종 연산 결과 등을 기억하기 위한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 각종 정보를 미리 기억해 두기 위한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 검사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기 위한 검사 루틴 기억 장치(77)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들 각 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7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1)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71a)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71b),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71c) 등을 구비하고, 제어 처리 장치(53)에 있어서의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동시에, PTP 포장기(10)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하, 마이크로컴퓨터(71)는, 예를 들어 X선 조사 장치(51)나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를 구동 제어하여, PTP 필름(9)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처리나, 그 X선 투과 화상을 기초로 PTP 필름(9)의 소정 부위를 검사하는 검사 처리, 그 X선 투과 화상을 기초로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을 조절하는 처리, 상기 검사 처리에 관련된 검사 결과를 PTP 포장기(10)의 불량 시트 배출 기구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 등을 실행한다.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는,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에 의해 취득되는 X선 투과 화상을 비롯하여, 2치화 처리된 2치화 화상 등의 각종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는, 검사 결과 데이터나, 그 검사 결과 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이들 검사 결과 데이터나 통계 데이터는, 상기 표시 장치에 적절히 표시시킬 수 있다.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는, 검사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이들 각종 정보로서, 예를 들어 PTP 시트(1), 포켓부(2) 및 정제(5)의 형상 및 치수, 검사 영역(Kb)을 획정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의 형상 및 치수, 포켓 프레임의 형상 및 치수, 2치화 처리에 이용되는 휘도 임계값, 양부 판정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기준값(예를 들어,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외하기 위한 최소 면적값 Lo 등),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을 제어할 때에 이용되는 소정값 K1 등이 설정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휘도 임계값으로서, 임계값 δ1이 기억되어 있다. 임계값 δ1은, 정제(5)나 포켓부(2)의 외연 부분, 이물질(정제(5)의 파편이나 가루, 금속편 등)을 특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휘도 임계값이다. 임계값 δ1은, X선 조사 장치(51)의 상기 X선관에 투입되는 관전류의 증감에 따라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조사 출력이 증감되면, 마이크로컴퓨터(71)에 의해, 새로운 조사 출력에 따라 갱신된다. 임계값 δ1의 갱신은,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에 미리 기억된, 임계값 δ1과 관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식이나 테이블 등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관전류가 어느 값으로 변경되면, 상기 수학식이나 상기 테이블 등에 기초하여, 이 값에 대응하는 임계값 δ1이 새롭게 설정되고,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에 기억된다. 한편, 임계값 δ1을 갱신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값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임계값 δ1은,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정제(5)에 상당하는 부분, 그 부분의 주위에 나타나는 그림자 부분(2c)(도 12 참조) 및 이물질에 상당하는 부분의 각 휘도보다 높고,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2a)(단 포켓부(2)의 외연이나 정제(5)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다)이나 플랜지부(9b)에 상당하는 부분의 휘도(예를 들어, 수용 공간(2a)이나 플랜지부(9b)에 상당하는 부분의 휘도 중 가장 낮은 휘도)보다 낮아지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 영역(Kb)으로서, PTP 필름(9)에 있어서의 PTP 시트(1)에 대응하는 영역 중, 태그부(8)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5개의 시트 소편(6)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본체부(1a)에 대응하는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도 3, 4 참조).
검사 루틴 기억 장치(77)는, 검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기억한다. 검사 루틴 기억 장치(77)에 기억되는 소프트웨어에는,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 및 출력 제어용 소프트웨어(77d)가 포함된다.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는,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에 기억된 시트 프레임의 형상 및 치수에 기초하여,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검사 영역(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 영역(Kb))을 특정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임계값 δ1을 이용하여, 특정한 검사 영역(Kb)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2a)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2x), 플랜지부(9b)에 대응하는 플랜지부 영역(9x), 정제(5)에 대응하는 정제 영역(5x), 정제(5)의 가루나 파편, 금속편 등의 이물질에 대응하는 이물질 영역(100x)(각각 도 12 참조) 등을 특정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영역(5x)」이 「내용물 영역」에 상당한다.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는, 포켓부(2)나 플랜지부(9b)에 있어서의 이물질(정제(5)의 파편이나 가루 등)의 검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는, X선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출력 제어용 소프트웨어(77d)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상기 소정값 K1이 되도록,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에 의해, 제품이 되는 PTP 시트(1)의 적어도 1매분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이 취득되면, 마이크로컴퓨터(71)에 의해,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 및 출력 제어용 소프트웨어(77d)가 실행된다.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가 실행되면, 먼저, X선 투과 화상에 대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이 설정됨으로써,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영역(Kb)이 획정된다. 또한, 그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X선 투과 화상이, 시트 농담 화상(Xb)(도 12 참조)으로서 취득되는 동시에, 그 시트 농담 화상(Xb)이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투과 화상(Xa)이나 시트 농담 화상(Xb)(검사 영역(Kb)에 관련된 농담 화상)에 있어서, 수용 영역(2x) 중 정제 영역(5x)이나 상기 그림자 부분(2c)을 제외한 영역과 플랜지부 영역(9x) 사이에서는, 명암의 차는 거의 없으나, 전자 쪽이, 후자(플랜지부 영역(9x))보다 약간 밝은 것이 되기 쉽다. PTP 필름(9)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2a)을 형성하는 부위는, 수용 공간(2a)의 형성을 위하여 얇게 늘여져 있어, 플랜지부(9b)보다 X선의 투과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X선 투과 화상(Xa)이나 시트 농담 화상(Xb)에 있어서, 정제 영역(5x)은, 플랜지부 영역(9x) 등과 비교하여 어두운 상태가 된다. 정제(5)의 두께에 의존하여 X선이 감쇠되기 때문이다. 또한, X선 투과 화상(Xa)이나 시트 농담 화상(Xa)에 있어서, 이물질 영역(100x) 중 정제(5)의 파편이나 가루에 기초하는 것은, 정제 영역(5x)과 대략 동일한 밝기 또는 이보다 약간 밝은 상태가 된다. 한편, 이물질 영역(100x) 중 금속편 등의 이물질에 기초하는 것은, 정제 영역(5x)보다 어두운 상태가 된다. 금속편 등의 이물질은, 정제(5)보다 X선을 차폐하기 쉽기 때문이다.
시트 농담 화상(Xb)이 취득되면, 임계값 δ1을 이용하여, 그 시트 농담 화상(Xa)에 대하여 2치화 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값 δ1 이상을 「1(명부)」, 상기 임계값 δ1 미만을 「0(암부)」으로 하여 시트 농담 화상(Xb)이 2치화 화상으로 변환되는 동시에, 이 2치화 화상이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치화 화상에서는, 정제(5)나 그림자 부분(2c), 이물질에 상당하는 부분이 「0(암부)」으로서 나타난다.
이어서, 상기 2치화 화상에 대하여 괴처리가 실행된다. 괴처리로는, 2치화 화상의 「0(암부)」 및 「1(명부)」에 대하여 각각 연결 성분을 특정하는 처리와, 각각의 연결 성분에 대하여 라벨 붙임을 행하는 라벨 붙임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각각 특정되는 각 연결 성분의 점유 면적은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의 화소에 따른 도트수로 나타내어진다.
그리고, 괴처리에 의해 특정된 「0(암부)」의 연결 성분 중에서,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 즉 정제 영역(5x)이 특정된다.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은, 소정의 좌표를 포함하는 연결 성분, 소정의 형상인 연결 성분, 혹은 소정의 면적인 곳의 연결 성분 등을 판단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이어서, 괴처리에 의해 특정된 「0(암부)」의 연결 성분 중에서,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의 주위에 위치하고, 포켓부(2)의 외연에 상당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2c)이 특정된다. 그림자 부분(2c)의 특정은, 예를 들어,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연결 성분을 판단하는 것 등에 의해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된 그림자 부분(2c)의 최외주부가, 수용 공간(2a)의 윤곽으로서 특정된다.
다음으로,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X선 투과 화상(시트 농담 화상(Xa))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2a)의 윤곽보다 내측이, 수용 영역(2x)으로서 특정된다. 또한,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X선 투과 화상(시트 농담 화상(Xa))에 있어서의 수용 영역(2x) 이외의 영역이, 플랜지부 영역(9x)으로서 특정된다.
또한, 괴처리에 의해 특정된 「0(암부)」의 연결 성분 중에서, 정제 영역(5x) 및 그림자 부분(2c)을 제외한 연결 성분이, 이물질 영역(100x)으로서 특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71)」,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 및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를 기억하는 「검사 루틴 기억 장치(77)」에 의해, 「영역 특정 수단」 및 「이물질 특정 수단」으로서의 「영역 특정부(78)」(도 6 참조)가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임계값으로서 임계값 δ1만이 이용되고 있으나, 복수 종류의 임계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X선 투과 화상을 다단계의 휘도 계조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임계값을 이용함으로써, 각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조사 출력 검출값에 따라, 이용하는 복수 종류의 임계값을 각각 변경시켜도 된다.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에 이어서,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가 실행된다.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가 실행되면, 수용 영역(2x)에 있어서, 면적값이 상기 최소 면적값 Lo 이상이 된 이물질 영역(100x)이 추출된다(노이즈의 영향을 고려하여, Lo 미만의 이물질 영역(100x)이 무시된다). 그리고,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제(5)의 파편이나 가루,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포켓부(2)에 존재한다고 판정된다. 한편,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부(2)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정제(5)는 양품이라고 판정된다. 한편, 이물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각 수용 영역(2x)의 각각을 대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플랜지부 영역(9x)에 있어서, 면적값이 상기 최소 면적값 Lo 이상이 된 이물질 영역(100x)이 추출된다(Lo 미만의 이물질 영역(100x)이 무시된다). 그리고,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제(5)의 파편이나 가루,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플랜지부(9b)에 존재한다고 판정되고, 한편,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랜지부(9b)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또한, 정제(5)나 플랜지부(9b)의 양부 판정에 따라,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의 양부가 판정되고, 그 양부 판정 결과가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에 기억되는 동시에, PTP 포장기(10)(불량 시트 배출 기구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영역 특정용 소프트웨어(77a)에 이어서,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가 실행된다.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의 실행은,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의 실행 전 혹은 후, 또는 양부 판정용 소프트웨어(77b)의 실행과 동시기여도 된다.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가 실행되면, 시트 농담 화상(Xa) 중, PTP 필름(9)에 있어서의 상기 경로(L1)를 통과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이 특정된다. 즉,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경로(L1) 상에 있는 영역이 특정된다. 이 영역 특정은, 예를 들어,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추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한편,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경로(L1) 상에 있는 영역」은, 경로(L1) 상에 있는 직선적인 영역(일차원적인 영역)이어도 되고, 그 직선적인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의 폭을 갖는 평면적인 영역(이차원적인 영역)이어도 된다.
이어서, 특정한 영역에 포함되는 수용 영역(2x)이 특정되는 동시에, 그 수용 영역(2x)으로부터, 정제 영역(5x), 그림자 부분(2c) 및 이물질 영역(100x)을 제외한 영역이 특정된다. 즉,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 경로(L1) 상에 있는 수용 영역(2x) 중, 정제 영역(5x), 그림자 부분(2c) 및 이물질 영역(100x)을 제외한 영역(이하, 「검출 대상 영역(Ta)」이라고 칭한다)이 특정된다(도 12 참조).
그 후, 검출 대상 영역(Ta)에 있어서의 휘도에 기초하여, X선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사 출력 검출값으로서, 검출 대상 영역(Ta)에 대응하는 각 화소의 휘도의 평균값이 산출된다. 한편, 조사 출력 검출값으로서, 검출 대상 영역(Ta)에 대응하는 각 화소의 휘도의 중앙값이나 무게 중심값 등을 산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71)」 및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를 기억하는 「검사 루틴 기억 장치(77)」에 의해, 「조사 출력 검출 수단」으로서의 「조사 출력 검출부(79)」(도 6 참조)가 구성된다.
또한,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면, 출력 제어용 소프트웨어(77d)가 실행된다. 출력 제어용 소프트웨어(77d)가 실행되면, 산출된 조사 출력 검출값을 기초로, 다음 회의 조사 출력 검출용 소프트웨어(77c)의 실행시에 산출되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상기 소정값 K1이 되도록 X선 조사 장치(51)(X선관)에 투입되는 관전류가 조절되어,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즉 검출 대상 영역(Ta))의 휘도가,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 표현 가능한 최고 휘도에 가까운 휘도(예를 들어, 최고 휘도의 80∼90% 정도의 휘도)가 되도록,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이 제어된다. 한편, X선 조사 장치(51)에 투입하는 관전류는, 예를 들어,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에 미리 기억된, 조사 출력 검출값 및 소정값 K1의 차와, 검출 대상 영역(Ta)을 상기와 같은 휘도로 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관전류의 증감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식이나 테이블 등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71)」, 소정값 K1을 기억하는 「설정 데이터 기억 장치(76)」 및 출력 제어용 소프트웨어(77d)를 기억하는 「검사 루틴 기억 장치(77)」에 의해,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의 「출력 제어부(80)」(도 6 참조)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해 행하여지는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PTP 시트(1)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의 포켓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용기 필름(3)에 대하여,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 포켓부(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간다. 이어서, 단계 S2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정제 충전 장치(21)에 의해 포켓부(2)의 수용 공간(2a)으로 정제(5)가 충전된다.
충전 공정에 이어서는, 단계 S3의 취착 공정이 행하여진다. 취착 공정에서는, 상기 양 롤(20, 23) 사이에, 반송되는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보내짐으로써,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취착되어, PTP 필름(9)이 얻어진다.
그 후, X선 검사 장치(45)에 관한 공정으로서, 단계 S4의 검사 공정이 행하여진다. 검사 공정은, 단계 S41의 조사 공정, 단계 S42의 촬상 공정, 단계 S43의 영역 특정 공정, 단계 S44의 양부 판정 공정, 단계 S46의 조사 출력 검출 공정 및 단계 S47의 출력 제어 공정을 포함한다.
단계 S41의 조사 공정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71)에 의해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가 구동 제어됨으로써, PTP 필름(9)에 대하여 X선이 조사된다. 이 때,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은, 전회의 검사 공정에 있어서의 단계 S5의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 산출된 조사 출력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그 결과, 이번 회의 단계 S5의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 산출되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 K1이 되도록,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이 제어된다.
또한, 단계 S42의 촬상 공정에서는, PTP 필름(9)이 소정량 반송될(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타이밍 신호가 X선 검사 장치(45)에 입력될) 때마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에 의해, PTP 필름(9)을 투과한 X선을 촬상한 일차원적인 X선 투과 화상이 취득된다.
그리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에 의해 취득된 X선 투과 화상은, 그 카메라(52) 내부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뒤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제어 처리 장치(53)(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대하여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X선 라인 센서(52a)의 폭, 즉 CCD 1개분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PTP 필름(9)이 반송될 때마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에 의해 X선 투과 화상이 취득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와는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로부터 출력된 X선 투과 화상은,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시계열로 순차적으로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PTP 필름(9)이 소정량 반송될 때마다 상기 일련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하여짐으로써,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는, 최종적으로 1매분의 PTP 시트(1)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이 기억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이 제어됨으로써, X선 투과 화상은, 다단계의 휘도 계조를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이 되는 PTP 시트(1)에 관련된 X선 투과 화상이 취득되면, 단계 S43의 영역 특정 공정 및 단계 S44의 양부 판정 공정이 실행된다.
한편, 영역 특정 공정이나 양부 판정 공정 등은, 제품이 되는 각 PTP 시트(1)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이 1매의 PTP 시트(1)에 상당하는 분만큼 반송될 때마다, X선 투과 화상에 포함되는 1매분의 PTP 시트(1)에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영역 특정 공정이나 양부 판정 공정 등이 행하여지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43의 영역 특정 공정에 대하여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영역 특정 공정에서는, 먼저, 단계 S431의 검사 화상 취득 처리가 실행된다. 상세하게는, X선 투과 화상 중, 검사 대상이 되는 PTP 시트(1)에 관련된 화상이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로부터 검사 화상으로서 판독 출력된다.
이어서, 단계 S432에 있어서, 판독 출력된 검사 화상에 대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이 설정됨으로써,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영역(Kb)이 획정되어, 시트 농담 화상(Xb)이 얻어진다. 얻어진 시트 농담 화상(Xb)은,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의 설정 위치는, PTP 필름(9)과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프레임의 설정 위치가 검사 화상에 따라 그때마다, 위치 조정되는 일은 없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위치 어긋남의 발생 등을 고려하여, X선 투과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기초로 시트 프레임의 설정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433의 정제 영역 특정 처리에 있어서는, 먼저, 임계값 δ1을 이용하여, 얻어진 시트 농담 화상(Xb)에 대하여 2치화 처리가 실시되는 동시에, 그 처리에 의해 얻어진 2치화 화상이 화상 데이터 기억 장치(74)에 기억된다. 그 후, 상기 2치화 화상에 대하여 괴처리가 실행되는 동시에, 괴처리에 의해 특정된 「0(암부)」의 연결 성분 중에서, 정제(5)에 상당하는 연결 성분 즉 정제 영역(5x)이 특정된다.
이어서, 단계 S434에 있어서, 특정된 정제 영역(5x)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2c)이 특정된다.
그 후, 단계 S435에 있어서,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X선 투과 화상(시트 농담 화상(Xa))에 있어서의 그림자 부분(2c)의 최외주부보다 내측의 영역이 수용 영역(2x)으로서 특정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436에 있어서, 시트 농담 화상(Xb) 중, 수용 영역(2x) 이외의 영역이 플랜지부 영역(9x)으로서 특정된다.
그리고, 영역 특정 공정의 마지막에는, 단계 S437의 이물질 영역 특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계 S437에 있어서는, 괴처리에 의해 특정된 「0(암부)」의 연결 성분 중에서, 정제 영역(5x) 및 그림자 부분(2c)을 제외한 성분이, 이물질 영역(100x)으로서 특정된다.
이어서, 단계 S44의 양부 판정 공정에 대하여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441에 있어서, 전체 포켓부(2)의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한편, 「정제 양품 플래그」는, 대응하는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에 설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포켓부(2)에 수용된 정제(5)가 양품 판정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이 「1」로 설정된다.
계속되는 단계 S442에 있어서,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에 설정된 포켓 번호 카운터의 값 C가 초기값인 「1」로 설정된다. 한편, 「포켓 번호의 카운트의 값 C」란, 1매의 PTP 시트(1)에 관련된 검사 영역(Kb) 내에 있어서의 10개의 포켓부(2)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일련번호로, 포켓 번호 카운터의 값 C(이하, 간단히 「포켓 번호 C」라고 한다)에 의해 포켓부(2)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43에 있어서, 포켓 번호 C가 1 검사 영역당(1매의 PTP 시트(1)당)의 포켓수 N(본 실시형태에서는 「10」)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44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444로 이행하여, 단계 S43의 영역 특정 공정에 의한 처리 결과를 기초로, 현재의 포켓 번호 C(예를 들어 C=1)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2x)(포켓부(2))에 있어서의, 면적값이 상기 최저 면적값 Lo 이상이 된 이물질 영역(100x)이 추출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445에 있어서, 수용 영역(2x)에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있으면, 그 수용 영역(2x)에는 정제(5)의 파편이나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되고, 그대로 단계 S447로 이행한다. 한편, 수용 영역(2x)에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없으면, 단계 S446으로 이행한다.
단계 S446에서는, 현재의 포켓 번호 C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2x)(포켓부(2))에 이물질은 없다고 판정되고, 그 포켓 번호 C에 대응하는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이 「1」로 설정된다. 그 후, 단계 S447로 이행한다.
단계 S447에서는, 현재의 포켓 번호 C에 「1」이 더하여짐으로써, 새로운 포켓 번호 C가 설정된다. 그 후, 단계 S443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새롭게 설정한 포켓 번호 C가 아직 포켓수 N(본 실시형태에서는 「10」) 이하인 경우에는, 다시 단계 S444로 이행하여, 상기 일련의 판정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한편, 새롭게 설정한 포켓 번호 C가 포켓수 N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즉 단계 S44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모든 포켓부(2)(수용 영역(2x))에 관한 양부 판정이 종료되었다고 간주하고, 단계 S448로 이행한다.
단계 S448에서는, 단계 S43의 영역 특정 공정에 의한 처리 결과를 기초로, 플랜지부 영역(9x)에 있어서의, 면적값이 상기 최소 면적값 Lo 이상이 된 이물질 영역(100x)이 추출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449에 있어서, 플랜지부 영역(9x)에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100x)이 있으면, 플랜지부 영역(9x)에는 정제(5)의 파편이나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되고, 그대로 단계 S452로 이행한다. 한편, 플랜지부 영역(9x)에 Lo 이상의 이물질 영역이 없으면, 단계 S450으로 이행한다.
단계 S450에서는, 검사 영역(Kb) 내의 전체 포켓부(2)의 정제 양품 플래그의 값이 「1」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긍정 판정된 경우, 즉 검사 영역(Kb) 내의 모든 포켓부(2)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51에 있어서, 그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가 「양품」이라고 판정되고, 양부 판정 공정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 S450에 있어서 부정 판정된 경우, 즉 검사 영역(Kb) 내의 전체 포켓부(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452로 이행한다.
단계 S452에서는,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가 「불량품」이라고 판정되고, 양부 판정 공정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 S451의 양품 판정 처리, 및 단계 S452의 불량품 판정 처리에서는, 검사 영역(Kb)에 대응하는 PTP 시트(1)에 관한 검사 결과가, 연산 결과 기억 장치(75)에 기억되는 동시에, PTP 포장기(10)(불량 시트 배출 기구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출력된다.
이어서, 단계 S46의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는, 먼저, 단계 S461에 있어서, 시트 농담 화상(Xa) 중, PTP 필름(9)에 있어서의 상기 경로(L1)를 통과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이 특정된다. 이어서, 단계 S462에 있어서, 특정한 영역에 포함되는 수용 영역(2x)으로부터, 정제 영역(5x), 그림자 부분(2c) 및 이물질 영역(100x)을 제외한 영역이, 검출 대상 영역(Ta)으로서 특정된다. 그 후, 단계 S463에 있어서, 검출 대상 영역(Ta)에 있어서의 휘도에 기초하여, X선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됨으로써, 조사 출력 검출 공정이 종료된다.
도 8로 되돌아가,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 이어서, 단계 S47의 출력 제어 공정이 행하여진다. 출력 제어 공정에서는,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 산출된 조사 출력 검출값을 기초로, 다음 회의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 산출되는 조사 출력 검출값이 상기 소정값 K1이 되도록, X선 조사 장치(51)에 의한 X선의 조사 출력이 제어된다.
이어서, 단계 S5의 절취선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절취선 형성 장치(33)에 의해 PTP 필름(9)의 소정 위치에 절취선(7)이 형성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6의 각인 공정에 있어서, 각인 장치(34)에 의해 PTP 필름(9)에 각인(8a)이 형성된다. 그 후, 단계 S7의 분리 공정이 행하여짐으로써, PTP 시트(1)의 제조 공정이 종료된다. 분리 공정에서는, 시트 블랭킹 장치(37)에 의해 PTP 필름(9)이 블랭킹되어, PTP 필름(9)으로부터 PTP 시트(1)가 분리됨으로써, PTP 시트(1)가 제조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사 출력 검출값은, X선 투과 화상 중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 즉 검출 대상 영역(Ta)의 휘도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이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에 관련된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 K1이 되도록, 즉, 이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이 충분히 고휘도가 되도록, X선 조사 장치(51)가 제어된다. 따라서, 유효 계조 범위(X선 라인 센서(52a)에 의한 검출 출력의 범위)에 있어서의 그 최고값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어, 계측 가능 계조 범위(X선 라인 센서(52a)에 의한 검출 출력의 최대 범위)에 대하여 유효 계조 범위를 보다 넓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출 출력의 계조 나아가서는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계조에 관련된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영역(2x) 중 정제 영역(5x)이나 그림자 부분(2c)을 제외한 영역이라는, X선 투과 화상 중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유효 계조 범위를 보다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검출 대상 영역(Ta)은 그림자 부분(2c)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정된 정제 영역(5x)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2c)이 수용 공간(2a)의 윤곽으로서 특정되고, 그 윤곽의 내측이 수용 영역(2x)으로서 특정된다. 따라서, 수용 영역(2x)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또한, 비교적 간단히 특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한층 더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이물질 영역(100x)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한층 더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검출 대상 영역(Ta)은, 경로(L1) 상에 있는 영역으로서, 수용 영역(2x)으로부터 정제 영역(5x), 그림자 부분(2c) 및 이물질 영역(100x)을 제외한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 대상 영역(Ta)을, 경로(L1) 상에 있는 플랜지부 영역(9x)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조사 출력 검출값을, X선 투과 화상(시트 농담 화상(Xb)) 중 가장 밝아지기 쉬운 영역 중의 1개의 휘도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 영역(9x)은, 수용 영역(2x) 중 정제 영역(5x)을 제외한 영역보다 넓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 영역(9x)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함으로써, 조사 출력 검출값의 산출에 관련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물질에 의한 악영향을 고려하여, 검출 대상 영역(Ta)을, 경로(L1) 상에 있는 영역으로서, 플랜지부 영역(9x)으로부터 이물질 영역(100x)을 제외한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수용 영역(2x)으로부터 정제 영역(5x)을 제외한 영역, 및 플랜지부 영역(9x)의 각각을 검출 대상 영역(Ta)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조사 출력 검출값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한다는 점에서, 그림자 부분(2c)이나 이물질 영역(100x)이 포함되지 않도록 검출 대상 영역(Ta)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포장 시트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PTP 시트(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SP 시트여도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SP 시트(90)는, 알루미늄을 기재로 한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2매의 필름(91, 92)을 중첩해 가는 동시에, 양 필름(91, 92) 사이에 정제(5)를 충전하면서, 그 정제(5)의 주위에 주머니상의 수용 공간(93)을 남기도록, 그 수용 공간(93)의 주위(도 14 중의 망점 모양 부분)의 양 필름(91, 92)을 접합함으로써, 띠상의 포장 필름으로 한 뒤에, 그 포장 필름을 직사각형 시트상으로 분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편, SP 시트(90)에는, 1개의 수용 공간(93)을 포함하는 시트 소편(94) 단위로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분리부」로서, 시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 절취선(95), 및 시트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로 절취선(96)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SP 시트(90)에는, 시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각종 정보(본 실시형태에서는 「ABC」의 문자)가 인쇄된 태그부(97)를 부설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45)는, 필름 받이 롤(20) 및 가열 롤(23)의 하류이며, 절취선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45)를, 절취선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의 하류이며, 시트 블랭킹 장치(37)의 상류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선 투과 화상(Xa)이나 시트 농담 화상(Xb)에는, 절취선(7)에 대응하는 「분리 영역」으로서의 절취선 영역(7x)이나 각인(8a)에 대응하는 각인 영역(8x)이 존재한 상태가 되는데, 절취선 영역(7x)이나 각인 영역(8x)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취선(7)이나 각인(8a)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적정한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고정밀도의 검사를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절취선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의 상류에 X선 검사 장치(45)를 설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절취선 영역(7x) 및 각인 영역(8x)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절취선 영역(7x) 및 각인 영역(8x)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X선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정제 영역(5x)을 특정하는 동시에, 특정한 정제 영역(5x)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2c)을 수용 공간(2a)의 윤곽으로서 특정하고, 그 윤곽의 내측을 수용 영역(2x)으로서 특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수용 영역(2x)을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제 영역(5x)을 특정하는 동시에, 특정한 정제 영역(5x)을 팽창시켜 이루어지는 영역을 수용 영역(2x)으로서 특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간단한 처리에 의해, 수용 영역(2x)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특정(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정제 영역(5x)을 특정하는 동시에, 특정한 정제 영역(5x)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을 취득하고, 취득한 중심 또는 무게 중심 및 수용 공간(2a)의 위치에 관한 설계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용 영역(2x)을 특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비교적 간단한 처리에 의해, 수용 영역(2x)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특정(추정)할 수 있다.
또한, PTP 필름(9)을 촬상하여, PTP 필름(9)의 외관에 관련된 외관 화상을 취득하는 동시에, 이 외관 화상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2a)의 위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수용 공간(2a)의 위치에 기초하여 수용 영역(2x)을 특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수용 공간(2a)의 실제의 위치에 기초하여 수용 영역(2x)이 특정되기 때문에, 수용 영역(2x)을 매우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어, 우수한 검사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e) PTP 시트(1) 단위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도 상기 실시형태의 양태(2열, 10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3열 12개의 포켓부(2)(수용 공간(2a))를 갖는 타입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 시트를 채용할 수 있다(상기 SP 시트에 대해서도 동일). 물론, 1개의 시트 소편에 포함되는 포켓부(2)(수용 공간(2a))의 수도 상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PTP 시트(1)에는, 「분리부」로서, PTP 시트(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절삭이 단속적으로 늘어선 절취선(7)이 형성되어 있으나, 「분리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의 재질 등에 따라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대략 V자상을 이루는 비관통의 슬릿(하프컷선)이 「분리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절취선(7) 등의 「분리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g)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재질이나 층 구조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 필름(3)이나 커버 필름(4)에 관련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를 기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시광 등을 투과하지 않는 합성 수지 재료 등을 채용해도 된다.
(h) 띠상 포장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PTP 필름(9)은, 그 폭 방향을 따라 1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 폭 방향을 따라 복수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어도 된다.
(i) 전자파 조사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파로서 X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테라헤르츠 전자파 등, PTP 필름(9)을 투과하는 다른 전자파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j) 촬상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수단으로서 CCD를 1열로 나열한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를 채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PTP 필름(9)의 반송 방향으로 CCD열(검출 소자열)을 복수열 구비한 X선 TDI(Time Delay Integration) 카메라를 채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검사 정밀도 및 검사 효율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k) X선 검사 장치(45)에 관련된 구성이나 X선 검사 장치(45) 및 PTP 필름(9)의 위치 관계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이 상하 방향으로 반송되는 위치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45)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PTP 필름(9)이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는 위치나, 경사지게 반송되는 위치에 X선 검사 장치(45)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PTP 필름(9)의 크기나 레이아웃 등에 맞추어, X선 조사 장치(51) 및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를, PTP 필름(9)의 반송 방향이나 PTP 필름(9)의 폭 방향, PTP 필름(9)에 대한 접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기구(위치 조정 수단)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X선 조사 장치(51)가 PTP 필름(9)의 용기 필름(3)측에 배치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가 PTP 필름(9)의 커버 필름(4)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양자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하여, X선 조사 장치(51)를 커버 필름(4)측에 배치하고, X선 라인 센서 카메라(52)를 용기 필름(3)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용기 필름(3)」이 「제2 필름」을 구성하고, 「커버 필름(4)」이 「제1 필름」을 구성하게 된다.
(l)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으로부터 PTP 시트(1)가 블랭킹되는 것보다 전공정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45)에 의한 X선 검사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PTP 필름(9)으로부터 PTP 시트(1)가 블랭킹된 후공정에 있어서, PTP 시트(1)에 대하여 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39)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PTP 시트(1)에 대하여 검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PTP 시트(1)」가 「포장체」를 구성하고, 「시트 플랜지부(1b)」가 「플랜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X선 검사 장치(45)가 PTP 포장기(10) 내에 설치된 구성(인라인 구성)으로 해도 되고, X선 검사 장치(45)가 PTP 포장기(10)와는 별도로 설치된 구성(오프라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오프라인 구성의 경우에는, 검사 대상이 되는 PTP 시트(1)의 위치나 방향이 X선 검사 장치(45)에 대하여 일정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검사를 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PTP 시트(1)의 위치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PTP 시트(1)의 위치나 방향의 조정은 검사 속도 및 검사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하면, 인라인 구성을 채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m)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TP 필름(9)의 반송에 따라, 플랜지부(9b) 및 수용 공간(2a)이 번갈아 경로(L1)를 통과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PTP 필름(9)의 반송시에, 경로(L1)를 수용 공간(2a)이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PTP 필름(9)의 반송시에, 경로(L1)를 항상 플랜지부(9b)가 통과해 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경로(L1) 상에 있는 플랜지부 영역(9x)의 휘도에 기초하여,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게 된다.
(n)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용물로서 정제(5)를 들고 있으나, 내용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캡슐이나 식료품, 소형 부품 등이어도 된다.
1…PTP 시트, 2…포켓부, 2a…수용 공간, 2c…그림자 부분, 2x…수용 영역, 3…용기 필름(제1 필름), 4…커버 필름(제2 필름), 5…정제(내용물), 5x…정제 영역, 7…절취선(분리부), 7x…절취선 영역(분리 영역), 8a…각인, 8x…각인 영역, 9…PTP 필름(포장체), 9b…플랜지부, 9x…플랜지부 영역, 10…PTP 포장기(포장체 제조 장치), 45…X선 검사 장치(검사 장치), 51…X선 조사 장치(전자파 조사 수단), 51a…조사원, 52…X선 라인 센서 카메라(촬상 수단), 52a…X선 라인 센서(검출부), 53…제어 처리 장치(화상 처리 장치), 78…영역 특정부(영역 특정 수단, 이물질 특정 수단), 79…조사 출력 검출부(조사 출력 검출 수단), 80…출력 제어부(출력 제어 수단), 100x…이물질 영역.

Claims (10)

  1.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필름이 취착(取着)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로서,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으로부터 상기 포장체를 투과 가능한 전자파를 조사하는 조사원을 갖고 이루어지는 전자파 조사 수단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에 의한 그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휘도에 관련된 농담을 갖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련된 검사를 실행 가능한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는 조사 출력 검출 수단과,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조사원과 상기 검출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 중 상기 내용물에 대응하는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의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플랜지부 영역 중의 적어도 일방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포장체에 형성된 분리용의 분리부에 대응하는 분리 영역 및 상기 포장체에 붙여진 각인에 대응하는 각인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중의 적어도 일방은, 내부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갖는 동시에, 금속제 필름 또는 금속층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내용물 영역을 특정하는 동시에, 특정한 상기 내용물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을 상기 수용 공간의 윤곽으로서 특정하고, 그 윤곽의 내측을 상기 수용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수용 영역 중 그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중의 적어도 일방은, 내부 공간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갖는 동시에, 금속제 필름 또는 금속층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내용물 영역을 특정하는 동시에, 특정한 상기 내용물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고리상의 그림자 부분을 상기 수용 공간의 윤곽으로서 특정하고, 그 윤곽의 내측을 상기 수용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영역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수용 영역 중 그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이물질에 대응하는 이물질 영역을 특정하는 이물질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이물질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이물질에 대응하는 이물질 영역을 특정하는 이물질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이물질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이물질에 대응하는 이물질 영역을 특정하는 이물질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이물질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이물질에 대응하는 이물질 영역을 특정하는 이물질 특정 수단을 갖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수단은,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이물질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제조 장치.
  10.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제1 필름과, 불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제2 필름이 취착되는 동시에, 그 양 필름간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내용물이 수용된 포장체를 얻을 때에 이용되는 포장체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되는 띠상의 상기 제1 필름과, 반송되는 띠상의 상기 제2 필름을 취착하는 취착 공정과,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공정과,
    상기 취착 공정 및 상기 충전 공정을 거쳐 얻어진 상기 포장체의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검사 공정은,
    소정의 전자파 조사 수단이 갖는 조사원에 의해, 상기 포장체에 대하여, 상기 제1 필름측으로부터 상기 포장체를 투과 가능한 전자파를 조사하는 조사 공정과,
    상기 포장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필름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촬상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포장체를 투과한 전자파에 의한 그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는, 휘도에 관련된 농담을 갖는 전자파 투과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공정과,
    상기 촬상 공정에 의해 취득된 전자파 투과 화상을 기초로, 상기 포장체에 관한 양부 판정을 행하는 양부 판정 공정과,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나타내는 조사 출력 검출값을 산출하는 조사 출력 검출 공정과,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이 소정값이 되도록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에 의한 전자파의 조사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사 출력 검출 공정에서는, 상기 전자파 투과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조사원과 상기 검출부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수용 영역 중 상기 내용물에 대응하는 내용물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의 플랜지부에 대응하는 플랜지부 영역 중의 적어도 일방의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조사 출력 검출값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제조 방법.
KR1020217035838A 2019-06-17 2020-05-01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 KR102484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1965A JP6752941B1 (ja) 2019-06-17 2019-06-17 検査装置、包装体製造装置及び包装体製造方法
JPJP-P-2019-111965 2019-06-17
PCT/JP2020/018408 WO2020255571A1 (ja) 2019-06-17 2020-05-01 検査装置、包装体製造装置及び包装体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028A KR20210147028A (ko) 2021-12-06
KR102484138B1 true KR102484138B1 (ko) 2023-01-02

Family

ID=7233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838A KR102484138B1 (ko) 2019-06-17 2020-05-01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52941B1 (ko)
KR (1) KR102484138B1 (ko)
CN (1) CN113874717B (ko)
TW (1) TWI756693B (ko)
WO (1) WO20202555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920B2 (ja) * 1989-05-30 2000-04-24 ソニー株式会社 動体抽出装置及び動体抽出方法
JP3678730B2 (ja) * 2003-02-26 2005-08-03 株式会社日鉄エレックス X線異物検査方法及び装置
ITBO20040221A1 (it) * 2004-04-19 2004-07-19 Gd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i pacchetti
CN101802595B (zh) * 2007-09-26 2013-09-04 株式会社石田 检查装置
JP5324328B2 (ja) * 2009-06-15 2013-10-23 株式会社イシダ 物品検査装置
JP2013190361A (ja) * 2012-03-14 2013-09-26 Omron Corp X線検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60347B2 (ja) 2012-06-06 2016-02-16 アンリツインフィビス株式会社 X線検査装置
JP5657627B2 (ja) * 2012-10-23 2015-01-21 Ckd株式会社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5996447B2 (ja) * 2013-01-30 2016-09-21 アンリツインフィビス株式会社 X線検査装置
JP6270319B2 (ja) * 2013-02-18 2018-01-31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JP5720028B1 (ja) * 2013-10-03 2015-05-20 株式会社 システムスクエア 包装体の検査装置
KR20170107952A (ko) * 2015-01-29 2017-09-26 가부시키가이샤 데크시스 광학식 외관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학식 외관 검사 시스템
JP6920988B2 (ja) * 2015-03-20 2021-08-18 株式会社イシダ 検査装置
JP5906336B1 (ja) * 2015-03-23 2016-04-20 Ckd株式会社 製造装置
JP6617238B2 (ja) * 2015-10-14 2019-12-11 株式会社 システムスクエア 包装体の検査装置
JP6775818B2 (ja) 2016-08-19 2020-10-28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KR20180111562A (ko) * 2017-03-30 2018-10-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검사 장치, 검사 방법 및 필름 권회체의 제조 방법
WO2019045653A1 (en) * 2017-09-04 2019-03-07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NON-DESTRU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CONDITIONED MEDIC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2941B1 (ja) 2020-09-09
CN113874717B (zh) 2023-11-10
JP2020204510A (ja) 2020-12-24
KR20210147028A (ko) 2021-12-06
TW202107076A (zh) 2021-02-16
WO2020255571A1 (ja) 2020-12-24
CN113874717A (zh) 2021-12-31
TWI756693B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6183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WO2020217638A1 (ja) 検査装置、包装シート製造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方法
JP2014085190A (ja) 錠剤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KR102484138B1 (ko) 검사 장치, 포장체 제조 장치 및 포장체 제조 방법
JP5993358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5452081B2 (ja) X線検査装置
KR102547758B1 (ko) 검사 장치 및 포장체 제조 장치
JP6783347B1 (ja) 検査装置、包装シート製造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方法
KR102547746B1 (ko) 검사 장치, 포장기 및 포장체의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