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345B1 -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345B1
KR102476345B1 KR1020200140264A KR20200140264A KR102476345B1 KR 102476345 B1 KR102476345 B1 KR 102476345B1 KR 1020200140264 A KR1020200140264 A KR 1020200140264A KR 20200140264 A KR20200140264 A KR 20200140264A KR 102476345 B1 KR102476345 B1 KR 10247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ody panel
coupling surface
vehicle body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793A (ko
Inventor
이찬두
이옥두
이헌경
Original Assignee
(주)한라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라공업 filed Critical (주)한라공업
Priority to KR102020014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3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4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hand-operated, e.g. removable; operated by centrifugal action or by high closing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의 결합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체 패널에 걸림부의 걸림턱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패널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구성요소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걸림부의 걸림턱의 하부에 연장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차체 패널에 장착시 연장지지부가 차체 패널의 관통홀에 밀착되기 때문에 오버슬램범퍼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Over slam bump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몸체부의 결합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체 패널에 걸림부의 걸림턱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패널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구성요소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슬램범퍼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의 차체 패널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훅의 법칙에 의하여 오버슬램범퍼가 눌리는 변형량(변위)에 비례하여 반력이 증가함에 따라,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적당한 반력을 형성하여 주행 중 이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오버슬램범퍼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도 1의 (a)에 도시된 종래의 조절형 오버슬램범퍼는 고무로 된 범퍼 본체(1)에 나사산(2)이 형성되어 있는 타입으로, 공장에서 인라인(in-line) 작업으로 작업자가 임의로 조립하기 때문에 테일 게이트 이너 패널과 비매칭(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오버슬램범퍼 장착 후 차체 바디 측과 오버랩 부족이 다량 발생하게 되며, 결국 주행시 테일 게이트의 래틀(rattle)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절형 오버슬램범퍼는 범퍼 본체(1)에 나사산 구조가 직접 적용되어 있어 테일 게이트의 오픈시 고객에게 나사산 모양이 쉽게 인지되므로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종래의 반고정형 오버슬램범퍼는 고무로 된 범퍼 본체(3)에 나사산(4)과 스토퍼(5)가 형성되어 있는 타입으로, 조립 작업시 작업자가 오버슬램범퍼의 삽입 위치를 표시하여 작업할 수 있으나 여전히 임의 조립 가능성이 상존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범퍼 본체(3)에 나사산 구조가 직접 적용되어 있어 테일 게이트의 오픈시 고객에게 나사산 모양이 쉽게 인지되므로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도 1의 (c)에 도시된 종래의 고정형 오버슬램범퍼(6)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상단부(7)와 고무로 된 하단부(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타입으로, 오버슬램범퍼의 높이(길이) 조절 없이 테일 게이트 이너 패널에 바로 조립하기 때문에 차체와 테일 게이트 간 갭 및 단차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차체 및 테일 게이트의 조립산포 발생으로 갭/단차 조정이 필요할 시 갭/단차 수정이 불가능하여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주행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SUV 차량이나 RV 차량에 사용되는 오버슬램범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에 결합되는 결합면(211)을 갖는 몸체부(210)와, 몸체부(210)를 차체 패널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220)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231)이 형성된 나사부(232)를 갖고, 나사부(232)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나사부(232)가 회전될 때 몸체부(210)의 스토퍼(212)와 접촉되는 접촉부(233)를 가지며, 나사부(232)의 하부에 결합되어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범퍼(234)를 포함하는 범퍼부(230)와, 몸체부(210)와 차체 패널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물 또는 가스 등이 차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오버슬램범퍼(200)는 구성요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제조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품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체 패널에 결합시 몸체부(210)의 결합면(211)에 고정돌기(213)가 형성되어 차체 패널에 고정돌기(213)를 삽입 후 오버슬램범퍼(200)의 결합 위치를 확인 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몸체부(210)를 차체 패널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몸체부의 결합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체 패널에 걸림부의 걸림턱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패널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구성요소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걸림부의 걸림턱의 하부에 연장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차체 패널에 장착시 연장지지부가 차체 패널의 관통홀에 밀착되기 때문에 오버슬램범퍼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차체 패널(100)과 맞닿는 결합면(21)을 갖고, 상기 결합면(21)의 하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고, 나사홀(221)이 형성된 경사면(22)을 가지며, 상기 결합면(21)과 경사면(22)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23)을 형성하는 측면(24)을 갖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결합면(2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차체 패널(100)을 관통하여 걸리도록 걸림턱(31)이 형성된 걸림부(30)와; 상부에 상기 몸체부(20)의 경사면에 형성된 나사홀(221)과 체결되도록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범퍼부(40)와; 상기 몸체부(20)의 결합면(21)과 차체 패널(100)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물 또는 가스가 차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나사홀(22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범퍼부(4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서 상기 범퍼부(40)는 상기 몸체부(20)의 나사홀(22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1)와; 상기 나사부(41)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오목부(421)와 볼록부(42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25)가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2)와; 상기 나사부(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범퍼(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서 상기 걸림부(30)는 상기 몸체부(20)의 결합면(2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32)와; 상기 테두리부(32)의 외주면 상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체 패널(10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서 상기 걸림부(30)는 상기 걸림턱(31)의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차체 패널(100)을 관통하여 걸릴시 흔들림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장지지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 의하면, 몸체부의 결합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체 패널에 걸림부의 걸림턱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패널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구성요소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의 걸림턱의 하부에 연장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차체 패널에 장착시 연장지지부가 차체 패널의 관통홀에 밀착되기 때문에 오버슬램범퍼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의 분리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10)는 몸체부(20)와, 걸림부(30), 범퍼부(40), 패킹(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의 차체 패널(100)에 설치되고, 도어,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몸체부(20)는 차체 패널(100)과 맞닿고,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결합면(21)을 갖고, 결합면(21)의 하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고, 나사홀(221)이 형성된 경사면(22)을 가지며, 결합면(21)과 경사면(22)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23)을 형성하는 측면(24)을 갖는다.
한편, 몸체부(20)는 경사면(22)의 상측 즉, 결합면(21)의 반대측에 후술하는 범퍼부(4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5)가 형성되어 진다. 이때, 스토퍼(25)는 범퍼부(40)의 지지부(42)와 대응되는 원주로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지지부에 형성되는 오목부(421)에 삽입되어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구(2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부(30)는 몸체부(20)의 결합면(2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몸체부(20)를 차체 패널(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0)의 결합면(2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32)와, 테두리부(32)의 외주면 상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차체 패널(10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걸림부(30)는 걸림턱(31)의 하부로 연장되고, 차체 패널(100)을 관통하여 걸릴시 흔들림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장지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지지부(33)의 외면은 테두리부(32)의 외주면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진다. 이는 테두리부(32)의 외주면이 차체 패널(100)의 관통홀(102)을 관통하여 삽입시 차체 패널(100)의 관통홀(102)의 내주면에 연장지지부(33)가 밀착되어 테두리부(32)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테두리부(32)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오버슬램범퍼(10)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범퍼부(40)는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0)의 나사홀(22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1)와, 나사부(41)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오목부(421)와 볼록부(42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스토퍼(25)가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2)와, 나사부(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범퍼(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10)에서 범퍼부(40)의 나사부(41)와 지지부(42)는 사출성형되고, 범퍼(43)는 사출성형된 나사부(41)와 지지부(42)에 인서트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이는 조립에 대한 불량을 줄일 수 있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킹(50)은 몸체부(20)의 결합면(21)과 차체 패널(100)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물 또는 가스가 차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0)의 결합면(21)에 형성된 끼움홈(211)에 끼워진다.
한편, 패킹(50)은 몸체부(20)의 결합면(21)에 형성되는 끼움홈(211)에 인서트사출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 사출되어 작업자에 의해 끼워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에 의하면, 몸체부의 결합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체 패널에 걸림부의 걸림턱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패널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구성요소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의 걸림턱의 하부에 연장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차체 패널에 장착시 연장지지부가 차체 패널의 관통홀에 밀착되기 때문에 오버슬램범퍼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20 : 몸체부 21 : 결합면
22 : 경사면 23 : 내부공간
24 : 측면 25 : 스토퍼
30 : 걸림부 31 : 걸림턱
32 : 테두리부 40 : 범퍼부
41 : 나사부 42 : 지지부
43 : 범퍼 50 : 패킹

Claims (5)

  1. 차체 패널(100)과 맞닿고,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결합면(21)을 갖고, 상기 결합면(21)의 하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고, 나사홀(221)이 형성된 경사면(22)을 가지며, 상기 결합면(21)과 경사면(22)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23)을 형성하는 측면(24)을 갖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결합면(2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32)를 갖고, 상기 테두리부(32)의 외주면 상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체 패널(10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31)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31)의 하부로 연장되고, 외면이 상기 테두리부(32)의 외주면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차체 패널(100)을 관통하여 걸릴시 흔들림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장지지부(33)를 갖는 걸림부(30)와;
    상부에 상기 몸체부(20)의 경사면에 형성된 나사홀(221)과 체결되도록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범퍼부(40)와;
    상기 몸체부(20)의 결합면(21)의 끼움홈(211)에 끼움 결합되어 몸체(20)의 결합면(21)과 차체 패널(100)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물 또는 가스가 차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나사홀(22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범퍼부(4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40)는 상기 몸체부(20)의 나사홀(22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41)와;
    상기 나사부(41)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오목부(421)와 볼록부(42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25)가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2)와;
    상기 나사부(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격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범퍼(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0264A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KR10247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64A KR102476345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64A KR102476345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793A KR20220055793A (ko) 2022-05-04
KR102476345B1 true KR102476345B1 (ko) 2022-12-09

Family

ID=8158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64A KR102476345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3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96Y1 (ko) * 1999-04-26 2001-07-19 이계안 자동차용 트렁크의 충격흡수구조
KR102117952B1 (ko) * 2018-12-26 2020-06-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171A (ko) * 2008-08-25 2010-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
KR101643889B1 (ko) * 2014-12-30 2016-08-0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996Y1 (ko) * 1999-04-26 2001-07-19 이계안 자동차용 트렁크의 충격흡수구조
KR102117952B1 (ko) * 2018-12-26 2020-06-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793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393B2 (en) Molding element for joining a part to a fixed window pane of a vehicle
US8151521B2 (en) Vehicle door structure
RU2657124C2 (ru) Система направляющей оконно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10025078A1 (en) Anti-chucking latch striker
KR102476345B1 (ko)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US20190017310A1 (en) Bump stop for vehicle hood
FR3053934A1 (fr) Composant pour porte de vehicule incluant un systeme d'orientation
KR200482366Y1 (ko) 도어트림의 파스너 조립 구조
KR102117952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KR102475980B1 (ko) 자동차용 오버슬램 범퍼
KR20220041616A (ko) 자동차용 오버슬램범퍼
KR200424038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패널 조립체
KR102201222B1 (ko) 레일 조립형 스트립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실 조립체
KR102201220B1 (ko) 압입 조립형 스트립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실 조립체
KR102343026B1 (ko)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KR20150058913A (ko) 차량용 훼스너
KR102296601B1 (ko) 차량용 도어 가니쉬 장착구조
KR102295273B1 (ko) 패스너 조립체
KR20010066485A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 스트립의 설치구조
KR20210126235A (ko)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KR100472234B1 (ko) 도어 트림에 일체화 성형된 도어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구조
KR100623761B1 (ko) 자동차의 단품 패널 조립구조
KR102429056B1 (ko) 도어 프레임의 코너 커버
KR20230081147A (ko) 오버 슬램 범퍼 구조
KR100239661B1 (ko) 글래스 및 트림 고정용 클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