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550B1 -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550B1 KR102475550B1 KR1020227022808A KR20227022808A KR102475550B1 KR 102475550 B1 KR102475550 B1 KR 102475550B1 KR 1020227022808 A KR1020227022808 A KR 1020227022808A KR 20227022808 A KR20227022808 A KR 20227022808A KR 102475550 B1 KR102475550 B1 KR 102475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ifold
- coating liquid
- coating
- discharge port
- flow pa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바 코터(3)는, 바(11)와, 제 1 매니폴드(122)를 갖고 바(11)를 지지하는 매니폴드 블록(12)을 구비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 1 토출구(123)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 2 토출구(125)와,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1 토출구(123)를 접속하는 제 1 유로(124)와, 제 1 유로(124)로부터 분기되어서 제 2 토출구(125)에 접속하는 제 2 유로(126)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지 기재의 표면에 도공액을 도포하는 도공기로서, 바 코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도공기에서는,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1]은, 기재에 도공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공 부재로서, 상기 기재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공 부재와, 상기 도공액이 모이는 제 1 매니폴드를 갖고, 상기 도공 부재를 지지하는 매니폴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매니폴드 블록은,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액을 토출하는 제 1 토출구와,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액을 토출하는 제 2 토출구와, 상기 제 1 매니폴드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접속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서 상기 제 2 토출구에 접속하는 제 2 유로를 갖는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에 의해서 도공 부재의 표면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유로 내의 도공액에 기포가 포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매니폴드는, 제 1 유로를 통해서 제 1 토출구로 통함과 아울러, 제 1 유로로부터 분기된 제 2 유로를 통해서 제 2 토출구로도 통한다.
그 때문에, 제 1 토출구로 통하는 매니폴드와, 제 2 토출구로 통하는 매니폴드를, 독립적으로 설치할 경우와 비교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 [2]는, 상기 매니폴드 블록이,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제 1 립과,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제 2 립을 갖고, 상기 제 1 립과 상기 도공 부재의 사이가 상기 제 1 토출구이며, 상기 제 2 립과 상기 도공 부재의 사이가 상기 제 2 토출구이며, 상기 제 2 립이 상기 흐름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립보다 상기 기재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는 상기 [1]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립이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립보다 기재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 1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도공액을 기재에 도포할 수 있는 한편으로, 제 2 토출구 내에 있어서 도공 부재에 접촉한 도공액을, 기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립을 타고 넘게 하여(제 2 토출구로부터 넘치게 해서)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공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한 도공액이 제 1 유로 내에 혼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3]은, 상기 매니폴드 블록이 상기 제 2 립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 2 립으로부터 상기 흐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기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갖는 상기 [2]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립과 접속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제 2 립을 타고 넘은 도공액을, 기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4]는, 상기 제 1 유로가, 상기 도공액이 모이는 제 2 매니폴드로서, 상기 제 1 토출구 및 상기 제 2 유로와 통하는 제 2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제 1 유로에 제 2 매니폴드가 없을 경우, 제 1 유로로부터 제 2 유로로의 도공액의 흐름의 영향에 의해서, 제 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이 축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될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발명 [4]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유로로부터 제 2 유로로의 도공액의 흐름의 영향을, 제 2 매니폴드에 의해서 완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토출구로부터 축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도공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5]는,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토출구의 폭은, 상기 도공액이 상기 제 2 매니폴드 내를 흐르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매니폴드의 폭보다 좁은 상기 [4]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매니폴드 내의 도공액이 제 1 토출구로부터 과도하게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6]은,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토출구의 폭은, 상기 도공액이 상기 제 2 유로 내를 흐르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유로의 폭보다 넓은 상기 [4] 또는 [5]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유로를 통과한 도공액을 제 2 토출구 내에 모을 수 있다.
본 발명 [7]은, 상기 제 2 매니폴드가 상기 제 1 매니폴드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로가 상기 제 1 매니폴드와 상기 제 2 매니폴드 사이에 배치되는 배플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4]∼[6]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플부에 있어서의 압력손실에 의해서 펌프의 맥동이 제 1 토출구 및 제 2 토출구로부터의 도공액의 토출량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8]은, 상기 제 1 매니폴드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공액이 제 1 매니폴드 내에서 장기간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 [9]는, 상기 매니폴드 블록이, 상기 제 1 매니폴드를 갖는 본체 블록과, 상기 본체 블록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지지 블록으로서, 상기 도공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 2 유로를 갖는 지지 블록을 구비하는 상기 [1]∼[8] 중 어느 하나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블록을 교환함으로써 매니폴드 블록을 전부 분해하지 않고, 제 1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과, 제 2 토출구로부터 토출 되는 도공액의 양의 비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 [10]은, 상기 도공 부재가 바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의 도공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 [11]은, 필름의 제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기와,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의 도공기로서 상기 기재에 상기 도공액을 도포하는 도공기와, 상기 도공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기를 구비하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도공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12]는, 상기 필름이 상기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이접착 필름이며, 상기 도공액이 상기 이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접착 조성물이며, 수지 성분과 미립자를 함유하는 상기 [11]의 필름의 제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접착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13]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공정과,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의 도공기로,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서 압출 성형된 상기 기재에 상기 도공액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도포 공정에 의해 상기 도공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도공기로 기재에 도공액을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14]는, 상기 필름이 상기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이접착 필름이며, 상기 도공액이 상기 이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접착 조성물이며, 수지 성분과 미립자를 함유하는 상기 [13]의 필름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이접착 필름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필름의 제조 시스템에 의해서 제조되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서 본 바 코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 코터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 코터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제 2 본체 블록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배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지지 블록의 B-B 단면도이다.
도 2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서 본 바 코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 코터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 코터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제 2 본체 블록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배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지지 블록의 B-B 단면도이다.
1. 필름의 제조 시스템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F)은 기재(S)와 피막(C)을 구비한다. 기재(S)는 기재(S)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면(S1)과 제 2 면(S2)을 갖는다. 피막(C)은 기재(S)의 제 1 면(S1) 상에 배치된다. 피막(C)은 기재(S)의 제 1 면(S1)을 덮는다. 피막(C)은 이접착층이라도 좋다. 피막(C)이 이접착층일 경우, 필름(F)은 이접착 필름이다. 이접착 필름은,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 카 네비게이션 장치, PC용 모니터, 텔레비젼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에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이접착 필름은 편광판의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접착 필름은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편광자와 접합된다. 이접착 필름은 이접착층으로, 편광자와 접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압출 성형기(2)와, 제 1 연신기(4A)와, 도공기의 일례로서의 바 코터(3)와, 연신기의 일례로서의 제 2 연신기(4B)와, 슬릿 가공기(5)와, 널링 가공기(6)와, 권취기(7)를 구비한다.
(1) 압출 성형기
압출 성형기(2)는 기재(S)를 압출 성형한다(압출 성형 공정). 압출 성형기(2)로부터 압출된 기재(S)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기재(S)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세테이트 수지(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 등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이접착 필름을 제조할 경우, 기재(S)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이접착 필름을 제조할 경우, 아크릴 수지는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라도 좋다.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및,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편광도가 높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의 제조에 적합하다.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일본 특허공개 2006-28301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33590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7411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일본 특허공개 2000-2300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1518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2032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5454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4608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기재(S)는 아크릴 수지에 추가해서, 아크릴 수지 이외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해도 좋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아크릴 수지의 복굴절을 부정하여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이접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접착 필름의 기계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기재(S)는 산화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충전제, 가소제, 활제, 필러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2) 제 1 연신기
제 1 연신기(4A)는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얻어진 기재(S)를 가열한 후, 기재(S)의 흐름 방향(MD)으로 연신한다(제 1 연신 공정).
(3) 바 코터
바 코터(3)는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서 압출 성형된 기재(S)의 제 1 면(S1)에 도공액을 도포한다(도포 공정). 또, 기재(S)의 제 1 면(S1)에는 압출 성형 공정의 후, 도포 공정 전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이접착 필름을 제조할 경우, 도공액은 이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접착 조성물이다.
이접착층은 바인더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접착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될 경우, 바인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바인더 수지는 복수 종류를 병용할 수 있다.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실리카), 산화티탄(티타니아),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등의 산화물, 예를 들면, 탄산 칼슘 등의 탄산염, 예를 들면,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등의 규산염, 예를 들면, 탤크, 카올린 등의 규산염 광물, 예를 들면, 인산 칼슘 등의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될 경우,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규소이다. 미립자는 복수 종류를 병용할 수 있다.
도공액(이접착 조성물)은 수지 성분과, 상기한 미립자와, 분산매를 함유한다.
수지 성분은, 후술하는 연신 공정에 의해서, 상기한 바인더 수지의 피막(이접착층)을 형성한다.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 수지일 경우,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계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수계 우레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의 유화물인 비반응형 수계 우레탄 수지,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제로 보호한 우레탄 수지의 유화물인 반응형 수계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가 우레탄 수지일 경우, 도공액은 우레탄 경화 촉매(트리에틸아민 등),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함유해도 좋다.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4) 제 2 연신기
제 2 연신기(4B)는 도공 공정에 의해서 도포된 도공액을 건조한다. 이것에 의해, 도공액이 상기한 피막(C)으로 된다. 또한, 제 2 연신기(4B)는 피막(C)이 형성된 기재(S)를 가열한 후, 기재(S)의 폭 방향(TD)으로 연신한다(제 2 연신 공정). 폭 방향(TD)은 흐름 방향(MD)과 직교한다. 제 2 연신 공정에 의해, 피막(C)이 형성된 기재(S)가 연신되어, 상기한 필름(F)이 얻어진다.
(5) 슬릿 가공기
슬릿 가공기(5)는 연신 공정에 의해서 연신된 필름(F)을, 소정의 폭으로 절단한다(슬릿 공정).
(6) 널링 가공기
널링 가공기(6)는 슬릿 공정에 의해서 소정의 폭으로 절단된 필름(F)의 폭 방향 양단에 널을 형성한다(널링 공정). 널은 레이저에 의해서 형성된다. 널은 가열된 엠보스 롤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좋다.
(7) 권취기
권취기(7)는 널링 공정에 의해서 널이 형성된 필름(F)을 권취한다(권취 공정). 권취 공정이 완료됨으로써 필름(F)의 롤을 얻을 수 있다.
2. 바 코터의 상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 코터(3)는 도공 부재의 일례로서의 바(11)와 매니폴드 블록(12)를 구비한다.
(1) 바
바(11)는 상기한 도공 공정에 있어서 기재(S)에 도공액을 도포한다. 바(1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 방향은 기재(S)의 폭 방향(TD)과 같은 방향이다. 즉, 축 방향은 기재(S)의 흐름 방향(MD)과 직교한다. 바(11)는 바 코터(3)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바(11)는 축 방향 및 흐름 방향(MD)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 코터(3)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바(11)는 원기둥형상을 갖는다.
바(11)는 축 방향에 있어서, 일단부(E1)와 타단부(E2)를 갖는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11)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매니폴드 블록(12)의 길이보다 길다. 일단부(E1)는 축 방향에 있어서 매니폴드 블록(12)보다 일방측에 배치된다. 바(11)의 일단부(E1)는 볼 베어링(B) 등의 베어링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기대에 부착된다. 일단부(E1)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접속된다. 타단부(E2)는 축 방향에 있어서 매니폴드 블록(12)보다 타방측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타단부(E2)는 축 방향에 있어서 매니폴드 블록(12)에 대하여 일단부(E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타단부(E2)는 볼 베어링(B) 등의 베어링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기대에 부착된다. 바(11)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순회전(도 4 화살표 참조)한다.
바(11)로서는, 예를 들면, 샤프트에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 바, 예를 들면 샤프트에 오목홈이 형성된 와이어리스 바 등을 들 수 있다. 와이어 바는 축 방향에 있어서 와이어 사이에 홈이 형성된다.
바(11)에는, 예를 들면, 크롬 도금, 다이아몬드형 카본 코팅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도공액이 상기한 미립자를 함유할 경우, 바(11)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다이아몬드형 카본 코팅되어 있다.
(2) 매니폴드 블록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블록(12)은 축 방향에 있어서 바(11)의 일단부(E1)와 타단부(E2) 사이에 배치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도시하지 않은 기대 상에 얹혀 있다. 매니폴드 블록(12)은 축 방향 및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매니폴드 블록(12)은 바(11)를 지지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블록(12)은, 공급 포트(121)와,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1 토출구(123)와, 제 1 유로(124)와, 제 2 토출구(125)와, 제 2 유로(126)를 갖는다.
(2-1) 공급 포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포트(121)는 축 방향에 있어서 매니폴드 블록(12)의 중앙에 배치된다. 공급 포트(121)는 배관을 통해서 펌프와 접속된다. 배관 및 펌프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공급 포트(121)에는 펌프에 의해서 도공액이 공급된다. 공급 포트(121)는 제 1 매니폴드(122)(도 4 참조)로 통한다.
(2-2) 제 1 매니폴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매니폴드(122)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11)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제 1 매니폴드(122)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매니폴드 블록(12)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 1 매니폴드(122)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매니폴드(122)는 공급 포트(121)와 통한다. 공급 포트(121)에 공급된 도공액은 제 1 매니폴드(122)에 모인다.
제 1 매니폴드(122)는 단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제 1 매니폴드(122)는 내면(122A)과 내면(122B)을 갖는다. 내면(122A)은 평면이다. 내면(122A)은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면(122B)은 내면(122A)에 대하여 공급 포트(12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내면(122B)은 곡면이다. 즉, 제 1 매니폴드(12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이다. 내면(122B)이 곡면임으로써 도공액이 제 1 매니폴드(122) 내에 장기간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3) 제 1 토출구
제 1 토출구(123)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매니폴드 블록(12)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제 1 토출구(123)는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 1 토출구(123)는 도공액을 토출한다.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된 도공액은, 바(11)의 회전에 의해 기재(S)에 도포된다. 또,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된 도공액 중, 기재(S)에 도포되지 않은 도공액(L1)은, 매니폴드 블록(12)의 표면을 흘러서 도시하지 않은 도공액 탱크에 회수된다. 제 1 토출구(123)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2-4) 제 1 유로
제 1 유로(124)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1 토출구(123)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유로(124)는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1 토출구(123)를 접속한다. 제 1 매니폴드(122) 내의 도공액은 제 1 유로(124)를 통과하여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로(124)는 제 2 매니폴드(124A)와 배플부(124B)를 갖는다.
제 2 매니폴드(124A)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1 토출구(123)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매니폴드(124A)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매니폴드(122)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제 2 매니폴드(124A)는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 2 매니폴드(124A)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매니폴드(124A)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토출구(123)의 길이와 거의 같다. 제 1 매니폴드(122) 내의 도공액은 배플부(124B)를 통과하여 제 2 매니폴드(124A)에 유입된다. 제 2 매니폴드(124A)에 유입된 도공액은 제 2 매니폴드(124A)에 모인다. 제 2 매니폴드(124A)는 제 1 토출구(123)와 통한다. 제 2 매니폴드(124A) 내의 도공액은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토출구(123)의 폭(W1)은, 도공액이 제 2 매니폴드(124A) 내를 흐르는 방향과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매니폴드(124A)의 폭(W2)보다 좁다. 그 때문에, 제 2 매니폴드(124A) 내의 도공액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과도하게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부(124B)는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2 매니폴드(124A) 사이에 배치된다. 배플부(124B)는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플부(124B) 내에는, 후술하는 배플 플레이트(13C)(도 7 참조)가 배치된다. 배플부(124B)에 있어서의 압력손실에 의해서, 펌프의 맥동이 제 1 토출구(123) 및 제 2 토출구(125)로부터의 도공액의 토출량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2-5) 제 2 토출구
제 2 토출구(125)눈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매니폴드 블록(12)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제 2 토출구(125)는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 2 토출구(125)는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에 대하여 제 1 토출구(12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바(11)는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제 1 토출구(123)와 제 2 토출구(125)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토출구(125) 내에는 도공액이 모인다. 제 2 토출구(125) 내의 도공액은 바(11)와 접촉한다.
여기에서, 바(11)가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된 도공액을 기재(S)에 도포하면, 바(11)의 홈 내의 도공액이 소실된다. 이 때, 도공액 대신에, 공기가 바(11)의 홈에 들어간다. 공기가 바(11)의 홈에 들어간 상태에서 바(11)가 회전하면, 그 공기가 제 1 유로(124) 내의 도공액(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매니폴드(124A) 내의 도공액)에 섞여 도공액 중에서 기포로 된다. 그러면,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어, 기재(S)에 도포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이 점, 제 2 토출구(125) 내의 도공액이 바(11)와 접촉하면, 공기 대신에, 제 2 토출구(125) 내의 도공액이 바(11)의 홈에 들어간다. 그 때문에, 바(11)의 홈에 들어간 공기를 제거할 수 있어, 제 1 유로(124) 내의 도공액에 기포가 포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S)에 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11)와 접촉한 제 2 토출구(125) 내의 도공액은 제 2 토출구(125)로부터 넘친다. 바꿔 말하면, 제 2 토출구(125)는 도공액을 토출한다.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된 도공액(L2)은,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S)에 도포되지 않고 매니폴드 블록(12)의 표면(후술하는 경사면(142), 도 5 참조)을 흘러서, 도시하지 않은 도공액 탱크에 회수된다. 제 2 토출구(125)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2-6) 제 2 유로
제 2 유로(126)는 제 1 유로(124)로부터 분기되어서 제 2 토출구(125)에 접속한다. 즉, 제 1 매니폴드(122)는 제 1 유로(124)를 통해서 제 1 토출구(123)로 통함과 아울러, 제 1 유로(124)로부터 분기된 제 2 유로(126)를 통해서 제 2 토출구(125)로도 통한다. 그 때문에, 제 1 토출구(123)로 통하는 매니폴드와, 제 2 토출구(125)로 통하는 매니폴드를, 독립적으로 설치할 경우와 비교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유로(126)는 제 1 유로(124) 중, 제 2 매니폴드(124A)와 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과,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의 비율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매니폴드(124A) 내의 도공액은, 제 2 유로(126)를 통과하여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토출구(125)의 폭(W3)은, 도공액이 제 2 유로(126) 내를 흐르는 방향과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유로(126)의 폭(W4)보다 넓다. 그 때문에, 제 2 유로(126)를 통과한 도공액을 제 2 토출구(125) 내에 모을 수 있다.
(3) 매니폴드 블록의 부품 구성
다음에, 매니폴드 블록(12)의 부품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블록(12)은 본체 블록(13)과 지지 블록(14)을 구비한다.
(3-1) 본체 블록
본체 블록(13)은 상기한 제 1 매니폴드(122)와 상기한 배플부(124B)를 갖는다. 본체 블록(13)은, 제 1 본체 블록(13A)와, 제 2 본체 블록(13B)과, 배플 플레이트(13C)를 구비한다.
(3-1-1) 제 1 본체 블록
제 1 본체 블록(13A)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 1 본체 블록(13A)은 직교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본체 블록(13A)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외면(S11)과 내면(S12)을 갖는다. 내면(S12)은 제 2 본체 블록(13B)과 접촉한다. 내면(S12)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외면(S11)과 제 2 본체 블록(13B) 사이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본체 블록(13A)은 제 1 립(131)과 오목부(132)를 갖는다.
제 1 립(131)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본체 블록(13A)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제 1 립(131)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 1 립(131)은 바(11)와 간격을 두고 마주본다. 제 1 립(131)과 바(11)의 사이가, 상기한 제 1 토출구(123)이다.
오목부(132)는 제 1 본체 블록(13A)의 내면(122A2)에 배치된다. 오목부(132)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립(131)의 타방측에 배치된다. 오목부(132)는 지지 블록(14)과 마주본다. 오목부(132)와 지지 블록(14)의 사이가, 제 2 매니폴드(124A)이다.
(3-1-2) 제 2 본체 블록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본체 블록(13B)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제 1 본체 블록(13A)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 2 본체 블록(13B)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11)의 타방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2 본체 블록(13B)은 직교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본체 블록(13B)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외면(S21)과 내면(S22)을 갖는다. 내면(S22)은 제 1 본체 블록(13A)과 접촉한다. 내면(S22)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외면(S21)과 제 1 본체 블록(13A)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본체 블록(13B)은 오목부(133)를 갖는다.
오목부(133)는 제 2 본체 블록(13B)의 내면(S22)에 배치된다. 오목부(133)는 단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반원형상이다. 오목부(133)가 대략 반원형상임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매니폴드(122)의 내면(122B)을 곡면으로 할 수 있어, 도공액이 제 1 매니폴드(122) 내에서 장기간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3)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33)의 양단부의 각각은 원호형상을 갖는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33)의 양단부의 각각은, 원호형상임으로써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매니폴드(122)의 양단부의 각각에 도공액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오목부(133)는 각을 갖지 않는다. 오목부(133)는 제 1 본체 블록(13A)의 내면(S12)과 마주본다. 오목부(133)와 제 1 본체 블록(13A)의 내면(S12) 사이가 제 1 매니폴드(122)이다.
(3-1-3) 배플 플레이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3C)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매니폴드(122)와 제 2 매니폴드(124A) 사이에 배치된다. 배플 플레이트(13C)는 제 1 본체 블록(13A)과 제 2 본체 블록(13B)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3C)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플 플레이트(13C)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일단부(E11)와 타단부(E12)를 갖는다. 타단부(E12)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일단부(E11)와 제 1 매니폴드(122) 사이에 배치된다. 배플 플레이트(13C)는 노치(135)를 갖는다.
노치(135)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배플 플레이트(13C)의 타단부(E12)에 배치된다. 노치(135)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노치(135)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매니폴드(122)의 길이와 거의 같다.
(3-2) 지지 블록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블록(14)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11)와 제 2 본체 블록(13B)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 블록(14)은 제 1 지지 블록(14A)과 제 2 지지 블록(14B)을 갖는다.
(3-2-1) 제 1 지지 블록
제 1 지지 블록(14A)은 제 2 지지 블록(14B)을 지지한다. 제 1 지지 블록(14A)은 제 2 본체 블록(13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지 블록(14)은 본체 블록(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지지 블록(14)을 교환함으로써 매니폴드 블록(12)을 전부 분해하지 않고,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과,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의 비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블록(14)이 본체 블록(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에 의해, 최소한의 구성(지지 블록(14)만)의 교환으로,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과,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제 1 지지 블록(14A)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블록(14A)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외면(S31)과 내면(S32)을 갖는다. 내면(S32)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외면(S31)과 제 1 본체 블록(13A)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지지 블록(14A)은 단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을 갖는다. 제 1 지지 블록(14A)은 제 2 립(141)과, 경사면(142)과, 오목부(143)를 갖는다.
제 2 립(141)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지지 블록(14A)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제 2 립(141)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바(11)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 2 립(141)은 바(11)와 간격을 두고 마주본다. 제 2 립(141)과 바(11)의 사이가 상기한 제 2 토출구(125)이다. 제 2 립(141)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립(131)보다 타방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립(141)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립(131)보다 기재(S)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된 도공액(L1)(도 4 참조)을 기재(S)에 도포할 수 있는 한편으로, 제 2 토출구(125) 내에 있어서 바(11)에 접촉한 도공액(L2)(도 4 참조)을, 기재(S)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립(141)을 타고 넘게 해서(제 2 토출구(125)로부터 넘치게 해서) 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바(11)의 표면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한 도공액(L2)이 제 1 유로(124)의 제 2 매니폴드(124A) 내에 혼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S)에 도포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경사면(142)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지지 블록(14A)의 일단면이다. 경사면(142)은 제 2 립(141)과 접속한다. 경사면(142)은 제 2 립(141)으로부터 흐름 방향(MD)의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기재(S)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된 도공액(L2)(도 4 참조)은 경사면(142) 상을 기재(S)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제 2 립(141)을 타고 넘은(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된) 도공액(L2)을, 경사면(142)을 따라서 기재(S)에 접촉하지 않도록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이 기재(S)에 도포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오목부(143)는 제 1 지지 블록(14A)의 내면(S32)에 배치된다. 오목부(143)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2 립(141)의 타방측에 배치된다. 오목부(143)는 제 1 본체 블록(13A)의 오목부(132)와 마주본다.
(3-2-2) 제 2 지지 블록
제 2 지지 블록(14B)은 제 1 지지 블록(14A)의 오목부(143) 내에 배치된다. 제 2 지지 블록(14B)은 제 1 지지 블록(14A)에 지지된다. 제 2 지지 블록(14B)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바(11)의 타방측에 배치된다. 제 2 지지 블록(14B)은 바(11)와 접촉한다. 바꿔 말하면, 바(11)는 제 2 지지 블록(14B)에 얹혀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블록(14)은 바(11)를 지지한다. 바꿔 말하면, 매니폴드 블록(12)은 바(11)를 지지한다. 또, 바(11)는 매니폴드 블록(12)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제 2 지지 블록(14B)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지지 블록(14B)은,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144)와 복수의 돌기(145)(도 5 참조)를 구비한다.
복수의 돌기(144)의 각각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지지 블록(14B)의 타단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144)의 각각은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돌기(144)의 각각은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제 1 지지 블록(14A)의 오목부(143)의 내면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지지 블록(14B)의 타단면과, 오목부(143)의 내면 사이에, 제 2 유로(126)의 일부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144)는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돌기(144)의 각각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144)의 각각의 사이도 제 2 유로(126)의 일부이다.
또한, 복수의 돌기(145)의 각각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제 2 지지 블록(14B)의 하류측의 끝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145)의 각각은 흐름 방향(MD)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돌기(145)의 각각은 흐름 방향(MD)에 있어서 제 1 지지 블록(14A)의 오목부(143)의 내면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제 2 지지 블록(14B)의 타단면과 오목부(143)의 내면 사이에, 제 2 유로(126)의 일부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145)는 복수의 돌기(144)와 마찬가지로,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돌기(145)의 각각도 복수의 돌기(144)의 각각과 마찬가지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145)의 각각의 사이도, 제 2 유로(126)의 일부이다. 즉, 지지 블록(14)은 제 2 유로(126)를 갖는다. 제 2 지지 블록(14B)은 제 1 지지 블록(14A)에 착탈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 2 유로(126)의 도중에 복수의 돌기(144) 및 복수의 돌기(145)가 배치됨으로써, 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돌기(144) 및 복수의 돌기(145)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과, 복수의 돌기(144) 및 복수의 돌기(145)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압력손실에 차가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기(144) 및 복수의 돌기(145)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압력손실은, 복수의 돌기(144) 및 복수의 돌기(145)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압력손실보다 크다.
그 때문에, 제 1 유로(124)로부터 제 2 유로(126)로 흐르는 도공액의 양은, 축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된다.
제 1 유로(124)에 제 2 매니폴드(124A)가 없을 경우, 제 1 유로(124)로부터 제 2 유로(126)로 흐르는 도공액의 양의 「불균일함」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에 영향을 주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이 축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해질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로(124)로부터 제 2 유로(126)로 흐르는 도공액의 양의 「불균일함」의 영향을, 제 2 매니폴드(124A)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토출구(123)로부터 축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도공액을 토출 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매니폴드(124A)의 완충작용에 의해, 제 1 토출구(123)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과, 제 2 토출구(125)로부터 토출되는 도공액의 양의 비율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변형예
(1) 바 코터(3)는 제 2 매니폴드(124A)를 갖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바 코터(3)는 제 2 매니폴드(124A) 대신에 제 1 토출구(123)로 통하는 유로를 갖는다. 도공액이 유로 내를 흐르는 방향과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유로의 폭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토출구(123)의 폭(W1)과 같아도 좋다.
(2) 바 코터(3)는 지지 블록(14)을 갖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 2 본체 블록(13B)이 제 2 립(141) 및 제 2 유로(126)를 가져도 좋다.
(3) 복수의 돌기(144) 및 복수의 돌기(145) 중 적어도 일방은, 제 1 지지 블록(14A)에 형성되어도 좋다.
(4) 바 코터(3)의 용도는 압출 성형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재(S)의 롤로부터 기재(S)를 풀어내고, 풀어내어진 기재(S)에 바 코터(3)로 도공액을 도포해도 좋다.
(5) 도공기는 바 코터(3)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공기로서는 그라비아 코터, 키스 코터를 들 수 있다.
(6)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제 1 연신기(4A)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기재(S)는 도공 공정의 후에, 제 2 연신기(4B)에 의해서 흐름 방향(MD) 및 폭 방향(TD)으로 연신(2축 동시 연신)되어도 좋다.
(7) 필름(F)의 제조 시스템(1)은, 널링 가공기(6) 대신에 마스킹 필름을 풀어내는 마스킹 필름 조출기와, 풀어내어진 마스킹 필름을 필름(F)에 접합하는 접합기를 구비해도 좋다.
또,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서 명확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기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접착 필름 등의 필름의 제조에 이용된다.
1 : 제조 시스템
2 : 압출 성형기
3 : 바 코터
4A : 제 1 연신기
4B : 제 2 연신기
11 : 바
12 : 매니폴드 블록
13 : 본체 블록
14 : 지지 블록
122 : 제 1 매니폴드
122A : 내면
123 : 제 1 토출구
124 : 제 1 유로
124A : 제 2 매니폴드
124B : 배플부
125 : 제 2 토출구
126 : 제 2 유로
F : 필름
S : 기재
W1 : 폭
W2 : 폭
W3 : 폭
W4 : 폭
2 : 압출 성형기
3 : 바 코터
4A : 제 1 연신기
4B : 제 2 연신기
11 : 바
12 : 매니폴드 블록
13 : 본체 블록
14 : 지지 블록
122 : 제 1 매니폴드
122A : 내면
123 : 제 1 토출구
124 : 제 1 유로
124A : 제 2 매니폴드
124B : 배플부
125 : 제 2 토출구
126 : 제 2 유로
F : 필름
S : 기재
W1 : 폭
W2 : 폭
W3 : 폭
W4 : 폭
Claims (14)
- 기재에 도공액을 도포하기 위한 도공 부재로서, 상기 기재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공 부재와,
상기 도공액이 모이는 제 1 매니폴드를 갖고, 상기 도공 부재를 지지하는 매니폴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매니폴드 블록은,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액을 토출하는 제 1 토출구와,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액을 토출하는 제 2 토출구와,
상기 제 1 매니폴드와 상기 제 1 토출구를 접속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서 상기 제 2 토출구에 접속하는 제 2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블록은,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제 1 립과,
상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공 부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제 2 립을 갖고,
상기 제 1 립과 상기 도공 부재의 사이가 상기 제 1 토출구이며,
상기 제 2 립과 상기 도공 부재의 사이가 상기 제 2 토출구이며,
상기 제 2 립은, 상기 흐름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립보다 상기 기재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블록은, 상기 제 2 립과 접속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 2 립으로부터 상기 흐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기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도공액이 모이는 제 2 매니폴드로서, 상기 제 1 토출구 및 상기 제 2 유로와 통하는 제 2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토출구의 폭은, 상기 도공액이 상기 제 2 매니폴드 내를 흐르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매니폴드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토출구의 폭은, 상기 도공액이 상기 제 2 유로 내를 흐르는 방향과 상기 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유로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매니폴드는 상기 제 1 매니폴드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1 매니폴드와 상기 제 2 매니폴드 사이에 배치되는 배플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니폴드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블록은,
상기 제 1 매니폴드를 갖는 본체 블록과,
상기 본체 블록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지지 블록으로서, 상기 도공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 2 유로를 갖는 지지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 부재는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기. - 필름의 제조 시스템으로서,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기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공기로서, 상기 기재에 도공액을 도포하는 도공기와,
상기 도공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기재와 상기 기재의 위에 배치되는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이접착 필름이며,
상기 도공액은, 상기 이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접착 조성물이며, 수지 성분과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시스템. -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 공정과,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공기로, 상기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서 압출 성형된 상기 기재에 상기 도공액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도포 공정에 의해서 상기 도공액이 도포된 상기 기재를 연신하는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기재와 상기 기재의 위에 배치되는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이접착 필름이며,
상기 도공액은, 상기 이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접착 조성물이며, 수지 성분과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03913A JP7084433B2 (ja) | 2020-01-14 | 2020-01-14 | 塗工機、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JP-P-2020-003913 | 2020-01-14 | ||
PCT/JP2020/048879 WO2021145202A1 (ja) | 2020-01-14 | 2020-12-25 | 塗工機、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0103A KR20220100103A (ko) | 2022-07-14 |
KR102475550B1 true KR102475550B1 (ko) | 2022-12-08 |
Family
ID=7686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2808A KR102475550B1 (ko) | 2020-01-14 | 2020-12-25 |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084433B2 (ko) |
KR (1) | KR102475550B1 (ko) |
CN (1) | CN114901401A (ko) |
TW (1) | TWI782383B (ko) |
WO (1) | WO20211452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49985B2 (ja) * | 2020-11-20 | 2023-03-31 | 日東電工株式会社 | フィルムの製造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74218B2 (ja) * | 1993-03-17 | 2002-04-15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塗布方法及び装置 |
JP2003033702A (ja) | 2001-07-26 | 2003-02-04 | Fuji Photo Film Co Ltd | 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 |
JP2009112971A (ja) * | 2007-11-08 | 2009-05-28 | Nitto Denko Corp | 塗布装置及び積層シート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467A (ja) * | 1985-07-04 | 1987-01-14 | Fuji Photo Film Co Ltd | 塗布方法及び装置 |
JP4360672B2 (ja) * | 2003-07-14 | 2009-11-11 | 株式会社巴川製紙所 | グラビア塗布装置 |
JP2013071099A (ja) * | 2011-09-29 | 2013-04-22 | Toray Ind Inc | 塗液塗布方法、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塗液塗布装置 |
WO2015001925A1 (ja) * | 2013-07-04 | 2015-01-08 | スリーボンド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 塗布装置及び塗布装置の制御方法 |
CN106132562B (zh) * | 2014-03-28 | 2018-11-13 | 东丽株式会社 | 涂布装置、涂布方法及带涂膜的树脂膜的制造方法 |
JP6309407B2 (ja) * | 2014-09-17 | 2018-04-11 | 東レ株式会社 | 塗布器、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
JP6269715B2 (ja) | 2016-04-08 | 2018-01-31 | 株式会社デンソー | 監視装置 |
JP6383517B1 (ja) * | 2017-12-26 | 2018-08-29 | 株式会社小林製作所 | 両面塗布方法及び装置 |
JP6397598B1 (ja) * | 2018-04-25 | 2018-09-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塗工装置及び塗工膜の製造方法 |
-
2020
- 2020-01-14 JP JP2020003913A patent/JP7084433B2/ja active Active
- 2020-12-25 WO PCT/JP2020/048879 patent/WO202114520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2-25 KR KR1020227022808A patent/KR1024755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2-25 CN CN202080091168.1A patent/CN114901401A/zh active Pending
-
2021
- 2021-01-04 TW TW110100098A patent/TWI782383B/zh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74218B2 (ja) * | 1993-03-17 | 2002-04-15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塗布方法及び装置 |
JP2003033702A (ja) | 2001-07-26 | 2003-02-04 | Fuji Photo Film Co Ltd | 塗布方法及び塗布装置 |
JP2009112971A (ja) * | 2007-11-08 | 2009-05-28 | Nitto Denko Corp | 塗布装置及び積層シー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45202A1 (ja) | 2021-07-22 |
KR20220100103A (ko) | 2022-07-14 |
CN114901401A (zh) | 2022-08-12 |
JP7084433B2 (ja) | 2022-06-14 |
JP2021109161A (ja) | 2021-08-02 |
TW202138069A (zh) | 2021-10-16 |
TWI782383B (zh) | 2022-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5550B1 (ko) | 도공기,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 |
KR102672029B1 (ko) | 도포 장치,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의 제조 방법 | |
JP4600066B2 (ja) | 積層フィル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 |
WO2021256006A1 (ja) | 押出成形装置、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CN101213064A (zh) | 平模及层叠树脂膜或片材的制造方法 | |
JP5253038B2 (ja) | シート・フィルムのロール成形装置およびロール成形方法 | |
KR102709059B1 (ko) | 필름의 제조 방법, 필름의 제조 시스템, 및 슬릿 가공 장치 | |
JP2009291737A (ja) | ダイ塗布方法 | |
JP7249985B2 (ja) | 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JP7407694B2 (ja) | 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JP2021080098A (ja) | リール部材、接着フィルム巻装体 | |
JP2009254958A (ja) | 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KR102658145B1 (ko) | 터치 롤러, 권취기,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 롤의 제조 방법 | |
KR20220106822A (ko) | 권취 장치,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 롤의 제조 방법 | |
KR20220076315A (ko) | 필름의 제조 시스템 | |
JP5671404B2 (ja) |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 |
JP2021191606A (ja) | フィルムの製造方法、フィルム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スリット加工装置 | |
KR20220093279A (ko) |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필름 롤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