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30B1 -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 Google Patents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30B1
KR102474430B1 KR1020210029868A KR20210029868A KR102474430B1 KR 102474430 B1 KR102474430 B1 KR 102474430B1 KR 1020210029868 A KR1020210029868 A KR 1020210029868A KR 20210029868 A KR20210029868 A KR 20210029868A KR 102474430 B1 KR102474430 B1 KR 10247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ooden
hat
wish
wooden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942A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21002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8Devices related to praying, e.g. counters, reminders, study aids, compasses, rugs, cushions, or the like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교 행사나 기원을 올릴 때 머리에 쓰고 보행을 하거나 신체를 움직이게 되면 목탁소리가 나면서 기원을 올릴 때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교 행사나 기원을 올릴 때 머리에 쓰고 보행을 하거나 신체를 움직이게 되면 목탁부재의 타격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바디를 타격함으로써 목탁소리가 나 기원을 올릴 때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 향상과 더불어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Wish Achievement Hat with a vocal sound}
본 발명은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교 행사나 기원을 올릴 때 머리에 쓰고 보행을 하거나 신체를 움직이게 되면 목탁소리가 나면서 기원을 올릴 때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찰이나 불교 신자들은 소원성취, 시험합격, 무병장수 등의 소망을 축원할 때 염불을 외우면서 절을 하거나 탑돌이 등의 행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신자들은 소원성취 기원을 올릴 때 집중력을 더 높이기 위해 다양한 퍼포먼스를 하기도 하는데, 예컨대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9149호(2011.09.27. 공개)의 연등 모자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연등 형상으로 모자를 제조하여 불교 행사나 기원을 올릴 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으나, 모자의 형태가 연등 형상을 가지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불교 행사나 기원을 올릴 때 머리에 쓰고 보행을 하거나 신체를 움직이게 되면 목탁소리가 나면서 기원을 올릴 때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개방된 착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용공간 상측으로는 견고한 소재의 지지판으로 형성되어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신체가 움직일 때 목탁 소리를 발생하여 축원 기도시 집중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목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목탁부재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울림소리를 낼 수 있도록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면서 일면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어 움직임이 발생될 때 탄성력으로 바디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재; 및 상기 바디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목탁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절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개폐식 덮개가 구비되어 있어 목탁 소리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목탁부재에서 발생되는 목탁 소리를 감지하여 횟수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불교 행사나 기원을 올릴 때 머리에 쓰고 보행을 하거나 신체를 움직이게 되면 목탁부재의 타격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바디를 타격함으로써 목탁소리가 나 기원을 올릴 때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 향상과 더불어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탁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의 착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탁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는 크게 몸체(100) 및 목탁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개방된 착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착용공간(110) 상측으로는 견고한 소재의 지지판(122)으로 형성되어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 독립된 설치공간(120)이 구비된다. 몸체(100)는 종류에 따라 챙이 구비될 수도 있음 당연하며,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만족하며 몸체(100)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지판(122)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목탁소리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작은 통공들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는 개폐식 덮개(13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목탁부재(200)에서 발생되는 목탁 소리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일면에는 목탁부재(200)에서 발생되는 목탁 소리를 감지하여 횟수를 표시하는 모니터(140)가 더 구비되는데,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142)를 포함하며,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빛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목탁을 타격하는 횟수를 감지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상기 목탁부재(200)는 상기 몸체(100)의 설치공간(120) 내에 설치되어 신체가 움직일 때 목탁 소리를 발생하여 축원 기도시 집중력을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목탁부재(200)는 도 2 및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디(210), 타격부재(220) 및 조절커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210)는 측면에서 볼 때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감이 좋도록 하며, 상기 설치공간(120) 내에 고정 설치되고, 울림소리 즉, 목탁소리를 낼 수 있도록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면서 일면에는 절개부(212)가 형성된다. 이 형상은 일종의 목탁 형상으로 인지하면 된다.
상기 타격부재(220)는 상기 바디(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움직이 발생될 때 탄성력으로 바디(210)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210)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222), 상기 브라켓(22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너트(225)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는 관통공(224a)이 형성되는 이동레버(224), 상기 이동레버(224)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210)의 중앙으로 설치되는 탄성력 있는 소재의 스프링(226), 상기 스프링(226) 끝에 설치되는 타격볼(228) 및 상기 이동레버(224)의 관통공(224a)을 통해 상기 스프링(226)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버(2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3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22)에 형성된 이동공(223)을 따라 상기 이동레버(224)는 상하 이동되며, 상하조절너트(225)로 인해 고정되는 타입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절레버(229)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프링(226) 내부로 삽입시키는 정도에 따라 스프링(22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 탄성력 조절은 곧 목탁소리의 크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역시 상기 이동레버(224)의 상하 조절도 같은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커버(230)는 상기 바디(210)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2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목탁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226)의 탄성력 제어를 통해 목탁소리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절개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소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의 착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몸체(100)는 일반적인 모자를 착용하듯이 머리에 쓰게 되면 착용이 완료되며, 몸체(100)를 착용하고 탑돌이 같이 보행을 하면서 염불이나 축원을 올리게 되면 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신체의 움직에 의해 목탁부재(200) 즉, 목탁부재(200)의 타격부재(220)가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바디(210)를 타격하여 목탁소리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신도의 경우 목탁소리를 들으면서 축원기도를 할 수 있게 되어 집중력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흥미도 배가될 것이다. 또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 과정에서 목탁소리가 너무 커서 불편할 경우 몸체 상부에 마련된 덮개(130)를 열게 되면 목탁소리는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런 경우 주변의 다른 신도도 목탁소리를 들을 수 있어 보다 유용할 것이다. 그런 가운데 타격부재(220)의 진동을 감지하여 모니터(140)에서는 목탁 횟수가 카운트되기 때문에 신도는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타격부재(220)의 스프링(226)(여기서는 미도시)의 탄성력 조절을 통해 목탁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 할 수 있어 편리함이 배가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몸체 110 : 착용공간
120 : 설치공간 122 : 지지판
130 : 덮개 140 : 모니터
142 : 진동센서 200 : 목탁부재
210 : 바디 212 : 절개부
220 : 타격부재 222 : 브라켓
223 : 이동공 224 : 이동레버
225 : 상하조절너트 226 : 스프링
228 : 타격볼 229 : 조절레버
230 : 조절커버

Claims (4)

  1.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개방된 착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용공간 상측으로는 견고한 소재의 지지판으로 형성되어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신체가 움직일 때 목탁 소리를 발생하여 축원 기도시 집중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목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목탁부재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울림소리를 낼 수 있도록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면서 일면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어 움직임이 발생될 때 탄성력으로 바디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재; 및
    상기 바디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목탁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절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개폐식 덮개가 구비되어 있어 목탁 소리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목탁부재에서 발생되는 목탁 소리를 감지하여 횟수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4. 삭제
KR1020210029868A 2021-03-08 2021-03-08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KR10247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68A KR102474430B1 (ko) 2021-03-08 2021-03-08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68A KR102474430B1 (ko) 2021-03-08 2021-03-08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42A KR20220125942A (ko) 2022-09-15
KR102474430B1 true KR102474430B1 (ko) 2022-12-05

Family

ID=8328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68A KR102474430B1 (ko) 2021-03-08 2021-03-08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90Y1 (ko) 2002-11-11 2003-02-15 주도씨엔피 주식회사 만보기가 부착된 모자
KR200387707Y1 (ko) 2005-03-30 2005-06-21 주식회사 비씨월드코리아 멜로디가 발생되는 고깔모자.
CN201076044Y (zh) 2007-09-07 2008-06-25 郑丽红 啦啦帽
KR101380044B1 (ko) 2013-05-02 2014-04-01 김명상 통풍구가 형성된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037Y1 (ko) * 2007-09-21 2009-06-25 조경근 음원판이 형성된 모자
JP3194139U (ja) * 2014-08-27 2014-11-06 敏雄 山口 枠体一体型リン具
KR102005047B1 (ko) * 2017-11-13 2019-07-30 김덕주 소리 조절이 가능한 목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90Y1 (ko) 2002-11-11 2003-02-15 주도씨엔피 주식회사 만보기가 부착된 모자
KR200387707Y1 (ko) 2005-03-30 2005-06-21 주식회사 비씨월드코리아 멜로디가 발생되는 고깔모자.
CN201076044Y (zh) 2007-09-07 2008-06-25 郑丽红 啦啦帽
KR101380044B1 (ko) 2013-05-02 2014-04-01 김명상 통풍구가 형성된 모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413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42A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89333A (en) Toy
KR102218783B1 (ko) 현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크로마하프
KR102220418B1 (ko) 오토하프
KR102474430B1 (ko)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US6555736B1 (en) Rhythm shaker
JP5294106B2 (ja) りん
JP6146602B2 (ja) 転動体ベル
CA2418840A1 (en) Blow molded basketball backboard frame
CN205334940U (zh) 一种带响线练习板
JP2015014620A (ja) 転動体ベル
JP3177829U (ja) りん棒内蔵型おりん
JP2014077895A (ja) 転動体ベル
JP6217833B2 (ja) 転動体ベル
KR200239351Y1 (ko) 북 고정대
JP3008150U (ja) 発音器を付設したメガホン
JP5970635B2 (ja) 打楽器用固定具
JP5651821B2 (ja) りん
ES2684790T3 (es) Batería acústica, así como un conjunto instrumental musical que consta de tal batería acústica
US1877160A (en) Toy telephone
JP3235363U (ja) 仏鈴
JP3233952U (ja) ラケット用チップ型ダンパー。
KR101973910B1 (ko) 다듬이 타악기
JP2017124091A (ja) ゆらぎりん
WO2013094296A1 (ja) 転動体ベル
JP2017211600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