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843B1 - 접착 시트, 및 봉지체 - Google Patents

접착 시트, 및 봉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843B1
KR102469843B1 KR1020197026345A KR20197026345A KR102469843B1 KR 102469843 B1 KR102469843 B1 KR 102469843B1 KR 1020197026345 A KR1020197026345 A KR 1020197026345A KR 20197026345 A KR20197026345 A KR 20197026345A KR 102469843 B1 KR102469843 B1 KR 10246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shear
adhesiv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450A (ko
Inventor
다츠키 하세가와
겐타 니시지마
미키히로 가시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의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5 ∼ 50 질량% 이며, 특정 전단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지성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 및, 봉지물이 상기 접착 시트로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봉지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착 시트, 및 봉지체
본 발명은, 봉지성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 및, 봉지물이 상기 접착 시트로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봉지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EL 소자는, 저전압 직류 구동에 의한 고휘도 발광이 가능한 발광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발광 휘도, 발광 효율, 발광 균일성 등의 발광 특성이 저하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광 특성 저하의 문제의 원인으로서, 산소나 수분 등이 유기 EL 소자의 내부에 침입하여, 전극이나 유기층을 열화시키는 것이 생각되어 왔다. 이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를 봉지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 (LCD) 나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는, 광학 부재를 첩합 (貼合) 할 목적으로 점착 시트가 사용되지만, 최근, 광학 부재의 기계적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특허문헌 1 에는, 특정 점착 특성 등을 갖는, 고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그 점착 시트가 수증기 투과도가 낮은 점착 시트이고, 습열 경과 시에 있어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또한 습열 경과 시의 황변이 억제된 것인 점이나, 이들 특성을 발현하기 쉬운 점에서, 점착 시트는, 고무계 수지에 더하여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53157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고습 조건하에 놓인 후에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어, 봉지재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봉지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습 조건하에 놓인 후여도, 그 성능이 유지되는 봉지재 형성 재료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봉지성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 및, 봉지물이 상기 접착 시트로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봉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착제층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열경화성의 접착제층으로서, 특정 전단 특성을 갖는 것은, 봉지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습 조건하에 놓인 후여도, 그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1) ∼ (10) 의 접착 시트, 및 (11), (12) 의 봉지체가 제공된다.
(1)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의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5 ∼ 50 질량% 이며, 하기 조건으로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하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전단 시험 (A)〕
단변이 10 mm 인 장방형의 무알칼리 유리를 2 장 준비하고, 이들 중의 1 장의 무알칼리 유리 상에, 1 변이 10 mm 인 정방형의 접착제층을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한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무알칼리 유리와 접하고 있지 않은 측의 면에, 다른 1 장의 무알칼리 유리를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겹치고,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이 적층체를 10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그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그 후, 적층체를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정치하여, 측정 시료를 얻는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으로 전단 하중을 측정한다.
〔요건〕
요건〔1〕 :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이 전단 변형 10,000 % 미만일 때에 측정된다.
요건〔2〕 :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이 100 N 이상이다.
요건〔3〕 : 전단 변형 10,000 % 일 때의 전단 하중 (P1 10000%) 의 값이,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50 % 이상이다.
(2) 하기 조건으로 전단 시험 (B) 를 실시했을 때에, 하기 요건〔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접착 시트.
〔전단 시험 (B)〕
전단 시험 (A) 에 있어서의 측정 시료의 제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한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온도 60 ℃, 상대습도 90 % 의 조건하에 100 시간, 이어서, 온도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 24 시간 정치시킨 후에, 이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으로 전단 하중을 측정한다.
〔요건〕
요건〔4〕: 전단 시험 (B) 에 있어서의 최대 전단 하중 (P2 max) 의 값이, 전단 시험 (1) 에 있어서의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70 % 이상이다.
(3) 상기 접착제층이, 추가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접착 시트.
(4)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40 ∼ 90 질량% 인, (3) 에 기재된 접착 시트.
(5) 상기 접착제층이, 추가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함유하는 것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 시트.
(6)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의 함유량이, 상기 접착제층 중에 포함되는 상기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인, (5) 에 기재된 접착 시트.
(7) 상기 접착제층이,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 시트.
(8)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0.01 ∼ 2 질량% 인, (7) 에 기재된 접착 시트.
(9) 접착제층의 두께가 1 ∼ 25 ㎛ 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 시트.
(10) 추가로 박리 필름을 갖는,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 시트.
(11) 피봉지물이,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봉지체.
(12) 상기 피봉지물이, 유기 EL 소자,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태양전지 소자인, (11) 에 기재된 봉지체.
본 발명에 의하면, 봉지성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 및, 피봉지물이 상기 접착 시트로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봉지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1) 접착 시트, 및, 2) 봉지체로 항목 분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접착 시트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의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5 ∼ 50 질량% 이며, 상기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상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접착제층〕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구성하는 접착제층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한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는,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S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브롬화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브롬화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브롬화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헥사하이드로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2,2-비스(3-글리시딜-4-글리시딜옥시페닐)프로판,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은,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5,000 이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100 g/eq 이상 500 g/eq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g/eq 이상 300 g/eq 이하이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 당량이 100 g/eq 이상 500 g/eq 이하인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접착제층 전체 중 5 ∼ 50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40 질량% 이다.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은 접착제층은, 상기 요건〔1〕,〔2〕를 만족하기 어려워져, 접착성이 열등하다. 한편,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은 접착제층은, 상기 요건〔3〕을 만족하기 어려워져, 경화 후의 유연성이 열등하다.
접착제층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이외의 성분으로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전구체로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변성제를 사용하여 변성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관능기가 도입된 폴리올레핀 수지이다.
폴리올레핀 수지란,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말한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의 반복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여도 되고,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의 반복 단위와,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유래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여도 된다.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탄소수 2 ∼ 8 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틸렌, 또는 1-헥센이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올레핀계 단량체는,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세트산비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의미이다 (이하에서 동일.).
이들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V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TPO),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변성 처리에 사용하는 변성제는, 분자 내에,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관능기로는, 카르복실기,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수산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암모늄기, 니트릴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세틸기, 티올기, 에테르기, 티오에테르기, 술폰기, 포스폰기, 니트로기, 우레탄기,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카르복실기,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기, 수산기, 암모늄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바람직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알콕시실릴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카르복실산 무수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분자 내에 2 종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보다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 산으로 그래프트 변성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에,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이하, 이들을 일괄하여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기를 도입 (그래프트 변성) 한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에 반응시키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으로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글루타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아코니트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글루타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아코니트산, 노르보르넨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 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 강도가 보다 우수한 접착제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에 반응시키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의 양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3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0 질량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는, 접착 강도가 보다 우수하다.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아드머 (등록상표) (미츠이 화학사 제조), 유니스톨 (등록상표) (미츠이 화학사 제조), BondyRam (Polyram 사 제조), orevac (등록상표) (ARKEMA 사 제조), 모딕 (등록상표)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 그래프트 변성한 것을 말한다.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주사슬인 폴리올레핀 수지에 측사슬인 불포화 실란 화합물이 그래프트 공중합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실란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및 실란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란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실란 변성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실란 변성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실란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반응시키는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는, 비닐실란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부톡시실란, 비닐트리펜틸옥시실란, 비닐트리페녹시실란, 비닐트리벤질옥시실란, 비닐트리메틸렌디옥시실란, 비닐트리에틸렌디옥시실란, 비닐프로피오닐옥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카르복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 실란 화합물을 주사슬인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경우의 조건은, 공지된 그래프트 중합법을 채용하면 된다.
폴리올레핀 수지에 반응시키는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양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7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시키는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양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는, 접착 강도가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링크론 (등록상표)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저밀도 폴리에틸렌계의 링크론,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의 링크론, 초저밀도 폴리에틸렌계의 링크론,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의 링크론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바람직하게는 10,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 1,500,000 이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을 용매로서 사용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실시하여,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접착제층이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할 때,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접착제층 전체 중, 바람직하게는 40 ∼ 9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0 질량% 이다.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그 접착제층은 상기 요건〔1〕 ∼ 〔3〕을 보다 만족하기 쉬워진다.
접착제층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이외의 성분으로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로는, 2-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5-디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에틸-4-메틸이미다졸이 바람직하다.
이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는,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이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함유할 때,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의 함유량은, 상기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5 질량부이다.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그 접착제층은 상기 요건〔1〕 ∼ 〔3〕을 보다 만족하기 쉬워진다.
접착제층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이외의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공지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자 내에 알콕시실릴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할 때,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접착제층 전체 중, 바람직하게는 0.01 ∼ 2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 질량% 이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그 접착제층은 상기 요건〔1〕 ∼ 〔3〕을 보다 만족하기 쉬워진다.
접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기타 성분으로는,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수지 안정제, 충전제, 안료, 증량제, 연화제 등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이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목적에 맞춰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2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 ㎛ 이다.
접착제층은 열경화성을 갖는 것이다. 즉, 접착제층을 가열함으로써, 적어도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가 반응하여, 접착제층이 경화된다.
접착제층을 열경화시킬 때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온도는, 통상, 80 ∼ 200 ℃, 바람직하게는 90 ∼ 150 ℃ 이다.
가열 시간은, 통상, 30 분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1 ∼ 6 시간이다.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수증기 투과율은, 통상, 0.1 ∼ 200 g·m-2·day-1, 바람직하게는 1 ∼ 150 g·m-2·day-1 이다.
수증기 투과율은, 공지된 가스 투과율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접착제층은, 하기 조건으로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하기 요건〔1〕 ∼ 〔3〕을 만족하는 것이다.
〔전단 시험 (A)〕
단변이 10 mm 인 장방형의 무알칼리 유리를 2 장 준비하고, 이들 중의 1 장의 무알칼리 유리 상에, 1 변이 10 mm 인 정방형의 접착제층을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한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무알칼리 유리와 접하고 있지 않은 측의 면에, 다른 1 장의 무알칼리 유리를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겹치고,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이 적층체를 10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그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그 후, 적층체를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정치하여, 측정 시료를 얻는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 및 실온 23 ℃, 상대습도 50 % 의 분위기하에서 전단 하중을 측정한다.
요건〔1〕 :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이 전단 변형 10,000 % 미만일 때에 측정된다.
요건〔2〕 :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이 100 N 이상이다.
요건〔3〕 : 전단 변형 10,000 % 일 때의 전단 하중 (P1 10000%) 의 값이,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50 % 이상이다.
전단 변형이란, 접착제층의 두께에 대한 수평 방향의 변위량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다.
Figure 112019092105416-pct00001
예를 들어, 접착제층의 두께가 10 ㎛ 일 때는, 전단 변형이 10,000 % 란, 접착제층의 상면이 하면에 대해 수평으로 1000 ㎛ 어긋난 상태를 나타낸다.
전단 시험 (A) 는, 통상적인 조건하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전단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상기 요건〔1〕을 만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이 전단 변형 10,000 % 미만일 때에 측정되는 것이다.
요건〔1〕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은, 봉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중에 다관능 에폭시 수지를 5 ∼ 50 질량% 함유시킴으로써, 요건〔1〕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상기 요건〔2〕를 만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이 100 N 이상인 것이다.
요건〔2〕를 만족하는 접착제층은, 봉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중에 다관능 에폭시 수지를 5 ∼ 50 질량% 함유시킴으로써, 요건〔2〕를 만족하는 접착제층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상기 요건〔3〕을 만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전단 변형 10,000 % 일 때의 전단 하중 (P1 10000%) 의 값이,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50 % 이상인 것이다.
요건〔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은, 피봉지물을 봉지했을 때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중에 다관능 에폭시 수지를 5 ∼ 50 질량% 함유시킴으로써, 요건〔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접착제층에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요건〔3〕을 만족하는 접착제층이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하기 조건으로 전단 시험 (B) 를 실시했을 때에, 하기 요건〔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 시험 (B)〕
전단 시험 (A) 에 있어서의 측정 시료의 제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한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온도 60 ℃, 상대습도 90 % 의 조건하에 100 시간, 이어서, 온도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 24 시간 정치시킨 후에, 이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 및 실온 23 ℃, 상대습도 50 % 의 분위기하에서 전단 하중을 측정한다.
요건〔4〕 : 전단 시험 (B) 에 있어서의 최대 전단 하중 (P2 max) 의 값이, 전단 시험 (A) 에 있어서의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70 % 이상이다.
전단 시험 (B) 는, 고습 조건하에 놓인 후의 접착제층의 전단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요건〔4〕를 만족하는 접착제층은, 피봉지물을 봉지한 후의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에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요건〔4〕를 만족하는 접착제층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박리 필름〕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박리 필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박리 필름은, 접착 시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지지체로서 기능함과 함께, 접착 시트를 사용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접착제층의 보호 시트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할 때는, 통상, 박리 필름은 박리 제거된다.
박리 필름으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리 필름용 기재 상에, 박리제에 의해 박리 처리된 박리층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박리 필름용 기재로는, 글라신지, 코트지, 상질지 등의 종이 기재 ; 이들 종이 기재에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플라스틱 필름 ;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제로는, 실리콘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이소프렌계 수지, 부타디엔계 수지 등의 고무계 엘라스토머, 장사슬 알킬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가 박리 필름을 가질 ‹š, 박리 필름의 장수는 1 장이어도 되고 2 장이어도 되지만, 통상은, 접착제층의 양측에 각각 1 장, 합계 2 장의 박리 필름을 갖는다. 이때 2 장의 박리 필름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2 장의 박리 필름은 상이한 박리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장의 박리 필름의 박리력이 상이함으로써, 접착 시트의 사용 시에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2 장의 박리 필름의 박리력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최초에 박리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접착 시트〕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캐스트법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접착 시트를 캐스트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접착제층의 성분과 용매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조제하고, 얻어진 도공액을 박리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도공하고, 얻어진 도막을 건조함으로써, 박리 필름이 형성된 접착제층을 제조하고, 이어서, 다른 1 장의 박리 필름을 접착제층 상에 겹침으로써, 접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도공액의 조제에 사용하는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 n-펜탄,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형 탄화수소계 용매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함유량은, 도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도막을 건조할 때의 건조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건조 온도 80 ∼ 150 ℃, 건조 시간 30 초 내지 5 분간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상기 전단 특성을 갖는 것이며, 봉지성이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봉지재를 형성함으로써, 유기 EL 소자 등의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3) 봉지체
본 발명의 봉지체는, 피봉지물이,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봉지체로는, 예를 들어, 기판과, 그 기판 상에 형성된 소자 (피봉지물) 와, 그 소자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봉지재가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 유래의 것 (접착제층의 경화물) 인 것을 들 수 있다.
기판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기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시광의 투과율이 높은 기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자 외부로부터 침입하려고 하는 수분이나 가스를 저지하는 차단 성능이 높고, 내용제성이나 내후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석영이나 유리 등의 투명 무기 재료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불화비닐리덴, 아세틸셀룰로오스, 브롬화페녹시, 아라미드류, 폴리이미드류, 폴리스티렌류, 폴리아릴레이트류, 폴리술폰류, 폴리올레핀류 등의 투명 플라스틱, 전술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 ; 을 들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광의 투과율이나, 소자 내외를 차단하는 성능을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피봉지물로는, 유기 EL 소자,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태양전지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지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을 피봉지물 상에 겹친 후, 가열함으로써,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과 피봉지물을 접착시킨다.
이어서, 이 접착제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봉지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과 피봉지물을 접착시킬 때의 접착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 온도는, 예를 들어, 23 ∼ 100 ℃, 바람직하게는 40 ∼ 80 ℃ 이다. 이 접착 처리는, 가압하면서 실시해도 된다.
접착제층을 경화시킬 때의 경화 조건으로는, 앞서 설명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지체는, 피봉지물이, 본 발명의 접착 시트로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봉지체에 있어서는, 장기에 걸쳐 피봉지물의 성능이 유지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예 중의 부 및 % 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산 변성 α-올레핀 중합체, 미츠이 화학사 제조, 상품명 : 유니스톨 H-200, 수평균 분자량 : 47,000) 76.6 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상품명 : YX8034, 에폭시 당량 270 g/eq) 23.0 부,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 (시코쿠 화성사 제조, 상품명 : 큐어졸 2E4MZ, 2-에틸-4-메틸이미다졸) 0.3 부, 및, 실란 커플링제 (1) (8-글리시독시옥틸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 KBM4803) 0.1 부를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18 % 의 접착제 조성물 1 을 조제하였다.
이 접착제 조성물 1 을 박리 필름 (린텍사 제조, 상품명 : SP-PET382150) 의 박리 처리면 상에 도공하고, 얻어진 도막을 100 ℃ 에서 2 분간 건조하여, 두께가 10 ㎛ 인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른 1 장의 박리 필름 (린텍사 제조, 상품명 : SP-PET381031) 의 박리 처리면을 첩합하여 접착 시트 1 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 대신에,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2)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상품명 : YX8000, 에폭시 당량 205 g/eq)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 조성물 2 를 조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 2 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 대신에,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3)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상품명 : YX8040, 에폭시 당량 1100 g/eq)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 조성물 3 을 조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 3 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 (1) 대신에, 실란 커플링제 (2)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 KBM403)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 조성물 4 를 조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 4 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 대신에,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4)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상품명 : 에포라이트 4000, 에폭시 당량 215 ∼ 245 g/eq)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 조성물 5 를 조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 5 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5 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 (1) 대신에, 실란 커플링제 (2)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 KBM403)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 조성물 6 을 조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 6 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 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 조성물 7 을 조제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접착 시트 7 을 얻었다.
〔비교예 2〕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적하 장치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77 부, 메틸아크릴레이트 20 부, 아크릴산 3 부, 아세트산에틸 200 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 부를 주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하, 70 ℃ 에서 공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Mw) 800,000 의 아크릴계 중합체 (1) 을 얻었다.
아크릴계 중합체 (1) 97.4 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2.3 부,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0.3 부를, 톨루엔/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혼합 비율 (체적비) : 3/2〕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21 % 의 접착제 조성물 8 을 조제하였다. 접착제 조성물 8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8 을 얻었다.
〔비교예 3〕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적하 장치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0 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 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0 부, 아세트산에틸 200 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 부를 주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하, 70 ℃ 에서 공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Mw) 700,000 의 아크릴계 중합체 (2) 를 얻었다.
아크릴계 중합체 (2) 99.5 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0.2 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3 부를 아세트산에틸/메틸에틸케톤의 혼합 용매〔혼합 비율 (체적비) : 4/1〕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35 % 의 접착제 조성물 9 를 조제하였다. 접착제 조성물 9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9 를 얻었다.
〔비교예 4〕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닛폰 부틸사 제조, Exxon Butyl 268, 수평균 분자량 260,000, 이소프렌의 함유율 1.7 몰%) 100 부에 대해, 카르복실산계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쿠라레사 제조, LIR410, 수평균 분자량 30,000, 1 분자당의 평균 카르복실기수 : 10) 5 부, 지방족계 석유 수지 (닛폰 제온사 제조, 퀸톤 A100, 연화점 100 ℃) 20 부, 가교제 (에폭시 화합물,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TC-5) 1 부를 톨루엔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25 % 의 접착제 조성물 10 을 얻었다. 접착제 조성물 10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시트 10 을 얻었다.
실시예 1 ∼ 6, 비교예 1 ∼ 4 에서 얻은 접착 시트 1 ∼ 10 에 대해,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단 시험 (A)〕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은 접착 시트를, 1 변이 10 mm 인 정방형으로 가공하였다.
단변이 10 mm 인 장방형의 무알칼리 유리를 2 장 준비하였다. 상기 정방형의 접착 시트의 박리 필름을 1 장 박리하고, 남은 접착 시트를, 노출된 접착제층이 무알칼리 유리에 대향하고, 또한,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무알칼리 유리 상에 배치하고, 가압 롤러를 사용하여,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하였다. 이어서, 다른 1 장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접착제층 상에 다른 1 장의 무알칼리 유리를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겹치고, 가압 롤러를 사용하여,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적층체를 10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그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그 후, 적층체를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정치하여, 측정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으로 전단 하중을 측정하였다.
〔전단 시험 (B)〕
전단 시험 (A) 에 있어서의 측정 시료의 제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온도 60 ℃, 상대습도 90 % 의 조건하에 100 시간, 이어서, 온도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 24 시간 정치시킨 후에, 이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으로 전단 하중을 측정하였다.
〔유기 EL 소자의 평가 시험〕
산화인듐주석 (ITO) 막 (두께 : 100 nm, 시트 저항 : 50 Ω/□ (옴 퍼 스퀘어) 이 성막된 유리 기판을 양극 (陽極) 으로서 갖는 유기 EL 소자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먼저, 상기 유리 기판의 ITO 막 상에, N,N'-비스(나프탈렌-1-일)-N,N'-비스(페닐)-벤지딘) (Luminescence Technology 사 제조) 을 50 nm,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리네이트)알루미늄 (Luminescence Technology 사 제조) 을 50 nm, 0.1 ∼ 0.2 nm/분의 속도로 순차 증착시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발광층 상에, 전자 주입 재료로서, 불화리튬 (LiF) (고순도 화학 연구소사 제조) 을 0.1 nm/분의 속도로 4 nm, 이어서 알루미늄 (Al) (고순도 화학 연구소사 제조) 을 0.1 nm/분의 속도로 100 nm 증착시켜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얻었다.
또한, 증착 시의 진공도는, 모두 1 × 10-4 Pa 이하였다.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은 접착 시트의 박리 필름을 1 장 박리하고, 노출된 접착제층을 금속박 필름 상에 겹치고, 히트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이들을 60 ℃ 에서 접착하였다. 이어서, 다른 1 장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접착제층을,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EL 소자를 덮도록 겹치고, 히트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이들을 60 ℃ 에서 접착하였다. 이어서, 10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유기 EL 소자가 봉지된 보텀 이미션형의 전자 디바이스를 얻었다.
이 전자 디바이스를, 온도 60 ℃, 상대습도 90 % 의 환경하에 250 시간 정치시킨 후, 유기 EL 소자를 기동시켜, 다크 스폿 (비발광 지점) 의 유무를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다크 스폿이 발광 면적의 40 % 미만
△ : 다크 스폿이 발광 면적의 40 % 이상 50 % 미만
× : 다크 스폿이 발광 면적의 50 % 이상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92105416-pct00002
표 1 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실시예 1 ∼ 6 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봉지성이 우수한 것이며, 이들을 사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봉지함으로써, 다크 스폿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 4 에서 얻어진 접착 시트의 접착제층은, 소정의 전단 특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고, 이들은 봉지성이 열등하다.

Claims (12)

  1.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의 접착제층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5 ∼ 50 질량% 이며,
    상기 접착제층이, 추가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를 함유하는 것이며,
    하기 조건으로 전단 시험 (A) 를 실시했을 때에, 하기 요건 (1) ∼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전단 시험 (A)〕
    단변이 10 mm 인 장방형의 무알칼리 유리를 2 장 준비하고, 이들 중의 1 장의 무알칼리 유리 상에, 1 변이 10 mm 인 정방형의 접착제층을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배치하고,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한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무알칼리 유리와 접하고 있지 않은 측의 면에, 다른 1 장의 무알칼리 유리를 접착 면적이 100 ㎟ (10 mm × 10 mm) 가 되도록 겹치고, 이들을 온도 60 ℃, 압력 0.2 MPa, 라미네이트 속도 0.2 m/분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이 적층체를 10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그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그 후, 적층체를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정치하여, 측정 시료를 얻는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으로 전단 하중을 측정한다.
    〔요건〕
    요건〔1〕 :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이 전단 변형 10,000 % 미만일 때에 측정된다.
    요건〔2〕 :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이 100 N 이상이다.
    요건〔3〕 : 전단 변형 10,000 % 일 때의 전단 하중 (P1 10000%) 의 값이,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50 % 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으로 전단 시험 (B) 를 실시했을 때에, 하기 요건〔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전단 시험 (B)〕
    전단 시험 (A) 에 있어서의 측정 시료의 제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한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온도 60 ℃, 상대습도 90 % 의 조건하에 100 시간, 이어서, 온도 23 ℃, 상대습도 50 % 의 조건하에 24 시간 정치시킨 후에, 이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0.1 mm/분의 조건으로 전단 하중을 측정한다.
    〔요건〕
    요건〔4〕 : 전단 시험 (B) 에 있어서의 최대 전단 하중 (P2 max) 의 값이, 전단 시험 (A) 에 있어서의 최대 전단 하중 (P1 max) 의 값의 70 % 이상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추가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인, 접착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40 ∼ 90 질량% 인, 접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이미다졸계 경화 촉매의 함유량이, 상기 접착제층 중에 포함되는 상기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인, 접착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인, 접착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접착제층 전체 중 0.01 ∼ 2 질량% 인, 접착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의 두께가 1 ∼ 25 ㎛ 인, 접착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박리 필름을 갖는, 접착 시트.
  10. 피봉지물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봉지되어 이루어지는 봉지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봉지물이, 유기 EL 소자,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태양전지 소자인, 봉지체.
  12. 삭제
KR1020197026345A 2017-05-31 2018-05-30 접착 시트, 및 봉지체 KR102469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7485 2017-05-31
JP2017107485 2017-05-31
PCT/JP2018/020731 WO2018221571A1 (ja) 2017-05-31 2018-05-30 接着シート、及び封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450A KR20200015450A (ko) 2020-02-12
KR102469843B1 true KR102469843B1 (ko) 2022-11-22

Family

ID=6445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345A KR102469843B1 (ko) 2017-05-31 2018-05-30 접착 시트, 및 봉지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38101B2 (ko)
KR (1) KR102469843B1 (ko)
TW (1) TWI757498B (ko)
WO (1) WO201822157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344A (ja) 2008-01-22 2008-07-17 Nitto Denko Corp 電子部品固定用反応性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接着シート
WO2016158770A1 (ja) 2015-03-27 2016-10-06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569A1 (ja) * 2005-07-05 2007-01-11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感光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接着フィルム、接着シート、接着剤層付半導体ウェハ、半導体装置及び電子部品
CN104685609B (zh) * 2012-10-05 2018-06-08 琳得科株式会社 带有保护膜形成层的切片及芯片的制造方法
TWI638871B (zh) * 2012-11-30 2018-10-2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Substance composition, subsequent sheet and electronic device
JP2016040369A (ja) * 2014-08-12 2016-03-24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水性分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053157A (ja) 2014-09-03 2016-04-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900680B1 (ja) * 2015-03-25 2016-04-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積層体、蓄電デバイス用包装材、蓄電デバイス用容器および蓄電デバイス
TWI751989B (zh) * 2015-12-01 2022-01-1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接著劑組成物、封密板片及封密體
TWI729034B (zh) * 2015-12-01 2021-06-0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接著劑組成物、封密用板片以及封密體
JP6353991B1 (ja) * 2016-09-07 2018-07-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封止シート、及び封止体
KR102348192B1 (ko) * 2016-09-07 2022-01-0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JP7071279B2 (ja) * 2016-11-18 2022-05-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封止シート、及び封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344A (ja) 2008-01-22 2008-07-17 Nitto Denko Corp 電子部品固定用反応性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接着シート
WO2016158770A1 (ja) 2015-03-27 2016-10-06 味の素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3106A (zh) 2019-01-16
JPWO2018221571A1 (ja) 2020-04-02
TWI757498B (zh) 2022-03-11
WO2018221571A1 (ja) 2018-12-06
KR20200015450A (ko) 2020-02-12
JP7138101B2 (ja)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744B1 (ko)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KR102272538B1 (ko)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KR102522743B1 (ko)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KR102272537B1 (ko)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KR102348192B1 (ko)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KR102380827B1 (ko) 접착제 조성물, 봉지 시트, 및 봉지체
CN112752813B (zh) 阻气性层叠体
KR102469843B1 (ko) 접착 시트, 및 봉지체
KR102487141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시트, 및 봉지체
KR102468900B1 (ko) 시트상 접착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및 봉지체
KR102483012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시트, 및 봉지체
KR102483032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시트, 및 봉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