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125B1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125B1
KR102468125B1 KR1020220072467A KR20220072467A KR102468125B1 KR 102468125 B1 KR102468125 B1 KR 102468125B1 KR 1020220072467 A KR1020220072467 A KR 1020220072467A KR 20220072467 A KR20220072467 A KR 20220072467A KR 102468125 B1 KR102468125 B1 KR 10246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dust
waste
diamete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주식회사 대산홀딩스
만강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주식회사 대산홀딩스, 만강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22007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재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 골재 파쇄유닛을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으며,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직경 40㎜ 이하)를 선별하여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되, 회동모듈을 이용하여 선별 하우징을 정각도로 회동함과 동시에 스크린을 진동시켜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처리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RECYCLING SYETEM FOR RECYCLED AGGREGATE CRUSHED AND SELECTED IN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재생산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의 재개발과 도로의 보수 및 굴착과 덧씌우기 등으로 최근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대부분의 건설폐기물이 단순 매립 성토, 복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는 물론 각종 제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이의 적극적인 재활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사용되는 처리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해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거나 등록된 상태에 있다.
그러나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고 등록되어 건설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라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건설폐기물을 제반법규에 적합한 정도의 고품질의 품질상태로 재생하여 규정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재생골재를 얻기란 업계 및 폐 골재처리장치의 현 기술수준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종래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장치는 대형의 고형화된 폐 콘크리트나 폐 아스팔트 및 각종 건설 부자재 등을 소정의 미립질로 파쇄, 분류하는 파쇄장치 및 선별장치가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종래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장치에 의해 파쇄, 분류된 폐기물은 통상 건설 및 토목분야에서 단순 매립, 성토, 복토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보통의 골재와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 골재로 이용되는 방법이 있으나, 종래 장치에 의해 재생된 폐 골재는 관련 규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재생골재에 많은 토분이나 석분 및 금속 폐기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거나 불규칙한 입도 등으로 재생골재의 전체적인 품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재생골재의 제반규정에 부적합한 제품이 생산되어 그 이용이 기피되고 적당한 활로를 찾지 못해 막대한 설비와 비용이 소요된 건설폐기물 업체의 수익성이 개선되지 못해 기술개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종래 건설폐기물 중간 처리장치는,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얻기 위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제거하기 위해 파쇄된 폐 골재가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세척수가 담긴 수조를 통과하게 하여 재생골재에 묻어 있는 토분과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되고, 세립의 재생골재를 얻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과정이 수회 반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가 더욱 복잡해지고, 사용된 세척수의 오염상태가 심해 이의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 하단에 송풍기를 설치하고, 송풍기의 반대편에는 이물질수거함을 설치하여 낙하되는 골재에 함유된 이물질이 풍력에 의해 분리되어 반대편에 설치된 이물질수거함으로 집진됨으로써, 선별된 골재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송풍기의 풍압에 의해 이물질 수거함으로 흡입된 이물질이 이물질수거함 내측에서 와류되어 다시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재생골재의 이물질 선별능력을 저하시켜 결국 고품질의 재생골재가 생산되는 것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등록특허: 제10-2212190호, 등록일: 2021.01.29)가 등록된 바가 있다.
그러나 선행 등록특허는 선별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없는 기술적 한계점이 있으며, 마쇄모듈에서의 골재 파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2190호(등록일: 2021.01.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직경 40㎜ 이하)를 선별하여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되, 회동모듈을 이용하여 선별 하우징을 정각도로 회동함과 동시에 스크린을 진동시켜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 처리하여 주변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폐 콘크리트, 폐아스콘, 적벽돌 등의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폐 골재에 붙어 있는 시멘트나 아스팔트를 분리하여 고순도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는,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폐 골재 파쇄유닛(100);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0);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1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된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일정크기(직경 40㎜)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굵은 골재를 형성하는 마쇄유닛(300); 상기 마쇄유닛(300)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는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 상기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와 직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하는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이하 골재를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20); 상기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를 선별하는 모래 선별유닛(700); 및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초과 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은 상기 마쇄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면에는 분진 유입홀(411)이 다수 형성되고 후면에는 환풍기(412)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부(413)가 형성되는 분진 처리 하우징(410); 상기 공간부(413) 안으로 유입된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413)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롤러(420); 상기 필터 롤러(420)를 회전시키는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 상기 필터 롤러(420)의 표면에 흡착된 분진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롤러(420)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공간부(413) 안에 고정 설치되는 브러쉬(440);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을 지지(지탱)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450); 상기 공간부(413)의 하측(바닥)에 낙하된 분진을 포집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모듈(460);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과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 모듈(470); 및 상기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과 상기 분진 배출모듈(4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전모듈(48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 선별유닛(700)은 베이스 프레임(710); 상기 베이스 프레임(7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힌지(721)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722)이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서포트 플레이트(720);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7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부에 호퍼(731)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공간부(732)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선별한 모래를 배출하기 위한 모래 배출홀(733)이 형성되는 선별 하우징(730); 상기 호퍼(731)를 통해서 유입된 골재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 홀(741)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732) 안에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740); 상기 스크린(740)을 통과한 잔골재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골재)를 분리하여 상기 모래 배출홀(733)을 통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740)의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 및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선별 하우징 회동모듈(76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모듈(760)은 상기 선별 하우징(73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막대(761); 상기 연장 막대(761)의 끝단부에 일단부가 힌지(762a)로 결합하는 링크(762); 구동모터(765)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링크(762)의 타단부가 편심되어 힌지(762b)로 연결되는 제1 회전 원판(763); 및 벨트(766)에 의해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원판(764); 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765)의 작동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링크(762)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힌지(72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스크린(74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 원판(764)에 편심되어 힌지(811)로 연결되는 와이어(810); 및 상기 와이어(81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82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회전 원판(76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810)가 선택적으로 당겨져서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 골재 파쇄유닛을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 여과 처리유닛에서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여 작업장의 작업현장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분진 여과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브러쉬가 필터 롤러의 외면을 세척하여 필터 기능을 연장할 수 있으며, 회동모듈을 이용하여 선별 하우징을 일정각도로 회동함과 동시에 스크린을 진동시켜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선별하여 재생산하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폐 골재 파쇄유닛,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 및 마쇄유닛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폐 골재 파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분진 여과 처리유닛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7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의 분진 여과 처리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모래 선별유닛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11은 도 9의 B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9의 C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9의 D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건설 폐기물(이하, "폐 골재"라 한다)은 그 주류를 이루는 콘크리트이나 아파트 및 주택 벽채와 기타 등을 적정한 입도 크기로 파쇄, 분류 선별 파쇄하여 매립용이나 성토용의 재생골재로 재사용하는데, 이러한 폐 골재의 파쇄 및 분류 선별하는 장치의 구성으로 폐 골재를 파쇄하는 마쇄기와 분진 여과 처리유닛과 골재 사이즈별 선별장치, 모래 선별유닛, 그리고 폐 골재 및 파쇄된 폐 골재를 각 장치로 이동시키고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가 설치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폐 골재 파쇄유닛,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 및 마쇄유닛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폐 골재 파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분진 여과 처리유닛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5의 분진 여과 처리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 모래 선별유닛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9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9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는, X축, Y축,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폐 골재 파쇄유닛(100);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0);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1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된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일정크기(직경 40㎜)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굵은 골재를 형성하는 마쇄유닛(300); 상기 마쇄유닛(300)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여과 처리하는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 상기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와 직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하는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이하 골재를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20); 상기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를 선별하는 모래 선별유닛(700); 및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초과 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 골재 파쇄유닛(100)은 X축, Y축,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한다. 여기서, X축, Y축은 평면상에서 좌우방향을 말하며, Z축은 수직방향(높낮이 방향)을 말한다.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은 지지 프레임(101), Z축 리드스크류(102),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3), 가동 프레임(110), Y축 리드스크류(104),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5), 제1 가동블록(120), X축 리드스크류(106),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7), 제2 가동블록(130), 드릴(108), 및 드릴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은 드릴(108)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일정 사이즈(예를 들어, 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1)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부에 폐 골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S)가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 일정크기(직경 80㎜ 이하) 폐 골재만 배출하기 위한 폐 골재 배출홀(H)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Z축 리드스크류(102)는 지지 프레임(101)의 상부 양쪽에 Z축 방향(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한 쌍의 Z축 리드스크류(102)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3)는 Z축 리드스크류(102)를 구동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0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동 프레임(110)은 Z축 리드스크류(102)를 따라 Z축 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Y축 리드스크류(104)는 가동 프레임(110)의 상부 양쪽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5)는 Y축 리드스크류(104)를 구동하기 위하여 가동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가동블록(120)은 Y축 리드스크류(104)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X축 리드스크류(106)는 제1 가동블록(120)에 X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7)는 X축 리드스크류(106)를 구동하기 위하여 제1 가동블록(1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 가동블록(130)은 X축 리드스크류(106)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가동블록(1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드릴(108)은 폐 골재를 파쇄하기 위하여 제2 가동블록(130)에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드릴 구동부(140)는 드릴(108)을 회전하기 위하여 제2 가동블록(130)에 설치된다.
상기 드릴 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1)와 그 구동모터(141)의 회전력을 드릴(108)에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142,14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는, 지지 프레임(101)의 공간부(S) 안에 큰 사이즈의 폐 콘크리트 및 폐 골재를 수용한다.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5)가 구동하여 Y축 리드스크류(104)를 회전함에 따라, 제1 가동블록(120)이 Y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7)가 구동하여 X축 리드스크류(106)를 회전함에 따라, 제2 가동블록(130)이 X축을 따라 이동한다.
그 다음,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3)가 구동하여 Z축 리드스크류(102)를 회전함에 따라 가동 프레임(110)을 상하로 이동하여서 드릴(108)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 다음, 드릴 구동부(140)의 구동으로 드릴(108)을 회전시켜서 특정 위치의 폐 골재를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10)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마쇄유닛(300) 쪽으로 공급한다.
또한,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폐 골재 파쇄유닛(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는, 지지 프레임(11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 브라켓(210); 경사 브라켓(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220); 및 경사 브라켓(210)의 하단부에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 롤러(220) 사이로 낙하는 폐 골재를 가이드 하는 경사 받침대(230); 를 포함한다.
상기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지지 프레임(101)의 바닥면에 형성된 일정크기(직경 80㎜ 이하) 폐 골재 배출홀(H)을 통해서 폐 골재가 배출된 후, 가이드 롤러(220) 위로 떨어지고 그 가이드 롤러(220)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220) 사이의 틈새로 약 직경 80㎜ 이하 폐 골재가 유입된 후 경사 받침대(230) 위로 떨어지고 경사 받침대(230)에 의해 가이드 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한 후, 별도의 공정을 거쳐서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 쪽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쇄유닛(300)은 제1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된 직경 80㎜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80㎜ 이하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40㎜ 이하 굵은 골재를 형성한다.
상기 마쇄유닛(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쇄유닛(300)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높이 40㎜로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0); 및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340); 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의 높이는 골재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마쇄유닛(3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수직(미도시)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의 바닥면에는 굴곡면이 형성되어 골재가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340)는 제1 진동모터(341)와 제2 진동모터(342)가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진동모터(341)는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고, 제2 진동모터(342)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상하로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진동모터(341)와 제2 진동모터(342)는 연결축(343)에 의해서 각각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343)은 진동모터의 동력(진동)을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모터(340)는,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이브레이터라고도 칭한다.
진동모터(340)의 구동에 관한 물리적인 원리는 자기장 내에 놓여 있는 도체는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바탕으로 하고 있고,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에서의 전자계 중개에 의하여 전기에너지가 토크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진동모터(340)는 크기와 그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고, 특히 정보 통신 산업의 성장에 부응하여 통신 단말기의 진동호출용 진동모터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용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진동모터로는 코인형(Coin type)과 실린더 또는 바형(Cylinder or Bar type)으로 대별된다.
진동모터의 주원리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코일과 철심(마그네트)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고정된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은 전류의 방향과 전류의 세기 및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자인 마그네트를 포함한 자기회로를 운동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마쇄유닛(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진동모터(340)가 구동하여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진동시킨다. 이때, 스프링(330)에 의해서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가 업다운 운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마쇄유닛(300)의 입구측은 일정크기, 예를 들어 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높이 40㎜로 형성되는바, 입구 안으로 직경 80㎜의 폐 골재가 유입되면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의 업다운 운동에 의해서 폐 골재는 직경 40㎜ 이하로 파쇄되고 연마된 후, 출구로 배출된다.
비산커버(2)는 마쇄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쇄유닛(300) 외부를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은, 비산커버(2)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산커버(2) 내부의 분진(흙먼지, 매우 작은 잔골재, 이물질 등)을 흡입하고 여과 처리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은, 마쇄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면에는 분진 유입홀(411)이 다수 형성되고 후면에는 환풍기(412)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부(413)가 형성되는 분진 처리 하우징(410); 공간부(413) 안으로 유입된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공간부(413)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롤러(420); 필터 롤러(420)를 회전시키는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 필터 롤러(420)의 표면에 흡착된 분진을 세척(분리)하기 위하여 필터 롤러(420)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공간부(413) 안에 고정 설치되는 브러쉬(440); 분진 처리 하우징(410)을 지지(지탱)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450); 공간부(413)의 하측에 낙하된 분진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모듈(460); 베이스 프레임(450)과 분진 처리 하우징(410) 사이에 설치되어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 모듈(470); 및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과 분진 배출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전모듈(48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롤러(420)는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다수의 미세공(421b)을 가지고 내부에 공간부(421a)를 갖는 필터 롤러 하우징(421); 및 필터 롤러 하우징(421)의 회전을 위한 중공의 샤프트(422); 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분진 유입홀(411)을 통해서 유입된 분진은 필터 롤러 하우징(421)에 의해서 걸러진 후, 공기는 미세공(421b)을 통해서 공간부(421a) 안으로 유입된 후 샤프트(422) 내부를 경유하여 배출되며, 분진 제거된 공기는 환풍기(412)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은 구동모터(431), 구동모터(431)의 회전 샤프트(432)에 설치되는 제1 베벨기어(433), 그리고 제1 베벨기어(433)에 치합되도록 샤프트(422)의 외주에 설치되는 제2 베벨기어(43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 배출모듈(460)은 공간부(413)의 하측에 낙하된 분진을 포집하거나 배출하기 위하여 공간부(4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463); 공간부(413)의 하측에 낙하된 분진을 가압하여 배출하기 위한 푸시로드(462); 및 푸시로드(46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61);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흡수 모듈(470)은 베이스 프레임(45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레그(leg)(472)를 구비하는 서포트 프레임(471); 서포트 프레임(4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473); 및 서포트 프레임(471)과 완충 스프링(473)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부는 레그(47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다운 프레임(474);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전모듈(480)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481); 프로펠러(48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482); 및 발전기(482)에서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지(483); 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은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약 40㎜ 이하 골재와 직경 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한다.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은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를 제2 컨베이어(30)로 공급하는 경사 스크린(610); 및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잔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를 제3 컨베이어(30)로 공급하기 위하여 경사 스크린(61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푸시롤러(620); 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푸시롤러 부재(62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622); 회전롤러(622)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아암(623); 및 아암(6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롤러(624);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경사 스크린(610) 위에 마쇄유닛(300:도 3에 도시)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직경 40㎜ 내외)를 공급하면, 그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는 경사 스크린(610)을 통과하여 제2 컨베이어(20)로 공급되며,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는 경사 스크린(610) 위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회전 푸시롤러 부재(620)가 회전하면서 직경 40㎜ 초과 굵은 골재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제3 컨베이어(30)로 공급하도록 한다.
즉, 회전 푸시롤러 부재(620)의 작동을 살펴보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롤러(622)가 회전하며, 이때 푸시롤러(624)가 회전하면서 직경 40㎜ 초과 굵은 골재를 밀어내어 제3 컨베이어(30)로 공급한다. 이때 아암(623)이 회전롤러(622)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롤러(624)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직경 40㎜ 초과 굵은 골재를 제3 컨베이어(3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베이어(20)는 선별 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이하 골재를 이송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30)는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초과 골재를 다른 장소로 이송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모래 선별유닛(700)은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예를 들어, 왕사)를 선별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모래 선별유닛(7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래 선별유닛(700)은 베이스 프레임(710); 상기 베이스 프레임(7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힌지(721)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722)이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서포트 플레이트(720);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7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부에 호퍼(731)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공간부(732)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선별한 모래를 배출하기 위한 모래 배출홀(733)이 형성되는 선별 하우징(730); 상기 호퍼(731)를 통해서 유입된 골재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 홀(741)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732) 안에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740); 상기 스크린(740)을 통과한 잔골재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골재)를 분리하여 상기 모래 배출홀(733)을 통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740)의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 및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선별 하우징 회동모듈(76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740)은 스프링(742)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호퍼(731)에는 전동 스크류(731a)가 설치될 수 있다. 전동 스크류(731a)의 작동에 의해서 골재의 투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회동모듈(760)은 상기 선별 하우징(73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막대(761); 상기 연장 막대(761)의 끝단부에 일단부가 힌지(762a)로 결합하는 링크(762); 구동모터(765)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링크(762)의 타단부가 편심되어 힌지(762b)로 연결되는 제1 회전 원판(763); 및 벨트(766)에 의해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원판(764);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765)의 작동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링크(762)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일정각도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스크린(74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 원판(764)에 편심되어 힌지(811)로 연결되는 와이어(810); 및 상기 와이어(81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820)를 구비하는 아암(83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회전 원판(76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810)가 선택적으로 당겨져서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에서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폐 콘크리트 등의 대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직경 80㎜ 이하의 폐 골재로 파쇄하여 제1 컨베이어(10)에 공급할 수 있고, 제1 컨베이어(10)에서 마쇄유닛(300) 안으로 직경 80㎜ 폐 골재를 공급하면, 마쇄유닛(300)에서는 진동에 의한 업다운 운동을 이용하여 직경 40㎜의 굵은 골재를 형성한다.
마쇄과정에서는 먼지, 이물질 등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은 마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이물질 등의 비산먼지를 포집하고 여과 처리한다.
상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쇄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분진 유입홀(411)을 통해서 분진 처리 하우징(410) 안으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 롤러(420)가 분진을 필터링한다. 공기는 다수의 미세공(421b)을 통해서 분진 처리 하우징(410) 안으로 통과한 후 샤프트(422)의 중공부분을 통해서 배출되는 반면에, 분진은 필터 롤러(420) 외면에 남게 되는 데, 이때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의 구동에 의해서 필터 롤러(420)가 회전하고 브러쉬(440)가 분진을 털어내며, 그 분진은 공간부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퇴적된다. 작업 완료 후 분진 배출모듈(460)은 퇴적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 다음, 선별유닛(600)은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와 직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하는바,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를 제2 컨베이어(20)로 공급하며,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를 제3 컨베이어(30)로 공급한다.
제2 컨베이어(20)에 공급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예를 들어, 왕사)는 모래 선별유닛(700)에 의해 선별되어 재사용된다.
상기 모래 선별유닛(7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별 하우징(730)의 호퍼(731) 안으로 직경 40㎜ 이하 골재를 투입하면, 스크린(740)을 거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스크린 홀(741)을 통해서 낙하된다. 이때 선별 하우징 회동모듈(760)의 구동에 의해서 선별 하우징(730)을 일정각도로 회동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765)의 작동 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링크(762)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상하로 당기거나 밀게 되는데, 이때 힌지(721)를 기준으로 선별 하우징(730)을 상하로 회동시켜서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골재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에 의해 분리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는 모래 배출홀(733)을 통해서 배출되며, 이렇게 배출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는 골재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765)의 작동 시, 제1 회전 원판(763)의 회전에 의해서 제2 회전 원판(764)이 회전하고, 그 제2 회전 원판(764)에 와이어(810)가 편심되어 힌지(811)로 연결되므로, 와이어(810)가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당겨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740)이 신속하게 이물질을 걸러내고 골재 선별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 골재 파쇄유닛을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 여과 처리유닛에서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여 작업장의 작업현장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분진 여과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브러쉬가 필터 롤러의 외면을 세척하여 필터 기능을 연장할 수 있으며, 회동모듈을 이용하여 선별 하우징을 일정각도로 회동함과 동시에 스크린을 진동시켜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이하 모래(왕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선별하여 재생산하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생산하는 골재 사이즈는 본 발명의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생산에 따라 골재 사이즈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 비산커버
10: 제1 컨베이어
20: 제2 컨베이어
30: 제3 컨베이어
100: 폐 골재 파쇄유닛
101: 지지 프레임
102: Z축 리드스크류
103: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104: Y축 리드스크류
105: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106: X축 리드스크류
107: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108: 드릴
110: 가동 프레임
120: 제1 가동블록
130: 제2 가동블록
140: 드릴 구동부
141: 구동모터
200: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
210: 경사 브라켓
220: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
230: 경사 받침대
300: 마쇄유닛
310: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
320: 마쇄 경사 플레이트
330: 스프링
340: 진동모터
341: 제1 진동모터
342: 제2 진동모터
400: 분진 여과 처리유닛
421: 필터 롤러 하우징
421a: 공간부
421b: 미세공
422: 샤프트
431: 구동모터
433: 제1 베벨기어
434: 제2 베벨기어
461: 구동모터
462: 푸시로드(push rod)
463: 도어
470: 진동흡수 모듈
471: 서포트 프레임
472: 레그(leg)
473: 완충 스프링
474: 업다운 프레임
600: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
610: 경사 스크린
620: 회전 푸시롤러
622: 회전롤러
623: 아암
624: 푸시롤러
700: 모래 선별유닛
710: 베이스 프레임
721: 힌지(hinge)
722: 스프링
720: 서포트 플레이트
731: 호퍼(hopper)
732: 공간부
733: 모래 배출홀
730: 선별 하우징
741: 스크린 홀
740: 스크린
750: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
760: 선별 하우징 회동모듈
761: 연장 막대
762a: 힌지
762: 링크
762b: 힌지
763: 제1 회전 원판
764: 제2 회전 원판
765: 구동모터
810: 와이어
811: 힌지
820: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830: 아암(arm)

Claims (5)

  1.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폐 골재 파쇄유닛(100);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10);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200);
    상기 제1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된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일정크기(직경 40㎜)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굵은 골재를 형성하는 마쇄유닛(300);
    상기 마쇄유닛(300)의 파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는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
    상기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와 직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하는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이하 골재를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20);
    상기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를 선별하는 모래 선별유닛(700); 및
    상기 골재 사이즈별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초과 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30); 를 포함하되,

    상기 분진 여과 처리유닛(400)은
    상기 마쇄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면에는 분진 유입홀(411)이 다수 형성되고 후면에는 환풍기(412)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공간부(413)가 형성되는 분진 처리 하우징(410);
    상기 공간부(413) 안으로 유입된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413)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롤러(420);
    상기 필터 롤러(420)를 회전시키는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
    상기 필터 롤러(420)의 표면에 흡착된 분진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롤러(420)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공간부(413) 안에 고정 설치되는 브러쉬(440);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을 지지(지탱)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450);
    상기 공간부(413)의 하측(바닥)에 낙하된 분진을 포집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모듈(460);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과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 모듈(470); 및
    상기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과 상기 분진 배출모듈(4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전모듈(480); 을 포함하며,

    상기 모래 선별유닛(700)은
    베이스 프레임(710);
    상기 베이스 프레임(7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에는 힌지(721)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722)이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서포트 플레이트(720);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7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직경 40㎜ 이하 골재 중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왕사)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부에 호퍼(731)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공간부(732)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선별한 모래를 배출하기 위한 모래 배출홀(733)이 형성되는 선별 하우징(730);
    상기 호퍼(731)를 통해서 유입된 골재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 홀(741)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732) 안에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740);
    상기 스크린(740)을 통과한 잔골재에서 직경 10㎜ 이하 모래를 분리하여 상기 모래 배출홀(733)을 통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740)의 하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 및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경사형 골재 분리 플레이트(750)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선별 하우징 회동모듈(760); 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재활용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모듈(760)은
    상기 선별 하우징(73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막대(761);
    상기 연장 막대(761)의 끝단부에 일단부가 힌지(762a)로 결합하는 링크(762);
    구동모터(765)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링크(762)의 타단부가 편심되어 힌지(762b)로 연결되는 제1 회전 원판(763); 및
    벨트(766)에 의해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원판(764); 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765)의 작동시, 상기 제1 회전 원판(76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링크(762)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상기 선별 하우징(730)을 일정각도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재활용하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스크린(74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 원판(764)에 편심되어 힌지(811)로 연결되는 와이어(810)를 구비하는 아암(830); 및
    상기 와이어(81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82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회전 원판(76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810)가 선택적으로 당겨져서 상기 스크린(7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재활용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롤러(420)는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다수의 미세공(421b)을 가지고 내부에 공간부(421a)를 갖는 필터 롤러 하우징(421); 및 상기 필터 롤러 하우징(421)의 회전을 위한 중공의 샤프트(422); 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분진 유입홀(411)을 통해서 유입된 분진은 필터 롤러 하우징(421)에 의해서 걸러진 후, 공기는 미세공(421b)을 통해서 공간부(421a) 안으로 유입된 후 샤프트(422) 내부를 경유하여 배출되며, 분진이 여과된 공기는 환풍기(412)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재활용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롤러 구동모듈(430)은 구동모터(431), 구동모터(431)의 회전 샤프트(432)에 설치되는 제1 베벨기어(433), 그리고 제1 베벨기어(433)에 치합되도록 샤프트(422)의 외주에 설치되는 제2 베벨기어(434)로 구성되고,
    상기 분진 배출모듈(460)은 공간부(413)의 하측(바닥)에 낙하된 분진을 포집하고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부(4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463); 상기 공간부(413)의 하측에 낙하된 분진을 가압하여 배출하기 위한 푸시로드(462); 및 상기 푸시로드(46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61); 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흡수 모듈(47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레그(472)를 구비하는 서포트 프레임(471); 상기 서포트 프레임(4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473);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471)과 상기 완충 스프링(473)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부는 상기 레그(472)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다운 프레임(47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중 파쇄 및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재활용하는 장치.
KR1020220072467A 2022-06-14 2022-06-14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KR10246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467A KR102468125B1 (ko) 2022-06-14 2022-06-14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467A KR102468125B1 (ko) 2022-06-14 2022-06-14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125B1 true KR102468125B1 (ko) 2022-11-18

Family

ID=8423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467A KR102468125B1 (ko) 2022-06-14 2022-06-14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1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148B1 (ko) 2023-02-14 2023-07-19 천지환경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볼 밀링 연속 공정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 장치
CN116551849A (zh) * 2023-06-08 2023-08-08 江苏鹿晶新材料科技有限公司 基于固体废弃物的高强度再生混凝土生产方法及设备
CN116871284A (zh) * 2023-09-07 2023-10-13 烟台锐铭金属材料有限公司 办公室用碎纸机
CN117066122A (zh) * 2023-10-11 2023-11-17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950Y1 (ko) * 2001-12-31 2002-04-06 황국현 유기질비료용 선별기
KR200346606Y1 (ko) * 2004-01-05 2004-04-0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KR100465313B1 (ko) * 2004-06-10 2005-01-13 우광개발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KR200424354Y1 (ko) * 2006-05-30 2006-08-18 김이업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1805768B1 (ko) * 2016-05-24 2017-12-07 주식회사 성진플랜트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102212190B1 (ko) 2020-12-24 2021-02-08 유한회사 도성개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KR20210148459A (ko) * 2020-05-28 2021-1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성능 아스팔트용 단입도 슬래그 골재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950Y1 (ko) * 2001-12-31 2002-04-06 황국현 유기질비료용 선별기
KR200346606Y1 (ko) * 2004-01-05 2004-04-01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KR100465313B1 (ko) * 2004-06-10 2005-01-13 우광개발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KR200424354Y1 (ko) * 2006-05-30 2006-08-18 김이업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1805768B1 (ko) * 2016-05-24 2017-12-07 주식회사 성진플랜트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20210148459A (ko) * 2020-05-28 2021-1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성능 아스팔트용 단입도 슬래그 골재 생산방법
KR102212190B1 (ko) 2020-12-24 2021-02-08 유한회사 도성개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148B1 (ko) 2023-02-14 2023-07-19 천지환경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볼 밀링 연속 공정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 장치
CN116551849A (zh) * 2023-06-08 2023-08-08 江苏鹿晶新材料科技有限公司 基于固体废弃物的高强度再生混凝土生产方法及设备
CN116551849B (zh) * 2023-06-08 2024-02-02 江苏鹿晶新材料科技有限公司 基于固体废弃物的高强度再生混凝土生产方法及设备
CN116871284A (zh) * 2023-09-07 2023-10-13 烟台锐铭金属材料有限公司 办公室用碎纸机
CN116871284B (zh) * 2023-09-07 2023-11-03 烟台锐铭金属材料有限公司 办公室用碎纸机
CN117066122A (zh) * 2023-10-11 2023-11-17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CN117066122B (zh) * 2023-10-11 2023-12-19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1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KR102212190B1 (ko)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CN103488070B (zh) 一种硒鼓回收系统及回收方法
KR20130138626A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CN112121909A (zh) 一种建筑垃圾粉碎分级处理装置
CN117065890B (zh) 一种利用固废制造水泥的破碎处理装置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2934348A (zh) 一种机制砂的干法无尘环保制砂设备
CN113117797A (zh) 一种土木工程建筑施工用废料处理装置
US7780011B2 (en) Mobile metal reclamation soil process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CN110523626B (zh) 一种磁铁矿预处理设备
CN111570061A (zh) 一种节能环保型建筑垃圾粉碎回收装置及回收方法
CN109012860B (zh) 混凝土回收物料破碎装置
CN116889914A (zh) 基于固粉分离的建筑施工用垃圾回收设备
CN116493110A (zh) 一种预拌混凝土用再生骨料制备装置
CN116020645A (zh) 一种物料粉筛自动化设备以及方法
KR100523520B1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CN213568158U (zh) 一种砂石运输装置
CN111468222B (zh) 一种建筑垃圾用分类筛选装置
CN212215775U (zh) 一种防止扬尘的建筑垃圾综合利用设备
KR100519502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용 오토스크러빙밀 장치
CN216225293U (zh) 一种高效市政工程建设用砂石筛分装置
KR101078274B1 (ko) 순환굵은골재 미립분 제거장치
KR100523244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CN115212995B (zh) 一种建筑余料破碎分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