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190B1 -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190B1
KR102212190B1 KR1020200182808A KR20200182808A KR102212190B1 KR 102212190 B1 KR102212190 B1 KR 102212190B1 KR 1020200182808 A KR1020200182808 A KR 1020200182808A KR 20200182808 A KR20200182808 A KR 20200182808A KR 102212190 B1 KR102212190 B1 KR 10221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grinding
unit
aggregat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칠중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도성개발
주식회사 도성환경개발
(주) 도성이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도성개발, 주식회사 도성환경개발, (주) 도성이엔에이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도성개발
Priority to KR102020018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 골재 파쇄유닛을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 처리유닛에서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여 작업장의 작업현장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분진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고압으로 압축하고 가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여 운반이 쉽고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선별하여 재생산하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REGENERATIVE APPARATUS OF RECYCLING AGGREGATE FOR ROAD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재 생산할 수 있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의 재개발과 도로의 보수 및 굴착과 덧씌우기 등으로 최근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대부분의 건설폐기물이 단순 매립 성토, 복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는 물론 각종 제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이의 적극적인 재활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사용되는 처리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해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거나 등록된 상태에 있다.
그러나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고 등록되어 건설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라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건설폐기물을 제반법규에 적합한 정도의 고품질의 품질상태로 재생하여 규정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재생골재를 얻기란 업계 및 폐 골재처리장치의 현 기술수준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종래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장치는 대형의 고형화된 폐 콘크리트나 폐 아스팔트 및 각종 건설 부자재 등을 소정의 미립질로 파쇄, 분류하는 파쇄장치 및 선별장치가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종래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장치에 의해 파쇄, 분류된 폐기물은 통상 건설 및 토목분야에서 단순 매립, 성토, 복토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보통의 골재와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재생 골재로 이용되는 방법이 있으나, 종래 장치에 의해 재생된 폐 골재는 관련 규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재생골재에 많은 토분이나 석분 및 금속 폐기물,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거나 불규칙한 입도 등으로 재생골재의 전체적인 품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재생골재의 제반규정에 부적합한 제품이 생산되어 그 이용이 기피되고 적당한 활로를 찾지 못해 막대한 설비와 비용이 소요된 건설폐기물 업체의 수익성이 개선되지 못해 기술개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종래 건설폐기물 중간 처리장치는,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얻기 위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제거하기 위해 파쇄된 폐 골재가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세척수가 담긴 수조를 통과하게 하여 재생골재에 묻어 있는 토분과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되고, 세립의 재생골재를 얻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과정이 수회 반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가 더욱 복잡해지고, 사용된 세척수의 오염상태가 심해 이의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 하단에 송풍기를 설치하고, 송풍기의 반대편에는 이물질수거함을 설치하여 낙하되는 골재에 함유된 이물질이 풍력에 의해 분리되어 반대편에 설치된 이물질수거함으로 집진됨으로써, 선별된 골재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송풍기의 풍압에 의해 이물질 수거함으로 흡입된 이물질이 이물질수거함 내측에서 와류되어 다시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재생골재의 이물질 선별능력을 저하시켜 결국 고품질의 재생골재가 생산되는 것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567호(2015.03.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직경 40㎜ 이하)를 선별하여 재생산할 수 있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 콘크리트, 폐아스콘, 적벽돌 등의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폐 골재에 붙어 있는 시멘트나 아스팔트를 분리하여 고순도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는,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폐 골재 파쇄유닛;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일정크기(직경 약 40㎜)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굵은 골재를 형성하는 마쇄유닛; 상기 마쇄유닛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커버; 상기 비산커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는 분진 처리유닛; 상기 분진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고압으로 압축하고 가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는 고압 압축 유닛; 상기 마쇄유닛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이하 골재와 직경 40㎜초과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유닛; 상기 선별 유닛에서 선별한 직경 40㎜이하 골재를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선별유닛에서 선별한 직경 40㎜초과 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부에 폐 골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일정크기(직경 80㎜이하)의 폐 골재만 배출하기 위한 폐 골재 배출홀이 다수 형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Y축 리드스크류; 상기 Y축 리드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상기 Y축 리드스크류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동블록; 상기 제1 가동블록에 X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X축 리드스크류; 상기 X축 리드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동블록에 설치되는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상기 X축 리드스크류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동블록에 설치되는 제2 가동블록; 폐 골재를 파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가동블록에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 및 상기 드릴을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가동블록에 설치되는 드릴 구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로 파쇄한다.
또한, 상기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 브라켓; 상기 경사 브라켓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경사 브라켓의 하단부에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 사이로 낙하는 폐 골재를 가이드 하는 경사 받침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쇄유닛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일정크기(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일정크기(높이 40㎜)로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쇄유닛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일정크기(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일정크기(높이 40㎜)로 형성되며, 중간에는 원형홀이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 상기 원형홀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에는 파쇄용 쇄기가 다수 형성되는 파쇄용 회전판;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 안의 일측에는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진동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진동모터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에는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파쇄용 회전판의 상면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파쇄용 회전판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 처리유닛은,
분진 처리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부;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물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노즐이 다수 형성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축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판 구동모터; 분진 처리 하우징의 실내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분진 처리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 배출 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 양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을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외부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스크류;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압 압축 유닛은,
내부에 분진을 유입하기 위한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압축 금형; 상기 압축금형 안을 진공으로 형성하는 진공장치; 상기 압축 금형 안에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피스톤; 상기 가압 피스톤을 업다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는 압축기; 및 상기 분진블록에 열을 가하여 건조하는 히터;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마쇄유닛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를 상기 제2 콘베이어로 공급하는 경사 스크린; 및 상기 마쇄유닛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를 상기 제3 콘베이어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스크린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푸시롤러 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푸시롤러 부재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롤러;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 골재 파쇄유닛을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 처리유닛에서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여 작업장의 작업현장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분진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고압으로 압축하고 가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여 운반이 쉽고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선별하여 재생산하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 골재 파쇄유닛 및 마쇄유닛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 골재 파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진 처리유닛 및 고압 압축 유닛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쇄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건설 폐기물(이하, "폐 골재"라 한다)은 그 주류를 이루는 콘크리트이나 아파트 및 주택 벽채와 기타 등을 적정한 입도 크기로 파쇄, 분류 선별 파쇄하여 매립용이나 성토용의 재생골재로 재 사용하는데, 이러한 폐 골재의 파쇄 및 분류 선별하는 장치의 구성으로 폐 골재를 파쇄하는 마쇄기와 선별장치가 구비되고, 분진을 처리하는 분진 처리유닛과, 그 분진을 이용하여 분진블록을 성형하는 고압 압축 유닛, 그리고 폐 골재 및 파쇄된 폐 골재를 각 장치로 이동시키고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용 콘베이어가 설치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 골재 파쇄유닛 및 마쇄유닛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 골재 파쇄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진 처리유닛 및 고압 압축 유닛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 제1 컨베이어(10);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200); 마쇄유닛(300); 비산커버(20); 분진 처리유닛(400); 고압 압축 유닛(500); 선별유닛(600); 제2 컨베이어(30); 및 제3 컨베이어(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폐 골재 파쇄유닛(100)은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한다. 여기서, X축, Y축은 평면 상에서 좌우방향을 말하며, Z축은 수직방향(높낮이 방향)을 말한다.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은 지지 프레임(101), Z축 리드스크류(102),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3), 가동 프레임(110), Y축 리드스크류(104),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5), 제1 가동블록(120), X축 리드스크류(106),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7), 제2 가동블록(130), 드릴(108), 및 드릴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100)은 드릴(108)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일정 사이즈(예를 들어, 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1)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부에 폐 골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S)가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 일정크기(직경 80㎜ 이하) 폐 골재만 배출하기 위한 폐 골재 배출홀(H)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Z축 리드스크류(102)는 지지 프레임(101)의 상부 양쪽에 Z축방향(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한 쌍의 Z축 리드스크류(102)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3)는 Z축 리드스크류(102)를 구동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0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동 프레임(110)은 Z축 리드스크류(102)를 따라 Z축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Y축 리드스크류(104)는 가동 프레임(110)의 상부 양쪽에 Y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5)는 Y축 리드스크류(104)를 구동하기 위하여 가동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 가동블록(120)은 Y축 리드스크류(104)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X축 리드스크류(106)는 제1 가동블록(120)에 X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7)는 X축 리드스크류(106)를 구동하기 위하여 제1 가동블록(120)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가동블록(130)은 X축 리드스크류(106)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가동블록(1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드릴(108)은 폐 골재를 파쇄하기 위하여 제2 가동블록(130)에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드릴 구동부(140)는 드릴(108)을 회전하기 위하여 제2 가동블록(130)에 설치된다.
상기 드릴 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1)와 그 구동모터(141)의 회전력을 드릴(108)에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142,14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는, 지지 프레임(101)의 공간부(S) 안에 큰 사이즈의 폐 콘크리트 및 폐 골재를 수용한다.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5)가 구동하여 Y축 리드스크류(104)를 회전함에 따라, 제1 가동블록(120)이 Y축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7)가 구동하여 X축 리드스크류(106)를 회전함에 따라, 제2 가동블록(130)이 X축을 따라 이동한다.
그 다음,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103)가 구동하여 Z축 리드스크류(102)를 회전함에 따라 가동 프레임(110)을 상하로 이동하여서 드릴(108)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 다음, 드릴 구동부(140)의 구동으로 드릴(108)을 회전시켜서 특정 위치의 폐 골재를 파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10)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마쇄유닛(300) 쪽으로 공급한다.
또한,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200)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폐 골재 파쇄유닛(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200)는, 지지 프레임(11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 브라켓(210); 경사 브라켓(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220); 및 경사 브라켓(210)의 하단부에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 롤러(220) 사이로 낙하는 폐 골재를 가이드 하는 경사 받침대(230); 를 포함한다.
상기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지지 프레임(101)의 바닥면에 형성된 일정크기(직경 80㎜ 이하) 폐 골재 배출홀(H)을 통해서 폐 골재가 배출된 후, 가이드 롤러(220) 위로 떨어지고 그 가이드 롤러(220)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제1 컨베이어(10)로 공급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220) 사이의 틈새로 약 직경 80㎜ 이하 폐 골재가 유입된 후 경사 받침대(230) 위로 떨어지고 경사 받침대(230)에 의해 가이드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한 후, 별도의 공정을 거쳐서 선별유닛(600)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쇄유닛(300)은 제1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된 직경 80㎜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80㎜ 이하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40㎜ 이하 굵은 골재를 형성한다.
상기 마쇄유닛(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쇄유닛(300)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높이 40㎜로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0); 및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340); 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의 높이는 골재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선별유닛(600)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의 바닥면에는 굴곡면이 형성되어 골재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진동모터(340)는 제1 진동모터(341)와 제2 진동모터(342)가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진동모터(341)는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고, 제2 진동모터(342)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상하로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진동모터(341)와 제2 진동모터(342)는 연결축(343)에 의해서 각각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343)은 진동모터의 동력(진동)을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모터(340)는,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이브레이터라고도 칭한다.
진동모터(340)의 구동에 관한 물리적인 원리는 자기장 내에 놓여 있는 도체는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바탕으로 하고 있고,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에서의 전자계 중개에 의하여 전기에너지가 토크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진동모터(340)는 크기와 그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고, 특히 정보 통신 산업의 성장에 부응하여 통신 단말기의 진동호출용 진동모터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용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진동모터로는 코인형(Coin type)과 실린더 또는 바형(Cylinder or Bar type)으로 대별된다.
진동모터의 주 원리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코일과 철심(마그네트)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고정된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은 전류의 방향과 전류의 세기 및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자인 마그네트를 포함한 자기회로를 운동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마쇄유닛(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진동모터(340)가 구동하여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진동시킨다. 이때, 스프링(330)에 의해서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가 업다운 운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마쇄유닛(300)의 입구측은 일정크기, 예를 들어 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높이 40㎜로 형성되는 바, 입구 안으로 직경 80㎜의 폐 골재가 유입되면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의 업다운 운동에 의해서 폐 골재는 직경 40㎜ 이하로 파쇄되고 연마된 후, 출구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비산커버(20)는 마쇄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쇄유닛(300) 외부를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진 처리유닛(400)은, 비산커버(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산커버(20) 내부의 분진(흙먼지, 매우 작은 잔골재, 이물질 등)을 흡입하고 처리한다.
상기 분진 처리유닛(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진 처리유닛(400)은, 분진 처리 하우징(410)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부(420);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내부에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축(430); 회전축(430)에 설치되며, 물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노즐(441)이 다수 형성되는 회전원판(440); 회전축(430)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판 구동모터(450);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실내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분진 처리 하우징(410)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 배출 팬(460);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 양을 감지하는 센서(470); 및 센서(470)에 따라 작동하여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을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외부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스크류(480); 를 포함한다.
상기 분진 처리유닛(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마쇄유닛(300)의 작동으로 인하여 비산커버(20) 내부에 비산 먼지 등이 발생하며, 분진 흡입부(420)가 구동하여 분진을 분진 처리 하우징(410) 안으로 흡입한다.
그 다음, 회전판 구동모터(450)가 구동하여 회전원판(440)을 회전함과 동시에 물을 분무노즐(441)을 통해서 분무하여서 비산 먼지등을 분진 처리 하우징(410) 바닥으로 낙하시킨다.
센서(470)는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저면에 적층된 분진 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며, 제어부에서는 필요시에 분진 흡입부(420) 및 회전판 구동모터(450)를 구동하도록 하며, 배출 스크류(480)를 구동하여서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바닥에 적층된 비산 먼지 등을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외부로 자동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압 압축 유닛(500)은 분진 처리유닛(400)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고압으로 압축하고 가열하여 분진블록(B)을 형성한다.
상기 고압 압축 유닛(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압 압축 유닛(500)은, 내부에 분진을 유입하기 위한 압축공간(511)을 형성하는 압축 금형(510); 압축금형(510) 안을 진공으로 형성하는 진공장치(520); 압축 금형(510) 안에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피스톤(530); 가압 피스톤(530)을 업다운하여 분진블록(B)을 형성하는 압축기(540); 및 분진블록(B)에 열을 가하여 건조하는 히터(550); 를 포함한다. 압축 금형(510)의 압축공간(511)의 입구측과 출구축에는 도어(512,513)가 설치된다.
상기 고압 압축 유닛(5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배출 스크류(480)가 구동하여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바닥에 적층된 비산 먼지 등을 분진 처리 하우징(410)의 외부로 자동 배출하면, 압축 금형(510)의 압축공간(511) 안으로 비산 먼지 등이 유입된다.
도어(512,513)가 압축공간(511)을 차단한 후, 진공장치(520)가 압축금형(510) 안을 진공으로 형성하며, 압축기(540)가 가압 피스톤(530)를 업다운 하여서 분진블록(B)을 형성한다. 그 다음, 히터(550)는 분진블록(B)에 열을 가하여 건조한 후, 배출한다.
또한, 상기 선별유닛(600)은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약 40㎜ 이하 골재와 직경 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한다.
상기 선별유닛(6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별유닛(600)은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를 제2 콘베이어(30)로 공급하는 경사 스크린(610); 및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잔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를 제3 콘베이어(40)로 공급하기 위하여 경사 스크린(610)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푸시롤러(620); 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푸시롤러 부재(62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622); 회전롤러(622)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아암(623); 및 아암(6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롤러(624);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별유닛(6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경사 스크린(610) 위에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직경 40㎜ 내외)를 공급하면, 그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는 경사 스크린(610)을 통과하여 제2 콘베이어(30)로 공급되며,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는 경사 스크린(610) 위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회전 푸시롤러 부재(620)가 회전하면서 직경 40㎜초과 굵은 골재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제3 콘베이어(40)로 공급하도록 한다.
즉, 회전 푸시롤러 부재(620)의 작동을 살펴보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롤러(622)가 회전하며, 푸시롤러(624)가 회전하면서 직경 40㎜ 초과 굵은 골재를 밀어내어 제3 콘베이어(40)로 공급한다. 이때 아암(623)이 회전롤러(622)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롤러(624)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직경 40㎜ 초과 굵은 골재를 제3 콘베이어(4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베이어(30)는 선별 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이하 골재를 이송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40)는 선별유닛(600)에서 선별한 직경 40㎜ 초과 골재를 이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에서는, 폐 골재 파쇄유닛(100)에서 폐 콘크리트 등의 대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직경 80㎜ 이하의 폐 골재로 파쇄하여 제1 컨베이어(10)에 공급할 수 있고, 제1 컨베이어(10)에서 마쇄유닛(300) 안으로 직경 80㎜ 폐 골재를 공급하면, 마쇄유닛(300)에서는 진동에 의한 업다운 운동을 이용하여 직경 40㎜의 굵은 골재를 형성한다.
마쇄과정에서는 먼지, 이물질 등의 비산먼지를 발생하는데, 분진 처리유닛(400)은 마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이물질 등의 비산먼지를 포집하며, 고압 압축 유닛(500)은 포집한 이물질 등의 분진을 분진블록(B)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생산한 분진블록(B)은 별도의 공정으로 이동하여 재활용한다.
그 다음, 선별유닛(600)은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와 직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하는바,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를 제2 콘베이어(30)로 공급하며, 마쇄유닛(300)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를 제3 콘베이어(40)로 공급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쇄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쇄유닛(300A)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일정크기(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일정크기(높이 40㎜)로 형성되며, 중간에는 원형홀(321)이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상기 원형홀(321)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에는 파쇄용 쇄기(351)가 다수 형성되는 파쇄용 회전판(350);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30); 및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341,342: 도 1 참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쇄유닛(300A)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진동모터(340)가 구동하여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를 진동시킨다. 이때, 스프링(330)에 의해서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가 업다운 운동을 반복적으로 하며, 마쇄유닛(300) 입구 안으로 직경 80㎜의 폐 골재가 유입되면 마쇄 경사 플레이트(320)의 업다운 운동에 의해서 폐 골재는 직경 40㎜ 이하로 파쇄되고 연마된 후, 출구로 배출된다.
상기 파쇄용 회전판(350)은 회전하며, 파쇄용 쇄기(351)에 의해서 폐 골재를 효율적으로 파쇄하고 연마하도록 하여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한다.
더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용 회전판(350)의 상면 중심에는 회전축(35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52)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하는 풀리(P) 및 벨트(V)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52)을 중심으로 상기 파쇄용 회전판(350)이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폐 골재를 더욱 효율적으로 파쇄하고 연마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 골재 파쇄유닛을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폐 골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사이즈, 예를 들어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정밀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 처리유닛에서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여 작업장의 작업현장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분진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고압으로 압축하고 가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여 운반이 쉽고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중간처리 과정을 거쳐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를 선별하여 재생산하며,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생산하는 골재 사이즈는 본 발명의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생산에 따라 골재 사이즈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 컨베이어
20: 비산커버
30: 제2 컨베이어
40: 제3 컨베이어
100: 폐 골재 파쇄유닛
101: 지지 프레임
102: Z축 리드스크류
103: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104: Y축 리드스크류
105: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106: X축 리드스크류
107: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108: 드릴
110: 가동 프레임
120: 제1 가동블록
130: 제2 가동블록
140: 드릴 구동부
141: 구동모터
200: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
210: 경사 브라켓
220: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
230: 경사 받침대
300: 마쇄유닛
310: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
320: 마쇄 경사 플레이트
330: 스프링
340: 진동모터
341: 제1 진동모터
342: 제2 진동모터
400: 분진 처리유닛
410: 분진 처리 하우징
420: 분진 흡입부
430: 회전축
440: 회전원판
441: 분무노즐
450: 구동모터
460: 에어 배출 팬
470: 센서
480: 분진 배출스크류
500: 고압 압축 유닛
511: 압축공간
510: 압축 금형
520: 진공장치
530: 가압 피스톤
540: 압축기
550: 히터
512,513: 도어
600: 선별유닛
610: 경사 스크린
620: 회전 푸시롤러
622: 회전롤러
623: 아암
624: 푸시롤러
B: 분진블록
S: 지지 프레임의 공간부

Claims (10)

  1. X축, Y축, Z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직경 80㎜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폐 골재 파쇄유닛;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폐 골재를 진동시켜서 일정크기(직경 40㎜)로 파쇄하고 그라인딩하여 굵은 골재를 형성하는 마쇄유닛;
    상기 마쇄유닛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커버;
    상기 비산커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산커버 내부의 분진을 흡입하고 처리하는 분진 처리유닛;
    상기 분진 처리유닛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고압으로 압축하고 가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는 고압 압축 유닛;
    상기 마쇄유닛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와 직경 40㎜ 초과 골재를 선별하는 선별유닛;
    상기 선별 유닛에서 선별한 직경 40㎜이하 골재를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선별유닛에서 선별한 직경 40㎜ 초과 골재를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은,
    지면에 고정되며, 상부에 폐 골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일정크기(직경 80㎜ 이하) 폐 골재만 배출하기 위한 폐 골재 배출홀이 다수 형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Z축방향으로 설치되는 Z축 리드스크류;
    상기 Z축 리드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Z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상기 Z축 리드스크류를 따라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Y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Y축 리드스크류;
    상기 Y축 리드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Y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상기 Y축 리드스크류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동블록;
    상기 제1 가동블록에 X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X축 리드스크류;
    상기 X축 리드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가동블록에 설치되는 X축 리드스크류 구동모터;
    상기 X축 리드스크류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동블록에 설치되는 제2 가동블록;
    폐 골재를 파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가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 및
    상기 드릴을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가동블록에 설치되는 드릴 구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폐 골재를 일정크기로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 골재 이송 경사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 브라켓;
    상기 경사 브라켓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폐 골재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폐 골재를 상기 제1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경사 브라켓의 하단부에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정 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 사이로 낙하는 폐 골재를 가이드 하는 경사 받침대;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쇄유닛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일정크기(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일정크기(높이 40㎜)로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쇄유닛은,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입구측은 일정크기(높이 80㎜)로 형성되고, 출구측은 일정크기(높이 40㎜)로 형성되며, 중간에는 원형홀이 형성되는 마쇄 경사 플레이트;
    상기 원형홀 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에는 파쇄용 쇄기가 다수 형성되는 파쇄용 회전판;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마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마쇄 경사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된 폐 골재를 마쇄하는 진동모터;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쇄용 회전판의 상면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파쇄용 회전판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진 처리유닛은
    분진 처리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부;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Z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물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노즐이 다수 형성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축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판 구동모터;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실내공기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분진 처리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 배출 팬;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을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배출 스크류;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 양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적층된 분진을 상기 분진 처리 하우징의 외부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스크류;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압 압축 유닛은,
    내부에 분진을 유입하기 위한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압축 금형;
    상기 압축금형 안을 진공으로 형성하는 진공장치;
    상기 압축 금형 안에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피스톤;
    상기 가압 피스톤을 업다운하여 분진블록을 형성하는 압축기; 및
    상기 분진블록에 열을 가하여 건조하는 히터;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마쇄유닛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이하 골재를 상기 제2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경사 스크린; 및
    상기 마쇄유닛에서 형성한 굵은 골재 중 직경 40㎜ 초과 골재를 상기 제3 컨베이어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스크린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푸시롤러 부재;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 푸시롤러 부재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롤러; 를 포함하는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KR1020200182808A 2020-12-24 2020-12-24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KR10221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808A KR102212190B1 (ko) 2020-12-24 2020-12-24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808A KR102212190B1 (ko) 2020-12-24 2020-12-24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190B1 true KR102212190B1 (ko) 2021-02-08

Family

ID=7456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808A KR102212190B1 (ko) 2020-12-24 2020-12-24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1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3447A (zh) * 2022-03-17 2022-06-24 郑海涛 水产养殖用翻动软化式石灰预破碎机
CN114994194A (zh) * 2022-05-09 2022-09-02 广东安纳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中丙二酸的测定方法及装置
KR102468125B1 (ko) 2022-06-14 2022-11-18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CN115430683A (zh) * 2022-09-18 2022-12-06 临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用混凝土固体废弃物回收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635B1 (ko) * 1997-10-24 2000-06-15 이삼채 스티로폼 재생장치
KR100844309B1 (ko) * 2007-01-29 2008-07-07 삼흥산업개발 (주) 폐 콘크리트 골재의 마쇄장치
KR100896509B1 (ko) * 2008-05-27 2009-05-08 (주)우리기업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1504567B1 (ko) 2014-07-16 2015-03-30 민원 균등량 공급 장치를 설치한 콘크러셔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그 생산 방법
KR101828413B1 (ko) * 2017-05-02 2018-02-13 임점모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635B1 (ko) * 1997-10-24 2000-06-15 이삼채 스티로폼 재생장치
KR100844309B1 (ko) * 2007-01-29 2008-07-07 삼흥산업개발 (주) 폐 콘크리트 골재의 마쇄장치
KR100896509B1 (ko) * 2008-05-27 2009-05-08 (주)우리기업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1504567B1 (ko) 2014-07-16 2015-03-30 민원 균등량 공급 장치를 설치한 콘크러셔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그 생산 방법
KR101828413B1 (ko) * 2017-05-02 2018-02-13 임점모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3447A (zh) * 2022-03-17 2022-06-24 郑海涛 水产养殖用翻动软化式石灰预破碎机
CN114994194A (zh) * 2022-05-09 2022-09-02 广东安纳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中丙二酸的测定方法及装置
CN114994194B (zh) * 2022-05-09 2024-04-09 广东安纳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中丙二酸的测定方法及装置
KR102468125B1 (ko) 2022-06-14 2022-11-18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CN115430683A (zh) * 2022-09-18 2022-12-06 临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用混凝土固体废弃物回收处理装置
CN115430683B (zh) * 2022-09-18 2023-07-04 临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用混凝土固体废弃物回收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190B1 (ko)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재생장치
KR1024681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KR101762405B1 (ko) 순환 골재 제조방법
KR100544233B1 (ko) 공기순환형 이물질, 미분 제거수단을 포함한 양질의순환골재 생산 방법 및 그 장치
KR101479188B1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CN107866322A (zh) 一种矿石破碎震动筛选装置
CN110230244B (zh) 一种细集料自抛丸的沥青铣刨料处置系统及方法
KR101787091B1 (ko) 순환 굵은 골재 및 순환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KR101676664B1 (ko) 공기 흐름과 중력을 이용한 미분 분급장치
JP4157505B2 (ja) 残骨灰処理システムおよび残骨灰処理方法
CN110523626B (zh) 一种磁铁矿预处理设备
CN109012860B (zh) 混凝土回收物料破碎装置
KR100523520B1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CN214132087U (zh) 一种涂料立式磨粉机的磨粉装置
CN113522935A (zh) 一种建筑废料回收系统
CN111468222B (zh) 一种建筑垃圾用分类筛选装置
CN111545297A (zh) 一种建筑垃圾处理用分类和可调节粉碎颗粒规格的装置
KR100519502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용 오토스크러빙밀 장치
KR101787092B1 (ko) 순환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CN220277619U (zh) 一种防废料卡死的固体废物筛分设备
KR20080094219A (ko) 해머를 이용한 건축 폐기물 분쇄장치
JP2004238274A (ja) 再生骨材の製造方法
CN107737718A (zh) 一种振动筛
CN216225293U (zh) 一种高效市政工程建设用砂石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