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405B1 - 순환 골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순환 골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405B1
KR101762405B1 KR1020160176445A KR20160176445A KR101762405B1 KR 101762405 B1 KR101762405 B1 KR 101762405B1 KR 1020160176445 A KR1020160176445 A KR 1020160176445A KR 20160176445 A KR20160176445 A KR 20160176445A KR 101762405 B1 KR101762405 B1 KR 10176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crete
water
sorting
bel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샌드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샌드플랜트 filed Critical (주)한국샌드플랜트
Priority to KR102016017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 Y02W30/95

Abstract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순환 골재를 제조하여 유한 자원인 골재의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연 자원인 골재의 채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건물이 철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건설폐기물들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폐콘크리트를 분류하는 폐콘크리트 분류단계(S100)와, 철근이 분리되도록 폐콘크리트를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폐콘크리트 절단단계(S200)와, 절단된 폐콘크리트를 가격하여 파쇄하는 조크러셔(100)를 이용하는 폐콘크리트 파쇄단계(S3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철재를 자력으로 선별하는 철재선별부재(600)를 이용하는 철재선별단계(S4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물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부유물 및 침전되는 미분을 선별하도록 이물질선별부재(500)를 이용하는 이물질선별단계(S500)와, 이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분쇄하는 콘크러셔(200)를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완성하는 폐콘크리트 분쇄단계(S600)와, 분쇄된 순환골재를 세척하여 순환골재에서 분리된 미분을 제거하도록 세척부재(300)를 이용하는 순환 골재 세척단계(S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 골재 제조방법{RECYCLED AGGREGAT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순환 골재를 제조하여 유한 자원인 골재의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연 자원인 골재의 채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는 건축, 토목용 구조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재료 구입이 용이하고 압축강도가 크며 내화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다.
그러나, 시멘트는 철강이나 목재처럼 재상용이 불가능하여 건물이나 교량의 철거시 많은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른 처리 비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골재 자원은 향후 20년 내에 고갈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남북문제의 주요 의제로 한강하구 개발로 인한 골재자원확보를 추구할 만큼 오늘날의 골재 부족현상은 매우 심각하다.
골재 자원의 특징은 자연으로부터 채취하게 됨으로 자연환경 훼손이라는 문제가 부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골재 자원문제의 해결방안의 핵심은 기존의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폐콘크리트는 단순히 파쇄하여 도로보조기층용 또는 성복토용과 같은 매립용으로만 사용되어 왔다. 정부는 1995년 재생골재에 대한 품질기준을 마련하여 재생골재의 품질을 확보하여 콘크리트 제조시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서 골재수급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따라서,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순환 골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고된 등록특허공보 10-0712077호(2007.04.20.)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순환 골재를 제조하여 유한 자원인 골재의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연 자원인 골재의 채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제조방법은, 건물이 철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건설폐기물들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폐콘크리트를 분류하는 폐콘크리트 분류단계(S100)와, 철근이 분리되도록 폐콘크리트를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폐콘크리트 절단단계(S200)와, 절단된 폐콘크리트를 가격하여 파쇄하는 조크러셔(100)를 이용하는 폐콘크리트 파쇄단계(S3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철재를 자력으로 선별하는 철재선별부재(600)를 이용하는 철재선별단계(S4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물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부유물 및 침전되는 미분을 선별하도록 이물질선별부재(500)를 이용하는 이물질선별단계(S500)와, 이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분쇄하는 콘크러셔(200)를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완성하는 폐콘크리트 분쇄단계(S600)와, 분쇄된 순환골재를 세척하여 순환골재에서 분리된 미분을 제거하도록 세척부재(300)를 이용하는 순환 골재 세척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순환 골재를 제조하여 유한 자원인 골재의 재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연 자원인 골재의 채취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자원고갈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크러셔에 의해 폐콘크리트가 파쇄되고, 철재선별부재에 의해 철근과 같은 철재가 선별되므로, 철재가 분리된 적정크기의 폐콘크리트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폐콘크리트를 물에 잠기게 한 상태에서 물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하고 흙과 같은 미분을 침지시켜서 분리하므로, 깨끗한 상태의 폐콘크리트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콘크러셔에 의해 폐콘크리트가 분쇄되어 다양한 크기의 순환골재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콘크러셔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에 의해 순환골재가 분쇄되는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순환 굵은 골재 및 순환 잔골재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순환골재가 세척될 수 있어서 순환골재에 남아 있는 폐시멘트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순환골재가 건조되어 순환골재에 습기가 제거되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착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크러셔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a)(b)(c)는 본 발명의 조크러셔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철재선별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철재선별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물질선별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크러셔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순환골재세척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순환골재건조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분류단계(S100)와, 폐콘크리트 절단단계(S200)와, 폐콘크리트 파쇄단계(S300)와, 철재선별단계(S400)와, 이물질선별단계(S500)와, 폐콘크리트 분쇄단계(S600)와, 순환 골재 세척단계(S700)와, 순환 골재 건조단계(S800)를 포함한다.
폐콘크리트 분류단계(S100)는 건물이 철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건설폐기물들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폐콘크리트를 분류한다. 즉, 건물이 철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 종류의 건설폐기물이 쏟아져 나온다. 이러한 건설폐기물들이 집하장에 모여진 후에 건설공사에 재활용이 가능한 폐콘크리트를 별도로 분류되어서 보관된다.
이와 같이, 사용가치가 없어져 버리는 폐콘크리트가 매립되어서 버려지지 않고 재활용될 수 있어서, 자원절약 및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폐콘크리트 절단단계(S200)는 철근이 분리되도록 폐콘크리트를 절단한다. 즉, 해머장치나 집게장치와 같은 절단장치에 의해 내력벽, 외벽, 기둥, 들보와 같은 폐콘크리트가 절단될 수 있다. 이때, 폐콘크리트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철근이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되는 폐콘크리트가 파쇄되기 위한 적정한 크기를 이루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폐콘크리트 파쇄단계(S300)는 절단된 폐콘크리트를 가격하여 파쇄하는 조크러셔(100)를 이용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크러셔(JAW CRUSHER)(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콘크리트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10)와, 안내부재(110)의 하부에서 일측에 구비되어 폐콘크리트의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부재(120)와, 안내부재(110)의 하부에서 타측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유동되어서 지지부재(120)에 지지되는 폐콘크리트의 타측을 가격하는 가격부재(130)와, 가격부재(130)를 반복적으로 밀고 당겨서 유동시키는 유동부재(140)를 포함한다.
안내부재(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콘크리트가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로(111)와, 경사로(111)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폐콘크리트에 접촉되어 폐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12)와, 경사로(1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의 사이로 폐콘크리트를 안내하는 호퍼(113)를 포함한다.
경사로(111)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과, 경사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외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판은 흙이나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폐콘크리트보다 작은 직경의 타공홀들이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12)는 경사로(1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4)와, 베이스부(114)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는 폐콘크리트에 접촉되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부(1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4)는 경사로(111)의 양측에 양단이 볼팅으로 연결되는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고, 충격완화부(115)는 베이스부(114)에 연결되는 로프, 쇠사슬, 탄성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완화부(115)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부(114)에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14)에 연결된 충격완화부(115)가 경사로(111)를 따라 이동되는 폐콘크리트들의 상부에 접촉되므로, 폐콘크리트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폐콘크리트들끼리 충돌되어서 상부로 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폐콘크리트의 튀어 오르는 힘이 충격완화부(115)에 전달되어 감쇄된다. 이에 의해, 폐콘크리트가 경사로(11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크레인에 의해 공급되는 폐콘크리트가 경사로(111)에서 슬라이딩되어서 호퍼(113)로 이동되어, 호퍼(113)에 의해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의 사이로 낙하되어서 공급될 수 있다.
지지부재(120)는 호퍼(113)의 하부에서 일측에 근접되거나 밀착되면서 기립되거나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20)는 폐콘크리트가 지지되는 면에 요철과 같은 굴곡이 형성될 수 있어서, 가격부재(130)에 의해 가격되는 폐콘크리트가 지지되면서 파쇄될 수 있다.
가격부재(130)는 호퍼(113)의 하부에서 타측에 근접되면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격부재(130)는 폐콘크리트가 가격되는 면에 요철과 같은 굴곡이 형성될 수 있어서, 가격부재(130)에 의해 가격되는 폐콘크리트가 파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는 호퍼(113)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지지부재(120)는 호퍼(113)의 내측에서 일측에 고정되고 가격부재(130)는 호퍼(113)의 내측에서 타측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호퍼(113)로 유입되는 폐콘크리트가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에 의해 파손되는 과정에서 호퍼(113)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가 호퍼(1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의 양측에 폐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외벽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격부재(130)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어서 가격부재(130)의 상부에 큰 크기의 폐콘크리트가 삽입된 후에, 가격부재(130)에 의해 작은 크기로 파쇄되는 폐콘크리트가 가격부재(13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유동부재(140)는 가격부재(130)에 일단 고정되어 외압에 의해 가격부재(130)를 왕복이동 시키는 이동부(141)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되는 회전부(142)와, 회전부(143)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회전되면서 타단이 이동부(141)를 왕복이동 시키도록, 왕복이동부(141)의 타단 및 회전부(143)의 타단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43)를 포함한다.
이동부(141), 회전부(142), 연결부(143)는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부(141)는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로 왕복이동이 안내될 수 있으며, 회전부(142)는 일단이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141)는 가이드부(144)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43)가 연속으로 회전되면 연결부(143)가 이동부(141)를 연속으로 왕복이동 시킴에 따라, 가격부재(130)가 왕복이동 되어서 폐콘크리트를 가격할 수 있다. 즉, 가격부재(130)가 지지부재(120)에서 멀어진 후 다시 가까워지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서 폐콘크리트를 연속으로 가격하므로, 단단한 폐콘크리트가 용이하게 파쇄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재(140)는 가격부재(130)를 진동시킬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폐콘크리트에 접촉된 상태로 가격부재(130)가 진동되면 폐콘크리트가 파쇄될 수 있다. 이때, 폐콘크리트는 파쇄되면서 골재에 부착되어 있던 폐시멘트가 분리될 수 있다. 즉, 폐콘크리트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순환골재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쇄된 폐콘크리트는 조크러셔(100)의 하부에 구비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컨베이어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철재선별단계(S400)는 파쇄된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철재를 자력으로 선별하는 철재선별부재(600)를 이용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선별부재(60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풀리(610)와, 풀리(610)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페콘크리트에 섞여있는 철재를 끌어당기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620)와, 자력부(620)를 포위하는 상태로 풀리(610)들에 설치되는 벨트(630)와, 벨트(630)에서 돌출되어 자력부(620)의 자력으로 벨트(630)에 부착되는 철재를 자력부(620)의 외측으로 이송시켜서 벨트(630)에서 탈리시키는 이송판(640)과, 자력부(620)에 고정된 상태로 신장되어서 벨트(630)를 지지하여 벨트(630)의 장력을 조절하는 벨트장력조절부(650)를 포함한다.
풀리(610)들은 자력부(6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페콘크리트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서 양측에 위치된다.
자력부(620)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이 자력케이스에 내장된다. 이러한, 자력부(620)는 벨트(630)의 내측에서 벨트(630)의 하부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즉, 자력부(620)의 자력이 벨트(630)의 하부를 통과하여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철재에 전달될 수 있다.
벨트(630)는 풀리(610)들에 개재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방향과 크로스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송판(640)은 복수로 구성되어 벨트(630)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에 의해 벨트(630)에 부착되는 철재가 이송판(64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즉, 이송판(640)에 의해 이송되는 철재가 자력에서 멀어지면 벨트(630)에서 탈리되어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벨트장력조절부(650)는 벨트(630)를 지지하는 보조풀리(651)와, 자력부(620)에 형성되어 보조풀리(65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652)와, 가이드(652)에서 상승되거나 하강된 상태의 보조풀리(651)를 가이드(65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653)를 포함한다.
보조풀리(651)는 양측의 중심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서 베어링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에는 고정부(653)에 결합되도록 나사축과 같은 수형고정부(654)가 돌출되어 있다. 즉, 베어링을 통해 수형고정부(654)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보조풀리(651)는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652)는 자력부(620)의 상부에 기립되고, 보조풀리(651)의 수형고정부(654)가 승강되기 위한 승강홀(655)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보조풀리(651)의 수형고정부(654)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656)이 승강홀(655)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된다.
승강홀(655)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므로 수형고정부(654)인 나사축이 승강될 수 있고, 고정홀(656)은 승강홀(655)의 상단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끝단이 아래로 절곡되게 형성되므로 수형고정부(654)인 나사축이 위치되면 하강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수형고정부(654)가 고정홀(656)에 위치되면 보조풀리(651)가 벨트(630)를 가압하여서 팽팽하게 긴장시키게 된다.
고정부(653)는 수형고정부(654)인 나사축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653)인 너트에 수형고정부(654)인 나사축이 나사결합되어서 가이드(652)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면 보조풀리(651)가 가이드(65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형고정부(654)가 가이드(652)의 승강홀(655)을 관통한 상태에서 보조풀리(651)가 상승되면 보조풀리(651)가 벨트(630)를 지지하므로, 벨트(630)의 상부가 자력부(620)의 상부에서 이격되면서 벨트(630)의 하부가 자력부(620)의 하부에 근접된다. 즉, 보조풀리(651)의 가압에 의해 벨트(630)가 팽팽한 긴장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수형고정부(654)인 나사축을 고정홀(656)로 이동시킨 후에 고정부(653)인 너트를 나사결합 시킨다. 즉, 보조풀리(651)가 가이드(652)에서 하강됨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벨트장력조절부(650)에 의해 벨트(63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어서, 벨트(630)가 팽팽하게 조절되면 벨트(63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벨트(630)가 느슨하게 조절되면 벨트(63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모터의 회전력이 풀리(610)들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어 벨트(63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컨베이어에 의해 폐콘크리트가 이송되면 자력부(620)의 자력에 의해 폐콘크리트에 섞여 있는 철재가 회전되는 벨트(630)에 부착된다. 이때, 벨트(630)가 회전되면서 벨트(630)에 부착된 철재가 자력부(620)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때, 벨트(63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판(640)에 의해 철재가 자력부(620)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벨트(630)에서 낙하되어 다른 컨베이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철재선별부재(600)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폐콘크리트에 섞여 있는 철근이나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철재가 선별될 수 있어서, 순수한 폐콘크리트만 다음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이물질선별단계(S500)는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물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부유물 및 침전되는 미분을 선별하도록 이물질선별부재(500)를 이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선별부재(500)는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폐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수조(510)와, 수조(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위로 떠오르는 부유물을 선별하여 수조(5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부유물선별부(520)와, 수조(510)의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고 수조(510)의 외측으로 타단이 배치된 상태로 수조(510)에 수용되는 폐콘크리트를 선별하여 수조(5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폐콘크리트선별부(530)를 포함한다.
수조(510)는 수용되는 폐콘크리트가 바닥에서 모이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조(510)에는 폐콘크리트와 함께 건물의 철거에 의해 발생되는 목재나 스티로폼과 같은 이물질이 및 흙이 포함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수조(510)에 수용되는 폐콘크리트는 수조(510)에 채워진 물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그리고, 폐콘크리트에서 분리되는 폐시멘트나 흙은 수조(510)의 하부에 가라앉고 이물질은 수조(510)의 상부에 떠서 부유하게 된다.
더욱이, 수조(510)에는 폐콘크리트에서 분리된 폐시멘트나 흙과 같은 미분이 모여지는 모집공간(511)이 형성되고, 모집공간(511)에는 폐시멘트나 흙과 같은 미분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폐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지부(512)가 형성된다. 모집공간(511)은 수조(5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방지부(512)는 모집공간(5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타공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폐콘크리트가 방지부(512)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폐콘크리트선별부(5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지부(512)를 통과한 흙이 모집공간(511)에 모여진 후에 처리될 수 있다.
덧붙여, 수조(510)의 상부에는 수용되는 폐콘크리트가 부유물선별부(520)에 침범함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513)는 판재나 망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외부에서 수조(510)로 낙하되는 폐콘크리트가 부유물선별부(520)에 충돌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부(513)에 의해 부유물선별부(520)가 낙하되는 폐콘크리트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조(510)에는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는 수조순환부(514)가 구비될 수 있다. 수조순환부(514)는 수조(510)의 상부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상부파이프(515)와, 수조(510)의 하부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하부파이프(516)와, 상부파이프(515) 및 하부파이프(516)에 연결되어 상부파이프(515)를 통해 관류되는 물을 하부파이프(516)로 펌핑하는 펌프(517)를 포함한다.
상부파이프(515)는 끝단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물의 유입을 허용하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517)가 작동되면 상부파이프(515)를 통해 수조(5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등수가 유입되어서, 하부파이프(516)를 통해 수조(510)의 하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수조(510)의 상등수가 수조(510)의 하부에 위치되는 폐콘크리트에 공급되므로 폐콘크리트에 부착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부유물선별부(520)는 수조(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521)와, 제1풀리(521)에서 일측으로 이격되는 제2풀리(522)와,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에 설치되어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벨트(523)와, 회전벨트(523)에 형성되어 회전벨트(52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서 물에 떠오르는 이물질을 수조(5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부(524)를 포함한다.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는 수조(510)의 상부에서 좌우로 이격된다. 이때, 제1풀리(521)나 제2풀리(522)에는 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벨트(523)는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에 개재되므로 수조(510)의 상부에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부유물배출부(524)는 이물질을 모아서 이동시키는 포크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부유물배출부(524)들은 회전되는 회전벨트(523)와 함께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의 사이에서 수평상태로 이동되므로 수조(510)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밀어서 수조(5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풀리(521)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에 설치된 회전벨트(523)가 회전되므로, 회전벨트(523)에 형성된 부유물배출부(524)들이 수조(510)의 상부에서 부유하는 목재나 스티로폼과 같은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서 수조(5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폐콘크리트선별부(530)는 수조(5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531)와, 수조(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동풀리(532)와, 구동풀리(531) 및 피동풀리(532)에 설치되어 구동풀리(531) 및 피동풀리(532)의 회전에 의해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수조(5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벨트(533)와, 배출벨트(533)에 형성되어 배출벨트(53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서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수조(5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콘크리트배출부(534)를 포함한다.
구동풀리(531)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피동풀리(532)는 수조(510)의 중앙부분에 근접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배출벨트(533)는 폐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풀리(531) 및 배출벨트(533)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배출벨트(533)가 경사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폐콘크리트배출부(534)는 폐콘크리트를 모아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출벨트(533)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510)에 폐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상태에서 모터에 의해 구동풀리(521)가 회전되면 구동풀리(531) 및 배출벨트(533)에 설치된 배출벨트(533)가 회전되므로, 폐콘크리트배출부(534)에 의해 수조(510)에서 물에 의해 세척된 폐콘크리트가 수조(5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조(510)에 수용되는 폐콘크리트가 세척되어서 배출되므로 폐콘크리트에서 흙이 제거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으면서, 목재나 스티로폼과 같은 이물질도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폐콘크리트선별부(530)는 수조(510)에 구비되어 피동풀리(532)의 회전력에 의해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배출벨트(533)로 이동시키는 폐콘크리트이동부(540)를 포함한다. 폐콘크리트이동부(540)는 수조(5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롤러(541)와, 회전롤러(541) 및 피동풀리(532)에 양단이 설치되어 피동풀리(532)의 회전력을 회전롤러(54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42)와, 회전롤러(541)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롤러(541)와 함께 회전되면서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배출벨트(533)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43)를 포함한다.
회전롤러(541)는 수조(510)의 내주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동력전달부(542)는 회전롤러(541) 및 피동풀리(532)에 각각 형성되는 풀리와, 풀리들에 개재되는 벨트를 포함한다. 이때, 풀리 및 벨트를 대신하여 피니언 및 체인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송부(543)는 판재형태나 포크형태로 구성되어 회전롤러(54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벨트(533)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피동풀리(532)가 회전되면, 동력전달부(542)가 회전되면서 회전롤러(541)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회전롤러(541)와 함께 회전되는 이송부(543)가 폐콘크리트를 배출벨트(533)로 이송시킨다. 이에 의해 배출벨트(533)가 많은 양의 폐콘크리트를 수조(510)에 남지 않게 하면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서와 같이, 폐콘크리트 분쇄단계(S600)는 이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분쇄하는 콘크러셔(200)를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완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러셔(CONE CRUSHER)(200)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폐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유입탱크(210)와, 유입탱크(210)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입탱크(210)의 폐콘크리트가 낙하되어서 수용되는 수용부(220)와, 수용부(2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회전되어서 폐콘크리트를 수용부(220)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서 분쇄하는 분쇄부(230)와, 분쇄되는 폐콘크리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용부(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유입탱크(210)는 유입되는 폐콘크리트들이 하부에서 중앙으로 모이도록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폐콘크리트들이 분쇄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되도록 상부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턱(212)이 형성된다.
수용부(22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폐콘크리트가 분쇄되도록 내주면에 돌기나 요철이 형성된다.
분쇄부(230)는 원뿔형태나 우산형태의 축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폐콘크리트를 분쇄시킬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부(230) 및 수용부(220)의 사이에는 상광하협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쇄부(230) 및 수용부(220)의 사이에 위치되는 폐콘크리트는 회전되는 분쇄부(230)에 의해 가압되어서 분쇄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되는 폐콘크리트는 점점 아래로 내려가면서 더욱 작은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이러한, 분쇄부(230)은 폐콘크리트를 강하게 가격하면서 분쇄시키도록 고속으로 편심회전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40)는 수용부(220)의 하부에 연장되는 연장부(241)와, 연장부(241)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수용부(220)의 양측을 관통하는 나사축(242)과, 나사축(24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부(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너트(243)와, 나사축(24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부(2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너트(244)를 포함한다.
수용부(220)는 하부에서 연장부(241)는 상부에서 각각의 둘레에 플랜지나 돌출턱이 형성된다. 나사축(242)은 연장부(241)의 플랜지나 돌출턱에서 상부로 돌출된다.
제1너트(243) 및 제2너트(244)가 나사축(24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부(220)의 하부 및 상부를 지지하므로, 분쇄부(230)의 회전에 의해 폐콘크리트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어도, 수용부(220)가 연장부(241)에서 이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너트(243) 및 제2너트(244)를 풀거나 조여서 연장부(241)에서 수용부(220)가 가까운 간격(a)을 유지시키거나 멀어진 간격(b)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241)에서 수용부(220)가 가까운 간격(a)을 유지하면 분쇄부(230)의 외측면이 수용부(220)의 내측면에 가까워지므로 폐콘크리트가 분쇄되어서 직경 10~20mm의 작은 크기인 순환 잔골재(자갈)가 획득될 수 있고, 연장부(241)에서 수용부(220)가 멀어진 간격(b)을 유지하면 분쇄부(230)의 외측면이 수용부(220)의 내측면에 멀어지므로 폐콘크리트가 분쇄되어서 직경 20~40mm의 큰 크기인 순환 굵은 골재(자갈)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 굵은 골재의 직경은 20mm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쇄된 순환 골재는 컨베이어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8에서와 같이, 순환 골재 세척단계(S700)는 미분을 제거하기 위해 순환골재세척부재(300)를 이용하여 분쇄된 순환골재를 세척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골재세척부재(30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310)와, 세척수공급부(31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세척수로(320)와, 세척수로(320)의 바닥에서 이격되면서 세척수에 잠기는 상태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환골재가 이동되는 이동판(330)과, 세척수로(320)에 구비되어 이동판(330)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340)와, 이동판(330)이 흔들리도록 이동판(330)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척수는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수공급부(310)는 세척수로(32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세척수로(320)에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공급부(310)는 세척수로(320)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세척수로(320)에 분사할 수 있다.
세척수로(320)는 경사지는 경사판과 경사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벽 및 외벽의 사이에 물이 채워지도록 외벽의 끝단을 폐쇄하는 폐쇄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순환골재에서 분리되는 폐시멘트와 같은 미분이 함께 흘러서 세척수로(320)의 끝단에 모여질 수 있다.
더욱이, 세척수로(320)에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골재에 초음파를 가하여 순환골재에서 폐시멘트가 분리되게 할 수 있어서 순환골재가 더욱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이동판(330)은 분쇄된 순환골재보다 작은 직경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판(330)은 순환골재가 저속으로 이동되게 하는 저속부를 포함한다. 저속부는 이동판(330)에 형성되는 주름형태의 요철로 구성되거나, 이동판(33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판(330)에서 이동되는 순환골재가 저속부에 걸려서 충돌되므로 순환골재에서 폐시멘트가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고, 저속으로 이동되므로 세척시간이 증대되어 세척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탄성체(340)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340)에 의해 이동판(330)이 탄력지지어서 세척수로(320)의 바닥에서 이격될 수 있다.
진동부(350)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350)에 의해 이동판(330)이 진동되므로 이동하는 순환골재들이 이동판(330)에 연속적으로 충돌되어서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공급부(310)에 의해 세척수로(320)에 세척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이동판(330)에 순환골재가 공급되면 이동판(330)에 안착된 순환골재가 세척수에 잠기게 된다. 이때, 진동부(350)에 의해 이동판(330)이 흔들리면 흔들리는 이동판(330)에서 순환골재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이동판(330)에서 순환골재가 흔들리면서 충돌되는 과정에서 세척수에 의해 폐시멘트가 탈리되게 된다. 즉, 순환골재는 폐시멘트가 탈리되므로 깨끗한 상태로 재사용될 수 있는 자갈이나 모래로 재활용될 수 있다. 이때, 완성된 골재는 컨케이어벨트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도 1 및 도 9에서와 같이, 순환 골재 건조단계(S800)는 세척된 순환골재에 건조부재(400)를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재(40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척된 순환골재가 이송되는 건조통로(410)와, 건조통로(410)의 바닥에서 이격되면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환골재가 이동되는 순환골재이동판(420)과, 건조통로(410)에 구비되어 순환골재이동판(420)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는 순환골재탄성체(430)와, 순환골재이동판(420)이 흔들리도록 순환골재이동판(420)에 진동을 제공하는 순환골재진동부(440)와, 순환골재이동판(420)에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50)와, 건조통로(410)의 바닥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460)를 포함한다.
건조통로(410)는 경사지는 경사판과 경사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순환골재이동판(420)은 분쇄된 순환골재보다 작은 직경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순환골재탄성체(430)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순환골재탄성체(430)에 의해 순환골재이동판(420)이 탄력지지어서 건조통로(410)의 바닥에서 이격될 수 있다.
순환골재진동부(440)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골재진동부(440)에 의해 순환골재이동판(420)이 진동되므로 이동하는 폐콘크리트가 순환골재이동판(420)에 연속적으로 충돌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450)는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부(450)에 의해 공기가 강제로 공급되면 순환골재이동판(420)에서 이송되는 순환골재가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물공급부(460)는 건조통로(41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부(460)가 건조통로(410)의 바닥을 향해 물을 분사하면 순환골재에서 분리되는 분진과 같은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나 폐콘크리트가 비산되어서 순환골재에 다시 부착되지 않으면서 건조통로(410)의 바닥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콘크리트를 파쇄 및 분쇄된 자갈형태의 순환 굵은 골재 및 모래형태의 순환 잔골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순환골재를 이용하여 레미콘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순환 굵은 골재 40중량%, 순환 잔골재 36중량%, 시멘트 16중량%, 물 7중량%, AE감수제 1중량%를 혼합하여 레미콘(READY-MIXED CONCRETE)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일 많은 양이 발생하는 건설 폐기물 중 폐 콘크리트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거하여 한국공업규격 중 순환골재 1등급에 해당하는 골재를 생산하여 부족한 국내 골재자원으로 재활용을 도모하여, 매립으로 인한 한경오염 방지와 매립지 부족현상을 해소 할 수 있으므로, 재생 골재 생산 방법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폐콘크리트 분류단계 S200 : 폐콘크리트 절단단계
S300 : 폐콘크리트 파쇄단계 S400 : 철재선별단계
S500 : 이물질선별단계 S600 : 폐콘크리트 분쇄단계
S700 : 순환 골재 세척단계 S800 : 순환 골재 건조단계
100 : 조크러셔 110 : 안내부재
111 : 경사로 112 : 이탈방지부재
113 : 호퍼 114 : 베이스부
115 : 충격완화부 120 : 지지부재
130 : 가격부재 140 : 유동부재
141 : 이동부 142 : 회전부
143 : 연결부
600 : 철재선별부재 610 : 풀리
620 : 자력부 630 : 벨트
640 : 이송판 650 : 벨트장력조절부
651 : 보조풀리 652 : 가이드
653 : 고정부 654 : 수형고정부
655 : 승강홀 656 : 고정홀
500 : 이물질선별부재 510 : 수조
511 : 모집공간 512 : 방지부
513 : 차단부 514 : 수조순환부
515 : 상부파이프 516 : 하부파이프
517 : 펌프 520 : 부유물선별부
521 : 제1풀리 522 : 제2풀리
523 : 회전벨트 524 : 부유물배출부
530 : 폐콘크리트선별부 531 : 구동풀리
532 : 피동풀리 533 : 배출벨트
534 : 폐콘크리트배출부 540 : 폐콘크리트이동부
541 : 회전롤러 542 : 동력전달부
543 : 이송부
200 : 콘크러셔 210 : 유입탱크
220 : 수용부 230 : 분쇄부
240 : 높이조절부 241 : 연장부
242 : 나사축 243 : 제1너트
244 : 제2너트
300 : 순환골재세척부재 310 : 세척수공급부
320 : 세척수로 330 : 이동판
340 : 탄성체 350 : 진동부
400 : 건조부재 410 : 건조통로
420 : 순환골재이동판 430 : 순환골재탄성체
440 : 순환골재진동부 450 : 공기공급부
460 : 물공급부

Claims (15)

  1. 건물이 철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건설폐기물들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폐콘크리트를 분류하는 폐콘크리트 분류단계(S100)와,
    철근이 분리되도록 폐콘크리트를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폐콘크리트 절단단계(S200)와,
    절단된 폐콘크리트를 가격하여 파쇄하는 조크러셔(100)를 이용하는 폐콘크리트 파쇄단계(S3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철재를 자력으로 선별하는 철재선별부재(600)를 이용하는 철재선별단계(S4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물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부유물 및 침전되는 미분을 선별하도록 이물질선별부재(500)를 이용하는 이물질선별단계(S500)와,
    이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분쇄하는 콘크러셔(200)를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완성하는 폐콘크리트 분쇄단계(S600)와,
    분쇄된 순환골재를 세척하여 순환골재에서 분리된 미분을 제거하도록 세척부재(300)를 이용하는 순환 골재 세척단계(S700)를 포함하며,
    철재선별부재(60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풀리(610)와,
    풀리(610)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페콘크리트에 섞여있는 철재를 끌어당기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620)와,
    자력부(620)를 포위하는 상태로 풀리(610)들에 설치되는 벨트(630)와,
    벨트(630)에서 돌출되어 자력부(620)의 자력으로 벨트(630)에 부착되는 철재를 자력부(620)의 외측으로 이송시켜서 벨트(630)에서 탈리시키는 이송판(640)과,
    자력부(620)에 고정된 상태로 신장되어서 벨트(630)를 지지하여 벨트(630)의 장력을 조절하는 벨트장력조절부(650)를 포함하고,
    벨트장력조절부(650)는
    벨트(630)를 지지하는 보조풀리(651)와,
    자력부(620)에 형성되어 보조풀리(65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652)와,
    가이드(652)에서 상승되거나 하강된 상태의 보조풀리(651)를 가이드(65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653)를 포함하며,
    보조풀리(651)는 양측의 중심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베어링에는 고정부(653)에 결합되는 수형고정부(654)가 돌출되며,
    가이드(652)는 자력부(620)의 상부에 기립되고, 보조풀리(651)의 수형고정부(654)가 승강되기 위한 승강홀(655)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보조풀리(651)의 수형고정부(654)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656)이 승강홀(655)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크러셔(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콘크리트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10)와,
    안내부재(110)의 하부에서 일측에 구비되어 폐콘크리트의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부재(120)와,
    안내부재(110)의 하부에서 타측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유동되어서 지지부재(120)에 지지되는 폐콘크리트의 타측을 가격하는 가격부재(130)와,
    가격부재(130)를 반복적으로 밀고 당겨서 유동시키는 유동부재(140)를 포함하며,
    안내부재(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콘크리트가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로(111)와,
    경사로(111)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폐콘크리트에 접촉되어 폐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12)와,
    경사로(1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지지부재(120) 및 가격부재(130)의 사이로 폐콘크리트를 안내하는 호퍼(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탈방지부재(112)는
    경사로(1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4)와,
    베이스부(114)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폐콘크리트에 접촉되는 충격완화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건물이 철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건설폐기물들 중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폐콘크리트를 분류하는 폐콘크리트 분류단계(S100)와,
    철근이 분리되도록 폐콘크리트를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폐콘크리트 절단단계(S200)와,
    절단된 폐콘크리트를 가격하여 파쇄하는 조크러셔(100)를 이용하는 폐콘크리트 파쇄단계(S3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철재를 자력으로 선별하는 철재선별부재(600)를 이용하는 철재선별단계(S400)와,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물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부유물 및 침전되는 미분을 선별하도록 이물질선별부재(500)를 이용하는 이물질선별단계(S500)와,
    이물질이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분쇄하는 콘크러셔(200)를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완성하는 폐콘크리트 분쇄단계(S600)와,
    분쇄된 순환골재를 세척하여 순환골재에서 분리된 미분을 제거하도록 세척부재(300)를 이용하는 순환 골재 세척단계(S700)를 포함하며,
    이물질선별부재(500)는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폐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수조(510)와,
    수조(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위로 떠오르는 부유물을 선별하여 수조(5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부유물선별부(520)와,
    수조(510)의 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고 수조(510)의 외측으로 타단이 배치된 상태로 수조(510)에 수용되는 폐콘크리트를 선별하여 수조(5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폐콘크리트선별부(530)를 포함하고,
    폐콘크리트선별부(530)는
    수조(5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531)와,
    수조(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동풀리(532)와,
    구동풀리(531) 및 피동풀리(532)에 설치되어 구동풀리(531) 및 피동풀리(532)의 회전에 의해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수조(5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벨트(533)와,
    배출벨트(533)에 형성되어 배출벨트(53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서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수조(5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콘크리트배출부(534)를 포함하며,
    폐콘크리트선별부(530)는 수조(510)에 구비되어 피동풀리(532)의 회전력에 의해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배출벨트(533)로 이동시키는 폐콘크리트이동부(540)를 포함하고,
    폐콘크리트이동부(540)는
    수조(5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롤러(541)와,
    회전롤러(541) 및 피동풀리(532)에 양단이 설치되어 피동풀리(532)의 회전력을 회전롤러(54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42)와,
    회전롤러(541)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롤러(541)와 함께 회전되면서 수조(510)에 수용된 폐콘크리트를 배출벨트(533)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조(510)에는 폐콘크리트에서 분리된 미분이 모여지는 모집공간(511)이 형성되고, 모집공간(511)에는 미분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폐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지부(5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조(510)의 상부에는 수용되는 폐콘크리트가 부유물선별부(520)에 침범함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5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조(510)에는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는 수조순환부(514)가 구비되고,
    수조순환부(514)는
    수조(510)의 상부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상부파이프(515)와,
    수조(510)의 하부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하부파이프(516)와,
    상부파이프(515) 및 하부파이프(516)에 연결되어 상부파이프(515)를 통해 관류되는 물을 하부파이프(516)로 펌핑하는 펌프(5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부유물선별부(520)는
    수조(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521)와,
    제1풀리(521)에서 일측으로 이격되는 제2풀리(522)와,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에 설치되어 제1풀리(521) 및 제2풀리(5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벨트(523)와,
    회전벨트(523)에 형성되어 회전벨트(52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서 물에 떠오르는 이물질을 수조(5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부(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콘크러셔(200)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어 폐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유입탱크(210)와,
    유입탱크(210)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입탱크(210)의 폐콘크리트가 낙하되어서 수용되는 수용부(220)와,
    수용부(2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회전되어서 폐콘크리트를 수용부(220)의 내주면으로 가압하여서 분쇄하는 분쇄부(230)와,
    분쇄되는 폐콘크리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용부(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높이조절부(240)는
    수용부(220)의 하부에 연장되는 연장부(241)와,
    연장부(241)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수용부(220)의 양측을 관통하는 나사축(242)과,
    나사축(24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부(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너트(243)와,
    나사축(24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부(2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너트(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순환골재세척부재(30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310)와,
    세척수공급부(31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세척수로(320)와,
    세척수로(320)의 바닥에서 이격되면서 세척수에 잠기는 상태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순환골재가 이동되는 이동판(330)과,
    세척수로(320)에 구비되어 이동판(330)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340)와,
    이동판(330)이 흔들리도록 이동판(330)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제조방법.
KR1020160176445A 2016-12-22 2016-12-22 순환 골재 제조방법 KR10176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45A KR101762405B1 (ko) 2016-12-22 2016-12-22 순환 골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45A KR101762405B1 (ko) 2016-12-22 2016-12-22 순환 골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405B1 true KR101762405B1 (ko) 2017-07-27

Family

ID=5942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45A KR101762405B1 (ko) 2016-12-22 2016-12-22 순환 골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0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560B1 (ko) 2017-11-01 2018-09-12 주식회사 기성환경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골재획득방법
CN109081636A (zh) * 2018-08-28 2018-12-25 广德县坚固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复合制备水泥成品设备及其制备方法
CN109485283A (zh) * 2018-12-24 2019-03-19 深圳市绿志新型建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资源化处理方法
KR20190030908A (ko) 2017-09-15 2019-03-25 유한회사 태창산업 조선 사업 부산물 재료와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만든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CN110947741A (zh) * 2019-12-20 2020-04-03 兰州理工大学 一种用建筑垃圾制造混凝土建筑材料的装置
KR20200066426A (ko) * 2018-11-30 2020-06-10 주식회사 풍산 화약 볼밀 시스템
CN112047655A (zh) * 2020-09-17 2020-12-08 深圳立豪建筑材料工程有限公司 一种高强度绿色再生混凝土制备方法
CN112044925A (zh) * 2020-08-05 2020-12-08 中铁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资源化利用前期处理生产线
KR102196126B1 (ko) * 2020-09-08 2020-12-29 문광일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CN112676299A (zh) * 2020-11-17 2021-04-20 王煜雅 一种电解铝废阴极处理回收系统
CN113401537A (zh) * 2021-06-29 2021-09-17 中科深兰(福建)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带有分拣结构的固废检测装置
CN113786902A (zh) * 2021-09-27 2021-12-14 杭州巨奥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生产原料预处理方法
CN114029128A (zh) * 2021-11-08 2022-02-11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石墨矿碎磨浮选一体化设备及方法
CN114405971A (zh) * 2021-12-28 2022-04-29 广州市长泽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混凝土废料节能回收系统
CN115415286A (zh) * 2022-09-01 2022-12-02 安徽理工大学环境友好材料与职业健康研究院(芜湖) 一种施工建筑废料处理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22Y1 (ko) * 2000-03-09 2000-09-01 동광전업주식회사 폐전주쇄석철스크랩선별콘베어장치
KR100631430B1 (ko) * 2004-03-10 2006-10-09 청경그린산업 주식회사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KR100850762B1 (ko) * 2006-12-21 2008-08-06 (주)금광 이 엔 지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858243B1 (ko) * 2008-05-15 2008-09-12 (주)디테코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KR101564853B1 (ko) * 2014-11-28 2015-11-02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전해형 습식선별기를 적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22Y1 (ko) * 2000-03-09 2000-09-01 동광전업주식회사 폐전주쇄석철스크랩선별콘베어장치
KR100631430B1 (ko) * 2004-03-10 2006-10-09 청경그린산업 주식회사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KR100850762B1 (ko) * 2006-12-21 2008-08-06 (주)금광 이 엔 지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858243B1 (ko) * 2008-05-15 2008-09-12 (주)디테코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KR101564853B1 (ko) * 2014-11-28 2015-11-02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전해형 습식선별기를 적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908A (ko) 2017-09-15 2019-03-25 유한회사 태창산업 조선 사업 부산물 재료와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만든 친환경 재활용 수축침하 방지용 성토재
KR101897560B1 (ko) 2017-11-01 2018-09-12 주식회사 기성환경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골재획득방법
CN109081636B (zh) * 2018-08-28 2021-05-04 无锡鼎尚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复合制备水泥成品设备及其制备方法
CN109081636A (zh) * 2018-08-28 2018-12-25 广德县坚固水泥制品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复合制备水泥成品设备及其制备方法
KR20200066426A (ko) * 2018-11-30 2020-06-10 주식회사 풍산 화약 볼밀 시스템
KR102147637B1 (ko) 2018-11-30 2020-08-26 주식회사 풍산 화약 볼밀 시스템
CN109485283A (zh) * 2018-12-24 2019-03-19 深圳市绿志新型建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资源化处理方法
CN110947741A (zh) * 2019-12-20 2020-04-03 兰州理工大学 一种用建筑垃圾制造混凝土建筑材料的装置
CN112044925A (zh) * 2020-08-05 2020-12-08 中铁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资源化利用前期处理生产线
KR102196126B1 (ko) * 2020-09-08 2020-12-29 문광일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CN112047655A (zh) * 2020-09-17 2020-12-08 深圳立豪建筑材料工程有限公司 一种高强度绿色再生混凝土制备方法
CN112676299A (zh) * 2020-11-17 2021-04-20 王煜雅 一种电解铝废阴极处理回收系统
CN113401537A (zh) * 2021-06-29 2021-09-17 中科深兰(福建)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带有分拣结构的固废检测装置
CN113401537B (zh) * 2021-06-29 2022-09-06 中科深兰(福建)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带有分拣结构的固废检测装置
CN113786902A (zh) * 2021-09-27 2021-12-14 杭州巨奥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生产原料预处理方法
CN114029128A (zh) * 2021-11-08 2022-02-11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石墨矿碎磨浮选一体化设备及方法
CN114029128B (zh) * 2021-11-08 2023-01-31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石墨矿碎磨浮选一体化设备及方法
CN114405971A (zh) * 2021-12-28 2022-04-29 广州市长泽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混凝土废料节能回收系统
CN115415286A (zh) * 2022-09-01 2022-12-02 安徽理工大学环境友好材料与职业健康研究院(芜湖) 一种施工建筑废料处理装置及使用方法
CN115415286B (zh) * 2022-09-01 2023-05-26 安徽理工大学环境友好材料与职业健康研究院(芜湖) 一种施工建筑废料处理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405B1 (ko) 순환 골재 제조방법
KR101787091B1 (ko) 순환 굵은 골재 및 순환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KR100948407B1 (ko) 순환골재의 표면 모르타르 박리 및 입형개선 방법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101830648B1 (ko)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76464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787092B1 (ko) 순환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20000058365A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881217B1 (ko) 건설폐기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KR100448651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674006B1 (ko)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2137B1 (ko) 배합토를 포함하는 그라우트재 제조 및 시공 시스템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