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243B1 -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 Google Patents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243B1
KR100858243B1 KR1020080044787A KR20080044787A KR100858243B1 KR 100858243 B1 KR100858243 B1 KR 100858243B1 KR 1020080044787 A KR1020080044787 A KR 1020080044787A KR 20080044787 A KR20080044787 A KR 20080044787A KR 100858243 B1 KR100858243 B1 KR 10085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mantle
ring gear
aggregate
top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태
Original Assignee
(주)디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테코 filed Critical (주)디테코
Priority to KR102008004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2Centrifugal pendulum-type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죠 크러셔에서 분쇄된 골재의 입도를 더 작게 파쇄하기 위하여 콘 크러셔의 투입구로 골재를 투입할 때, 콘 케이브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맨틀의 상부 표면으로 골재를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분배커버의 상부 중앙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링기어에 보호커버를 장착하여 낙하물이나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콘 케이브(4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편심 회전하는 콘형상의 맨틀(30)과, 상기 콘형상의 맨틀(30) 표면으로 골재를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분배커버(50)와, 상기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골재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된 투입구(60)와, 상기 맨틀(3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탑셀(120)과 일체로 결합된 콘 케이브(4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밀어올려서 탑셀(120)을 고정시키고, 또 실린더를 하강하여 탑셀(120)을 풀림 상태로 구성하는 클램프실린더(110)와, 상기 클램프실린더(110)의 구동에 의해 풀림 상태가 될 때 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탑셀을 승,하강시키는 링기어(70)와, 상기 링기어(70)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보호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크러셔를 제공한다.
콘 크러셔, 분배커버, 맨틀, 콘 케이브

Description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CON CRUSHER}
본 발명은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죠 크러셔에서 분쇄된 골재의 입도를 더 작게 파쇄하기 위하여 콘 크러셔의 투입구로 골재를 투입할 때, 콘 케이브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맨틀의 상부 표면으로 골재를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분배커버의 상부 중앙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링기어에 보호커버를 장착하여 낙하물이나 이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의 채취과정은 채석장이나 광산 등의 장소에서 다이너마이트 등과 같은 폭발물을 이용하여 바위를 터뜨린 후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다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과정을 갖는다.
그 분쇄기로는 비교적 큰 덩어리의 골재를 분쇄하는 죠 크러셔와, 상기 죠 크러셔로부터 분쇄된 골재를 더 작은 크기로 분쇄시키는 콘 크러셔 등이 있다. 여기서는 콘 크러셔에 관해 다루기로 하며, 그 일반적인 구조는 편심으로 회전되는 콘 케이브와 고정 설치된 콘 형상의 맨틀 사이에 골재를 투입하여 분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콘 크러셔로 골재를 파쇄할 때, 골재를 종류별로 파쇄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 외주면으로 장착된 링기어의 작동에 의해 콘 케이브가 상하이동하면서 맨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링기어가 회전하면 탑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탑셀과 결합된 콘 케이브도 동시에 상하 이동하면서 맨틀과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링기어는 본체의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시 낙하물이 링기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파손되거나, 이물질이 투입되면서 링기어의 가동을 방해하거나 손상을 주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골재를 파쇄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로 투입되는 투입구의 내부는 상,하부가 수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골재가 맨틀의 상부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골재가 맨틀의 표면으로 골고루 분배되지 못하고 일 측 부분에만 접촉되어 마찰 되기 때문에, 맨틀 표면은 골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만이 많이 마모되므로 맨틀 표면이 고르지 못해 골재의 밀도를 균일하고 정확하게 파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콘 크러셔에 의해 골재를 파쇄할 때, 골재의 입도를 균일하고 정확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 투입구로 투입되는 골재를 분배커버의 상면에 투입되게 하여 맨틀의 표면으로 골고루 분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골재의 크기를 종류별로 파쇄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 본체의 상부 외측에 장착된 링기어를 보호커버로 감싸줌으로써 가동중에 낙하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가동중지로 인한 작업손실을 방지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콘 케이브(4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편심 회전하는 콘형상의 맨틀(30)과,
상기 콘형상의 맨틀(30) 표면으로 골재를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분배커버(50)와,
상기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골재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된 투입구(60)와,
상기 맨틀(3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탑셀(120)과 일체로 결합된 콘 케이브(4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밀어올려서 탑셀(120)을 고정시키고, 또 실린더를 하강하여 탑셀(120)을 풀림 상태로 구성하는 클램프실린더(110)와,
상기 클램프실린더(110)의 구동에 의해 풀림 상태가 될 때 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탑셀을 승,하강시키는 링기어(70)와,
상기 링기어(70)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보호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크러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콘 크러셔의 본체 투입구로 골재를 투입할 때, 분배커버의 상부면으로 정확하게 투입되게 함과 동시에 투입된 골재를 분배커버가 맨틀의 표면으로 골고루 분배하여 줌으로써, 맨틀의 표면 마모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마모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파쇄되는 골재의 입도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파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 크러셔에 의해 파쇄되는 골재의 입도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맨틀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콘 케이브를 상하 이동시키는 링기어의 외주면으로 보호커버가 장착함으로써,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아름다움은 물론 링기어에 직접적으로 낙하물이 접촉하지 않아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와,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한 가동의 일시 중지가 일어나지 않고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콘 크러셔(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죠 크러셔에서 파쇄된 골재를 더 작게 파쇄하기 위하여 골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60)는 상부가 널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투입구(60)로 투입된 골재가 파쇄공간(90)으로 이동하면서 가압에 의해 파쇄가 되도록 본체(10)의 상부에는 콘 케이브(4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케이브(4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맨틀(30)은 지지축(20)의 내부 중앙에서 상부로 유입되는 오일과 밀착되어 편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상기 맨틀(3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콘 케이브(4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쇄공간(90)으로 투입되는 골재는 맨틀(30)이 편심으로 회전하면서 맨틀(30)과 콘케이브(40)와의 간격이 좁아질 때 압력을 가해 파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골재를 파쇄하기 위해 투입구(60)로 투입할 때, 투입되는 골재가 맨틀(30)의 일측 표면에만 직접 접촉하지 않고 사방으로 골고루 분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입구(60)로 투입된 골재가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직접 투입되도록 구성한다.
즉, 투입구(60)는 골재를 투입하기 좋게 상부를 넓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 갈수록 좁게 사다리꼴이나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맨틀(30)의 표면으로 직접 투입되지 않고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골재가 투입되게 된다. 따라서 투입구(60)로 투입된 골재가 분배커버(50)의 상부로 떨어질 때, 분배커버(50)는 회전하면서 골재를 맨틀(30)의 표면으로 골고루 분배시켜 주게 되므로 어느 한 측의 맨틀(30) 표면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파쇄되는 골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맨틀(30)과 콘 케이브(40)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콘 케이브(40)를 상하 이동시키는 링기어(70)의 외부에는 보호커버(8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보호커버(80)는 링기어(70)에 낙하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외부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하고, 또 현장에서 발생 되는 각종 이물질이 링기어(7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동이 일지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콘케이브(40)와 맨틀(3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콘케이브(40)는 탑셀(1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탑셀(120)은 클램프실린더(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실린더(110)의 실린더가 탑셀(120)의 기어부를 밀어올려 상승하게 되면 탑셀(120)은 고정되므로 모터(130)에 의해 가동하는 링기어(70)는 작동하지 않지만, 실린더가 하강하여 탑셀(120)의 고정상태를 풀어주게 되면 탑셀(120)의 기어부는 풀림 상태가 됨으로써, 모터(130)에 의해 구동하는 링기어(70)가 회전하면서 탑셀(120)을 회전시켜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콘 크러셔(100)에 의해 파쇄되는 골재의 입도를 균일하 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콘 크러셔(100)로 이송되어온 골재가 본체(10)의 상부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된 투입구(60)로 투입되면, 골재는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내부로 투입된 골재는 맨틀(30)을 고정시키는 와셔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착된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정확하게 투입된다. 즉, 투입구(60)의 하부는 분배커버(50)와 상하 수직으로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맨틀(30)의 표면으로 투입되지 않고 분배커버(50)로 직접 투입되는 것이다.
이때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투입된 골재는 맨틀(30)과 일체로 편심 회전하면서 골재를 맨틀(30)의 표면으로 골고루 분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맨틀(30)의 상부 표면으로 골재가 골고루 분배되어 접촉되기 때문에 맨틀(30)의 일측 표면만 집중적으로 마모되지 않고, 면 전체가 골고루 마모되기 때문에 맨틀(30)과 콘케이브(40)의 압착밀도가 일정하여 골재의 입도를 균일하게 파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쇄된 골재는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골재를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파쇄하고자 할 때에는 링기어(70)를 모터(130)에 의해 가동시켜서 맨틀(3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콘 케이브(40)에 일체로 결합된 탑셀(120)을 승,하강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즉, 상부로 실린더를 밀어올려 탑셀(120)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실린더(110)를 해제시킨 후, 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링기어(70)를 회전시키면 링기어(70)가 회전하면서 탑셀(120)을 회전시켜서 승,하강시킨다. 따라서 탑셀(120) 과 일체로 결합된 콘케이브(40)를 승,하강시키면서 맨틀(30)과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클램프 실린더(110)는 콘케이브(40)와 일체로 결합된 탑셀(120)의 나사부를 승,하강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램프 실린더(110)가 해제되면 실린더를 밀어올려서 고정시키고 있던 탑셀(120)의 나사부를 풀어(놓아)주게 되므로 모터(130)에 의해 구동하는 링기어(70)가 회전하면서 탑셀(120)의 나사부를 회전시켜서 탑셀(120)과 일체로 결합된 콘케이브(40)를 승,하강으로 이동시키고, 클램프실린더(110)가 압력을 가하여 실린더를 밀어올려 탑셀(120)의 나사부를 고정시켜서 콘케이브(4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 케이브(40)와 결합된 탑셀(120)을 승,하강 이동시키는 링기어(70)의 외부에는 보호커버(80)가 장착되어 있어 낙하물이 떨어질 때 링기어(70)가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고, 또 이물질이 링기어(7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콘 크러셔(100)의 가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 크러셔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 외부에 형성된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본체 20. 지지축
30. 맨틀 40. 콘케이브
50. 분배커버 60. 투입구
70. 링기어 80. 보호커버
90. 내부공간 100. 콘크러셔
110. 클램프 실린더 120. 탑셀
130. 모터

Claims (1)

  1.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콘 케이브(4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편심 회전하는 콘형상의 맨틀(30)과,
    상기 콘형상의 맨틀(30) 표면으로 골재를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분배커버(50)와,
    상기 분배커버(50)의 상부면으로 골재를 투입하기 위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된 투입구(60)와,
    상기 맨틀(3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탑셀(120)과 일체로 결합된 콘 케이브(4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밀어올려서 탑셀(120)을 고정시키고, 또 실린더를 하강하여 탑셀(120)을 풀림 상태로 구성하는 클램프실린더(110)와,
    상기 클램프실린더(110)의 구동에 의해 풀림 상태가 될 때 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탑셀을 승,하강시키는 링기어(70)와,
    상기 링기어(70)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보호커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크러셔.
KR1020080044787A 2008-05-15 2008-05-15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KR10085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87A KR100858243B1 (ko) 2008-05-15 2008-05-15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87A KR100858243B1 (ko) 2008-05-15 2008-05-15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243B1 true KR100858243B1 (ko) 2008-09-12

Family

ID=4002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87A KR100858243B1 (ko) 2008-05-15 2008-05-15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2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405B1 (ko) * 2016-12-22 2017-07-27 (주)한국샌드플랜트 순환 골재 제조방법
KR101787091B1 (ko) * 2016-12-22 2017-10-17 선진레미콘 주식회사 순환 굵은 골재 및 순환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KR101787092B1 (ko) * 2016-12-22 2017-10-18 여주환경주식회사 순환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CN109277127A (zh) * 2018-09-03 2019-01-29 深圳万研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废弃安瓿瓶处理设备
WO2020122299A1 (ko) * 2018-12-10 2020-06-18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가동 중 간극 조절이 가능한 지능형 콘 크러셔 및 간극 조절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875A (ja) 1999-07-06 2001-01-23 Kawasaki Heavy Ind Ltd 旋動式破砕機のセット調整装置
US6446892B1 (en) 1992-12-10 2002-09-10 Ralph Fasoli Rock crushing machine
KR100377871B1 (en) 2002-07-19 2003-03-29 Dyteco Co Ltd Cone crusher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material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clearance
US20050269436A1 (en) 2004-06-04 2005-12-08 Innotech Solutions, Llc Cone rock crus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6892B1 (en) 1992-12-10 2002-09-10 Ralph Fasoli Rock crushing machine
JP2001017875A (ja) 1999-07-06 2001-01-23 Kawasaki Heavy Ind Ltd 旋動式破砕機のセット調整装置
KR100377871B1 (en) 2002-07-19 2003-03-29 Dyteco Co Ltd Cone crusher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material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clearance
US20050269436A1 (en) 2004-06-04 2005-12-08 Innotech Solutions, Llc Cone rock crush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405B1 (ko) * 2016-12-22 2017-07-27 (주)한국샌드플랜트 순환 골재 제조방법
KR101787091B1 (ko) * 2016-12-22 2017-10-17 선진레미콘 주식회사 순환 굵은 골재 및 순환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KR101787092B1 (ko) * 2016-12-22 2017-10-18 여주환경주식회사 순환 굵은 골재 및 잔골재를 이용한 레미콘 제조방법
CN109277127A (zh) * 2018-09-03 2019-01-29 深圳万研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废弃安瓿瓶处理设备
WO2020122299A1 (ko) * 2018-12-10 2020-06-18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가동 중 간극 조절이 가능한 지능형 콘 크러셔 및 간극 조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243B1 (ko) 링기어에 보호커버가 장착된 콘 크러셔
CN101641158B (zh) 用于回转破碎机的内壳体以及将这样的壳体连接在破碎头上的方法
KR100809900B1 (ko) 콘 크러셔의 간극 조절장치
ES2686852T3 (es) Aparato de molienda
US8157196B2 (en) Grinding device of vertical grinder
CN107282189A (zh) 一种多级玉米粉碎机
KR100999193B1 (ko) 콘 크러셔
JP5606391B2 (ja) 旋動式破砕機のマントル固定機構
AU2014270565B2 (en) Gyratory crusher
US20100078511A1 (en) Star feeder with comminuting insert
KR102404168B1 (ko) 슬러지 파쇄기 및 이를 사용한 파쇄 방법
MX2014011162A (es) Mejoras en un rotor para una trituradora de piedra.
CN205659734U (zh) 土壤块破碎系统
KR101342131B1 (ko) 기류에 의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콘 크러셔
US6926216B2 (en) Material crusher
KR20160020941A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
KR200292658Y1 (ko) 콘 크러셔용 콘케이브와 맨틀 교체 장치
KR200433276Y1 (ko) 콘 크러셔
KR20100033821A (ko) 컴팩트 록킹 실린더가 내장된 콘크러셔
KR100832807B1 (ko) 콘 크러셔
CN101534951B (zh) 粉碎机、驱动部的安装方法
KR102534459B1 (ko) 콘 파쇄기 헤드를 위한 스핀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50086283A (ko) 파쇄기
KR102091099B1 (ko) 세퍼레이터 일체형 인라인 충격식 기류분급 분쇄장치
KR101391864B1 (ko) 카운트하우징 중앙부에 오일주입구를 형성한 콘크러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