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809B1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809B1
KR100879809B1 KR1020080102764A KR20080102764A KR100879809B1 KR 100879809 B1 KR100879809 B1 KR 100879809B1 KR 1020080102764 A KR1020080102764 A KR 1020080102764A KR 20080102764 A KR20080102764 A KR 20080102764A KR 100879809 B1 KR100879809 B1 KR 10087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aggregate
foreign
water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식
Original Assignee
두제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제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두제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08010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4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with more than one means for adding fluid to the material being crushed or disinteg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1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 B03B5/2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using pulses generated by liquid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분쇄 공정을 거친 순환골재 표면에 있는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제거하며, 제거된 이물질과 순환골재를 선별 및 분산 공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 분리조(10)와; 상기 이물질 분리조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20)과; 둘레부에 브러쉬가 형성된 원통형이며 상기 이물질 분리조의 투입구 아래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이물질 제거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1차 순환골재 표면에서 이물질을 박리하는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30)과;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의 둘레부에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에 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다수의 이물질 제거수단(40)과;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을 통과한 순환골재와 이물질 및 물을 선별하는 선별망(50)과; 상기 선별망에서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분산 공급하는 분산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순환골재, 파분쇄, 이물질, 모르타르, 브러쉬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LIEN SUBSTANCES OF CIRCULATED AGGREGATE CRUSHED IN INTERMEDIATE HANDLING OF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분쇄 공정을 거친 순환골재 표면에 있는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제거하며, 제거된 이물질과 순환골재를 선별 및 분산 공급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노후화 등으로 각종의 순환골재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으나 매립지의 부족, 불법투기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의 파괴가 만연하는 과정에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건설 폐기물 중 지정 부산물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업체가 순환골재를 생산하고 있으나 기술 및 인식의 부족으 로 인하여 순환골재 재활용 의무화는 유명무실한 상태가 되었고 각 건설업체도 하급의 순환골재를 기피하여 순환골재는 복토, 성토재 등으로 사용이 국한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수반하였고,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던 재생골재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활용도는 성토나, 복토 및 매립용 등 대부분이 토사대용으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의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산업기반의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최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로소 재활용을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작되어 각종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의무화에 따라 종래 단순 소각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벗어나 부분적, 혹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에 따라 여러 업체가 순환골재를 생산하고 있으나 기술 및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순환골재 재활용 의무화는 유명무실한 상태가 되었고 각 건설업체도 하급의 순환골재를 기피하여 순환골재는 복토, 성토재 등으로 사용이 국한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폐콘크리트의 표면에는 시멘트 페이스트(이하 페이스트라 약칭함), 토분 등의 이물질이 붙어 있다. 상기 페이스트와코팅재는 재생 골재의 품질을 낮추기 때문에 골재의 재생시 반드시 제거하여야 하는데 종래 순환골재 재생기술은 대개 크기를 맞추기 위한 파분쇄기술에 의존하기 때문에 재생 골재의 표면에 페이스트와 토분이 묻어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페이스트와 토분이 묻어 있는 골재는 레미콘용 골재로 사용되지 못하고 단순 매립용 또는 복토재 보조기조층용 등으로만 사용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페이스트를 제거하는 기술, 토분을 선별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화학약품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부담이 커지며,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화학약품에 의해 순환골재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하여도 이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일 뿐이므로 순환골재의 표면에 각진 부분이 많아 고품위 순환골재를 생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화학약품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러쉬를 이용하여 순환골재 표면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으나, 대개 이물질 제거가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순환골재의 경로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을 순환골재의 모든 부분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일부분에서만 제거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이물질 제거용 브러쉬는 순환골재 표면을 긁기 위한 것 일뿐 이물질 제거효율을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효율이 저하되고, 이물질의 제거 과정 중 일부 이물질이 브러쉬에 남게 되는데 브러쉬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브러쉬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이렇게 되면 순환골재 표면을 긁을 수 없으므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순환골재와 이 순환골재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무차별적으로 함께 낙하하여 순환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표면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순환골재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순환골재의 모든 부분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골재 표면을 긁어 순환골재에서 이물질 을 제거하는 브러쉬에 이물질이 남더라도 이물질을 브러쉬에서 제거하려는데 있다.
또한, 순환골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 공정과 아울러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을 일련의 공정으로 진행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 분리조와; 상기 이물질 분리조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수단과; 둘레부에 브러쉬가 형성된 원통형이며 상기 이물질 분리조의 투입구 아래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이물질 제거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과;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의 둘레부에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에 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다수의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을 통과한 순환골재와 이물질 및 물을 선별하는 선별망과; 상기 이물질 분리조 상기 선별망 하부에 구동수단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망에서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분산 공급하는 분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순환골재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다단으로 배열된 이물질 박 리수단 사이를 통과하는 중에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가 순환골재 표면을 긁어 순환골재의 모든 부분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와 접촉되어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에 남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가 순환골재의 표면을 긁을 수 있으므로 이물질 박리수단의 수명을 연장하고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순환골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직후 이물질 선별조 내부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을 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이물질 분리조(10)와, 이물질 분리조(10)에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수단(20)과, 이물질 분리조(10)에 투입되는 1차 순환골재(A)(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를 말함)의 표면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30)과, 이물질 박리수단(30)에 있는 이물질(W)을 긁어 제거하는 다수의 이물질 제거수단(40)과, 이물질 박리수단(30)을 통과한 순환골재(G)와 이물질(W)을 선별하는 선별망(50)과, 선별망(50)을 통해 선별된 순환골재를 분산 공급하는 분산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물질 분리조(10)는 투입구(11)와 배출구(12)를 갖는 중공형 통구조이며, 내부의 중공부에서 이물질 제거와 선별이 이루어진다.
이물질 분리조(10)는 이물질 박리수단(30)에 의한 이물질 제거효율을 감안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다. 즉, 이물질 분리조(10)는 이물질 박리수단(30)들을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이므로 이물질 박리수단(30)이 경사지게 배치된다면 반드시 경사형으로 형성될 것은 아니다.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순환골재는 이물질 박리수단(30) 사이의 경로로 투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투입구(11)의 저부에는 1차 순환골재(A)의 투입을 유도하는 가이드판(13)이 갖추어질 수 있다.
물공급수단(20)은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 이물질 분리조(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로 구성된다. 물은 순환골재 표면의 이물질과 모르타르를 세척하며 이물질 등이 다시 순환골재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30) 중 최상부에 배치되는 이물질 박리수단(30)과 투입구(11)의 사이에서부터 이물질 박리수단(30)에 의해 1차 순환골재(A)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로(T)에 걸쳐 배치되어, 투입구(11)를 통해 낙하하는 1차 순환골재(A)에 물을 분사한다.
도 1과 도 2에서처럼, 이물질 박리수단(30)은 길이가 긴 원통형 드럼(31)의 둘레부에 브러쉬(32)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물질 박리수단(30)은 1차 순환골재(A)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물질 분리조(10)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물질 박리수단(30)은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30)은 각각의 구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회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경우 각각의 이물질 박리수단(30)은 기어트레인이나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다수개가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서도 충분히 구동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박리수단(30)은 다수개(도면에는 5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가 이물질 분리조(10) 내부에 배열되는데, 투입구(11)의 하부에 경로(T)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측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
이처럼, 이물질 박리수단(30)이 배치될 때 이물질 박리수단(30)은 요철부가 서로 반대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이물질 박리수단(30)은 에어실린더(33)와 탄성부재(예컨대, 코일스프링(34))를 통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물질 박리수단(30)이 항상 일측(경로(T)측)으로 지지되어 브러쉬(32)가 마모되어도 1차 순환골재(A)의 표면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에어실린더(33)와 코일스프링(34)은 콤프레샤를 통해 공급받는 에어펄스를 에어실린더(33)에 공급하여 브러쉬(32)에 진동을 주는 방식으로, 순환골재와 브러쉬(32)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작은골재가 브러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물질 박리수단(30)이 경로(T)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경로(T)측으로 지지 및 회전되어 1차 순환골재(A)를 회전시키면서 1차 순환골재(A)의 모든 부분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수단(40)은 둘레부에 브러쉬(41)가 구비된 구조이며, 이물질 박리수단(30)의 브러쉬(32)를 긁어 이물질 박리수단(30)의 브러쉬(32)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 제거수단(40)은 이물질 박리수단(30)에 의한 이물질 제거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이물질 분리조(10)의 벽면에 높이차를 두고 다단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선별망(50)은 다수의 선별공(이물질(W)과 물은 통과하지만 순환골재(G)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을 갖는 판재로서, 이물질 박리수단(30) 중 가장 아래쪽에 장착되는 이물질 박리수단(30)의 저부 즉, 경로(T)의 아래쪽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선별망(50)은 일측이 이물질 분리조(10) 내부에 고정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대(51)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분산판(60)은 선별망(50)에 의해 선별된 순환골재(G)를 배출구(12)에 분산 배출시켜 하기 공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선별망(50)의 선별공을 통과하지 못한 순환골재(G)는 선별망(50)의 경사를 따라 분산판(60)에 낙하한 후, 분산판(60)에 부딪쳐 분산판(60)의 둘레부로 분산되어 배출된다.
분산판(60)은 순환골재(G)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마모와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특수강(강도가 큰 재질을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 다)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분산판(60)을 특수강으로 하여도 순환골재(G)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며, 분산판(60) 중 변형된 부분만 선택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분산판(60)은 본체(61) 및 본체(61)의 상부에 볼트(63)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특수강을 재질로 하는 분산패드(62)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산판(60)은 분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산판(60)의 회전을 위한 구성으로는 회전모터(64), 회전모터(64)와 분산판(60)을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 예컨대 벨트(65)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물질 박리수단(30)을 통과한 순환골재(G)와 이물질(W)이 선별망(5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판(70)이 포함될 수 있다.
유도판(70)은 일측이 선별망(50)의 반대측 벽에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도 조절 가능하며 지지대(7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71)는 에어댐퍼나 유압댐퍼, 다단의 조절공이 구비된 기구일 수 있다.
유도판(70)의 저부에는 유도판(70)을 따라 흘러내리는 순환골재(G)와 이물질(W) 및 물에 에어를 송풍하여 이물질(W)과 물을 순환골재(G)로부터 선별하는 송풍수단(80)이 더 갖추어질 수 있다.
송풍수단(80)의 노즐은 유도판(70)의 저부에 배치될 것이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은 순환골재(G)를 이동시키지는 못하고 이물질(W)과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처리 공정을 거친 1차 순환골재(A)는 투입구(11)를 통해 이물질 분리조(10) 내부에 투입된다.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1차 순환골재(A)는 가이드(13)의 안내를 받아 이물질 박리수단(30) 사이의 경로(T)로 유도되어 다단의 이물질 박리수단(30)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표면에 있는 이물질(W)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차 순환골재(A)의 양측에 배치된 이물질 박리수단(30)은 각각 제자리 회전하면서 브러쉬(32)가 1차 순환골재(A)의 표면을 긁어 이물질(W)을 1차 순환골재(A)에서 제거한다. 1차 순환골재(A)는 다단의 이물질 박리수단(3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브러쉬(32)에 의해 1차 순환골재(A)의 표면이 깍이기 때문에 순환골재(G)의 입형이 각지지 않고 둥글게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박리수단(30)과 이물질 제거수단(40)의 브러쉬(32,41)가 접촉되어, 이물질 박리수단(30)의 브러쉬(32)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다단의 이물질 박리수단(30)을 통과한 순환골재(G)와 이물질(W)은 선별망(50)으로 낙하하고, 경로(T)를 벗어난 순환골재(G)와 이물질(W)은 유도판(70)의 안내를 받아 선별망(50)으로 유도된다. 순환골재(G)와 이물질(W)이 유도판(70)에서 낙하할 때 송풍수단(8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W)과 물이 순환골재(G)로부터 분리됨으로써 1차 선별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선별망(50)에 낙하한 순환골재(G)와 이물질(W) 및 물 중 이물질(W)과 물은 선별망(50)의 선별공을 통과하지만 순환골재(G)는 상기 선별공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순환골재(G)와 이물질(W) 및 물이 선별되는 것이다.
이물질(W)과 물은 별도의 후처리 공정으로 진행되고, 순환골재(G)는 선별망(50)의 경사를 타고 분산판(60)으로 유도된다.
분산판(60)은 제자리 회전상태이며, 분산판(60)에 낙하하는 순환골재(G)는 분산판(60)의 주위로 분산된다. 따라서, 순환골재(G)가 후속 공정(예를 들어 세척 등)에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박리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박리수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박리수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적용된 분산판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물질 분리조, 20 : 물공급수단
30 : 이물질 박리수단, 40 : 이물질 제거수단
50 : 선별망, 60 : 분산판
70 : 유도판

Claims (4)

  1. 상부에는 투입구가 하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된 중공형 이물질 분리조(10)와;
    상기 이물질 분리조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갖는 물분사수단(20)과;
    둘레부에 브러쉬가 형성된 원통형이며 상기 이물질 분리조의 투입구 아래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이물질 제거 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이물질 분리조의 투입구에서 낙하하는 1차 순환골재의 표면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30)과;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의 둘레부에 상기 브러쉬와 접촉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의 브러쉬에 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다수의 이물질 제거수단(40)과;
    상기 다수의 이물질 박리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을 통과한 순환골재와 이물질 및 물 중 이물질과 물을 통과시켜 순환골재를 분리하는 선별망(50)과; 그리고,
    상기 선별망 하부에 구동수단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망에서 낙하하는 순환골재를 분산 공급하는 분산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 중 최하부에 배치되는 이물질 박리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 박리수단에 의해 낙하하는 순환골재와 이물질 및 물을 상기 선별망으로 유도하는 유도판(7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의 저부에는 상기 유도판을 따라 흘러내리는 순환골재와 이물질 및 물에 에어를 송풍하여 상기 이물질과 물을 순환골재로부터 선별하는 송풍수단(8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본체(61)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산패드(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80102764A 2008-10-20 2008-10-20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7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764A KR100879809B1 (ko) 2008-10-20 2008-10-20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764A KR100879809B1 (ko) 2008-10-20 2008-10-20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809B1 true KR100879809B1 (ko) 2009-01-28

Family

ID=4048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764A KR100879809B1 (ko) 2008-10-20 2008-10-20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8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43B1 (ko) 2010-09-17 2011-06-14 주식회사 일성산업 멀티용도별 양질의 순환골재생산장치 및 방법
KR101078274B1 (ko) 2010-06-08 2011-10-31 우광개발주식회사 순환굵은골재 미립분 제거장치
CN107983458A (zh) * 2017-11-25 2018-05-04 李小婷 一种转动循环式三七制粒装置
CN110404616A (zh) * 2019-08-19 2019-11-05 七台河宝泰隆新能源有限公司 一种针状焦煅前焦破碎装置及方法
KR102185309B1 (ko) 2020-07-03 2020-12-01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에어 타입 순환골재 이물질 제거장치
KR102287089B1 (ko) 2021-01-22 2021-08-06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용 비산먼지 및 미세먼지 박리 제거장치
KR20230010357A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422A (ja) 1997-07-09 1999-02-02 Nittetsu Mining Co Ltd 選別装置
KR200310857Y1 (ko) 2003-01-07 2003-04-16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원통형스크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53052Y1 (ko) 2004-03-09 2004-06-14 주식회사 크린환경산업 초음파 발진원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 및 이물질제거장치
KR200435806Y1 (ko) 2006-11-14 2007-02-23 합자회사 금강개발 재생골재용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422A (ja) 1997-07-09 1999-02-02 Nittetsu Mining Co Ltd 選別装置
KR200310857Y1 (ko) 2003-01-07 2003-04-16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원통형스크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53052Y1 (ko) 2004-03-09 2004-06-14 주식회사 크린환경산업 초음파 발진원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 및 이물질제거장치
KR200435806Y1 (ko) 2006-11-14 2007-02-23 합자회사 금강개발 재생골재용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74B1 (ko) 2010-06-08 2011-10-31 우광개발주식회사 순환굵은골재 미립분 제거장치
KR101040743B1 (ko) 2010-09-17 2011-06-14 주식회사 일성산업 멀티용도별 양질의 순환골재생산장치 및 방법
CN107983458A (zh) * 2017-11-25 2018-05-04 李小婷 一种转动循环式三七制粒装置
CN110404616A (zh) * 2019-08-19 2019-11-05 七台河宝泰隆新能源有限公司 一种针状焦煅前焦破碎装置及方法
KR102185309B1 (ko) 2020-07-03 2020-12-01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에어 타입 순환골재 이물질 제거장치
KR102287089B1 (ko) 2021-01-22 2021-08-06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용 비산먼지 및 미세먼지 박리 제거장치
KR20230010357A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90960B1 (ko)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6740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3068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0755994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97623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세척장치
KR101769439B1 (ko) 도상자갈용 세척장치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940761B1 (ko) 골재 세척용 드럼형 세척장치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067112A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1693006B1 (ko) 매립폐기물 선별방법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