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357A -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0357A KR20230010357A KR1020210090808A KR20210090808A KR20230010357A KR 20230010357 A KR20230010357 A KR 20230010357A KR 1020210090808 A KR1020210090808 A KR 1020210090808A KR 20210090808 A KR20210090808 A KR 20210090808A KR 20230010357 A KR20230010357 A KR 202300103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rush
- foreign matter
- removal
- foreig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7853 Sarothamnus scop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 B08B1/002—
-
- B08B1/008—
-
- B08B1/0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제거대상물에 브러쉬유닛이 밀착되고, 상기 브러쉬유닛이 상기 제거대상물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 상기 이물제거부를 상기 제거대상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제거부를 회전축 상에서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유닛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쇼트 블라스트 작업후 열처리 작업을 하게 되는데 후판 하면에 쇼트볼이 남아 있다. 이 과정에서 남은 쇼트볼에 의한 압입흠으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고 야드에 적치시에는 다른 제품의 상면에 불량을 발생시킨다.
또한, 열처리로에 작업을 실시했을 경우에는 허스롤 마크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어 많은 불량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쇼트 작업시 작업자가 현장에서 쇼트 작업한 후판 전량에 대해 하면 검사를 실시하고, 빗자루로 쇼트볼을 제거하는 수동작업을 해야 하는 점에서 크레인이 들고 있는 후판 아래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점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처리 작업시 하면의 불량이 발생해 연마작업 또는 재투입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제거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킨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제거대상물에 브러쉬유닛이 밀착되고, 상기 브러쉬유닛이 상기 제거대상물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 상기 이물제거부를 상기 제거대상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제거부를 회전축 상에서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유닛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내장되어 상기 브러쉬유닛을 상기 제거대상물에 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본체;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고,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거대상물의 제거면에 밀착되는 브러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브러쉬유닛이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둘레방향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대상물 방향인 제거영역에 배치되는 제1 브러쉬유닛; 및 상기 제1 브러쉬유닛과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 상기 제거영역을 벗어난 대기영역에 배치되는 제2 브러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가 형성되는 탄성프레임; 및 상기 탄성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대상물의 제거면에 밀착되는 브러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본체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받고, 상기 브러쉬부재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브러쉬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장착레일이 형성되는 장착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장착레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부재의 브러쉬모가 상기 제거대상물 방향을 연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한 쌍의 장착레일에 횡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판; 및 상기 삽입판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분을 통해 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러쉬모;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브러쉬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부재가 설정된 마모라인을 초과하여 마모시 상기 제거대상물가 접촉되는 터치리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제거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상기 이물제거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진동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거대상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에어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제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대상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거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가 제거대상물에서 이물질 제거작업을 종료한 후, 이물제거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가 제거대상물에서 이물질 제거작업을 종료한 후, 이물제거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가 제거대상물에서 이물질 제거작업을 종료한 후, 이물제거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장치의 이물제거부가 제거대상물에서 이물질 제거작업을 종료한 후, 이물제거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제거부(100), 회전부(2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링부재(151)의 탄성력을 매개로 제거대상물(M)에 브러쉬유닛(130)이 밀착되고, 브러쉬유닛(130)이 제거대상물(M)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제거부(100)는 브러쉬유닛(130)의 둘레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브러쉬유닛(130)이 제거대상물(M)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부(30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면서 브러쉬유닛(130)이 제거대상물(M) 하측을 쓸면서 제거대상물(M)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제거부(100)는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되나, 이는, 회전력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 아니고, 이물제거부(100)의 브러쉬유닛(130)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함이다.
즉, 이물제거부(100)가 제거대상물(M)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에는 이물제거부(1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300)는 이물제거부(100)를 제거대상물(M)의 제거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300)는 회전부(200)에 설치된 이물제거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300)는 레일(R) 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양측의 레일(R)에 각각 이동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측의 이동부(300)에는 회전부(200)가 설치되고, 회전부(200)에는 이물제거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타측의 이동부(300)에는 회전부(200) 대신에 베어링블록(J)이 설치되고, 베어링블록(J)에 이물제거부(10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200)는 이동부(300)에 설치되고, 이물제거부(100)를 회전축(K) 상에서 회전시켜 브러쉬유닛(130)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회전부(200)는 이동부(300)와 이물제거부(1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부(3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이물제거부(100)를 회전시킬 수 잇다.
일례로, 회전부(200)는 이물제거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거하는 이물질은 주로 쇼트볼 일 수 있고, 제거대상물(M)은 쇼트블라스트 공정을 거친 후판일 수 있으며, 이물질제거장치는 후판을 이송하는 이송테이블(T)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제거부(100)는 스프링부재(151)가 내장되어 브러쉬유닛(130)을 제거대상물(M)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제거부(100)는 프레임본체(110) 및 브러쉬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본체(110)는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K)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본체(110)는 회전부(200)에 결합되고, 회전축(K)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본체(11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본체(110)와 회전부(200)는 연결플랜지를 매개로 볼트체결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브러쉬유닛(130)은 프레임본체(110)에 설치되고, 스프링부재(151)의 탄성력을 매개로 제거대상물(M)의 제거면에 밀착될 수 있다.
브러쉬유닛(130)은 제거대상물(M)의 하측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거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브러쉬유닛(130)은 프레임본체(110)의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물제거부(100)는 프레임본체(11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의 브러쉬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물제거부(100)는, 프레임본체(110)에 1개의 브러쉬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되면서 브러쉬유닛(130)은 제거대상물(M) 방향인 제거영역(S1)과 제거영역(S1)을 벗어난 대기영역(S2)으로 둘레방향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회전부(200)에 의해 이물제거부(100)가 회전되면서 브러쉬유닛(130)이 부착영역과, 제거영역(S1)으로 둘레방향 위치가 변경되면서 순환되면서 이물질 제거작업과, 브러쉬유닛(130)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쉬유닛(130)은 프레임본체(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브러쉬유닛(130)이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쉬유닛(13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평면상에서 제1 방향(D1)의 길이가 제2 방향(D2)이 길이보다 긴 장방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러쉬유닛(130)은 제거대상물(M) 방향인 제거영역(S1)에 1개의 브러쉬유닛(130)이 배치되고, 나머지 브러쉬유닛(130)은 제거영역(S1)을 벗어난 대기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본체(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3 개의 브러쉬유닛(130)이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인접한 브러쉬유닛(130)은 둘레방향으로 120도의 각도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쉬유닛(130)은 제1 브러쉬유닛(130-1) 및 제2 브러쉬유닛(1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러쉬유닛(130-1)은 프레임본체(110)의 둘레방향 일면에 설치되고, 제거대상물(M) 방향인 제거영역(S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러쉬유닛(130-2)은 제1 브러쉬유닛(130-1)과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 제거영역(S1)을 벗어난 대기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이물제거부(100)를 180도씩 회전시켜 제1 브러쉬유닛(130-1)과 제2 브러쉬유닛(130-2)을 순환시켜 사용하여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제1 브러쉬유닛(130-1)이 제거영역(S1)에 배치되어 제거대상물(M)에 밀착되고 이물질 제거작업을 한다. 이후, 제1 브러쉬유닛(130-1)의 청소가 필요할 경우, 회전부(200)가 이물제거부(100)를 180도 회전시켜 제2 브러쉬유닛(130-2)을 제거영역(S1)에 배치시켜 이물질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유닛(130)은 탄성프레임(150) 및 브러쉬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프레임(150)은 프레임본체(110)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51)가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재(140)는 탄성프레임(15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거대상물(M)의 제거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탄성프레임(150)은 프레임본체(110)와 브러쉬부재(140)를 연결하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부재(15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부재(151)의 일측은 프레임본체(110)에 고정되고, 스프링부재(151)의 타측은 브러쉬부재(1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프레임(150)은 스프링부재(151) 및 장착프레임(15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151)는 일측이 프레임본체(110)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프레임(155)과 프레임본체(1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스프링부재(151)가 제1 방향(D1)으로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151)는 장착프레임(155)의 하측에 설치되고, 장착프레임(155)에 설치된 브러쉬유닛(130)을 제거면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장착프레임(155)은 스프링부재(151)의 타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받고, 브러쉬부재(140)의 설치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프레임(155)의 하측에는 스프링부재(151)가 고정되고, 상측에는 브러쉬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브러쉬부재(140)는 장착프레임(15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러쉬부재(140)가 마모시 브러쉬부재(140)는 장착프레임(155)에서 교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착프레임(155)은 장착본체(155a) 및 개방부분(155c)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본체(155a)는 브러쉬부재(14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장착레일(155b)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분(155c)은 한 쌍의 장착레일(155b)의 사이에 형성되고, 브러쉬부재(140)의 브러쉬모(143)가 제거대상물(M) 방향을 연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부재(140)는 삽입판(141) 및 브러쉬모(14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판(141)은 한 쌍의 장착레일(155b)에 횡방향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삽입판(14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판(141)은 장착프레임(155)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레일(155b)에 제1 방향(D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브러쉬모(143)는 삽입판(141)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개방부분(155c)을 통해 제거대상물(M)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브러쉬모(143)는 삽입판(141)의 일면에서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3 방향(D3)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브러쉬모(143)는 플라스틱 소재와, 강재 소재가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러쉬유닛(130)은 터치리미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리미트(170)는 브러쉬부재(140)에 설치되고, 브러쉬부재(140)가 설정된 마모라인을 초과하여 마모시 제거대상물(M)가 접촉될 수 있다.
브러쉬부재(140)가 설정된 마모라인을 넘어서 마모시, 터치리미트(170)는 제거대상물(M)과 접촉되면서 제어부(미도시) 등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브러쉬부재(140)의 교체주기를 알려줄 수 있다.
터치리미트(170)가 제거대상물(M)과 접촉시 경광등, 알람, 운전실화면의 팝업창 등을 통해 작업자가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터치리미트(170)가 제거대상물(M)과 접촉시, 제어부(미도시)가 이물질 제거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리미트(170)는 롤러 형태로 구성되어 제거대상물(M)과 접촉되더라도 회전하면서 제거대상물(M)의 판면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진동인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인가부(400)는 이물제거부(100)에 진동을 인가하여 이물제거부(10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일례로, 진동인가부(400)는 이물제거부(100)의 프레임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진동모터 등에 의해 진동되면서 프레임본체(110)에 설치된 브러쉬유닛(130)에 진동을 인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물제거부(100)가 제거대상물(M)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원위치로 복귀하면 회전부(200)가 이물제거부(100)를 회전시켜 브러쉬유닛(130)의 둘레방향 위치를 제거영역(S1)인 상측에서 대기영역(S2)인 하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진동인가부(400)가 이물제거부(100)에 진동을 인가하여 브러쉬유닛(130)의 브러쉬모(143) 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낙하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진동인가부(400)는 5초 이상 작동시켜 브러쉬모(143)의 사이에 잔존하는 쇼트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에어분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500)는 제거대상물(M)에서 제거된 이물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대상물(M)은 쇼트블라스트 공정을 거친 후판이고, 이물질제거장치는 후판을 이송하는 이송테이블(T)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쇼트블라스트 공정이 끝난 경우, 후판의 상면에 잔존하는 쇼트볼은 쇼트블라스트 공정에서 자체로 제거될 수 있다. 다만, 후판의 하면에 잔존하는 쇼트볼은 쇼트블라스트 공정에서 자체로 제거될 수 없어 잔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제거대상물(M)인 후판을 크레인(U) 등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후판의 하측에 잔존하는 이물질인 쇼트볼을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마그네틱 방식으로 후판을 들어올릴 수 있다.
에어분사부(500)는 이물제거부(100)에 의해 제거대상물(M)에서 제거되고, 이송테이블(T) 등으로 낙하된 이물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500)는 이송테이블(T)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고, 타측 측면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낙하된 이물질을 이송테이블(T)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물제거부(100)는 이동부(300)에 의해 레일(R) 상으로 이동하면서 제거대상물(M)의 하면의 이물질을 긁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바, 에어분사부(500)는 이물제거부(100)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분사챔버가 설치되고, 분사챔버에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이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분사챔버가 회동되면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물제거부(100)가 이물제거작업을 종료하고, 원래의 정위치로 복귀했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밸브가 개방되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밸브는 3초 동안 오픈되고, 에어는 1BAR의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감지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600)는 이물제거부(100)에 설치되어 제거대상물(M)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600)는 프레임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부(300)에 의해 이물제거부(100)와 함께 이동하면서 이물제거부(100)가 지나가는 경로에 제거대상물(M)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600)는 이물제거부(100)가 동작시 제거대상물(M)을 감지하고, 이동부(300)에 의해 이물제거부(100)가 이동하여 제거대상물(M)을 벗어난 경우, 감지센서부(60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 등으로 신호를 보내 이동부(3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이동부(30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이물제거부(100)는 제거대상물(M)의 이물질을 한번 더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높이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700)는 이동부(300)에 설치되고, 회전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700)는 이동부(300)에 설치되어 회전부(20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700)가 회전부(200)를 승강시 회전부(200)에 설치된 이물제거부(10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700)는 제거대상물(M)의 이물질을 제거가 필요할 경우, 이물제거부(100)를 높이방향인 제3 방향(D3)으로 상승시켜 제거대상물(M)에 밀착시키고, 이물질 제거작업이 종료될 경우, 이물제거부(100)는 하강시켜 제거대상물(M)의 하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700)는 이물제거부(100)에 설치된 브러쉬부재(140)가 마모시, 브러쉬부재(140)가 마모된만큼 제3 방향(D3)으로 더 상승시켜 브러쉬부재(140)의 마모량을 보정하여 이물제거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거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대상물(M)은 쇼트블라스트 공정을 거친 후판이고, 이물질제거장치는 후판을 이송하는 이송테이블(T)의 주변에 설치된 경우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쇼트블라스트 공정을 거친 후판을 마그네틱 방식의 크레인(U)이 들어올린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작동하여 크레인(U)이 들어올린 후판의 하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제거되는 이물질은 주로 쇼트블라스트 공정에서 사용된 쇼트볼이다.
이때,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제거부(100)가 후판의 하부에 밀착되고, 이동부(300)가 회전부(200) 및 이물제거부(100)를 일체로 이동시키면서 이물제거부(100)가 후판의 하부를 쓸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 제거장치가 작동 후, 이물질 제거작업이 종료되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원위치로 복귀한 이물질 제거장치는 회전부(200)가 제거영역(S1)에 배치되었던 브러쉬유닛(130)을 대기영역(S2)으로 회전시키고, 진동인가부(400)가 이물제거부(100)에 진동을 인가하여 브러쉬유닛(13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낙하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물제거부(100)가 제거대상물(M)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원위치로 복귀하면 회전부(200)가 이물제거부(100)를 회전시켜 제거대상물(M)과 접촉하였던 브러쉬유닛(130)의 둘레방향 위치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이송테이블(T)에 낙하한 이물질을 에어분사부(500)가 에어를 분사하여 이송테이블(T)의 상면에 떨어진 이물질을 청소한다. 이후, 이송테이블(T)의 주변에 떨어진 이물질은 작업자 등이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이물제거부
110: 프레임본체
130: 브러쉬유닛 130-1: 제1 브러쉬유닛
130-2: 제2 브러쉬유닛 140: 브러쉬부재
141: 삽입판 143: 브러쉬모
150: 탄성프레임 151: 스프링부재
155: 장착프레임 155a: 장착본체
155b: 장착레일 155c: 개방부분
170: 터치리미트 200: 회전부
300: 이동부 400: 진동인가부
500: 에어분사부 600: 감지센서부
700: 높이조절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M: 제거대상물 J: 베어링블록
K: 회전축 R: 레일
S1: 제거영역 S2: 대기영역
T: 이송테이블 U: 크레인
130: 브러쉬유닛 130-1: 제1 브러쉬유닛
130-2: 제2 브러쉬유닛 140: 브러쉬부재
141: 삽입판 143: 브러쉬모
150: 탄성프레임 151: 스프링부재
155: 장착프레임 155a: 장착본체
155b: 장착레일 155c: 개방부분
170: 터치리미트 200: 회전부
300: 이동부 400: 진동인가부
500: 에어분사부 600: 감지센서부
700: 높이조절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M: 제거대상물 J: 베어링블록
K: 회전축 R: 레일
S1: 제거영역 S2: 대기영역
T: 이송테이블 U: 크레인
Claims (14)
-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제거대상물에 브러쉬유닛이 밀착되고, 상기 브러쉬유닛이 상기 제거대상물을 따라 이동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
상기 이물제거부를 상기 제거대상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제거부를 회전축 상에서 회전시켜 상기 브러쉬유닛의 둘레방향 위치를 변경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내장되어 상기 브러쉬유닛을 상기 제거대상물에 밀착시키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본체; 및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고,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거대상물의 제거면에 밀착되는 브러쉬유닛;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는,
상기 프레임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브러쉬유닛이 이격하여 배치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둘레방향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거대상물 방향인 제거영역에 배치되는 제1 브러쉬유닛; 및
상기 제1 브러쉬유닛과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 상기 제거영역을 벗어난 대기영역에 배치되는 제2 브러쉬유닛;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가 형성되는 탄성프레임; 및
상기 탄성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대상물의 제거면에 밀착되는 브러쉬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본체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스프링부재의 타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받고, 상기 브러쉬부재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브러쉬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장착레일이 형성되는 장착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장착레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부재의 브러쉬모가 상기 제거대상물 방향을 연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분;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한 쌍의 장착레일에 횡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판; 및
상기 삽입판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분을 통해 제거대상물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러쉬모;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은,
상기 브러쉬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부재가 설정된 마모라인을 초과하여 마모시 상기 제거대상물가 접촉되는 터치리미트;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상기 이물제거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진동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대상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에어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대상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0808A KR20230010357A (ko) | 2021-07-12 | 2021-07-12 | 이물질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0808A KR20230010357A (ko) | 2021-07-12 | 2021-07-12 | 이물질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0357A true KR20230010357A (ko) | 2023-01-19 |
Family
ID=8507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0808A KR20230010357A (ko) | 2021-07-12 | 2021-07-12 | 이물질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1035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809B1 (ko) | 2008-10-20 | 2009-01-28 | 두제산업개발(주)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
-
2021
- 2021-07-12 KR KR1020210090808A patent/KR2023001035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9809B1 (ko) | 2008-10-20 | 2009-01-28 | 두제산업개발(주)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689147U (zh) | 一种轨道车辆车轴的激光表面处理自动清洗设备 | |
US7194334B2 (en) | Method of washing a contaminant from a surface via a robotic arm | |
KR101935744B1 (ko) | 브레이크용 축부재 가공장치 | |
US7390074B2 (en) | Methods of and apparatuses for wiping a line head in an ink jet recorder | |
JP3947893B2 (ja) | 乾式電気集塵機の洗浄装置 | |
JP3333778B2 (ja) | 研磨定盤の洗浄方法及びその洗浄装置 | |
KR20230010357A (ko) | 이물질 제거장치 | |
CN215902356U (zh) | 机车风笛的激光清洁装置 | |
CN104492759A (zh) | 轮胎硫化模具干冰清洗机械手 | |
JP3616725B2 (ja) | 基板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DE102009022269A1 (de) | Abreinig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 |
JPH03176501A (ja) | レール走行面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 |
KR101525060B1 (ko) | 압연롤의 이물 제거장치 | |
CN204320747U (zh) | 轮胎硫化模具干冰清洗机械手 | |
WO1981002701A1 (en) | A method of cleaning moulds in a long mould bed for casting consecutive concrete elements and a rail-bound mould-cleaning carriage | |
KR100949900B1 (ko) |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부재의 크기를 인식하여 자동으로이동 분사하는 에어 블로잉 장치 | |
KR101935745B1 (ko) | 제동장치용 축부재 가공장치 | |
JP2004230315A (ja) | 光学窓ガラス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 |
JP2022147378A (ja) | 鋼板自動清掃システム、鋼板自動清掃装置、及び鋼板自動清掃方法 | |
KR100956085B1 (ko) | 잉크 헤드 노즐의 클리닝 장치 | |
US20020157690A1 (en) | Random high pressure water jetting nozzle for cleaning castings | |
EP1167202B1 (de) | Reinigungsvorrichtung für Greifer von Packmaschinen | |
JP3232466U (ja) | 鋼板自動清掃システム及び鋼板自動清掃装置 | |
KR100825643B1 (ko) | 롤다용도정비대 | |
KR100467796B1 (ko) | 탈지설비의 스와프 유입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