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244B1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3244B1 KR100523244B1 KR10-2003-0013824A KR20030013824A KR100523244B1 KR 100523244 B1 KR100523244 B1 KR 100523244B1 KR 20030013824 A KR20030013824 A KR 20030013824A KR 100523244 B1 KR100523244 B1 KR 1005232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ushing
- waste
- aggregate
- washing
- construction was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85 magnetic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2 mixe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reinforcing ba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원료중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이물질이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일정입도 이하가 되도록 파쇄하는 단계; 일정입도로 파쇄되는 골재를 세척하는 단계;및, 세척되는 골재를 입도별도 선별하는 단계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건설폐기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양질의 모래 및 자갈과 미분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중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이물질이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일정입도 이하가 되도록 파쇄하는 단계; 일정입도로 파쇄되는 골재를 세척하는 단계;및, 세척되는 골재를 입도별도 선별하는 단계로서 건축 폐기물에서 양질의 골재및 모래와 미분을 분리선별하여 재활용 할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폐기물은, 토목이나 건축물의 노후화및 재시공, 건축물의 기능저하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서, 구조물의 해체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에는 천연의 토사등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배출토록 된다.
또한, 상기 건설폐기물은, 일반적으로 무기물로 구성되어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서 충분히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나, 그동안에는 재생시 시멘트 성분등에 의해 결합력등의 품질이 저하되어 대부분이 성토나, 복토및 매립용등의 기초지반 형성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가 실용신안등록 2767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파쇄공정을 거친 재생골재 또는 수거된 건설폐기물이 각각 투입될수 있도록 피더가 구비된 호퍼와;
상기 호퍼와 컨베이어벨트로 연결되어 투입된 폐기물 및 골재에 포함된 금속을 선별한후 일정한 크기로 선별하는 진동식 선별수단;
상기 선별수단에서 25㎜ 이상으로 선별된 골재는 컨베이어로 배출되고, 5㎜ 이하의 골재는 모래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급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설폐기물 처리와 추출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는, 일정입도 이하의 모래만을 선별하는 장치이고, 입도를 유지하기 위하 반복적인 공정으로 작업공정이 증가하게 되며, 골재에 부착되는 시멘트 성분의 완전한 제거가 힘들어 재생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 콘크리트·폐 아스콘·건축폐자재·건축폐기물·혼합폐기물 등을 선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이에따른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골재에 혼합되는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하도록 하여 골재의 재활용시 발생되는 강도저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폐건축자재중 다양한 입도를 갖는 골재와 모래및 미분을 하나의 공정에 의해 선별하도록 하고, 천연골재에 근접하는 양질의 골재를 얻을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원료중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이물질이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일정입도 이하가 되도록 파쇄하는 단계;
일정입도로 파쇄되는 골재를 세척하는 단계;및,
세척되는 골재를 입도별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폐 콘크리트등을 원료로 사용하며, 상기 원료중에 포함되는 철근, 스치로폼, 비닐, 나무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자석에 의한 자력선별과정과 물이나 바람등을 이용하여 비중차에 의한 비중선별과정및 진동체 스크린에 의한 입자선별과정을 통하여 일정입도를 갖는 다수의 폐콘크리트만을 선별한다.
이어서, 상기 선별과정에서 선별된 폐콘트리트를 파쇄하고, 상기 작업은 건설폐기물(이물질등이 폐콘크리트등에 혼합되는 상태의 건설폐기물)이 주원료로서 투입되는 호퍼와 이를 공급하는 컨베이어로서 이동하면서 입도가 점차 축소되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에 투입되는 원료를 먼저 200㎜ 이하의 크기로 파쇄하도록 죠크러셔가 설치되고, 상기 죠크러셔와 연결되는 라인상에 25㎜ 이하의 크기로 파쇄하도록 콘크러셔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쇄공정에서는 일정입도를 갖는 골재및 분쇄시에 발생되는 미분등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선별되는 골재 및 미분은 세척수단을 통과 하면서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시멘트입자등을 세척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단은, 수조와, 일단이 수조의 내측에 삽입되고 타단이 공기중에 노출토록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다수의 관통공을 갖고 상부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판상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진동시키는 진동자및 상기 진동스크린의 상부에서 고압을 물을 분사토록 설치되는 노즐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수조와 그 내측에 일부가 침적토록 설치되면서 회전하는 원통상의 스크린및 상기 스크린을 진동시키는 진동자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세척되는 골재는, 세척되는 골재를 일정한 높이차를 갖으면서 일정입도의 배출공을 갖는 다단의 진동스크린을 진행하면서 배출되고, 그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입자별도 보관된다.
한편, 수처리과정을 거치지 않는 초기단계의 입자는 물이 충진되면서 하부가 테이퍼상인 수집호퍼에 의해 중력침강되어 포집토록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와 같이, 주로 폐 콘크리트등을 원료로 사용하며, 상기 원료중에 포함되는 철근, 스치로폼, 비닐, 나무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자석에 의한 자력선별과정과 물이나 바람등을 이용하여 비중차에 의한 비중선별과정 및 진동체 스크린에 의한 입자선별과정을 순차로 진행하는 과정을 통하여 일정입도를 갖는 다수의 폐콘크리트만을 선별한다.
그리고, 상기 자력선별은, 원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일정속도로 회전될때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로울러에 자석을 설치하여 컨베이어의 회전시 그 회전력에 의해 자성체는 근거리에 비자성체는 원거리에 낙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콘트리트중에 포함되는 금속류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가 낙하하는 유로상에 배풍기가 설치되어 비중이 가벼운 물질을 콘트리트중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이송토록 설치되는 컨베이어 상에 낙하되며, 상기 수조에는 걸림막이 설치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크러셔상의 호퍼에 투입되고, 상기 파쇄공정은 컨베이어로서 이동하면서 다수의 크러셔를 거치면서 입도가 점차 축소되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원료는 먼저 죠크러셔에 의해 200㎜ 이하의 크기로 파쇄되고, 이어서 연결되는 콘크러셔에 의해 25㎜ 이하의 크기로 파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쇄공정에서는 일정입도를 갖는 골재및 분쇄시에 발생되는 미분등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선별되는 골재 및 미분은 세척수단을 통과 하면서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시멘트입자등을 세척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단의 동작은, 콘크러셔에 연결되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파쇄된 콘크리트가 수조에 투입되면 상기 수조의 내측에 일단이 침강되는 상태이면서 타단부는 지상에 노출토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상에 적재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진동되어 물에 충분이 불려지는 콘크리트덩어리에서 시멘트 입자를 초기 제거토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가 지상에 노출되면서 부터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압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압에 의해 2차로 콘크리트 덩이의 시멘트 입자가 세착되어 순수한 모재와 골재많이 남도록 되며, 이때의 수분및 시멘트 입자는 관통공을 통하여 낙하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세척수단의 동작은, 콘크러셔에 연결되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파쇄된 콘크리트가 수조에 투입되면 상기 수조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일측이 물에 침강토록 되는 스크린에서 회전하면서 시멘트등이 이탈되고, 상기 스크린은, 물에 연속적으로 침적되는 상태의 콘크리트 덩어리를 상호 충돌시키면서 회전시켜 상기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되는 골재는, 스크린에서 컨베이어로 배출되어 세척되는 일정한 높이차를 갖으면서 일정입도의 배출공을 갖는 다단의 진동스크린으로 투입되고, 이때 상기 스크린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통하여 입도별로 배출되며, 상기 스크린에 대응토록 그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컨베이어로서 야적장에 입자별도 보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처리과정을 거치지 않는 초기 파쇄단계에서 배출되는 미분등은 하부가 테이퍼상인 수집호퍼에 투입되어 그 내측에 충진되는 물에 중력침강되어 포집토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폐 콘크리트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함은 물론 폐콘크리트 중에 포함되는 시멘트 성분에 의해 재 사용시 결합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폐콘크리트·폐아스콘·건축폐자재·건축폐기물·혼합폐기물 등을 선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골재에 혼합되는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골재의 재활용시 발생되는 강도저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폐건축자재중 골재의 재활용하도록 하며, 다양한 입도를 갖는 골재의 하나의 공정에 의해 선별하도록 하고, 천연골재에 근접하는 양질의 골재를 얻을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1은 종래의 건설폐기물 처리,추출및 투입골재를 위한 가공장치를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분쇄 및 선별방법을 동작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Claims (4)
- 자력,비중,입도설별과정으로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건축물폐기물을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골재를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 및, 골재를 입도별도 선별하는 단계로 구성된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에 있어서,상기 세척수단은, 콘크리트를 수조내에 낙하시키면서 세척하는 1차 세척과정, 수조내에 그 일부분이침강되는 상태로 진동자에 의해 진동되면서 회전하는 원통상의 스크린 내측에 투입하여 진동,회전 의해 세척하는 2차 세척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3824A KR100523244B1 (ko) | 2003-03-05 | 2003-03-05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3824A KR100523244B1 (ko) | 2003-03-05 | 2003-03-05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8976A KR20040078976A (ko) | 2004-09-14 |
KR100523244B1 true KR100523244B1 (ko) | 2005-10-20 |
Family
ID=3736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3824A KR100523244B1 (ko) | 2003-03-05 | 2003-03-05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32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492B1 (ko) * | 2005-01-03 | 2007-03-27 | 김동환 | 재생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
CN103962366A (zh) * | 2014-05-20 | 2014-08-06 | 潜山县新型工程建筑材料有限公司 | 建筑垃圾处理回收利用方法 |
-
2003
- 2003-03-05 KR KR10-2003-0013824A patent/KR1005232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8976A (ko) | 2004-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2847B1 (ko) |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 |
KR20080058076A (ko) |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 |
KR102178686B1 (ko)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순환공조시스템을 이용한 재생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 |
KR100434799B1 (ko)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 |
KR20050091123A (ko) |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골재 세척장치 | |
KR200370528Y1 (ko) | 재활용 모래 선별세척장치 | |
KR100358687B1 (ko)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 |
KR100575106B1 (ko) |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0660142B1 (ko) |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506369B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 |
KR100574675B1 (ko) |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 |
KR100436545B1 (ko) |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 |
KR100500135B1 (ko) |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870986B1 (ko) |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 |
KR100523244B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
KR100764643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 |
KR102197340B1 (ko) |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 |
KR100478716B1 (ko) | 습식 스크린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제조장치 | |
KR100615979B1 (ko) | 수타방식을 이용한 재생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 |
KR0152297B1 (ko) |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051412B1 (ko) |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 |
KR100516357B1 (ko)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습식 및 건식 겸용 재생골재의 제조방법 | |
KR100518918B1 (ko) |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 |
KR200284248Y1 (ko) |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원통스크린 장치 | |
KR200302005Y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