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606Y1 -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606Y1
KR200346606Y1 KR20-2004-0000125U KR20040000125U KR200346606Y1 KR 200346606 Y1 KR200346606 Y1 KR 200346606Y1 KR 20040000125 U KR20040000125 U KR 20040000125U KR 200346606 Y1 KR200346606 Y1 KR 200346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scattering
mixture
scatter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화
김태일
최동윤
박치호
곽정훈
양창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4-0000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혼합물로부터 고운 입자와 조대 입자로 선별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가 개시된다.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는 동력부, 비산원판 및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는 동력부, 동력부와 연결되고 동력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 혼합물을 비산시키는 비산원판 및 비산원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혼합물로부터 입자 크기에 따라 고운 입자와 조대 입자를 선별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구동력을 적게 필요하므로 경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혼합물들의 이동경로가 확실하여 선별효율도 증가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APPARATUS FOR SEPARATION OBJECT PARTICLE WITH A SCREEN}
본 고안은 입자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조대 입자를 선별하는 입자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또는 생산 현장에서 혼합물을 조대 입자와 고운 입자로 나누면, 일을 하는 데 용이한 경우를 많이 경험하게 된다. 그래서 입자 선별의 원리를 사용할 때가 많다. 또 이런 원리를 이용한 선별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런 선별기들을 더욱 여러 분야에 적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생활의 질이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도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인 입자 선별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자 선별 장치란, 물질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인 입자들의 모임, 즉 혼합물에서 소정의 입자를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서 선별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우리는 상기 입자 선별 장치를 여러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예를 찾아볼 수가 있다.
입자 선별 장치의 그 일 예로 퇴비 및 유기질 비료를 분리해 내는 입자 선별 장치가 있다. 음식물이나 각종 부산물을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할 때 이물질을 선별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선별장치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퇴비의 제조도 용이하게 하고 퇴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다른 예로 건설 폐기물을 재생용 골재와 폐기물로 선별해내는 방식이 있다. 건설 폐기물은 자연보호와 자원을 재활용하여 경비를 줄이기 위해서 선별해 내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때 입자 선별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건설 폐기물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 후 풍력이나 비중 차를 이용하여 재생 골재와 폐기물로 선별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생활 폐기물을 선별하는 것이다. 우리는 일상 생활에 서 나오는 많은 생활 폐기물을 토지에 묻고 있는데, 매립장이 한정되어 가고 있고 환경오염이 심각하므로 생활 폐기물을 재활용해야 하는 당위성을 갖게 되었다. 이때 입자 선별 장치를 이용해서 분리해 내고 있다.
또 다른 예로써 학문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A라는 시료가 어떤 원소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해서 분석할 때 사용하는 X-선 실험장치에 있어서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고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로울러를 이용해서 시료를 크기 별로 선별해 내는 데 이때 선별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우리는 이처럼 많은 분야에서 선별장치를 응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입자 선별 장치는 평판형으로 되어 있거나, 횡축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형들은 원통형 철망을 횡축으로 회전시켜서 선별하는 원통형 횡축 회전 철망 이용방식, 스크린 진동을 이용해서 선별하는 효율을 높이는 진동스크린 방식, 스크류가 장착되어 있는 스크류 선별방식 등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방식의 경우에는 퇴비나 유기질비료를 선별해 낼 때 스크린에 이물질이 많이 끼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선별할 때도 효율이 많이 떨어져서 자주 스크린을 털어내야 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을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불편을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095호인 "유기질비료용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별기"는 횡축형 선별기로써, 스크린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끼지 않게 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스크린을 청소한다.
도 1은 종래의 입자 선별 장치의 정면도로써, 음식잔재물이나 각종 부산물을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도1의 입자 선별 장치의 측면도로써, 음식잔재물을 선별하는 회전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게 만든 유기질 비료용 선별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별기(1)는 사각체 프레임(2) 상부에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회전체(3)가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3)는 감속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 받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외주에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 스크린(5)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3) 내부로 투입된 음식잔재물은 회전체(3)의 회전력에 의해 구름운동을 하면서 이물질이 선별스크린(5)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고 이물질이 선별된 상태의 음식잔재물은 회전체(3)하방에 설치된 이물질배출호퍼(6)에 의해 이물질배출컨베이어(7)로 안내되어 일정한 구역으로 수거되는 한편 이물질이 제거된 음식잔재물은 측면으로 별도 배출된 후 이송컨베이어(8)에 의해 다음 작업장소로 이송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그 구성을 즉 회전체(3)의 상방위치인 사각체프레임(2)상부 사방에 청소용 브러쉬(13)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러쉬 고정대(10)를 입설 한다. 여기에서 브러쉬 고정대(10)는 청소용 브러쉬(13)가 설치된다. 청소용 브러쉬(13)는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구부러지거나 마모되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탄력을 구비하도록 우레탄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시 선별스크린(5)과 밀착되게 설치하여 회전체(3)가 회전함에 따라 마치 기어조합과 같이 청소용 브러쉬(13)가 자연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 별도의 동력원을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체(3)가 회전하면서 선별작업이 진행될 때 선별작업과 병행하여 청소용 브러쉬(13)가 자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청소용 브러쉬(13)는 선별스크린(5)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빗자루를 이용하여 쓸어주듯 선별스크린을 청소함으로써 퇴비가 늘어붙음을 방지하게 된다.
즉 선별작업과 병행하여 청소용 브러쉬(13)에 의해 선별스크린(5)을 자동으로 청소 함으로써 선별스크린(5)에 이물질이 전혀 끼이지 않아 원활한 선별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고 별도의 후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장치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선별작업과 동시에 청소용 브러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회전체의 선별스크린을 청소해 줌으로써 선별 스크린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음식잔재물이 늘어 붙음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선별스크린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하는 별도의 후처리 작업을 요하지 않아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기질비료용 선별기는 횡축형으로 설치 되어 있어서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별스크린을 한번 장착하면 장치가 복잡하므로 교체하기가 번거롭다. 그러므로 원하는 입자가 선별스크린의 망목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혼합물 자체가 선별스크린의 망목 크기보다 작은 경우 스크린의 교체가 필요한데 교체하기가 번거로우므로 많은 불편이 있다. 또한 선별 스크린에 끼인 이물질을 청소용 브러쉬로 제거 할 때 스크린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경우 스크린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쉽게 제거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위에서 설명한 원통형 횡축 회전 철망 이용방식, 진동스크린 방식 및 스크류 선별방식 등도 기계가 복잡하므로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동력이 크고 장치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들며, 스크린이 고정되어 있어서스크린 교체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혼합물 상에 포함된 조대 입자(톱밥 등)를 분리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균일하게 분포된 고운 입자를 얻어 혼합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이 착탈 가능하고,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크기로 스크린의 망목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입자들을 선별할 수 있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면적을 종래의 선별 장치 보다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선별 장치보다 구동력이 작아서 입자를 선별해 내는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스크린에 이 물질이 끼거나 조대 입자(톱밥 등)가 달라붙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 내에서 공기와류를 형성하여 스크린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입자의 부착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된 고운 입자에 수분을 첨가 하여 입자가공 조건에 적당한 상태의 수분함량을 지니게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입자 선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입자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크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진동발생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동력부 120: 회전원판
130: 스크린 140: 중심축
150: 도입부 210: 동력부
220: 비산원판 222: 제1 비산원판
224: 제2 비산원판 226: 제1 안내날개
228: 제2 안내날개 230: 스크린부
232: 스크린 현수부 234: 제1 스크린
236: 제2 스크린 238: 스크린 스프링
239: 원통형 차단막 240: 진동발생부
242: 베벨 기어 244: 회전원판
246: 연결축 248: 연결축 지지대
250: 퇴비뭉침파쇄부 252: 파쇄칼날
254: 도입부 260: 전체프레임
262: 힌지 264: 고정축
266: 상부고정축 268: 중심축
270: 수분첨가부 280: 퇴비유출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는 동력부, 비산원판 및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비산원판과 연결되고, 상기 비산원판은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으로 혼합물을 비산시킨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비산원판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비산원판에서 비산된 상기 혼합물을 입자크기에 따라 고운 입자와 조대 입자로 선별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비산원판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종래의 방식은 서로 연계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많은 동력이 필요하나, 본 고안은 상기 비산원판을 회전시키는 에너지만으로 가능하므로 적은 동력으로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비산원판은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여 상기 혼합물을 비산시킨다. 이때 비산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스크린부를 통해 입자 크기 별로 선별된다. 상기 혼합물들이 상기 비산원판에서 직접 상기 스크린부로 이동하므로 종래의 선별 장치보다 이동경로가 확실하여 선별효율이 높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비산원판에 비산된 상기 혼합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고운 입자와 조대 입자로 선별해 낸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선별 장치보다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면적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또 종래의 설치 장치보다 구동력이 작아서 훨씬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비산원판을 이용하여 날려주는 상기 혼합물들의 이동경로가 확실하여 선별효율도 높다는 이점이 있다.
스크린 입자 선별장치는 상기 비산원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내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내날개는 방사모양으로 배치되고 상기 비산원판의 상면으로부터 위를 향하여 위치해 있다. 상기 안내날개는 상기 비산원판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상기 혼합물이 용이하게 비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안내날개는 상기 혼합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비산시키며 상기 혼합물의 이동경로를 더 정확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날개는 회전속도에 의해서 바람을 일으켜 공기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입자의 부착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비산원판은 상기 동력부와 연동하는 상기 제1 비산원판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인 제2 비산원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인 상기 제2 비산원판은 상기 제1 비산원판으로부터 비산된 상기 혼합물들이 상기 스크린부를 통과하지 못하였을 때 다시 한번 상기 스크린부로 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비산원판은 동력의 추가 없이 여러 번 더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뛰어난 선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비산원판에서 비산되어 상기 스크린부를 통과하지 못한 상기 잔여 혼합물을 상기 제2 비산원판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이 상기 제1 비산원판과 상기 제2 비산원판 사이에 함께 형성된다. 상기 안내판은 상기 스크린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잔여 혼합물들을 모아 줌으로써 상기제2 비산원판으로 상기 잔여 혼합물을 안내하여 제2 비산원판의 효과를 크게 증대시켜 준다.
상기 스크린부는 전체 프레임 내부에 형성하고, 착탈식 스크린과 차단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부에 연결되고, 현가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착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착탈식 스크린은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원하는 입자가 선별스크린의 망목 크기보다 클 경우 작은 망목 크기의 스크린으로 교체하고 상기 혼합물 자체가 선별 스크린의 망목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큰 망목 크기의 스크린으로 교체해 줌으로써 선별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스크린은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스크린과 대면하는 제2 스크린으로 구성된 2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크린과 대면하는 상기 제2 스크린을 이동하면 상기 제1 스크린의 그물과 상기 제2 스크린의 그물이 엇갈리게 되어 망목 크기가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여 망목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착탈식 스크린을 교체하지 않고도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크기로 망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고,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기 스크린부에 충격을 주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회전력을 전달 받는 제1 크랭크와 상기 제1 크랭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크랭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스크린부에 충격을 주어 상기 스크린부에 부착되거나 끼는 상기 잔여 혼합물을 아래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자동으로 스크린을 청소할 수 있고, 상기 잔여 혼합물을 예외 없이 비산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는 동력부(110), 비산원판(120), 스크린(130), 중심축(140) 및 도입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동력부(110)는 중심축(140) 상단에 연결되고, 동력부(110)에서 나오는 동력을 이용해 비산원판(120)을 회전시킨다. 비산원판(120)은 동력부(110)와 연결된 중심축(140)의 중앙에 위치하고, 동력부(11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회전한다. 이때 비산원판(120) 상에 있는 혼합물들이 비산원판(120)의 회전력에 의해서 비산하게 된다. 비산원판(120) 상단에 인접한 도입부(150)는 비산원판(120)의 중앙에 상기 혼합물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조대 입자와 고운 입자가 혼합되어 있다. 스크린(130)은 비산원판(12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비산원판(120)에서 비산된 상기 혼합물들을 상기 조대 입자와 상기 고운 입자로 분리시킨다. 이때 스크린(130)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현가 되어있다. 따라서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의 크기가 스크린(130)망의 크기보다 크거나, 상기 혼합물이 스크린(130)망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스크린(130)을 쉽게 교체하여 선별할 수 있는 입자의 범위를 넓힌다.
상기 혼합물은 도입부(150)에서 낙하하여 ①과 같이 비산원판(120) 중앙부로 안내된다. 상기 혼합물들은 비산원판(120)의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고 스크린(130)을 향하여 ②와 같이 이동한다. 스크린(130)으로 비산된 상기 조대 입자는 ③과 ④와 같이 이동하고 상기 고운 입자들은 ③과 같이 이동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상기 조대 입자와 상기 고운 입자로 선별한다.
본 고안은 앞선 설명과 같이 원리가 간단하고 설치가 쉬우므로 설치 면적을 종래의 선별 장치보다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소의 제약 없이 설치가 가능하므로 어디든지 쉽게 보급할 수 있다. 또한 비산원판(120)을 회전시키는 에너지만으로 작동이 가능하여 종래의 선별장치보다 동력 소모가 적다. 따라서 본 고안을 사용할 시 종래의 선별 장치 보다 크게 경제적이다. 또한 비산원판(120)이 상기 혼합물을 비산시킬 때 상기 혼합물들이 비산원판(120)에서 스크린(130)으로 직접 이동하므로, 이동 경로가 확실하여 선별효율도 높다.
실시예2
제2 실시예는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는 혼합물인 상기 가축분 퇴비 완제품에서 고운 입자인 퇴비 및 분해된 톱밥과 조대 입자인 미분해된 톱밥을 서로 분리해내는 장치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 퇴비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의 스크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선별 장치는 동력부(210), 비산원판부(220), 스크린부(230), 진동발생부(240), 퇴비뭉침파쇄부(250), 전체프레임(260) 및 수분첨가부(270)를 포함한다. 동력부(210)는 중심축(268)과 연결되고, 동력을 이용하여 중심축(268)을 회전시켜 비산원판부(220)에 그 힘을 전달시킨다. 또한 중심축(268) 하단부에 베벨기어(242)를 회전시켜 진동발생부(240)에 동력을 발생시킨다.
퇴비뭉침파쇄부(250)는 도입부(254)와 파쇄칼날(252)을 포함한다. 비산원판부(220)의 중심에 중심축(268)이 형성되고, 중심축(268)은 동력부(21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비산원판부(220)를 회전시킨다. 중심축(268)중 비산원판부(220)의 상부에 있는 부위로부터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파쇄칼날(252)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파쇄칼날(252)은 동력부(210)에서 전달 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여 가축분 퇴비 완제품을 분쇄한다. 비산원판부(220)의 상부에는 상기 가축분 퇴비 완제품을 분쇄하여 만든 완숙유기물과 미분해된 톱밥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부(254)가 제공된다. 도입부(254)는 상기 가축분 퇴비 완제품이 파쇄칼날(252)을 통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을 생성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은 도입부(254)에 의해서 비산원판부(220)의 중심에 인접하게 떨어지도록 유도된다. 도입부(254)는 여러 가지 모양이 될 수 있으며,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크기로 분쇄하기 위해서 도입부(254)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비산원판부(220)는 상하로 배치된 제1 비산원판(222)과 제2비산원판(224)을 포함한다. 제1 비산원판(222)은 중심축(268)과 연결되고, 상기 동력부(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한다. 회전력의 세기는 동력부(210)에서 나오는 동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제1 비산원판(222)은 퇴비뭉침파쇄부(250)에서 파쇄되는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을 스크린부(230)로 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비산원판(222)과 연동하는 제2 비산원판(224)은 스크린부(230)를 통과하지 못한 잔여 혼합물을 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산원판의 수는 최소2개 이상으로 여러 번의 과정이 필요할 때는 여러 개의 비산원판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비산원판(222) 상에는 제1 안내날개(226)를 포함하고, 제2 비산원판(224) 상에는 제2 안내날개(228)를 포함한다. 제1 안내날개(226)는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을 비산시킬 때 힘을 실어 주는 역할을 하여 비산시키기 용이하게 하며, 제2 안내날개(228)는 위와 같은 원리로 상기 잔여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을 비산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제1 안내날개(226)에서 비산된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스크린부(230)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안내판(229)은 제2 안내날개(228)로 잔여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들을 이동하게 유도한다. 제1 안내날개(226)과 제2 안내날개(228)는 제1 비산원판(222), 제2 비산원판(224) 상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또는 수직에서 몇 도 정도 기울어지거나, 또는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중간이 절곡되어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을 비산하는데 유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스크린부(230)는 스크린 현수부(232), 착탈형 제1 스크린(234), 착탈형 제2 스크린(236), 스크린 스프링(238), 원통형 차단막(239)을 포함한다. 전체 프레임(260)과 힌지(262)로 연결된 스크린 현수부(232)는 착탈형 제1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을 파지하는 역할을 하고 원통형 차단막(239)과 연결된다.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은 스크린 현수부(232)에 현가 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 분리가 가능하므로 착탈이 가능하다. 또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의 위치를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망목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스크린 스프링(238)은 전체 프레임(260)과 연결되고 스크린 현수부(232)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원통형 차단막(239)은 스크린부(230)를 둘러싸며, 착탈형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을 통과하는 고운 입자를 멀리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발생부(240)는 베벨기어(242)와 회전원판(244), 연결축(246), 연결축 지지대(248) 연결된다. 베벨기어(242)는 중심축(268)의 하단에 위치하고, 중심축(268)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회전원판(244)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원판(244)은 베벨기어(242)와 결합된 연결축(246)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여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스크린 현수부(232)에 충격을 주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 모든 과정은 스크린 현수부(232)와 제1 스크린(234) 및 제2 스크린(236)에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장치들에 부착되거나 끼는 상기 잔여 완숙유기물 및 상기 미분해된 톱밥을 자동으로 털어내므로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앴다.
퇴비유출부(280)는 원통형 차단막(239)의 하부에 위치하여, 착탈형 제1 스크린(234) 및 착탈형 제2 스크린(236)을 통과한 상기 완숙유기물이 원통형차단막(239)을 막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분첨가부(270)는 퇴비유출부(280) 일면에 위치하며 전체 프레임(260)과 연결되고, 퇴비유출부(280)를 통해 이동된 상기 완숙 유기물에 수분을 첨가함으로써 가축분 퇴비 펠렛가공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축(264)은 스크린 스프링(238)과 전체프레임(260)을 연결하고, 상부고정축(266)은 고정축(264)과 전체프레임(260)을 연결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축분 퇴비 및 경량 미세물 입자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분 퇴비 완제품을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으로 선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축분 퇴비 완제품이 ①과 같이 도입부(254)를 통해 파쇄칼날(252) 쪽으로 접근한다. 상기 가축분 퇴비 완제품이 파쇄칼날(252)에 의해서 분쇄되어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으로 파쇄된다.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②와 같이 제1 비산원판(222)으로 이동한다. 제1 비산원판(222)으로부터 비산된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③과 같이 제1 스크린(234)을 향하여 이동한다. 제1 스크린(234)과 및 제2 스크린(236)을 통과하지 못한 잔여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④와 같이 안내판(229)으로 이동한다. 안내판(229)으로 이동한 잔여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⑤와 같이 제2 비산원판(224)으로 이동한다. 잔여 완숙 유기물과 미분해된 톱밥이 ⑥과 같이 제2 비산원판(224)에 의해 제1 스크린(234)을 향하여 이동한다. 제1 스크린(234) 및 제2 스크린(236)을 통과하지 못한 미분해된 톱밥이 ⑦과 같이 아래를향하여 떨어져 선별된다.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을 통과한 완숙 유기물은 ③'및 ③"과 ⑥'및 ⑥"과 같이 아래로 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대 입자인 미분해된 톱밥은 ⑦의 경로를 따르고 고운 입자인 퇴비와 분해된 톱밥은 ③'및 ③"과 ⑥'및 ⑥"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입자를 선별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이 서로 대면하고, 제2 스크린(236)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2중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스크린(234) 및 제2 스크린(236)은 현가 될 수 있고, 입자를 선별하는 데 용이한 어떤 부재로 제조되더라도 스크린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중심축(268)을 중심으로 모두 연계된다. 앞선 종래 기술들은 횡축형으로 구성되어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나 본 고안은 지상에서 수직으로 모두 연계되어 설치되므로 설치 면적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중심축(268)을 따라 연결되는 비산원판부(220)와 진동발생부(240)만을 작동함으로써 동작이 가능하므로 구동력이 작다. 그러므로 입자를 선별하는 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비산원판부(220)에 안내날개를 부착하여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의 이동경로를 안내해 줌으로써 더욱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안내날개(226)와 제2 안내날개(228)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이에 의해서 공기와류를 형성하여 스크린부(230)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완숙 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스크린부(230)에 부착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전체 프레임(260)에 연결된 스크린부(230)가 현가식이므로 스크린 교체가 가능하여 원하는 입자크기에 따라 스크린 교체가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또 선별한 미분해된 톱밥은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8은 진동발생부(240)의 사시도 이다.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면,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이 대면하고 있을 때, 도 7a의 경우 제2 스크린(236)이 검은 point에 있을 때, ① area A의 입자크기 이하만이 통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a와 같이 제2 스크린(236)의 검은 point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7b의 ② area B의 크기와 같이 변하며, 따라서 ② area B보다 작은 입자크기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망목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가 있다면, 그 크기에 따라서 망목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입자를 선별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중심축(268)은 진동발생부(240)와 연결된다. 중심축(268)이 도 8과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 한다면, 이와 연결된 진동발생부(24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진동발생부(240)와 연결된 베벨기어(242)는 동력부(210)에서 내려오는 회전력을 횡축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회전력은 회전원판(244)에 전달되어 회전원판(244)을 돌린다. 회전원판(244)은 회전력을 상하운동으로 운동형태를 바꾸는 역할을 하여 연결축(246)을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이때 상하로 움직이는 연결축(246)은 원통형 차단막(239)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충격을 주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은 원통형 차단막(239)과 제1 스크린(234) 및 제2 스크린(236)으로 전달되어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이 스크린부(230)에 끼거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크기로 상기 제1 스크린(234)및 제2 스크린(236)의 망을 교체하여 선별할 수도 있지만 제1 스크린(234)과 제2 스크린(236)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망목 조절이 가능하므로 간단하게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를 선별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부(230)에 끼거나 붙는 상기 완숙유기물과 상기 미분해된 톱밥 등을 자동으로 떨어뜨려 스크린부(230)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는 혼합물 상에 포함된 조대 입자(톱밥 등)를 분리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균일하게 분포된 고운 입자를 얻어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착탈이 가능하고 스크린의 망목 조절이 용이하여 원하는 입자크기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면적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서 보급이 용이하다.
또한 구동력이 작아서 입자를 선별하는 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선별 스크린에 입자가 끼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내 공기 와류를 형성하여 스크린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 함으로써 입자의 부착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입자에 적당한 상태의 수분함량을 지니게 해서 입자 가공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 혼합물을 비산시키는 비산원판; 및
    상기 비산원판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입자 크기에 따라 고운 입자와 조대 입자를 선별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원판 상에는 복수개의 안내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산원판의 상면으로부터 위를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원판은 상기 동력부와 연동하여 상기 혼합물을 비산시키는 제1 비산원판 및 상기 제1 비산원판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부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산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비산원판 사이에는 상기 스크린부과 연결된 안내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은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잔여 혼합물을 다시 상기 제2 비산원판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원판 및 상기 스크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체 프레임;
    상기 스크린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부를 통과한 고운 입자가 멀리 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 및
    상기 차단벽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진 상기 고운 입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고운입자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일단이 파지되어 상기 전체 프레임에 현가되고, 상기 전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된 착탈식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선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스크린은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과 대면하는 제2 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위치변화에 따라 망목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착탈식 스크린을 현가하기 위한 스크린현수부; 및
    상기 전체프레임과 상기 스크린 현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스크린 현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크린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운입자유출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고운입자유출부를 통해 이동된 고운 입자에 수분을 첨가하는 수분첨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원판의 중심에 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은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비산원판을 회전시키며, 상기 중심축 중 상기 비산원판의 상부에 있는 부위로부터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파쇄 칼날이 형성되고, 상기 비산원판 상부에는 상기 혼합물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부가 제공되며, 상기 도입부는 상기 혼합물이 상기 파쇄 칼날을 통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파쇄되어 분쇄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분쇄 혼합물은 상기 도입부에 의해서 상기 비산원판의 중심에 인접하게 떨어지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기 스크린 현수부에 충격을 주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부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 제1 크랭크; 및
    상기 제1 크랭크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기 차단막 하단에 충격을 주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2 크랭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KR20-2004-0000125U 2004-01-05 2004-01-05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KR200346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25U KR200346606Y1 (ko) 2004-01-05 2004-01-05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25U KR200346606Y1 (ko) 2004-01-05 2004-01-05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606Y1 true KR200346606Y1 (ko) 2004-04-01

Family

ID=4942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25U KR200346606Y1 (ko) 2004-01-05 2004-01-05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6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66B1 (ko) * 2012-10-09 2014-06-05 (주)캠시스 절삭용 연마재 필터링 장치
CN107470006A (zh) * 2017-09-07 2017-12-15 袁福德 一种可分类筛选板栗研磨设备
CN109225806A (zh) * 2018-11-01 2019-01-18 南京仁恒轴承滚动体有限公司 一种滚针粗筛选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68125B1 (ko) * 2022-06-14 2022-11-18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66B1 (ko) * 2012-10-09 2014-06-05 (주)캠시스 절삭용 연마재 필터링 장치
CN107470006A (zh) * 2017-09-07 2017-12-15 袁福德 一种可分类筛选板栗研磨设备
CN109225806A (zh) * 2018-11-01 2019-01-18 南京仁恒轴承滚动体有限公司 一种滚针粗筛选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68125B1 (ko) * 2022-06-14 2022-11-18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 및 선별한 순환골재의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152B1 (ko) 골재 제조장치
JP4035980B2 (ja) タイルカーペットの樹脂材料分離方法
KR10055725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CN103418601B (zh) 餐厨垃圾分拣、破碎、筛选的一体化设备
KR101678685B1 (ko)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JP3628628B2 (ja) 回転選別装置
KR200346606Y1 (ko)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CN210410956U (zh) 一种城市生活垃圾自动化筛分装置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CN104858032A (zh) 专用于餐厨垃圾处理的自动破碎分选设备
CN116475070A (zh) 垃圾分类设备及其工作方法
KR100523520B1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CN211100070U (zh) 一种高硅石灰石用制砂筛分设备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CN205835742U (zh) 塑料回收风选装置
KR100937980B1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KR100804141B1 (ko) 부유 이물질 선별장치
CN213967739U (zh) 一种风力分选机构
KR100495406B1 (ko) 건축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616502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