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685B1 -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685B1
KR101678685B1 KR1020160077092A KR20160077092A KR101678685B1 KR 101678685 B1 KR101678685 B1 KR 101678685B1 KR 1020160077092 A KR1020160077092 A KR 1020160077092A KR 20160077092 A KR20160077092 A KR 20160077092A KR 101678685 B1 KR101678685 B1 KR 101678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wood
wood chip
transfer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철
Original Assignee
강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철 filed Critical 강병철
Priority to KR102016007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은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폐자재, 벌목된 폐목, 생산현장에서의 폐목들로부터 목재칩 및 톱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송부에서의 탄성 반발력 및 회전 원통 드럼에서의 중력 작용을 이용하여 돌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톱밥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파쇄부에 꺾임 형태로 구비된 톱밥 이송부의 구조를 이용하여 비닐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SFERRING WOOD CHIP OR SAWDUST REMOVING FOREIN MATTER}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목재로부터 목재칩 및 톱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톱밥을 생성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톱밥 또는 목재 칩은 다양한 종류의 목재를 분쇄 또는 파쇄함으로써 생성되는 일정크기의 목재 입자를 말하는 것으로 축사깔개, 펠렛 원료, 버섯 배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톱밥은 용도에 따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거나 또는 미처 분쇄 또는 파쇄되지 않은 목재를 선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폐자재들을 파쇄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진 톱밥들은 비닐과 같이 가벼운 이물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비닐과 같은 이물질들은 목재로부터 톱밥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무게의 차이에 의한 분류가 쉽게 이루어 지지 않아 폐자재들의 재생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목재로부터 목재칩을 생성하고, 목재칩으로부터 톱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934호(2006년 11월 28일 등록)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로부터 목재칩을 생성하고, 생성된 목재칩으로부터 톱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목재칩 및 톱밥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톱밥목재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목재를 파쇄하여 목재칩을 생성하는 제 1파쇄부, 제 1파쇄부로부터 목재칩을 공급받고, 벨트의 탄성력 및 이송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목재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목재칩 이송부, 목재칩 이송부로부터 목재칩을 공급받고,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체에 양 축이 고정되면서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하는 동안 중력 작용, 질량 및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회전 원통 드럼, 회전 원통 드럼으로부터 목재칩을 공급받고,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절삭부를 이용하여 목재칩을 파쇄하여 톱밥을 생성하고, 톱밥 배출구를 통해 톱밥을 배출하는 제 2파쇄부, 및 제 2파쇄부로부터 톱밥을 공급받고, 톱밥 배출구로부터 톱밥이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톱밥을 이송시키는 톱밥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의하여, 제 2파쇄부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톱밥이 배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송풍기는, 톱밥에 포함된 비닐, 먼지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톱밥을 저장하는 톱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톱밥 이송부는, 톱밥이 낙하하면서 접촉할 때 톱밥보다 무거운 이물질들이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도록 톱밥 저장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파쇄기는, 톱밥 배출구로부터 톱밥 이송부로 낙하하는 톱밥의 낙하지점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며, 톱밥 이송부는, 톱밥의 낙하 및 이송 과정에서 톱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톱밥 이송부의 일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된 가림막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톱밥 이송부는, 톱밥을 톱밥 저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를 더 구비하며, 벨트는 표면에 복수개의 일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톱밥의 낙하 과정에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무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파쇄부는 절삭부로부터 공급받은 톱밥을 타격시키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타격부재를 구비하고,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격용 드럼을 포함하며, 타격용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톱밥을 타격부재로 타격하여 톱밥을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낙하시키고, 톱밥에 비하여 가벼운 비닐을 포함한 이물질을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 낙하시킴으로서 톱밥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파쇄부는,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낙하되는 톱밥을 배출하기 위한 톱밥 배출용 컨베이어 및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 낙하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비닐 배출용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재칩 이송부는, 제 1파쇄부로부터 목재칩을 공급받고, 지면으로부터 30도 내지 45도의 경사진 목재칩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목재칩을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 및 제 1이송부의 말단부로부터 낙하하는 목재칩을 공급받고, 제 1이송부에서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목재칩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 1이송부로부터 90도 내지 120도의 경사진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목재칩을 회전 드럼부로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이송부는 목재칩의 낙하지점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말단부의 일측에 호퍼를 구비하고, 제 2이송부는, 목재칩의 이송 및 낙하가 진행되는 구간을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도록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먼지, 비닐 조각, 가벼운 금속 등이 포함된 목재 파쇄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톱밥 이송 컨베이어를 톱밥 배출구에 꺾인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자유낙하하는 파쇄물 속의 이물질이 자연풍에 의하여 날아가게 할 수 있다. 특히, 건축 폐기물에 포함된 비닐 등과 같은 가벼운 이물질들을 톱밥 생성 과정에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비닐 이물질만 날릴 수 있는 동력으로 작동하는 송풍기를 설치함으로써 톱밥으로부터 비닐만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목재로부터 목재칩 및 톱밥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목재칩 및 톱밥의 생성 및 이송 과정에서 서 불필요하게 포함된 이물질들을 단계별로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계별로 비중, 질량, 중력 작용 등을 고려하여 큰돌?작은돌?비닐 순서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파쇄기 내부에 설치된 회전 드럼을 이용하여 비닐과 톱밥을 선별하고, 각기 다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톱밥으로부터 비닐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칩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두 개의 컨베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목재칩에 포함된 무거운 돌, 금속과 같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칩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회전 원통 드럼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돌과 같이 자성을 띠지 않는 비자성 이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로부터 톱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톱밥 생성 장치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의 흐름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칩으로부터 톱밥을 생성하는 제 2파쇄기와 톱밥 이송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3의 제 2파쇄기와 톱밥 이송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에서 톱밥 이송부로 톱밥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물질(P)이 제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5의 제 2파쇄기에 송풍기를 설치하고, 이물질 이송 컨베이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에 이물질 이송 컨베이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송풍기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 내부에서 톱밥과 비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톱밥과 비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생성된 목재칩을 이송하는 제 1이송부 및 제 2이송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에에 의하여, 도 10의 제 2이송부에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10의 제 1이송부와 제 2이송부의 목재칩 낙하 및 이물질 선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상부" 는 "하부"로 해석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로부터 톱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톱밥 생성 장치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의 흐름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통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통해, 목재(M1)로부터 목재칩(M2) 및 톱밥(M3)을 생성할 수 있으며, 톱밥(M3) 생성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포함된 이물질들을 단계별로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M1)는, 벌목공사를 통해 벌목된 나무들, 재활용을 위한 나무의 뿌리, 가지, 원목, 건설현장의 폐자재, 임목 폐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목재칩(M2)은 펄프 및 섬유판의 제조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목재를 잘게 절삭한 목재조각을 말하는 것으로서, 목재(M1)가 파쇄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조각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칩(M2)은 대략 50미리 이하의 크기로 파쇄된 목재 조각일 수 있다.
이하에서, 톱밥(M3)은 나무를 자를 때 나오는 부스러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목재칩(M2)이 파쇄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작게 조각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목재(M1), 목재칩(M2) 및 톱밥(M3)는 목재의 크기에 따라 명명되는 것이며, 여기서 목재의 크기는 질량, 비중, 밀도, 무게 등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목재(M1), 목재칩(M2) 및 톱밥(M3)은 단수로서 작성되었지만 복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목재(M1), 목재칩(M2) 및 톱밥(M3)은 각각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100)를 제공하며, 이하 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1파쇄부(2)는 호퍼(1)를 통해 목재(M1)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파쇄부(2)는 목재(M1)를 파쇄하여 목재칩(M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파쇄부(2)는 동력공급수단에 의하여 회전되어 목재(M1)를 파쇄하는 한 쌍 이상의 파쇄날을 이용하여 목재(M2)를 파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1파쇄부(2)는 생성된 목재칩(M2)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1파쇄부(2)는,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목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이물질이 상기 목재칩 이송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거름막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막에 걸려진 돌맹이, 큰 크기의 금속, 목재 조각 등은 재사용되거나, 폐기를 위하여 수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칩 이송부(3)는 목재칩(M2)을 회전 원통 드럼(4)에 이송시킬 수 있다. 목채집 이송부(3)는 제 1이송부(32) 및 제 2이송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목재칩 이송부(3)는 두 개의 이송부를 이용하여 목재칩(M2)을 이송시킴으로써, 목재칩(M2)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목재칩(M2)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여지는 이물질(S1)은 다른 과정에서의 이물질보다 큰 크기의 이물질일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회전 원통 드럼(4)은 목재칩 이송부(3)로부터 목재칩(M2)을 공급받을 수 있다. 회전 원통 드럼(4)은 위치하는 지지체에 양 축이 고정되면서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원통 드럼(4)은 회전하는 동안 중력 작용, 질량 및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이물질은 목재칩(M2)에 포함된 이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은 중간 크기의 돌, 금속 등과 같이 목재칩 이송부(3)에서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회전 원통 드럼(4)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목재칩(M2)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톱밥(M3)을 생성하기 전에 이중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회전 원통 드럼(4)은 회전 원통 드럼(4)에서 분리된 이물질들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분리 배출된 이물질들 중 크기가 큰 목재들은 다시 한번 재사용될 수 있다.
제 2파쇄부(5)는 회전 원통 드럼(4)으로부터 목재칩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2파쇄부(5)는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절삭부를 이용하여 목재칩을 파쇄하여 톱밥(M3)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파쇄부(5)는 톱밥(M3) 배출구를 통해 톱밥(M3)을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톱밥 이송부(6)는 제 2파쇄부(5)에 대하여 꺾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꺾인 형태란 제 2파쇄부(6)의 톱밥 배출구로부터 톱밥(M3)이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톱밥(M3)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밥 이송부(6)는 톱밥 배출 경로에 수직되어 설치될 수 있다.
톱밥 이송부(6)의 설치 형태를 이용하여 톱밥(M3)에 포함된 비닐과 같은 가벼운 이물질이 바람에 날아가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톱밥 저장부(7)는 톱밥 이송부(6)로부터 톱밥(M3)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톱밥 이송부(6)는 톱밥 저장부(7)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칩으로부터 톱밥을 생성하는 제 2파쇄기와 톱밥 이송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파쇄기(5)는 목재칩(M2)이 투입되는 투입부(51), 목재칩(M2)을 절단하는 절단부(52) 및 타격용 드럼(54)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타격용 드럼(54)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절단부(52)는 목재칩(M2)을 파쇄하기 위하여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절삭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절삭부(52)는 각각 내부에 절삭부(52)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축, 구동축을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축 상에 서로 엇물리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디스크, 디스크의 외주면에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목재를 파쇄하는 함마, 다수개의 디스크를 관통하면서 함마를 360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함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파쇄기(5)는 절단부(52)를 이용하여 생성된 톱밥(M3)을 톱밥 배출구(55)를 통해 톱밥 이송부(6)에 배출할 수 있다.
톱밥 이송부(6)는 톱밥 배출구(55)를 통해 톱밥(M3)이 배출되는 경우, 톱밥(M3)을 공급받아 기존 톱밥(M3)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밥 배출구(55)에서 톱밥(M3)이 이동하는 방향과 톱밥 이송부(6)를 통해 톱밥이 이동하는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3의 제 2파쇄기와 톱밥 이송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측면에서 톱밥 이송부(6)를 바라보면 제 2파쇄기(5)에 대하여 톱밥 이송부(6)가 꺾인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톱밥 이송부(6)는 톱밥(M3)을 톱밥 저장부(7)에 공급할 수 있다. 톱밥 이송부(6)는, 톱밥(M3)이 낙하하면서 접촉할 때 톱밥(M3)보다 무거운 이물질들이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도록 톱밥 저장부(7)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θ)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5)는 톱밥 배출구(55)로부터 톱밥(M3) 이송부로 낙하하는 톱밥(M3)의 낙하지점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호퍼(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에서 톱밥 이송부로 톱밥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물질(P)이 제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톱밥 배출구(55)에서 톱밥(M3)이 톱밥 이송부(6)로 배출될 때, 톱밥(M3)에 포함된 비닐은 톱밥(M3)이 자유 낙하 하는 과정에서 바람에 날려 제거될 수 있다. 비닐을 포함한 이물질(P)은 기존 톱밥의 이동경로로 날아가고, 톱밥 이송부(6)로 낙하한 톱밥(M3)은 경로가 변경된 채 이동되므로 날아간 이물질(P)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물질(P)은 톱밥 이송부(6)의 경로가 아닌 다른 곳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톱밥 이송부(6)는, 톱밥(M3)의 낙하 및 이송 과정에서 톱밥(M3)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톱밥(M3) 이송부의 일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된 가림막(63)을 구비할 수 있다.
가림막(63)은 톱밥 배출구(55)로부터 배출된 톱밥(M3)이 톱밥 이송부(6)를 벗어나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림막(63)은 톱밥 이송부(6)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이물질(P)이 날아갈 수 있는 배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가림막(63)의 커버 범위에 따라, 톱밥(M3)이 이송되는 도중에 발생하는 먼지 등이 작업장 주변에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가림막(63)은 톱밥 이송부(6)의 진행 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2개의 개구부(61, 62)를 형성할 수 있다. 가림막(63)하단의 개구부(62)를 통해 중간크기, 작은 사이즈의 돌과 같은 이물질들(S2)이 굴러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S2) 들은 상대적으로 톱밥(M3)보다 무거우므로, 톱밥 이송부(6)의 벨트에 빠른 가속도로 접촉하여 큰 탄성 반발력을 유발하게 되므로 위쪽으로 튕기게 된다. 반면, 톱밥(M3)은 이물질(S2)보다 느린 가속도로 낙하하여 작은 탄성 반발력을 유발하므로, 낙하된 지점의 벨트 표면에 그대로 얹혀진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의하여, 톱밥 이송부(5)로 톱밥(M3)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닐(P) 및 돌(S2) 등의 이물질이 동시에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톱밥 이송부(6)를 롤러(R)를 구비하며, 롤러를 통해 무한 궤도 형태로 감겨진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는 고무 소재, 또는 폴리 소재의 탄성 반발력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5의 제 2파쇄기에 송풍기를 설치하고, 이물질 이송 컨베이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톱밥(M3)으로부터 배출된 이물질(S2)들을 운반할 수 있는 이물질 이송 컨베이어(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물질 이송 컨베이어(60)는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톱밥 이송부(6)로부터 튕겨진 이물질들을 운반할 수 있다. 모아진 이물질들은 따로 수집될 수 있으며, 그 중 큰 크기의 목재는 재사용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송풍기(56)가 제 2파쇄부(5)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56)는 톱밥(M3)이 배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기(56)는 톱밥(M3)에 포함된 비닐, 먼지 등의 가벼운 이물질(P)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송풍기(56)의 바람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벼운 이물질(P)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에 이물질 이송 컨베이어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송풍기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다른 방식에 의하여 제 2파쇄기(5)에 송풍기(5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송풍기(56)는 톱밥 배출구(55)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톱밥 배출구(55)는 톱밥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57)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구비된 송풍기(56)는 톱밥 배출구(55)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톱밥 배출구(55) 내부에 있는 비닐 등의 이물질(P)을 밀어낼 수 있다. 밀어내진 이물질(P)은 송풍기(56)의 바람에 의하여 공기 중으로 날아가게된다. 송풍기(56)의 바람에 의하여 날아가지 않은 톱밥(M3)은 톱밥 이송부(6)에 낙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송풍기(56)는 포집부(56a)을 포함함으로써, 미세한 목재조각, 이물질(P), 먼지 등이 송풍기(56)에 끼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 2파쇄기 내부에서 톱밥과 비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파쇄기(5)는 타격용 드럼(54)을 구비할 수 있다. 타격용 드럼(54)은 제 2파쇄기(5) 내부에서 생성된 톱밥(M3)과 이물질(P)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타격용 드럼(54)은 절삭부(52)로부터 공급받은 톱밥(M3)을 타격시키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타격부재(543)가 설치된 드럼(542)을 구비할 수 있다. 드럼(542)이 회전하는 경우, 톱밥(M3)을 타격부재로 타격하여 톱밥(M3)을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낙하시키고, 톱밥(M3)에 비하여 가벼운 비닐을 포함한 이물질을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 낙하시킴으로서 톱밥(M3)과 이물질(P)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타격용 드럼(54)은 드럼(54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낙하되는 톱밥(M3)을 배출하기 위한 톱밥 배출용 컨베이어(546) 및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 낙하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비닐 배출용 컨베이어(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닐 배출용 컨베이어(545)와 톱밥 배출용 컨베이어(546)는 타격부재(543)에 타격되어 분리된 비닐과 금속과 같은 이물질은 곧바로 외부로 이송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드럼(542)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재(544)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부재(544)의 구동력은 벨트나 기어 등에 의해 드럼(543)에 전달된다.
절삭부(52)로부터 생성된 톱밥(M3)은 톱밥 공급부(541)에 의하여 드럼(542)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톱밥과 비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타격부재(543)는 드럼(542)에 설치되어, 드럼(542)이 회전할 때, 낙하되는 비닐 및 비닐에 포함된 금속을 포함한 톱밥(M3)을 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타격부재(54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타격면이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비닐과 금속을 타격하는 영역이 작아 타격(때림)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타격면이 넓게 형성될 경우에는 드럼(542)의 회전시 바람이 발생되어 비닐이 날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타격부재(543)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격부재(543)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봉 형상을 갖는 타격부(543-2)와, 타격부(543-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볼트부와, 볼트부와 타격부(543-2)의 경계영역에 드럼(54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54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타격부(543-2)가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 것은, 드럼(542)의 회전시에 바람은 일으키지 않으면서 비닐과 금속의 타격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타격부재(543)가 환봉 형상의 단면을 갖음으로써, 타격은 이루어지고 바람은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543-1)는 각각의 타격부재(543)가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지지부(543-1)를 타격부재(543)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용 너트를 체결하여 지지부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타격부재(54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드럼(5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리 수 있고,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타격부재(543)는 드럼(542)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서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일렬로 군)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렬로 배치된 각각의 군은 서로 이웃하는 군들과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타격부재(543)는 드럼(542)을 종방향으로 볼 때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횡방향으로 볼 때, 일렬로 배치된 각 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타격부재(543)가 서로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은, 미세하거나 작은 조각의 비닐 및 금속까지 효율적으로 타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타격부(543-2)가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43-3)가 형성되므로, 이 절곡부(543-3)가 비교적 넓은 타격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되어 선별된 비닐과 금속을 포함한 이물질이 각 컨베이어(545,546)의 상면에 낙하하게 되고, 낙하와 동시에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므로, 선별된 비닐과 금속을 별도의 작업으로 수집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타격용 드럼(54)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비닐과 같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재(544)에 의해 드럼(542)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톱밥 컨베이어(541)이 작동되면, 톱밥(M3)이 드럼(542) 상부로 낙하된다. 이 과정으로 드럼(542)의 상부에서 낙하되는 톱밥(M3)은 회전하는 타격부재(543)가 때림(타격)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한다.
이때, 낙하되는 비닐과 금속을 포함한 톱밥(M3)을 타격부재(543)의 타격부(52)가 때림으로써 비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타격부재(543)가 서로 어긋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미세한 물질들까지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과정으로 비닐과 같이 가벼운 물질은 타격부재(543)가 때리더라도 멀리 비산하지 못하고 드럼(542)의 전방 하부 영역으로 낙하된다. 즉, 드럼(542)의 전방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작동하는 비닐 배출용 컨베이어(545)의 상면으로 낙하되고, 톱밥(M3)은 타격부재(543)가 때림으로써 멀리 날아가게 되어 드럼(542)과 원거리를 유지하는 톱밥 배출용 컨베이어(546)에 낙하되는 것이다.
이렇듯, 선별되어 낙하되는 비닐(P)이나 톱밥(M3)은 낙하 됨과 동시에 비닐 배출용 컨베이어(545)와 톱밥 배출용 컨베이어(546)에 의해 곧바로 다음 공정으로 배출됨으로써, 자동 선별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생성된 목재칩을 이송하는 제 1이송부 및 제 2이송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1이송부(32)는 도 1에서와 같이 제 1파쇄부(2)와 연계되어 목재(M1)가 파쇄되면서 배출되는 목재칩(M2)을 이송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에 지지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하여 제 1이송부(32)는 지면에 대하여 30도 내지 60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이송부(32)는 모터(3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R)가 이격 배치되고, 이 롤러(R)들을 따라 무한 궤도 형태로 고무나 금속류의 벨트(B1)가 감겨져서 이 벨트(B1)에 의해 이송 구간을 형성하는 통상의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이송부(34)는 제 1이송부(32)의 일측단으로부터 낙하하는 목재칩(M2)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위치하고, 반대편 단부는 위쪽을 향하여 도 1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이송부(34)는 제 1이송부(32)와 같이 프레임에 지지되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며, 모터(3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롤러(R)들이 프레임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R)들을 따라 무한 궤도 형태로 벨트(B2)가 감겨지고, 이 벨트(B2)의 연결 구간에 의해 목재칩(M2)의 선별 이송을 위한 경사진 이송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이송부(32)에서 목재칩(M2)이 낙하하는 지점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호퍼(301)가 설치될 수 있다.이 호퍼(301)는 금속 판재를 절곡하여 내부에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호퍼(301)는 내부 통로를 통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 1이송부(32)의 목재칩(M2) 낙하 지점을 벗어난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 2이송부(34)의 일측 단부의 벨트(B2) 위로 목재칩(M2)이 모이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이송부(34)에는 제 1이송부(32)로부터 목재칩(M2)이 낙하하는 지점에 가림판(30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가림판(302)은 제 1이송부(32)로부터 낙하된 목재칩(M2)이 제 2이송부(34)의 벨트(B2)을 벗어나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에에 의하여, 도 8의 제 2이송부에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이송부(34)는 톱밥을 톱밥 저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B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벨트(B2)는 표면에 복수개의 일자형 돌기(34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일자형 돌기(341)들은 상기 벨트(B2)의 전체 연결 구간을 따라 이격 형성되될 수 있다. 일자형 돌기(341)들은 제 1이송부(32)로부터 낙하된 목재칩(M2)이 벨트(B2)의 경사진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벨트(B2)는 톱밥(M3)의 낙하 과정에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무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8의 제 1이송부와 제 2이송부의 목재칩 낙하 및 이물질 선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목재칩 이송부(3)는, 제 1파쇄부(2)로부터 목재칩을 공급받고, 지면으로부터 30도 내지 45도의 경사진 목재칩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목재칩을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32) 및 제 1이송부(32)의 말단부로부터 낙하하는 목재칩을 공급받고, 제 1이송부(32)에서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목재칩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 1이송부(32)로부터 90도 내지 120도의 경사진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목재칩을 회전 드럼부(4)로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 2이송부(34)는 상기 제 1이송부(32)로부터 목재칩(M2)과 이 목재칩(M2)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S)들의 낙하시 이들의 무게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낙하 속도를 가지며 상기 벨트(B2) 표면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탄성 반발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목재칩(M2)으로부터 이물질(S)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재칩(M2) 중에는 대부분 돌이나 못, 나사와 같은 금속의 이물질(S)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목재의 비중(比重, 대략 1 이하)보다 돌이나 금속의 비중(대략 5 내지 8)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목재칩(M2)보다 이물질(S)들의 무게가 대략 5배 이상이 무거우므로 상기 제 2이송부(34)의 벨트(B2)를 향하여 목재칩(M2)과 이물질(S)이 함께 낙하할 때 상기 벨트(B2) 표면으로부터 각기 다른 탄성 반발력을 유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S)들은 빠른 가속도로 낙하하여 벨트(B2) 표면으로부터 큰 탄성 반발력을 유발하므로 벨트(B2) 표면과 접촉된 후 탄성 반발력에 의해 위쪽으로 튕기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물질(S)들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목재칩(M2)들을 느린 가속도로 낙하하여 작은 탄성 반발력을 유발하여 낙하된 지점의 벨트(B2) 표면에 그대로 얹혀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칩(M2)들은 파쇄 작업을 거치면서 나무 조직들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상기 벨트(B2) 표면과 접촉시 완충 작용에 의해 도리어 탄성 반발력이 감소되지만, 이에 비하여 돌이나 금속의 이물질(S)들은 부피가 작고 단단한 입자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벨트(B2) 표면과 접촉할 때 탄성 반발력의 확보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 2이송부(34)는 제 1이송부(32)로부터 목재칩(M2)이 낙하할 때 이 목재칩(M2) 보다 무거운 이물질(S)들이 일정한 이송 속도로 경사진 이송 구간을 따라 진행하는 벨트(B2) 표면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탄성 반발력 및 관성력에 의해 목재칩(M2)으로부터 이물질(S)을 분리할 수 있다.
즉, 제 1이송부(32)를 따라 이동하면서 낙하하는 목재칩(M2) 중에 포함된 이물질(S)들은 도 12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B2) 표면과 접촉된 후 이 벨트(B2) 표면으로부터 발생된 탄성 반발력에 의해 위쪽으로 튕기면서 이 벨트(B2)의 진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흘러내리면서 도면에서와 같이 경사진 이송 구간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 1이송부(32)로부터 낙하된 목재칩(M2)들 상기 이물질(S)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가볍고 완충 작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벨트(B2) 표면과 접촉되어도 탄성 반발력이 작게 발생되어 벨트(B2)의 일자형 돌기(341)들에 의해 걸려진 상태로 상기 벨트(B2)의 진행 방향을 따라 도 12에서와 같이 경사진 이송 구간의 위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 2이송부(34)의 경사 각도는 도 12에서와 같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임의의 수평 기준선으로부터 대략 30도 내지 40도 범위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이송부(32)를 기준으로 제 1이송부(32)로부터 90도 내지 120도의 경사진 이송 구간을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경사 각도 범위는 상기 목재칩(M2)과 함께 낙하하는 이물질(C)들이 상기 벨트(B2) 표면에서 튕겨지면서 경사진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상기한 경사 각도 범위보다 낮으면 목재칩(M2) 중에 포함된 이물질(S)들이 아래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벨트(B2)에 얹혀진 상태로 목재칩(M2)들과 함께 상기 벨트(B2)의 진행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경사 각도 범위보다 높으면 상기 이물질(S)들은 물론이거니와 목재칩(M2)들이 경사 이송구간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벨트(B2)는 대략 분당 40m 내지 50m 범위의 이송 속도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B2)의 이송 속도 셋팅은 롤러(R)들을 회전시키는 모터(35)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변동할 수 있다.
만일, 상기한 이송 속도 범위보다 느리면 상기 제 1이송부(32)로부터 낙하하는 목재칩(M2)들이 상기 벨트(B2) 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이 목재칩(M2)들에 의해 벨트(B2) 표면이 가려져서 상기 이물질(S)들과 상기 벨트(B2)의 접촉을 방해할 수 있으며, 상기한 이송 속도 범위보다 빠르면 상기 이물질(S)은 물론이거니와 목재칩(M2)이 낙하된 후 이들이 경사진 이송 구간을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가림판(302)은 제 2이송부(34)측에 설치될 때 벨트(B2)의 진행 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2개의 개구부(G1, G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G1)를 통해 이물질(S)이 이동될 수 있으며, 다른 개구부(G1)를 통해 목재칩(G2)이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호퍼
2 : 제 1파쇄부
3 : 목재칩 이송부
4 : 회전 원통 드럼
5 : 제 2파쇄부
6 : 톱밥 이송부
7 : 톱밥 저장부

Claims (7)

  1. 목재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목재를 파쇄하여 목재칩을 생성하는 제 1파쇄부;
    상기 제 1파쇄부로부터 상기 목재칩을 공급받고, 벨트의 탄성력 및 이송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목재칩 이송부;
    상기 목재칩 이송부로부터 상기 목재칩을 공급받고,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체에 양 축이 고정되면서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하는 동안 중력 작용, 질량 및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회전 원통 드럼;
    상기 회전 원통 드럼으로부터 상기 목재칩을 공급받고,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절삭부를 이용하여 상기 목재칩을 파쇄하여 톱밥을 생성하고, 톱밥 배출구를 통해 상기 톱밥을 배출하는 제 2파쇄부;
    상기 제 2파쇄부로부터 상기 톱밥을 공급받고, 상기 톱밥 배출구로부터 상기 톱밥이 배출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상기 톱밥을 이송시키는 톱밥 이송부;
    및상기 제 2파쇄부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톱밥이 배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톱밥에 포함된 비닐, 먼지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을 저장하는 톱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밥 이송부는,
    상기 톱밥이 낙하하면서 접촉할 때 상기 톱밥보다 무거운 이물질들이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톱밥 저장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파쇄부는, 상기 톱밥 배출구로부터 상기 톱밥 이송부로 낙하하는 톱밥의 낙하지점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톱밥 이송부는, 상기 톱밥의 낙하 및 이송 과정에서 상기 톱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톱밥 이송부의 일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된 가림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 이송부는,
    상기 톱밥을 상기 톱밥 저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벨트는 표면에 복수개의 일자형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밥의 낙하 과정에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무 소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파쇄부는,
    상기 절삭부로부터 공급받은 톱밥을 타격시키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타격부재를 구비하고,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격용 드럼;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낙하되는 톱밥을 배출하기 위한 톱밥 배출용 컨베이어; 및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 낙하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비닐 배출용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격용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톱밥을 상기 타격부재로 타격하여 상기 톱밥을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낙하시키고, 상기 톱밥에 비하여 가벼운 비닐을 포함한 이물질을 상기 타격용 드럼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하 낙하시킴으로서 상기 톱밥과 상기 이물질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칩 이송부는,
    상기 제 1파쇄부로부터 상기 목재칩을 공급받고, 지면으로부터 30도 내지 45도의 경사진 목재칩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목재칩을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 및
    상기 제 1이송부의 말단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목재칩을 공급받고, 상기 제 1이송부에서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목재칩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이송부로부터 90도 내지 120도의 경사진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상기 목재칩을 상기 회전 드럼부로 이송시키는 제 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부는, 상기 목재칩의 낙하지점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말단부의 일측에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이송부는, 상기 목재칩의 이송 및 낙하가 진행되는 구간을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도록 가림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파쇄부는,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목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이물질이 상기 목재칩 이송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거름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1020160077092A 2016-06-21 2016-06-21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10167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92A KR101678685B1 (ko) 2016-06-21 2016-06-21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92A KR101678685B1 (ko) 2016-06-21 2016-06-21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685B1 true KR101678685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092A KR101678685B1 (ko) 2016-06-21 2016-06-21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6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234A (zh) * 2017-12-20 2018-07-20 芜湖市夏氏世家家具有限公司 一种木材用废料切割磨粉装置
KR102453760B1 (ko) * 2022-03-22 2022-10-12 주식회사 동광 펠릿 이송장치
KR102468032B1 (ko) * 2022-05-30 2022-11-18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열탈착 효율을 향상시킨 열탈착 시스템
CN116746306A (zh) * 2023-08-21 2023-09-15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秧膜混合物除膜组件
KR102627399B1 (ko) * 2023-05-31 2024-01-19 주식회사 제이엠에이치 선별기능이 있는 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18B1 (en) * 2003-05-28 2003-11-28 Circular System Co Ltd Breaking system for metallic can
KR100526953B1 (ko) * 2005-03-15 2005-11-09 (주)녹색산업 목재 분쇄 장치
KR100653934B1 (ko) 2005-12-22 2006-12-05 주식회사 세림쵸프밀 목재 파쇄 및 톱밥 제조기
KR101036948B1 (ko) * 2010-10-18 2011-05-25 이정민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
JP2013193011A (ja) * 2012-03-19 2013-09-30 Tooyama Shigyo:Kk 比重の異なる異種材料を一体化した複合材から比重の大きい粉体を分離回収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18B1 (en) * 2003-05-28 2003-11-28 Circular System Co Ltd Breaking system for metallic can
KR100526953B1 (ko) * 2005-03-15 2005-11-09 (주)녹색산업 목재 분쇄 장치
KR100653934B1 (ko) 2005-12-22 2006-12-05 주식회사 세림쵸프밀 목재 파쇄 및 톱밥 제조기
KR101036948B1 (ko) * 2010-10-18 2011-05-25 이정민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
JP2013193011A (ja) * 2012-03-19 2013-09-30 Tooyama Shigyo:Kk 比重の異なる異種材料を一体化した複合材から比重の大きい粉体を分離回収す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234A (zh) * 2017-12-20 2018-07-20 芜湖市夏氏世家家具有限公司 一种木材用废料切割磨粉装置
KR102453760B1 (ko) * 2022-03-22 2022-10-12 주식회사 동광 펠릿 이송장치
KR102468032B1 (ko) * 2022-05-30 2022-11-18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열탈착 효율을 향상시킨 열탈착 시스템
KR102627399B1 (ko) * 2023-05-31 2024-01-19 주식회사 제이엠에이치 선별기능이 있는 컨베이어 장치
CN116746306A (zh) * 2023-08-21 2023-09-15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秧膜混合物除膜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685B1 (ko)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JP4914013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破砕機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破砕方法
JP2003127140A (ja) タイルカーペットの樹脂材料分離方法
JP6780885B2 (ja) 渦流による夾雑物分離機能を有する比重別廃棄物選別機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JP3966426B1 (ja) 振動篩装置、篩の網、及び、振動篩方法
US20100001110A1 (en) Material breaker
CN215657025U (zh) 生活垃圾分选设备
KR100647992B1 (ko) 진동식 전선피복 선별장치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CN113083422B (zh) 一种园林绿化枯叶粉碎装置及其实施方法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1514428B1 (ko)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JP2007038112A (ja) 土壌選別装置
JP2004114018A (ja) 建設廃材の粗選別装置、その粗選別ライン、選別処理施設及び粗選別車両
KR200346606Y1 (ko) 스크린 입자 선별 장치
KR100649952B1 (ko) 배출토사중 이물질의 역경사 입체 선별장치
KR100716782B1 (ko) 목재칩 이송장치
KR200414966Y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200414976Y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JP5016078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回収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3500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