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008Y1 -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008Y1
KR200335008Y1 KR20-2003-0027756U KR20030027756U KR200335008Y1 KR 200335008 Y1 KR200335008 Y1 KR 200335008Y1 KR 20030027756 U KR20030027756 U KR 20030027756U KR 200335008 Y1 KR200335008 Y1 KR 200335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ind
brush
construction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신
구재일
Original Assignee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구경신
구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구경신, 구재일 filed Critical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7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에서 골재를 재생하기 위하여 풍력에 의해 폐비닐과 같은 가벼운 폐재류를 분리 선별할 때, 이들과 함께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이 날아가 폐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도를 제고시킬 뿐 아니라 쓰레기 매립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apparatus for separ rejuvenating aggregate with wind from construction waste articles}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에서 골재를 재생하기 위하여 풍력에 의해 폐비닐과 같은 가벼운 폐재류를 분리 선별할 때, 이들과 함께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이 날아가 폐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도를 제고시킬 뿐 아니라 쓰레기 매립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이는데,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각국에서는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많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호퍼로 공급되는 건설폐기물 중의 폐콘크리트 덩어리들은 1차 죠 크라샤에 의해 100mm이하로 파쇄된 다음, 2차 죠 크라샤를 통해 50mm이하로 파쇄된 후, 상기 50mm이하로 파쇄된 폐골재들은 다시 콘크라샤에 의해 20mm이하로 파쇄되어 최종적으로 샌드밀에 의해 10mm이하로 파쇄되는 과정과 함께 각 과정에서 스크린 선별되면서 필요한 입경의 골재로 재생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동안 경로의 중간중간에서 무거운 폐철재류들은 자선기에 의해 선별 분리되고 폐지나 폐비닐 같은 가벼운 폐재류는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비중 분리되며, 또한 파쇄된 골재에 혼입되어 있거나 묻어 있는 시멘트분이나 토분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은 수조에서 세척과정을 거쳐 분리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과정 중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폐지나 폐비닐, 심지어 폐목재와 같은 폐재류를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비중 분리시키는 과정에 사용되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송풍기를 통해 비중이 무거운 골재와 비중이 가벼운 폐재류를 분리 선별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들은 컨베이어에 의해 경사진 진동 스크린(11)으로 이송되어 대부분의 토사들이 선별 분리된 다음 스크린(11)하단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때 비중이 무거운 골재들은 바로 하방으로 낙하하여 이송 컨베이어(19)에 실려서 후속되는 재생과정으로 투입되는 한편, 비중이 가벼운 폐지나 폐비닐 및 폐목재 등은 상기 스크린(11)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송풍구(21)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날려가 집진망(29)내에 수집된 뒤 별도로 수거되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식에서는 송풍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강력한 바람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폐지나 폐비닐 등은 물론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도 함께 날아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이 풍력에 의해 소정거리 날아가면서 골재 운반을 위한 이송 컨베이어를 벗어난 지점으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건축토목공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세골재들도 함께 매립되는 결과가 되어 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풍기의 풍량을 약하게 조절하여 분리 선별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바람의 힘이 약하여 분리 선별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폐기물에서 골재를 재생하기 위하여 풍력에 의해 폐비닐과 같은 가벼운 폐재류를 분리 선별할 때, 이들과 함께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이 날아가 폐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도를 제고시킬 뿐 아니라 쓰레기 매립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송풍 방식에 의한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택하고 있는 원통형 브러쉬와 안내판의 접촉부위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선별장치에 의한 분리 선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진동 스크린 19 : 이송 컨베이어
21 : 송풍구 22 : 송풍기
23 : 덕트 29 : 집진망
40 : 브러쉬 42 : 솔
44 : 축봉 50 : 안내판
52 : 볼록부 54 : 오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재 운반을 위한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그 바깥쪽 상부측에 회전하는 브러쉬를 설치함으로서 풍력에 의해 날아가는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이 상기 브러쉬에 부딪치면서 이송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브러쉬의 후방에 인접하여 안내판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의 선단부는 폭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풍력에 의해 날려지는 가벼운 폐재류를 수집하기 위한 집진망의 입구부 상측을 유선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풍력 선별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택하고 있는 브러쉬와 안내판의 접촉부위를 나타낸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선별장치에 의한 분리 선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사진 진동 스크린(11)의 하부에 송풍구(21)가 다소 상향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송풍구(21)는 송풍기(22)와 덕트(23)로 연결되어 강한 바람을 토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방에는 진동 스크린(11)의 경사 하단으로부터 낙하되는 골재를 수용하여 후속공정으로 이어지는 이송 컨베이어(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19)에 인접하여 후방 상부측에는 회전하는 브러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후방에는 회전하는 브러쉬(40)에 의해 뒤로 넘겨진 폐목재나 플라스틱류과 같은 폐재류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50)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솔(42)이 구비된 것으로, 진동 스크린(11)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감속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에 연결된 축봉(44)에 끼워짐으로써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40)의 형상은 꼭 원통형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며, 솔과 솔 사이의 간격(h)은 진동 스크린(11)의 선별공 크기에 비해 작도록 이루어져 진동 스크린(11)으로부터 낙하된 폐재류들이 브러쉬(40)의 솔(42)에 걸릴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스크린(11)에 형성된 선별공의 지름이 50㎜라고 가정하면, 진동 스크린(11)의 끝단에서 낙하되는 각종 폐재류들은 50㎜ 이상의 크기를 가지게 되므로 브러쉬(11)의 솔과 솔 사이의 간격이 선별공의 크기보다 작은 45㎜가 되면 상기 폐재류들이 솔과 솔 사이공간으로 빠지는 일이 없이 솔(4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40)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내판(50)은 그 선단부가 회전하는 브러쉬(40)의 솔(42)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그 폭방향을 따라서 볼록부(52)와 오목부(54)가 상호 교호적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오목부(54) 사이로 브러쉬의 솔(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회전하는 브러쉬(40)의 솔(42)과 안내판(50) 사이에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브러쉬(40)의 솔(42)에 걸린 폐재류들은 안내판(50)의 선단에 걸려 이탈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송풍기(22)의 풍력에 의해 날리는 각종 폐재류의 수집을 위해 진동 스크린(11)의 후방에 설치된 집진망(29)의 입구부 상측을 유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송풍구(21)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곡면형상을 따라 유연한 기류를 형성하면서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과 함께 날리는 폐재류들이 무질서하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시되지 않은 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된 건설폐기물, 즉 파쇄된 골재와 함께 폐목재나 폐지 혹은 폐비닐 등 잡다한 폐재류가 혼재된 건설폐기물이 경사진 진동 스크린(11)을 경유하여 상기 스크린(11)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순간 송풍구(21)로부터 다소 위방향으로 토출되는 강력한 바람에 의해 무거운 골재가 아닌 폐지나 폐비닐 등은 물론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와 폐목재 및 플라스틱류도 함께 날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폐지나 폐비닐 등은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에 날려 위방향으로(①방향) 멀리 날아가게 되는 반면 세골재와 폐목재 및 플라스틱류들은 어느 정도 비중이 있기 때문에 멀리 날아가지 못하게 된다.
특히, 상기 세골재는 폐목재나 플라스틱류에 비해 더 비중이 나가기 때문에이송 컨베이어(19)에 인접하여 바깥쪽에 설치된 브러쉬(40)에 충돌한 뒤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이송 컨베이어에 실려 골재와 함께 다음공정으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③방향)
반면, 상기 세골재에 비해 비중이 좀더 가벼운 폐목재나 플라스틱류는 회전하는 브러쉬(40)의 솔(42)에 걸려 후방으로 넘겨진 뒤 안내판(50)의 선단부에서 이탈되어 안내판(50)을 따라 안내되어 집진망(29)내에 수집된 뒤 별도로 수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에서 골재를 재생하기 위하여 폐비닐과 같은 비중이 가벼운 폐재류를 풍력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과정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소정거리 날아가는 세골재들이 회전하는 브러쉬에 부딪쳐 다시 이송 컨베이어 상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폐재류들과 함께 날아가 폐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폐기자원의 재활용도를 제고시킬 뿐 아니라 쓰레기 매립에 소용되는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크린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건설폐기물중에 섞여있던 가벼운 폐재류는 날려보내고 무거운 골재는 그대로 낙하하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후속공정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그 바깥쪽 상부측에 회전하는 브러쉬를 설치하여, 풍력에 의해 날아가는 비교적 비중이 있는 세골재들이 상기 브러쉬에 부딪치면서 이송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후방에 인접하여 안내판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의 선단부는 폭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날려지는 가벼운 폐재류를 수집하기 위한 집진망의 입구부 상측을 유선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KR20-2003-0027756U 2003-08-29 2003-08-29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KR200335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56U KR200335008Y1 (ko) 2003-08-29 2003-08-29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56U KR200335008Y1 (ko) 2003-08-29 2003-08-29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385A Division KR100522786B1 (ko) 2003-08-29 2003-08-29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008Y1 true KR200335008Y1 (ko) 2003-12-01

Family

ID=4942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756U KR200335008Y1 (ko) 2003-08-29 2003-08-29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0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8051A (zh) * 2019-07-09 2019-09-17 济南大学 一种煤泥分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8051A (zh) * 2019-07-09 2019-09-17 济南大学 一种煤泥分选装置
CN110238051B (zh) * 2019-07-09 2024-01-26 济南大学 一种煤泥分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83683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유기성·무기성 이물질의 선별 시스템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20110074042A (ko) 건식 모래 생산방법 및 장치
KR101798044B1 (ko) 회전타격체의 타격 및 낙하 충돌을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JP2006167653A (ja) 軽量搬送物の選別装置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1266958B1 (ko) 브러시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200351064Y1 (ko) 쓰레기 선별장치
KR20033500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KR100522786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장치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KR100528131B1 (ko) 개량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2190703B1 (ko) 건설폐기물의 토사와 골재의 분리회수장치
JP4182049B2 (ja) 風力選別装置
KR20028424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원통스크린 장치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53933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KR20030016439A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2581345B1 (ko) 판형 및 로터리형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골재 제조 시스템
KR100937980B1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