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064Y1 - 쓰레기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064Y1
KR200351064Y1 KR20-2004-0004652U KR20040004652U KR200351064Y1 KR 200351064 Y1 KR200351064 Y1 KR 200351064Y1 KR 20040004652 U KR20040004652 U KR 20040004652U KR 200351064 Y1 KR200351064 Y1 KR 200351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soil
combustible material
waste
s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벨
Priority to KR20-2004-0004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쓰레기의 선별된 토사에 함유된 잔쓰레기가 선별되도록 진동에 의한 탄성체의 탄력성(즉,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탄성체에 외력이 인가되어 탄성체가 튀는 상태)를 이용하여 스크린 홀의 막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의 탄력으로 상하유동 및 이동되는 토사에 섞여있는 가연성 쓰레기를 쉽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선별분리된 토사가 선별장치에 의해 선별되도록 네크부를 갖는 본체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된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이 진동수단의 진동에 의해 토사 중 작은 입자의 토사(흙 가루, 모래등)는 스크린홀을 통해 선별되고, 상기 스트린홀을 통과 하지않은 입자가 굵은 토사, 잔돌, 가연성 쓰레기(가벼운 비닐, 천류, 스치로풀 등)은 상기 네크부 쪽에 구비된 집진수단으로 이송되며, 상기 집진수단으로 이송된 가연성물질은 상기 네크부 쪽에 흡입력을 갖도록 구비된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며, 흡입된 가연성물질은 상기 송풍팬의 풍력을 1차 감압시키도록 집진실 일측에 구비된 이송드럼을 타고 이동되어 집진실 하방에 위치한 컨베어로 떨어지고, 상기 컨베어로 떨어지지 않은 가연성물질은 상기 송풍팬의 풍력을 2차 감압시키도록 상기 집진실의 내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차단판에 부딪혀 상기 집진실 하방에 위치한 컨베어에 수직낙하 상태로 떨어지며, 상기 차단판을 통과한 가벼운 가연성물질이 상기 송풍팬의 풍력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잡아 주거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단판 후방에 고리와 고리가 상호 결합된 다수개의 타격용 쇠사슬되고, 상기 집진수단에서 미쳐 선별되지 못한 가연성물질(나무조각, 플라스틱류)은 체인구동으로 움직이는 브러쉬에 의해 선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선별장치{The sorting apparatus of the reclaimed trash and the soil.}
본 고안은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쓰레기의 선별된 토사에 함유된 잔쓰레기가 선별되도록 진동에 의한 탄성체의 탄력성(즉,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탄성체에 외력이 인가되어 탄성체가 튀는 상태)를 이용하여 스크린 홀의 막힘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의 탄력으로 상하유동 및 이동되는 토사에 섞여있는 가연성 쓰레기를 쉽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매립지는 쓰레기 운반효율을 감안하여 대개의 경우 대도시인근에 위치하는데, 도시의 팽창과 도시개발계획에 의해 각종 쓰레기가 무작위로 매립되는 쓰레기 매립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무작위로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여 그 처리를 위한 종류별 선별작업이 불가피하며, 이때 굴착된 쓰레기는 토사쓰레기 및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돌덩어리와 쇠붙이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쓰레기와 함께 비닐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한 폐기쓰레기도 함께 섞여 있는 관계로, 쓰레기 전체를 종류별로 정확하게 선별작업하기 위한 쓰레기 선별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폐기물관리법에 의거 사업장폐기물 중 건설폐기물의 기준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이 공시되어 있다.
즉, 건설폐재류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2조의 규정에 의한 재활용 목적에 적합하게 처리하여야 하며, 다만 건설폐재류를 성토재, 보조기충재, 도로기충재 또는 복토재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최대직경이 100㎜이하이고, 이물질 함유량이 부피기준으로 1%이하가 되도록 해야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는 바, 건축물이나 매립된 쓰레기에 혼재된 토사류를 선별후 이물질 함유량이 부피기준 1% 이내의 이물질 분리선별이 어려워 인력에 의존하여 많은 량의 건축물폐기물 및 매립된 쓰레기를 불법 매립하거나 또는 폐기물처리장에 산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종래의 선별장치에 구비되는 원형스크린 및 진동스크린(철망)에 형성된 스크린 홀이 30㎜ ∼ 50㎜ 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며,30㎜ ∼ 50㎜ 로 된 상기 스크린 홀을 줄일 경우 홀의 막힘현상으로 미세 토사가 분리되지 않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원형스크린 및 진동스크린인 경우 철망형상으로 선별장치에 고정된 구조로 되어있어 상기 진동스크린의 스크린 홀을 15㎜로 하되, 진동장치에 의해 상기 진동스크린을 진동시켜 토사를 선별할 경우 스크린 홀이 토사에 막혀 선별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종래에 쓰레기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선별된 토사류에는 잔쓰레기가 함유되어 있어 보편적인 분리율은 90 ∼ 95% 밖에 선별할 수 없는 실정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 선별장치에 구비되는 진동스크린판에 형성된 스크린 홀의 크기를 입자가 작은 토사만 선별되게 15㎜이하로 하여 토사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잔쓰레기)의 분리뿐만 아니라 진동스크린의 신축성 및 탄성력을 이용 진동스크린의 스크린 홀에 토사 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연성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부를 통해 1차 쓰레기 선별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를 나타낸 확대로서, 진동스크린판의 진동에 따른 신축성으로 진동스크린판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로서, 진동스크린판의 진동에 따른 신축성으로 진동스크린판이 상,하유동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 및 도 2의 C부를 통해 2차 쓰레기 선별부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로서, 가연성물질이 흡입되어 털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2의 D부를 통해 3차 쓰레기 선별부를 나타낸 확대단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쓰레기 선별장치 100:본체
110:진동스프링 130:진동체
150: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 200:송풍관
210:송풍팬 220:흡입관
230:집진실 240:이송드럼
250:차단판 260:타격용 쇠사슬
300:하우징 310:구동체인
330:수지브러쉬 350:구동스프로켓
390:인출부러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별된 토사가 투입되도록 공간부를 갖는 일측에 개방된 네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본체에 투입된 상기 토사가 상기 본체의 상부측에 구비된 진동수단의 진동에 의해 선별하도록 다수개의 스크린 홀을 갖는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과; 상기 진동스크린판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를 흡입하여 토사에 섞여있는 미세분말을 걸러냄과 동시에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네크부에 구비되는 집진수단과; 상기 집진수단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에 섞여 있는 무거운 가연성물질을 선별하도록 집진수단 전방에 구비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부를 통해 1차 쓰레기 선별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를 나타낸 확대로서, 진동스크린판의 진동에 따른 신축성으로 진동스크린판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며,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로서, 진동스크린판의 진동에 따른 신축성으로 진동스크린판이 상,하유동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A부는 1차 쓰레기 선별부로서, 여기에 투입되는 토사 즉, 선별되지 않은 토사에는 가연성(비닐류, 스치롤폴류, 천류, 나무류, 플라스틱류 등)과 불연성(흙, 모래, 먼지 등)으로 섞여있는 입자가 작은 미세 토사를 1차 선별을 하게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양측 전후에 구비된 각각의 진동스프링(110)과 본체(100)의 상층부에 구비된 진동체(130)에 의해 상기 본체(100)를 진동시키게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체(130)가 작동되면 본체(100)의 양측 전후에 구비된 진동스프링(110)의 완충작용에 의해 본체(100)는 진동상태를 이루게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기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150)에 형성된 스크린 홀(150a)이 도 4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확장/수축 상태를 이루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스크린판(150)이 일점쇄선과 같이 상,하유동되어 15㎜이하의 미세 토사(흙가루, 모래 등)가 스크린 홀(150a)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나머지 입자가 굵은 토사와 잔돌 및 가연성 쓰레기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네크부(100a)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150)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은 토사는 2차 쓰레기 선별부(C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스크린판(150)의 재질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이고, 상기 진동스크린판(150)의 스크린 홀(150a) 형상은 정사각형상을 이루는 게 바람직하며, 원형태를 이루어도 무방하고, 상기 스크린 홀(150a)의 크기는 15㎜이하의 입자가 미세한 토사(모래, 입자가 작은 토사, 먼지 등)가 빠져나갈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스크린판(150)의 스크린 홀(150a)을 통해 빠져나간 토사는 제 1컨베어(10)를 타고 다른 장소로 이송된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C부를 통해 2차 쓰레기 선별부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로서, 가연성물질이 흡입되어 털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상기 진동스크린판(150)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은 토사를 2차 쓰레기 선별부(C부)에 의해 선별하게된다.
즉, 상기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150)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은 토사는 네크부(100a)에 구비된 집진수단에 의해 가연성 쓰레기를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집진수단은 상기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150)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에 섞여있는 가연성물질을 네크부(100a)에 위치한 흡입관(220)을 통해 흡입되어 다른 장소로 이송되도록 토출구(230b)와 배출구(230a)를 갖는 집진실(230)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관(200) 그 내측 상부에 흡입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송풍팬(210)과; 상기 송풍팬(210)의 흡입력으로 상기 송풍관(200)을 통해 이송되는 가연성물질을 안내함과 동시에 송풍팬(210)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집진실(230) 일측에 구비된 상기 송풍관(200)의 배출구(230a)쪽에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되는 이송드럼(240)과; 상기 송풍팬(210)의 회전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드럼(240)으로부터 안내된 가연성물질이 부딪혀 상기 가연성물질 낙하되게 상기 집진실(230)의 내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일단이 고정된 차단판(2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네크부(100a)를 통해 배출되면서 토사에 섞여있는 가연성물질을 송풍관(200) 내측 상부에 구비된 송풍팬(210)의 흡입력으로 상기 흡입관(220)을 통해 흡입되며, 흡입된 가연성물질은 송풍관(200)을 통해 집진실(23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네크부(100a)를 통과하는 토사는 상기 진동체(130)의 진동에 의해 진동되는 본체(100)와 함께 상기 네크부(100a) 또한 진동상태이므로 상기 네크부(100a)상에 있는 토사에 충격(톡톡 튀는 상태)을 주면 토사 중 가연성물질(비닐, 천, 종이, 스치롤폴)은 상기 송풍팬(210)의 흡입에 의해 흡입되고, 선별되지 않은 무거운 가연성물질과 입자가 굵은 토사는 제 3컨베어(20)를 통해 다른 곳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송풍관(200)과 관통되게 결합된 집진실(230) 중 송풍관(200)이 결합된 배출구쪽 집진실(230)에는 이송드럼(24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송풍관(200)을 통해 이송되는 가연성물질을 이송시키도록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송풍팬(210)의 풍압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또한, 상기 이송드럼(240)으로부터 이송된 가연성물질은 상기 집진실(230) 내측상부에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되, 지그재그형태로 고정된 차단판(250)에 부딪혀 압력이 줄어든 풍력과 함께 집진실 하방 배출구(230a)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처단판(250)은 상기 송풍팬(210)의 송풍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게되며, 상기 차단판(250)을 통과한 가연성물질은 다시 상기 차단판(250)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고리와 고리가 상호 결합된 사슬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타격용 쇠사슬(260) 즉, 일단이 집진실(230) 내측 상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고정되지 않으면서 충격에 의해 출렁이게 되는 상기 타격용 쇠사슬(260)에 부딪쳐 가연성 쓰레기는 하방 배출구(230a)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가연성물질에 대한 2차 쓰레기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21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압력이 밖으로 빠져 순환되도록 상기 타격용 쇠사슬(260) 일측에 토출구(2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230b)에는 여과된 바랍이 빠져 나가도록 필터(270)가 구비된다.
여기서, 2차 쓰레기 선별부(C부)에서 선별에 의해 상기 배출구(230a)를 통해 배출된 가연성물질 및 토사는 제 2컨베어(30)를 통해 다른 장소로 이송된다.
도 8은 도 1 및 도 2의 D부를 통해 3차 쓰레기 선별부를 나타낸 확대단면개략도이다.
여기서는 2차 쓰레기 선별부(C부)로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 즉, 상기 네크부(100a)에서 선별되않은 토사 및 상기 송풍팬(210)으로부터 흡입되지 않은 무거운 가연성물질(나무류, 플라스틱류 등) 등을 3차 쓰레기 선별부(D부)에서 선별하게된다.
한편, 3차 쓰레기 선별부(D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우징(300) 내부에 구동체인(310)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수지브러쉬(330)와, 상기 구동체인(310)을 구동시키도록 각 위치에 구비되는 구동스프로켓(350)과, 제 3컨베어(20)를 통해 이송되는 토사(토사 및 가연성물질 중 2차 선별부에서 선별되지 않은 무거운 나무류, 플라스틱류)를 상기 수지브러쉬(330)에 의해 반대쪽 위치에 있는 제 2컨베어(30)로 이송되게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이송드럼(370)과, 상기 구동체인(310)에 부착되어 연동되는 상기 수지브러쉬(330)에 묻어있는 토사를 털어지도록 상기 하우징(300) 일측에 구비되는 인출브러쉬(39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3컨베어(20)를 통해 이송되는 토사 중 상기 2차 쓰레기 선별부(C부)에서 선별되지 않은 가연성물질로 서, 무거운 나무류, 플라스틱류 및 입자가 굵은 토사는 3차 쓰레기 선별부(D부)에 상기 구동체인(310)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스프켓(350)의 회전과 함께 연동되는 수지브러쉬(330)가 상기 제 3컨베어(20)를 타고 이송되는 가연성물질(나무류, 플라스틱류)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이송드럼(370)을 통해 상기 제 2컨베어(30)로 이송되게 쓸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지브러쉬(330)에 의해 이송되지 않은 토사(흙, 잔돌 등)는 상기 제 3컨베어(20)를 타고 다른 장소로 이송되며, 상기 하우징(300) 일측에 구비된 상기 인출브러쉬(390)는 상기 수지브러쉬(330)에 묻어있는 가연성물질을 털어 주는 기능을 하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1)의 선별과정을 계략적으로 살펴보면 1차 쓰레기 선별부(A부), 2차 쓰레기 선별부(C부), 3차 쓰레기 선별부(D부)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1차 쓰레기 선별부(A부)에서는 토사에 섞여있는 나무류, 플라스틱류, 천류, 스치롤폴류 등으로 된 가연성물질과 흙, 모래, 먼지 등으로 된 불가연성물질 중 진동스크린판(150)의 스크린 홀(150a)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15㎜이하의 입자가 작은 미세 토사가 선별된다.
이때, 선별된 토사(불가연선물질)는 제 1 컨베어(10)를 타고 다른 곳으로 이송된다.
다음, 2차 쓰레기 선별부(C부)에서는 가벼운 비닐, 천류, 스치롤폴 등의 가연성물질이 선별되어 제 2컨베어(30)를 타고 이송된다.
이때, 선별되지 않은 가연성물질 중 무거운 나무류, 플라스틱류 등은 제 3컨베어(20)를 타고 3차 쓰레기 선별부(D부)로 이송된다.
한편, 3차 쓰레기 선별부(D부)에서는 무거운 나무류, 플라스틱류 등의 가연성물질이 선별되어 제 2컨베어(30)를 타고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1)에 의해 선별된 토사 중 가연성물질은 제 1, 3컨베어(10)(20)를 타고 이송되며, 불가연성물질은 제 2, 4 컨베어(30)(40)를 타고 이송됨으로서 토사에 섞여있는 가연성물질 및 불가연성물을 선별하게된다.
한편, 본 고안의 선별장치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형태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을 가지게된다.
첫째,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는 종래의 스크린 홀을 통해 선별이 가능한 30㎜ ∼ 50㎜선별 보다 작은 15㎜이하의 선별이 가능하므로 토사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잔쓰레기)을 효과적으로 분리 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의 쓰레기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진동스크린판의 신축성에 의해 선별시 진동스크린판의 스크린 홀에 토사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된다.
셋째, 본 고안은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진동스크린판에 의해 토사속에 섞인 가연성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넷째, 불리된 가연성 쓰레기를 집진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Claims (4)

  1. 선별된 토사가 투입되도록 공간부를 갖는 일측에 개방된 네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본체에 투입된 상기 토사가 상기 본체의 상부측에 구비된 진동수단의 진동에 의해 선별하도록 재질이 신축성을 갖는 고무이며, 다수개의 스크린 홀을 갖는 탄성체용 진동스크린판과;
    상기 진동스크린판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를 흡입하여 토사에 섞여있는 미세분말을 걸러냄과 동시에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네크부에 구비되는 집진수단과;
    상기 집진수단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에 섞여 있는 무거운 가연성물질을 선별하도록 집진수단 전방에 구비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진수단은
    상기 진동스크린판으로부터 선별되지 않은 토사에 섞여 있는 가연성물질을 네크부에 위치한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다른 장소로 이송되도록 토출구와 배출구를 갖는 집진실 일측에 구비되는 송풍관 그 내측 상부에, 흡입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풍력으로 미세한 가연성물질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필터와;
    상기 송풍팬의 흡입력으로 상기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가연성물질을 안내함과 동시에 송풍팬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집진실 일측에 구비된 상기 송풍관의 배출구쪽에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되는 이송드럼과;
    상기 송풍팬의 회전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드럼으로부터 안내된 가연성물질이 부딪혀 상기 가연성물질에 묻어있는 토사가 털어지면서 낙하되게 상기 집진실의 내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을 통과한 가연성물질을 다시 부딪치게 하여 가연성물질에 묻어있는 토사가 털어지도록 상기 차단판 후방에 고리와 고리가 상호 결합되어 사슬형상을 갖되, 일단이 상기 집진실 내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타격용 쇠사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동체인에 부착되어 함께 연동되는 수지브러쉬와; 상기 구동체인을 구동시키도록 각 위치에 구비되는 구동스프로켓과; 이송되는 토사를 반대쪽로 이송되게 구비되는 이송드럼과; 상기 구동체인에 부착되어 연동되는 상기 수지브러쉬에 묻어있는 토사를 털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는 인출브러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선별장치.
KR20-2004-0004652U 2004-02-23 2004-02-23 쓰레기 선별장치 KR200351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652U KR200351064Y1 (ko) 2004-02-23 2004-02-23 쓰레기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652U KR200351064Y1 (ko) 2004-02-23 2004-02-23 쓰레기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934A Division KR100475287B1 (ko) 2003-02-07 2003-02-07 쓰레기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064Y1 true KR200351064Y1 (ko) 2004-05-17

Family

ID=4934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652U KR200351064Y1 (ko) 2004-02-23 2004-02-23 쓰레기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064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34B1 (ko) 2007-06-27 2008-02-01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폐기물 선별스크린의 진동장치
KR100890580B1 (ko) 2007-07-04 2009-03-25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100934035B1 (ko) 2008-10-02 2009-12-28 서흥인테크(주) 쓰레기 선별장치
KR100986635B1 (ko) 2009-10-28 2010-10-08 (주)조은이엔티 풍력비중선별기
KR101005789B1 (ko) 2009-09-09 2011-01-06 주식회사 신텍 잉여 흡입공기 및 디스크 브러시를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의 분리 장치 및 방법
CN108554611A (zh) * 2018-04-24 2018-09-2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轻质垃圾分选的洗选机
CN108636592A (zh) * 2018-04-24 2018-10-12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选系统
KR20200034236A (ko) 2018-09-21 2020-03-31 권수길 불연성물질과 가연성물질을 선별하는 회전선별장치
CN115739368A (zh) * 2022-11-01 2023-03-07 江苏中意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水泥制备用生料粉细度筛选检测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34B1 (ko) 2007-06-27 2008-02-01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폐기물 선별스크린의 진동장치
KR100890580B1 (ko) 2007-07-04 2009-03-25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100934035B1 (ko) 2008-10-02 2009-12-28 서흥인테크(주) 쓰레기 선별장치
KR101005789B1 (ko) 2009-09-09 2011-01-06 주식회사 신텍 잉여 흡입공기 및 디스크 브러시를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의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986635B1 (ko) 2009-10-28 2010-10-08 (주)조은이엔티 풍력비중선별기
CN108554611A (zh) * 2018-04-24 2018-09-2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轻质垃圾分选的洗选机
CN108636592A (zh) * 2018-04-24 2018-10-12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分选系统
KR20200034236A (ko) 2018-09-21 2020-03-31 권수길 불연성물질과 가연성물질을 선별하는 회전선별장치
CN115739368A (zh) * 2022-11-01 2023-03-07 江苏中意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水泥制备用生料粉细度筛选检测设备
CN115739368B (zh) * 2022-11-01 2023-11-14 南京中联水泥有限公司 一种水泥制备用生料粉细度筛选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62015B1 (ko) 건설 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1806725B1 (ko) 토사이물질 정밀선별장치
KR200351064Y1 (ko) 쓰레기 선별장치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374162B1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100475287B1 (ko) 쓰레기 선별장치
KR100528131B1 (ko) 개량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0471665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1799687B1 (ko) 불연성 감량화 정밀 선별장치
KR20030063758A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703954B1 (ko) 가연성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CN214132654U (zh) 一种沙土分离机构
KR102190703B1 (ko) 건설폐기물의 토사와 골재의 분리회수장치
KR20100011223A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JP2006150312A (ja) 風力選別装置
KR200331279Y1 (ko) 수평 다단식 회전 디스크 선별기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JP3208793B2 (ja) 風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