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189B1 -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189B1
KR102467189B1 KR1020170123956A KR20170123956A KR102467189B1 KR 102467189 B1 KR102467189 B1 KR 102467189B1 KR 1020170123956 A KR1020170123956 A KR 1020170123956A KR 20170123956 A KR20170123956 A KR 20170123956A KR 102467189 B1 KR102467189 B1 KR 10246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rotor
moving member
elastic member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982A (ko
Inventor
타쿠지 타카마츠
케이 사이토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10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5Spool bearing bra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6Radially engag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20Line length or dept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로터 제동 장치(6)는, 제동 부재(21)와, 이동 부재(15)와, 탄성 부재(22)와, 조정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부재(21)는, 릴 본체(1)에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15)는, 베일 암(4)에 연동하여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로터(3)에 배치되고,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동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출부(15a)를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22)는,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에 장착되고, 이동 부재(15)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동 부재(21)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한다. 조정 부재(23)는, 이동 부재(15)의 돌출부(15a)와 탄성 부재(22)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부재(22)의 위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ROTOR BRAKING APPARATUS FOR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특히,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搖動)하는 베일 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베일 암이 로터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은, 요동에 따라, 스풀에 낚싯줄을 감을 때의 줄 감기 자세와, 스풀에 감긴 낚싯줄을 내보낼 때의 줄 개방 자세와의 2개의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로터가 자유롭게 회전하여 버리면, 베일 암이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하여 버리는 등, 캐스팅 시(時)의 조작이 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다. 그래서,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로터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터 제동 장치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인용 문헌 1에서는, 베일 암의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이동 부재의 선단(先端)에 장착된 캡을 릴 본체에 설치된 제동 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의 로터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인용 문헌 2에서는, 이동 부재에 계합(係合)하여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하는 제동 부재를 설치하여, 제동 부재와 릴 본체를 마찰 계합시켜 로터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0603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84896호
예를 들어, 인용 문헌 1의 제동 장치에서는, 제조 오차나 취부(取付) 오차 등에 의하여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캡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면, 캡의 압축량이 변동한다. 캡의 압축량이 변동하면, 제동력에 격차가 생겨 버려, 안정된 제동력을 얻는 것이 어렵다.
인용 문헌 2에 있어서도, 제조 오차나 취부 오차 등에 의하여 제동 부재에 계합하는 이동 부재의 계합 위치가 어긋나면, 제동 부재와 이동 부재가 능숙하게 계합하지 않고 소정의 제동력을 얻을 수 없는 일이 있다. 또한, 이동 부재가 제동 부재를 릴 본체를 향하여 압압(押壓)하는 힘이 이동 부재의 계합 위치에 의하여 변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에 격차가 생겨 버려, 안정된 제동력을 얻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것이며, 제동 부재와, 이동 부재와, 탄성 부재와,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부재는, 릴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는, 베일 암에 연동하여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로터에 배치되고,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동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는, 이동 부재의 돌출부에 장착되고, 이동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동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한다. 조정 부재는, 이동 부재의 돌출부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부재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서는, 조정 부재에 의하여 탄성 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하였을 때에 소정의 제동력이 얻어지는 위치에, 탄성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조 오차나 취부 오차 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동 부재는, 외주(外周)에 복수의 계합부를 가진다. 이동 부재의 돌출부는, 이동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동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한다. 탄성 부재는, 이동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동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 경우도, 제조 오차나 취부 오차 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는 탄성 부재의 경(徑)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 즉, 조정 부재는, 이동 부재의 돌출부에 대한 탄성 부재의 로터의 경(徑)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 경우는, 상기의 효과에 더하여, 조정 부재에 의하여 탄성 부재가 제동 부재를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부재는 탄성 부재를 경방향 내측(內側)으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이다. 즉, 조정 부재는, 탄성 부재를 제동 부재를 향하여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이다. 이 경우는, 상기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제동력이 얻어지는 것과 함께, 조립 때에 위치 조절을 하는 수고가 줄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는 고무제의 캡 부재이다. 이 경우는, 탄성 부재를 이동 부재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탄성 부재의 내주부(內周部)에서 조정 부재를 보지(保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종단면도.
도 2는 줄 감기 자세의 베일 암을 포함하는 제1 로터 암의 측면도.
도 3은 줄 개방 자세의 베일 암을 포함하는 제1 로터 암의 측면도.
도 4는 로터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릴 본체의 부분 정면도.
도 5는 로터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릴 본체의 부분 측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100)의 종단면도이다.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1)와, 스풀(2)과, 로터(3)와, 베일 암(4)과, 베일 반전 기구(5)와, 로터 제동 장치(6)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본체부(1a)와, 릴 본체부(1a)의 전방(前方)에 형성된 플랜지부(1b)와, 플랜지부(1b)의 외경(外徑)보다도 소경(小徑)의 원통부(圓筒部)(1c)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부(1a)의 내부 공간에는, 예를 들어, 로터(3)가 구동되는 로터 구동 기구(7)나, 스풀(2)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8) 등이 수납되어 있다. 원통부(1c)에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D자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릴 본체(1)의 측부에는, 핸들(9)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2)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부재이다. 스풀(2)은, 핸들(9)의 회전에 수반하여 릴 본체(1)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로터(3)는, 스풀(2)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부재이다. 로터(3)는, 로터 본체부(3a)와, 제1 로터 암(3b)과, 제2 로터 암(3c)을 가지고 있다. 제1 로터 암(3b)과 제2 로터 암(3c)은, 로터 본체부(3a)의 측방에 로터 본체부(3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로터(3)는, 핸들(9)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베일 암(4)은, 제1 로터 암(3b) 및 제2 로터 암(3c)의 각각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4)은, 도 2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와, 도 3에 도시하는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덧붙여, 줄 감기 자세란, 스풀(2)에 낚싯줄을 감을 때의 베일 암(4)의 자세이며, 줄 개방 자세란, 스풀(2)에 감긴 낚싯줄을 내보낼 때의 베일 암(4)의 자세이다.
베일 암(4)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a)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b)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a)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b)를 연결하는 원호상(圓弧狀)의 베일부(4c)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a)는, 제1 로터 암(3b)의 선단에 비틀어 박힌 제1 설치 핀(11)에 의하여 제1 로터 암(3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베일 지지 부재(4b)는, 제2 로터 암(3c)의 선단에 비틀어 박힌 제2 설치 핀(12)에 의하여 제2 로터 암(3c)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5)는, 제1 로터 암(3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5)는, 베일 암(4)이 줄 감기 자세 혹은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의 자세를 보지하는 기구이다. 또한, 베일 반전 기구(5)는, 베일 암(4)이 줄 감기 자세에 있을 때에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베일 암(4)을 줄 개방 자세로 복귀시킨다.
베일 반전 기구(5)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15)와, 토글 용수철(16)과, 전환 부재(17)를 가지고 있다.
이동 부재(15)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선재(線材)로 이루어지고, 양단(兩端)을 90도 다른 방향으로 절곡(折曲)하여 형성된 제1 돌출부(15a) 및 제2 돌출부(15b)를 가지고 있다.
제1 돌출부(15a)는, 로터(3)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제2 돌출부(15b)는, 로터(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a)에 형성된 계합 홈(4d)에 계지(係止)되어 있다.
이동 부재(15)는, 베일 암(4)의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와의 요동에 수반하여, 도 2에 도시하는 제1 위치와 도 3에 도시하는 제1 위치보다도 후퇴한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이동 부재(15)는, 계합 홈(4d) 및 제1 로터 암(3b)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부(3d)에 안내되어, 베일 암(4)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토글 용수철(16)은, 베일 암(4)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배분하여 압박하고, 또한, 베일 암(4)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보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토글 용수철(16)은, 후단(後端) 측이 제1 로터 암(3b)에 계지되어 있다. 토글 용수철(16)은 코일 형상의 용수철 부재이며, 선단 측으로부터는 제1 로터 암(3b)을 따라 연장된 로드(rod)(18)의 일부가 토글 용수철(16)의 내측을 삽통(揷通)하고 있다.
로드(18)는, 토글 용수철(16)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a)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로드(18)의 중간부에는, 계지 돌기(18a)가 설치되어 있고, 계지 돌기(18a)와 토글 용수철(16)의 선단과의 사이에 와셔(washer)(19)가 배치되어 있다. 로드(18)의 선단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a)에 형성된 계지공(係止孔)(4e)에 계지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a)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a)의 요동 중심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토글 용수철(16)의 후단 측으로부터 로드(18)의 선단부까지의 거리가 변화하여, 토글 용수철(16)이 압축된다.
토글 용수철(16)의 사점(死點)은, 로드(18)의 선단이 기단(基端) 측의 중심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a)의 요동 중심을 잇는 직선상(上)에 위치할 때이며, 이 때에 토글 용수철(16)이 가장 압축된다. 토글 용수철(16)은, 사점을 사이에 두고 베일 암(4)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배분하여 압박한다.
전환 부재(17)는,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 부재(15)를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2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도시하는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전환 부재(1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동 부재(21)의 직선부(21c)의 외주부(外周部)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5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이동 부재(15)의 제1 위치는, 도 2에 도시하는 이동 부재(15)의 제1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이동 부재(15)의 제2 위치는, 도 3에 도시하는 이동 부재(15)의 제2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전환 부재(17)에는, 이동 부재(15)가 제2 위치(도 5 참조)에 있을 때,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LW)으로 회전하여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에 장착된 후술하는 탄성 부재(22)가 접촉한다. 상세하게는, 전환 부재(17)는, 이동 부재(15)를 서서히 제1 위치 방향(전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경사한 경사면(17a)을 가지고 있다. 로터(3)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가 경사면(17a)을 통과할 때,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가 서서히 제1 위치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이동 부재(15)가 토글 용수철(16)의 사점을 넘는 위치까지 밀어 올려지면, 줄 개방 자세 측으로 압박되어 있던 베일 암(4)이 줄 감기 자세 측으로 압박되어, 최종적으로 베일 암(4)이 줄 개방 자세로 복귀한다.
로터 제동 장치(6)는, 베일 암(4)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한다. 로터 제동 장치(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21)와, 이동 부재(15)와, 탄성 부재(22)와, 조정 부재(23)를 가지고 있다.
제동 부재(21)는,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 형상의 부재이다. 제동 부재(21)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대략 D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릴 본체(1)의 원통부(1c)에 형성된 장착 홈(1d)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부재(21)의 외주면은, 전단(前端)의 외연(外緣)이 매끄러운 곡면(21a)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동 부재(21)의 외주면은, 환상부(環狀部)(21b)와, 직선부(21c)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21b)에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22)가 접촉한다. 직선부(21c)의 외주부에는, 베일 반전 기구(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환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15)는, 베일 반전 기구(5)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로터 제동 장치(6)의 일부도 구성하고 있다.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는, 로터(3)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제1 돌출부(15a)는, 이동 부재(15)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제동 부재(21)의 경방향 외측(外側)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제1 돌출부(15a)의 선단이 제동 부재(21)의 환상부(21b)에 대향한다.
탄성 부재(22)는,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제의 캡 부재이며, 선단이 구면상(球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22)는,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 및 조정 부재(23)를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다. 탄성 부재(22)의 내부 공간에는,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의 선단이 수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는, 탄성 부재(22)에 의하여 덮여 있다.
탄성 부재(2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선단이 제동 부재(21)의 환상부(21b)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베일 암(4)의 줄 개방 자세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 부재(15)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 부재(22)는 제동 부재(21)의 환상부(21b)에 접촉한다. 이 탄성 부재(22)와 제동 부재(21)의 환상부(21b)가 접촉하여 마찰하는 것으로, 베일 암(4)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의 로터(3)의 회전이 제동된다.
조정 부재(23)는, 탄성 부재(2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의 선단과 내부 공간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부재(23)는, 예를 들어 심(shim)나 와셔이며, 탄성 부재(22)의 경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22)를 소정의 제동력이 얻어지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오차나 취부 오차 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정 부재(23)에 의하여 탄성 부재(22)의 경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탄성 부재(22)가 제동 부재(21)를 압압하는 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로터 제동 장치(6)의 제동력의 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121)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제1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동 부재(121)는,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변형 가능한 환상의 부재이다. 제동 부재(121)는, 릴 본체(1)의 원통부(1c)에 환상으로 형성된 장착 홈(101d)에 장착되고, 장착 홈(101d)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한다.
제동 부재(121)는, 외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계합부(121a)를 가지고 있다. 베일 암(4)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여, 이동 부재(15)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계합부(121a)에는 탄성 부재(22)가 계합하는 것과 함께, 탄성 부재(22)가 계합부(121a)의 바닥부(121b)에 접촉하여, 제동 부재(121)를 장착 홈(101d)을 향하여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베일 암(4)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있어서, 로터(3)가 회전하려고 하였을 때에, 릴 본체(1)의 장착 홈(101d)과 제동 부재(121)가 마찰 계합하는 것으로, 로터(3)의 회전이 제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부재(15)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 부재(22)가 계합부(121a)의 바닥부(121b)에 접촉하여 압압하도록, 조정 부재(23)에 의하여 탄성 부재(22)의 경방향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오차나 취부 오차 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정 부재(23)에 의하여 제동 부재(21)를 압압하는 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로터 제동 장치(6)의 제동력의 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부재(15)가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 부재(22)가 제동 부재(121)를 압압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계합부(121a)를 경방향 외측에 짧게 형성한 경우여도 탄성 부재(22)가 계합부(121a)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부재(121)의 경방향에 있어서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22)와 이동 부재(15)의 제1 돌출부(15a)와의 사이에, 심이나 와셔 등의 조정 부재(23)를 배치하고 있었지만, 조정 부재(23)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23)에 탄성 부재(22)를 경방향 내측으로 압박하는 접시 용수철 등의 용수철 부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안정된 제동력이 얻어지는 것과 함께, 조립 때에 위치 조절을 하는 수고가 줄기 때문에,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제2 실시예에 관하여도 마찬가지로 조정 부재(23)에 용수철 부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b) 제동 부재(21, 121)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릴 본체(1)에 밀착하도록 제동 부재를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계합부(121a)의 형상도 탄성 부재(22)가 계합하는 형상이면 된다.
1: 릴 본체
3: 로터
4: 베일 암
6, 106: 로터 제동 장치
15: 이동 부재
15a: 제1 돌출부
21, 121: 제동 부재
22: 탄성 부재
23: 조정 부재
100: 스피닝 릴
121a: 계합부

Claims (6)

  1.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搖動)하는 베일 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제동 부재와,
    상기 베일 암에 연동하여 상기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제동 부재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돌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제동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돌출부와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부재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외주(外周)에 복수의 계합부(係合部)를 가지고,
    상기 이동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제동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제동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돌출부에 대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로터의 경(徑)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제동 부재를 향하여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고무제의 캡 부재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0170123956A 2017-03-08 2017-09-26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467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4319A JP6964998B2 (ja) 2017-03-08 2017-03-08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JP-P-2017-044319 2017-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82A KR20180102982A (ko) 2018-09-18
KR102467189B1 true KR102467189B1 (ko) 2022-11-16

Family

ID=6197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56A KR102467189B1 (ko) 2017-03-08 2017-09-26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55821B2 (ko)
JP (1) JP6964998B2 (ko)
KR (1) KR102467189B1 (ko)
CN (1) CN108566931B (ko)
DE (1) DE102018203449B4 (ko)
GB (1) GB2562569B (ko)
TW (1) TWI7242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5074B2 (ja) * 2017-09-22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7320475B2 (ja) * 2020-03-31 2023-08-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712A (ja) 1998-10-22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275528A (ja) 2000-03-30 2001-10-0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06032A (ja) 2001-04-16 2002-10-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11087570A (ja) 2009-09-28 2011-05-06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80815A (ko) * 1967-10-27 1969-09-12
FR2045011A5 (ko) * 1969-05-29 1971-02-26 Carpano & Pons
JP2594253Y2 (ja) * 1993-05-14 1999-04-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37152A (ja) * 1998-07-23 2000-02-08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TW474782B (en) * 2000-06-23 2002-02-0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TW518207B (en) * 2000-12-04 2003-01-21 Shimano Kk Spinning reel
JP3983018B2 (ja) * 2001-03-30 2007-09-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06302A (ja) * 2001-04-12 2002-10-22 Daiwa Gravure Co Ltd スプーン
JP2003084896A (ja) 2001-09-07 2003-03-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モード切替え方法
JP4307881B2 (ja) * 2002-08-28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266719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SG110185A1 (en) *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CN2788559Y (zh) * 2005-01-10 2006-06-21 陈明 一种纺车型卷线器的线轮止动机构
JP4892416B2 (ja) * 2007-06-15 2012-03-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CN202068847U (zh) * 2011-03-21 2011-12-14 徐帮奇 渔具绕线盘用制动泄力装置
JP6261884B2 (ja) * 2013-06-05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712A (ja) 1998-10-22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275528A (ja) 2000-03-30 2001-10-0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06032A (ja) 2001-04-16 2002-10-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11087570A (ja) 2009-09-28 2011-05-06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3449A1 (de) 2018-09-13
DE102018203449B4 (de) 2022-05-12
US20180255755A1 (en) 2018-09-13
JP6964998B2 (ja) 2021-11-10
GB201803735D0 (en) 2018-04-25
CN108566931A (zh) 2018-09-25
KR20180102982A (ko) 2018-09-18
CN108566931B (zh) 2022-07-19
GB2562569A (en) 2018-11-21
TWI724255B (zh) 2021-04-11
JP2018143209A (ja) 2018-09-20
GB2562569B (en) 2019-06-26
TW201832659A (zh) 2018-09-16
US10455821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946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46718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1607563B1 (ko) 드래그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릴
JP2015065961A (ja) 両軸受リール
US10624325B2 (en) Spinning reel
JP635261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575509B2 (en) Drag knob
TWI272904B (en) Rotor braking device for spinning reel
KR10214872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US20050279872A1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431911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71379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709122B1 (en) Spinning reel
KR20230029503A (ko) 스피닝 릴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JP732047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29165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314624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6987612B2 (ja)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
JP37595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517677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33101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1500271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