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923B1 - 감열 기록체 - Google Patents

감열 기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923B1
KR102466923B1 KR1020217025878A KR20217025878A KR102466923B1 KR 102466923 B1 KR102466923 B1 KR 102466923B1 KR 1020217025878 A KR1020217025878 A KR 1020217025878A KR 20217025878 A KR20217025878 A KR 20217025878A KR 102466923 B1 KR102466923 B1 KR 10246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ensitive recording
acrylic resin
thermal record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493A (ko
Inventor
켄타로 카와사키
요시미 미도리카와
켄지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41M5/3372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23Organic colour formers, e.g. leuco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7Additives;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고도의 내수성과 우수한 표면성을 갖춘 감열 기록체를 제공한다.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 및 전자 수용성 현색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가지며, 그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갖지 않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그 감열 기록층이 바인더로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고, 그리고 또한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한다.)를 함유하고, 그리고 또한 유리 전이점(Tg)이 50℃이하, 최저 조막 온도(MFT)가 4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체이다.

Description

감열 기록체
본 발명은, 고도의 내수성과 우수한 표면성을 갖춘 감열 기록체에 관한 것이다.
무색 내지 담색(淡色)의 전자 공여성(供與性) 류코 염료(이하,「류코 염료」라고도 함)와 전자 수용성 현색제(이하,「현색제」라고도 함)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갖는 감열 기록체는, 널리 실용화되고 있다. 이 감열 기록체에 대한 기록은, 서멀헤드를 내장한 서멀 프린터 등이 이용된다. 이 감열 기록 방식은, 기존 상용화된 다른 기록 방식에 비해 기록시에 소음이 없고, 현상 정착(現像定着)이 필요없는, 메인터넌스 프리이다. 기기가 비교적 저렴한 소형이며, 얻어진 발색이 매우 선명한 등의 특징에서, 팩스, 컴퓨터용 프린터, 자동 매표기, 계측용 레코더, 핸디 터미널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의 확대에 따라 최근 감열 기록체의 품질도 기본 성능으로서 종래 이상으로 고도의 표면성(면감(面感)이라고도 함)이 요구되며, 또한, 라벨, 티켓, 핸디 터미널 용지, 배송 전표 등 야외에서 사용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강우시의 거친 취급에서도 견딜수 있는 고도의 내수성(耐水性)이 요구된다.
내수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설치하고, 보호층에 다양한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특허문헌1~3 등), 보호층을 갖으면 감열 기록체의 발색 성능은 저하된다.
한편, 감열 기록체의 발색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내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보호층을 갖지 않고서, 감열 기록층에 카복실기 함유 수지,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아미드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 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14454 국제 공개공보 WO2007/049621 국제 공개공보 WO2010/110209 국제 공개공보 WO2008/139948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11037호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층을 설치하지 않고서 고도의 내수성과 우수한 표면성을 갖춘 감열 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열 기록층에 카복실기 함유 수지, 에피클로로 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아미드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특허문헌4,5)에 더하여 이것과 병용하기 위해 다양한 아크릴 수지를 검토했다. 그 결과, 감열 기록층에 카복실기 함유 수지,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아미드계 수지에 더하여 유리 전이점(Tg)이 50℃이하이며 최저 조막(造膜) 온도(MFT)가 40℃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보호층을 마련하지 않고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 및 전자 수용성 현색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갖고, 그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갖지 않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그 감열 기록층이 바인더로서 카복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고, 그리고 또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함)를 함유하고, 그리고 또한 유리 전이점(Tg)이 50℃이하, 최저 조막 온도(MFT)가 40℃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체이다.
도 1은, 감열 기록체의 베타 인자(印子)물의 표면 사진을 나타낸다. A는 실시 예 1, B는 비교 예 3의 인자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는, 지지체 상에 감열 기록층을 필수로 가지고,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갖지 않는다. 이 감열 기록체는, 임의로 지지체와 감열 기록 층 사이에 밑칠층을 가져도 좋고, 또한 지지체의 감열 기록층과는 반대면에 백코트층을 가져도 좋고, 이들 층 사이에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구성한 도공층을 설치해도 된다.
이 지지체는, 원하는 감열 기록체의 품질에 맞게, 종이, 재생지,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 필름, 발포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등, 종래 공지의 지지체에서 적절히 선택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조합한 복합 시트를 지지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그 감열 기록층은 바인더로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고, 또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한다)를 함유하고, 또 특정의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한다.
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Tg)은, 50℃이하, 바람직하게는 40~50℃이다. 이 유리 전이 온도(Tg)는, 수지를 구성하는 조성(모노머) 단체 각각을 JIS K-7122에 준거해서 주사형 차동 열량계(질소 분위기 하에서 10mg의 시료를 25℃/분으로 승온)로 측정한 이차 전이에 따른 비열(比熱)의 변화를 유리 전이 온도로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Tg1×α1+Tg2×α2+…+Tgn×αn(Tg1,Tg2…Tgn: 실측한 각 조성 단체의 유리 전이 온도, α1, α2…αn: 수지 전중량에 대한 각 조성 단체의 중량분율(%))의 계산식으로 구한다.
한편, 이 아크릴계 수지의 최저 조막 온도(MFT)는 40℃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0℃이다. 이 최저 증막 온도(MFT)는, JIS K-6828에 준거해서 20중량%로 조정한 수지를 유리 슬라이드 위 일면에 펼쳐 소정의 온도로 건조하고, 건조한 수지가 균일한 연속 피막이며, 또 피막이 백탁되지 않는 최저의 온도로 한다.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로서, 예를 들면, A537(존슨폴리머사 제품, Tg49℃, MFT42℃), A25(아이카코교 주식회사 제품, Tg47℃, MFT70℃)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및 이들의 모노에스테르나 초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등의 불포화기 함유 중합 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합성된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함유율은 50%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이다.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로서, 예를 들면, A25(아이카코교주식회사 제품, MMA 60%이상 함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스티렌을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코어쉘형의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로서, 예를 들면, A25(아이카코교주식회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비닐알코올과 푸마르산, 무수 프탈산, 무수 멜리트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다가 카복실산과의 반응물, 또는 이들의 반응물의 에스테르화물, 그리고 또한 초산비닐과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복실 산과의 공중합물의 비누화물로서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3-91995호 공보의 실시 예 1 혹은 4에 예시되어 있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72~100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도는 500~2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000이다.
본 발명의 그 감열 기록층은 바인더로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에 더하여 원하는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바인더를 병용해도 좋다. 이러한 바인더로서 완전 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켄화 폴리비닐알코올, 디아세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마이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설폰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부티랄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올레핀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니트릴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피롤리돈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실라놀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카티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말단 알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비닐 알코올류,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그 유도체, 전분, 효소 변성 전분, 열화학 변성 전분, 산화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예를 들면, 히드록시 에틸화 전분 등), 카티온화 전분 등의 전분류, 폴리아크릴아미드, 카티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아니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성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폴리아크릴아미드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이오노머 수지 등의 우레탄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부타디엔계 수지, 폴리초산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아라비야고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스티롤 및 이들의 공중합체, 실리콘 수지,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케톤 수지, 쿠마론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그 감열 기록층의 바인더는, 전량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이외의 바인더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그 양은 바인더 전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40중량%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며,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주쇄에 존재하는 아민으로서는 제1급 내지 제4급까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리고 또한, 내수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카티온화도 및 분자량은 카티온화도 5meq/g·Solid이하 (pH7에서의 측정값), 분자량 50만 이상이 바람직하다.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스미레이즈 레진 650(30), 스미레이즈 레진 675A, 스미레이즈 레진 6615(이상 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WS4002, WS4020, WS4024, WS4030, WS4046, WS4010, CP8970(이상, 세이코 PMC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란, 폴리아민계 수지 및/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의미하며, 상기의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 예를 들면,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갖지 않는, 폴리아미드 요소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민폴리 요소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변성 폴리 아미드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요소 포르말린 수지,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폴리 아미드 폴리요소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스미레이즈 레진 302(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712(스미토모카가쿠사제품: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703(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636(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0(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변성 폴리아민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2A(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변성 폴리아민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106N(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스미레이즈 레진 SPI-203(50)(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스미레이즈 레진 SPI-198(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프린티브A-700(아사히카세이사 제품), 프린티브A-600(아사히카세이사 제품), PA6500, PA6504, PA6634, PA6638, PA6640, PA6644, PA6646, PA6654, PA6702, PA6704(이상, 세이코PMC사 제품: 폴리알킬렌폴리아민폴리아미드폴리요소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발색 감도 면에서 폴리아민계 수지(폴리알킬렌폴리아민 수지, 폴리아민폴리요소 수지, 변성 폴리아민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민요소 포르말린 수지, 폴리알킬렌폴리아민폴리아미드폴리요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본 발명의 감열 기록층은, 상기의 바인더 및 가교제 그리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 외에, 류코 염료와 현색제를 필수로 함유하고, 또 임의로, 증감제, 안료, 상기 가교제 이외의 가교제, 화상 안정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류코 염료로서는, 종래의 감압 혹은 감열 기록지 분야에서 공지의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며,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디비닐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대표적인 무색 내지 담색의 류코 염료(염료 전구체)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의 류코 염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트리페닐메탄계 류코 염료>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별명 크리스탈바이올렛 락톤];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별명 말라카이트그린 락톤]
<플루오란계 류코 염료>
3-디에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m-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n-옥틸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디벤질아미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클로로-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클로로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a]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벤조[c]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로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 (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클로로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에톡시에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p-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n-펜틸아미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피롤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피페리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키실아미노)-6-메틸-7-(p-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p-톨루이디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에톡시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시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4-옥사헥실)-3-디프로필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메톡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3-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클로로-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니트로-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페닐-6-메틸-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벤질-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히드록시-6-p-(p-페닐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메틸-6-p-(p-디메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에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p-(p-디부틸아미노페닐)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2,4-디메틸-6-[(4-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플루오란
<플루오렌계 류코 염료>
3,6,6'-트리스(디메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3,6,6'-트리스(디에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라이드]
<디비닐계 류코 염료>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 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3,3-비스-[1,1-비스(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1-(4-메톡시페닐)-1-(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기타>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옥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2-메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3-비스(1-에틸-2-메틸인돌-3-일)프탈라이드;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3'-니트로)아닐리노락탐;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4'-니트로)아닐리노락탐;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니트릴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β-나프토일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아세틸에탄; 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메틸말론산디메틸에스테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현색제로서는, 종래의 감압 혹은 감열 기록지의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활성 백토, 아타풀자이트, 콜로이달실리카, 규산 알루미늄 등의 무기 산성 물질,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펜탄,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파이드, 히드로퀴논모노벤질에테르, 4-히드록시안식향산벤질,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2,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술폰, 4-히드록시-4'-n-프로폭시디페닐술폰, 비스(3-알릴-4-히드록시페닐)술폰, 4-히드록시-4'-메틸디페닐술폰, 4-히드록시 페닐-4'-벤질옥시페닐술폰, 3,4-디히드록시페닐-4'-메틸페닐술폰, 1-[4-(4-히드록시페닐설포닐)페녹시]-4-[4-(4-이소프로폭시페닐설포닐)페녹시]부탄,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54760호에 기재된 페놀 축합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59603호에 기재된 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 유도체, 비스(4-히드록시페닐티오에톡시)메탄, 1,5-디(4-히드록시페닐티오)-3-옥사펜탄, 비스(p-히드록시페닐)초산부틸, 비스(p-히드록시페닐)초산메틸,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4-비스[α-메틸-α-(4'-히드록시페닐)에틸]벤젠, 1,3-비스[α-메틸-α-(4'-히드록시페닐)에틸]벤젠, 디(4-히드록시-3-메틸페닐)설파이드, 2,2'-티오비스(3-tert-옥틸페놀), 2,2'-티오비스(4-tert-옥틸페놀), WO97/16420호에 기재된 디페닐술폰 가교형 화합물 등의 페놀성 화합물, WO02/081229호 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01873호에 기재된 화합물, 또 N,N'-디-m-클로로페닐티오우레아 등의 티오 요소 화합물, p-클로로 안식향산, 몰식자산 스테아릴, 비스[4-(n-옥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살리실산아연]2수화물, 4-[2-(p-메톡시페녹시)에틸옥시]살리실산, 4-[3-(p-톨릴설포닐)프로필옥시]살리실산, 5-[p-(2-p-메톡시페녹시에톡시)쿠밀]살리실산의 방향족 카복실산, 및 이들의 방향족 카복실산의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티타늄, 망간, 주석, 니켈 등의 다가(多價) 금속염과의 염, 그리고 티오시안산 아연의 안티피린 착체, 테레프탈알데히드산과 다른 방향족 카복실산과의 복합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현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1-[4-(4-히드록시페닐설포닐)페녹시]-4-[4-(4-이소프로폭시페닐설포닐)페녹시]부탄은, 예를 들면, 미츠비시케미칼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TOMILAC214로서 입수 가능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54760호에 기재된 페놀 축합 조성물은, 예를 들면, 미츠비시케미칼 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TOMILAC224로서 입수 가능하며, 국제공개 WO97/16420호에 기재된 디페닐술폰 가교형 화합물은, 니폰소다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D-90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또한, 국제공개 WO02/081229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은, 니폰소다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NKK-395, D-100로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증감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증감제로서는, 스테아린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마이드, 에틸렌비스아미드, 몬탄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1,2-디-(3-메틸페녹시)에탄, p-벤질비페닐, β-벤질옥시나프탈렌, 4-비페닐-p-톨릴에테르, m-터페닐, 1,2-디페녹시에탄, 옥살산디벤질, 옥살산디(p-클로로벤질), 옥살산디(p-메틸벤질), 테레프탈산디벤질, p-벤질옥시 안식향산 벤질, 디-p-톨릴카보네이트, 페닐-α-나프틸카보네이트, 1,4-디에톡시나프탈렌, 1-히드록시-2-나프토에산 페닐에스테르, o-크실렌-비스-(페닐에테르), 4-(m-메틸페녹시메틸)비페닐,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디벤질에스테르, 디벤조일옥시메탄, 1,2-디(3-메틸페녹시)에틸렌, 비스[2-(4-메톡시-페녹시)에틸]에테르, p-니트로 안식향산 메틸, p-톨루엔설폰산페닐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증감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안료로서는,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규조토, 탈크, 산화 티탄,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가교제 이외의 가교제로서는, 글리옥살, 메틸올멜라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 요소 수지,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황산 소다, 염화제이철, 염화 마그네슘, 붕사, 붕산, 명반, 염화 암모늄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에 대한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록 화상의 내유성(耐油性) 효과 등을 나타내는 화상 안정제로서, 4,4'-부틸리덴(6-t-부틸-3-메틸페놀), 2,2'-디-t-부틸-5,5'-디메틸-4,4'-설포닐디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4-벤질옥시-4'-(2,3-에폭시-2-메틸프로폭시)디페닐설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밖에 벤조페논계나 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형광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 기록체에 사용하는 전자공여성 류코 염료, 전자 수용성 현색제, 그 밖의 각종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 적성에 따라서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전자공여성 류코 염료 1중량부에 대해서 전자 수용성 현색제 0.5~10중량부, 증감제 0~10중량부 정도가 사용된다.
그 밖의 임의 성분인 바인더, 안료, 활제(滑劑), 가교제, 화상 안정제, 그 밖의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 적성에 따라서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바인더는 감열 기록층(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고형분으로 5~50중량부 정도, 안료는 감열 기록층(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고형분 0~50중량부 정도가 적당하다. 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활제의 함유량은 감열 기록층(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고형분으로 5~10중량부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과 아크릴계 수지를 합계한 배합량은, 감열 기록층(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고형분으로 1~5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3~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20중량부이다. 너무 적으면 도공층 강도나 내수성이 부족하고, 너무 많으면 감도 저하가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과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아크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80/20~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30~3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40~40/60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함)의 함유량은,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바람직하게는 1~1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중량부이다.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가교 반응이 불충분해져 양호한 내수성을 얻지 못하고, 너무 많으면 도공액의 점도 증가나 겔화에 의해 조업성의 문제가 생긴다.
류코 염료, 현색제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재료는, 볼밀, 아트리터, 샌드글라이더 등의 분쇄기 혹은 적당한 유화 장치에 의해 수(數) 미크론 이하의 입자 지름이 될 때까지 미립화(微粒化)하고, 목적에 따라서 각종의 첨가 재료를 더하여 도공액으로 만든다. 이 도공액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물 혹은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고형분은 20~40중량% 정도이다.
감열 기록층 이외의 임의로 설치되는 각 도공층은, 상기의 바인더, 안료, 가교제, 그 밖의 성분을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감열 기록층, 기타 도공층의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튼 도공법, 에어나이프 도공법, 바블레이드 도공법, 로드 블레이드 도공법, 벤트블레이드 도공법, 베벨블레이드 도공법, 롤 도공법, 스프레이 도공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감열 기록층, 그 밖의 도공층의 도공량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 적성에 따라서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감열 기록층의 일반적인 도공량은 고형분으로 2~12g/㎡정도이다.
또한, 각층의 도공 후에 슈퍼 캘린더링 등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하는 등, 감열 기록체 분에서의 각종 공지의 기술을 필요 적절하게 추가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을 예증하겠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 예 및 비교 예 중,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중량부」, 「%」는 「중량%」를 나타낸다.
하기 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합물을 교반 분산해서, 밑칠층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밑칠층용 도공액>
소성 카올린(BASF사 제품, 상품명:앤시렉스90) 100.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일본제온주식회사 제품, 상품명:ST5526, 고형분 48%) 10.0부
물 50.0부
하기 배합의 현색제 분산액(A액), 류코 염료 분산액(B액), 증감제 분산액(C액)을, 각각 별도로 샌드그라인더로 평균 입자 지름 0.5μm가 될 때까지 습식 마쇄를 행하여, 조제하였다.
현색제 분산액(A액)
4,4'-디히드록시디페닐설폰(닛카카가쿠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BPS-P) 6.0부
완전 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쿠라레사 제품, 상품명:PVA117, 고형분 10%) 5.0부
물 1.5부
류코 염료 분산액(B액)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야마모토카세이주식회사 제품, 상품명:ODB-2) 6.0부
완전 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증감제 분산액(C액)
디페닐설폰(Volant사 제품, 상품명:DPS) 6.0부
완전 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PVA117) 5.0부
물 1.5부
이어서, 하기의 비율로 각 분산액을 혼합해서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
현색제 분산액(A액) 30.0부
류코 염료 분산액(B액) 15.0부
증감제 분산액(C액) 30.0부
실리카 분산액(미즈사와카가쿠사 제품, 상품명:P527, 고형분 25%) 40.0부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쿠라레사 제품 상품명: KL318, 고형분 10%) 20.0부
아크릴계 수지(아이카코교사 제품: 상품명:A25, 고형분 48%, Tg45℃, MFT 70℃) 4.0부
폴리아미드 수지(스미토모카가쿠사 제품: 상품명:스미레즈 레진 SPI-106N, 고형분 45%) 1.25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세이코PMC사 제품, 상품명:WS4030, 고형분 25%) 2.5부
스테아린산 아연(쥬쿄유시사 제품, 상품명: 하이드린 Z-7-30, 고형분 30%) 2.0부
[실시 예 1]
지지체(坪量 47g/㎡의 고급종이)의 한쪽면에, 밑칠층용 도공액을, 고형분으로 도공량 10.0g/㎡가 되도록 벤트블레이드법으로 도공한 후, 건조를 행하여 밑칠층 도공지를 얻었다.
이 밑칠층 도공지의 밑칠층 위에,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을, 고형분으로 도공량 6.0g/㎡가 되도록 로드블레이드법으로 도공한 후, 건조를 행하여 슈퍼캘린더로 평활도가 500~1000초가 되도록 처리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2]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아크릴계 수지를 아크릴계 수지(존슨폴리머사 제품, A537, 고형분 45%, Tg49℃, MFT 42℃) 4.3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3]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아크릴계 수지를 2.5부로 변경하고,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40.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4]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아크릴계 수지를 8.0부로 변경하고,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10.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1]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아크릴계 수지(아이카코교사 제품, 상품명: A25)를 배합하지 않고,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40.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2]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아크릴계 수지(아이카코교사 제품, 상품명:A25) 4.0부를, 아크릴계 수지(미츠이카가쿠사 제품, 상품명:ASN1004K, 고형분 18%, Tg 55℃, MFT 18℃) 10.7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3]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아크릴계 수지(아이카코교사 제품, 상품명:A25) 4.0부를, 아크릴계 수지(미츠이카가쿠사 제품, 상품명: B697B, 고형분 18%, Tg 45℃, MFT 20℃) 10.7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4]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를 배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5]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함유하지 않는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6]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수용액,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를 배합하지 않고, 글리옥살 수용액(고형분 40%)을 1.5부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7]
감열 기록층용 도공액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를 배합하지 않고, 글리옥살 수용액(고형분 40%)을 1.5부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감열 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관해서 하기 평가를 실시했다.
<발색 성능(인자농도)>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관해서, 오쿠라전기사 제품의 TH-PMD(감열 기록지 인자 시험기, 교세라사 제품 서멀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35mJ/dot 및 0.41mJ/dot, 인자(印子)속도 50mm/sec로 체크 무늬를 인자했다.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필터 사용)로 측정하여 발색 성능(인자농도)을 평가했다.
<내(耐)가소제성>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관해서, 오쿠라전기사 제품의 TH-PMD(감열기록지 인자 시험기, 교세라사 제품 서멀헤드를 장착)를 이용하여, 인가 에너지 0.41mJ/dot, 인자속도 50mm/sec로 체크 무늬를 인자했다.
인자한 감열 기록체를, 지관에 염화비닐랩(미츠이카가쿠 제품 하이랩 KMA)을 1회 감아붙인 후에 첩부(貼付)하고, 그리고 또 그 위에 염화비닐 랩을 3중으로 감아붙여서 23℃, 50%RH 환경 조건하에서 24시간 방치했다.
인자부의 인자 농도를 맥베스 농도계(RD-914, 앰버필터 사용)로 측정하고, 처리 전후의 값에서 잔존율을 산출해서, 내가소제를 평가했다.
잔존률(%)=(처리후의 인자부의 인자농도/처리전의 인자부의 인자농도)×100
<습윤 마찰>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수돗물을 손가락에 찍어 감열 기록층의 도공면을 80왕복 마찰하여, 감열 기록층의 박리를 다음의 기준으로 육안 평가했다.
우수: 감열 기록층의 벗겨짐이 전혀 없음
가능 : 감열 기록층이 약간 벗겨짐
불가 : 감열 기록층 전체가 벗겨짐
<내수블로킹>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감열 기록층의 도공면에 10ml의 수돗물을 적하(滴下)하여 감열 기록층의 도공면이 내측이 되도록 반으로 접어서, 10gf/㎠의 가중을 걸어서 24시간 가만히 둔 후에 떼어 내서 물이 적하된 부분의 감열 기록층의 박리를 다음의 기준으로 육안 평가했다.
우수: 감열 기록층의 벗겨짐이 전혀 없음
가능: 감열 기록층이 약간 벗겨짐
불가: 감열 기록층 전체가 벗겨짐
<침지(浸漬) 마찰>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수돗물에 3분간 침지하여 감열 기록층의 도공면을 손가락으로 10왕복 마찰하고, 감열 기록층의 박리를 다음의 기준으로 육안 평가했다.
우수: 감열 기록층의 벗겨짐이 전혀 없음
가능: 감열 기록층이 약간 벗겨짐
불가: 감열 기록층 전체가 벗겨짐
<감열 기록층 도공면의 면감(面感)>
제작한 감열 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전기사 제품의 TH-PMD(감열기록지 인자 시험기, 교세라사 제품 서멀헤드를 장착)를 이용해서 베타 인자를 행하여 감열 기록층 도공면의 면감(균일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 평가했다.
우수: 도공면에 이물이 없고, 인자면이 균일
가능: 도공면에 조금 이물이 있지만, 인자면은 대체로 균일하며, 실용상 문제는 없음
가능: 도공면에 이물이 있고, 인자면이 불균일
또한, 실시 예 1 및 비교 예 3의 인자물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을 도 1에서 나타낸다(A: 실시 예 1, B: 비교 예 3).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21093772713-pct00001
실시 예 1, 3, 4의 감열 기록체는 매우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도공면에 이물이 없고 베타 인자시의 인자면이 균일하여 우수한 표면성을 갖는다. 실시 예 2의 감열 기록체는 내수성, 표면성 모두 실시 예 1, 3, 4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을 정도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원 발명의 구성의 감열 기록층을 갖는 감열 기록체의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감열 기록층에 본원발명의 아크릴 수지를 뺀 비교 예 1의 감열 기록체는, 우수한 표면성을 갖지만, 내수성 중에서 침지 마찰이 떨어졌다. 또 감열 기록층에 아크릴 수지를 사용해도 Tg나 MFT가 본원발명의 아크릴 수지와는 다른 비교 예 2, 3의 감열 기록체는, 전반적으로 내수성이 떨어지면서 동시에 도공면에 이물이 있어 베타 인자시에 흰빼기(白拔)나 얼룩이 생겨 표면성이 떨어졌다. 또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폴리아민/폴리아미드계 수지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뺀 비교 예 4~7의 감열 기록체는, 전반적으로 내수성이 떨어지면서 동시에 비교 예 4~6의 감열 기록체는 내가소제성이 떨어지고, 그리고 또한 비교 예 5의 감열 기록체는 도공면에 이물이 있어 베타 인자시에 흰빼기나 얼룩이 생겨서 표면성도 떨어졌다.

Claims (7)

  1. 지지체 상에, 무색 내지 담색의 전자 공여성 류코 염료 및 전자 수용성 현색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열 기록층을 가지며, 그 감열 기록층 상에 보호층을 갖지 않는 감열 기록체에 있어서, 그 감열 기록층이 바인더로서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고, 그리고 또한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및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는 폴리아민계 수지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함유하고, 그리고 또한 JIS K-7122에 준거해서 측정되어 계산된 유리 전이점(Tg)이 50℃이하, JIS K-6828에 준거해서 측정된 최저 조막(造膜) 온도(MFT)가 40℃이상인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감열 기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Tg)이 40℃~50℃인 감열 기록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최저 조막 온도(MFT)가 60℃~80℃인 감열 기록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함유율이 60%이상인 감열 기록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스티렌을 포함하지 않는 감열 기록 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비(非)코어쉘형의 아크릴계 수지인 감열 기록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가 80/20~20/80인 감열 기록체.
KR1020217025878A 2019-03-20 2020-02-25 감열 기록체 KR102466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3003 2019-03-20
JP2019053003 2019-03-20
PCT/JP2020/007308 WO2020189183A1 (ja) 2019-03-20 2020-02-25 感熱記録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493A KR20210114493A (ko) 2021-09-23
KR102466923B1 true KR102466923B1 (ko) 2022-11-14

Family

ID=7252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878A KR102466923B1 (ko) 2019-03-20 2020-02-25 감열 기록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5249B2 (ko)
EP (1) EP3919283A4 (ko)
JP (1) JP6937960B2 (ko)
KR (1) KR102466923B1 (ko)
CN (1) CN113423583B (ko)
WO (1) WO2020189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3098B2 (ja) * 2020-03-16 2024-01-15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CN115505337B (zh) * 2022-08-24 2023-07-07 广东红日星实业有限公司 一种抛光浆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1049A (ja) 2007-08-24 2009-03-12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JP2010115834A (ja) 2008-11-12 2010-05-2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844B2 (ja) 1977-01-24 1985-07-24 株式会社クラレ カルボキシル基変性ポリビニルアルコ−ルの製造法
JP2803078B2 (ja) 1994-08-19 1998-09-24 日本製紙株式会社 新規なアミノベンゼン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及びそれらを使用した記録体
US6037308A (en) 1995-10-31 2000-03-14 Nippon Soda Co., Ltd. Diphenyl sulfone crosslinking type compounds and recording materials using them
JP3727167B2 (ja) 1998-05-01 2005-12-14 三井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用ラテックス、感熱記録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1873A (ja) 2001-04-04 2002-10-15 Nippon Soda Co Ltd 記録材料及び記録シート
CN1294116C (zh) 2001-04-04 2007-01-10 日本曹达株式会社 记录材料和记录片
JP3806338B2 (ja) 2001-11-21 2006-08-09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EP1844947B1 (en) * 2005-01-13 2010-02-10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JPWO2007049621A1 (ja) 2005-10-24 2009-04-30 三井化学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
JP2008006739A (ja) * 2006-06-30 2008-01-1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KR20090128551A (ko) 2007-05-10 2009-12-15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US8466085B2 (en) * 2007-08-29 2013-06-1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KR20100125350A (ko) * 2008-03-27 2010-11-30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감열 기록체
JP5259347B2 (ja) 2008-11-07 2013-08-07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5277884B2 (ja) * 2008-11-12 2013-08-28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WO2010110209A1 (ja) 2009-03-24 2010-09-30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WO2011145545A1 (ja) * 2010-05-18 2011-11-24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BR112015029012B1 (pt) * 2013-05-22 2022-02-22 Oji Holdings Corporation Meio de gravação termossensível
JP6255889B2 (ja) 2013-10-21 2018-01-10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2015123702A (ja) * 2013-12-27 2015-07-06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1049A (ja) 2007-08-24 2009-03-12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JP2010115834A (ja) 2008-11-12 2010-05-2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61588A1 (en) 2022-05-26
CN113423583B (zh) 2022-09-27
KR20210114493A (ko) 2021-09-23
US11945249B2 (en) 2024-04-02
EP3919283A4 (en) 2022-04-06
WO2020189183A1 (ja) 2020-09-24
JPWO2020189183A1 (ja) 2021-10-21
EP3919283A1 (en) 2021-12-08
JP6937960B2 (ja) 2021-09-22
CN113423583A (zh)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5029B2 (ja) 感熱記録体
WO2021095751A1 (ja) 感熱記録体
CN108136805B (zh) 热敏记录体
KR102466923B1 (ko) 감열 기록체
JP6712243B2 (ja) 感熱記録体
CN111801225A (zh) 热敏记录体
JP2010111038A (ja) 感熱記録体
JP6773544B2 (ja) 感熱記録体
JP5259347B2 (ja) 感熱記録体
JP2021123009A (ja) 感熱記録体
JP7354483B1 (ja) 感熱記録体
JP7411510B2 (ja) 感熱記録体
JP7413098B2 (ja) 感熱記録体
JP7270431B2 (ja) 感熱記録体
JP7072130B1 (ja) 感熱記録体
JP6971434B1 (ja) 感熱記録体
JP2009061631A (ja) 感熱記録体
WO2023190314A1 (ja) 感熱記録体
JP2023131480A (ja) 感熱記録体
KR20230142803A (ko) 감열 기록체
WO2014097881A1 (ja) 感熱記録体
JP2010115834A (ja) 感熱記録体
JP2009083181A (ja) 感熱記録体
JP2008229925A (ja) 感熱記録体
JP2009045777A (ja) 感熱記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