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397B1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397B1
KR102464397B1 KR1020170118427A KR20170118427A KR102464397B1 KR 102464397 B1 KR102464397 B1 KR 102464397B1 KR 1020170118427 A KR1020170118427 A KR 1020170118427A KR 20170118427 A KR20170118427 A KR 20170118427A KR 102464397 B1 KR102464397 B1 KR 102464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obacillus plantarum
group
cfu
gastrointes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872A (ko
Inventor
서주연
조동현
김완기
빌헬름 홀잡펠
지요셉
박하령
김현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1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397B1/ko
Priority to US16/647,250 priority patent/US20200254033A1/en
Priority to PCT/KR2018/009089 priority patent/WO2019054641A2/ko
Publication of KR2019003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상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기탁번호: KCCM11179P)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물, 및 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여, 알코올이나 염증에 의한 소화기관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여 관련 환자들의 쾌유 및 삶의 복지를 도모할 수 있고, 상기 질환과 관련된 식의약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ORDER CONTAINING LACTOBACILLUS PLANTARUM}
본 명세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는 식도를 통하여 들어온 음식물을 저장하고 소화되기 쉽게 잘게 부수며,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을 보내는 것을 조절하여 다양한 효소의 분비와 조화를 이루어 효율적인 소화와 흡수가 되도록 하는 장기이다. 위는 음식물이 들어 오면 이를 소화시키기 위해 위산을 분비하는데, 이때 위점막 보호층이 위산에 의해 위점막이 손상받지 않도록 작용한다. 위를 보호하는 위점막 보호층은 여러 종류의 인자로부터 공격을 받아 손상 받기 쉽다. 대표적인 공격 인자로는 위산, 알콜,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 헬리코박터 파이롤리(helicobacter pylori) 등의 세균,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위점막의 미세순환장애와 저혈압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위점막층이 손상되었을 때 미란, 발적, 출혈, 부종을 동반한 염증(위염)이 발생하게 되며, 손상이 심하여 위점막을 뚫고 점막 하단 및 근육층까지 손상되었을 때 위궤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인에 의해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면 십이지장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되면 십이지장 궤양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가장 대표적인 위장질환 치료제로는 과다한 위 분비액을 중화시키는 제산제(antacid),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와 프로톤 펌프 저해제(proton pump inhibitor), 소화액에 대한 위 내막의 내성을 증가시키고 산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또는 위점막 보호제 등이 있다.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 등의 위장관 질환의 주요 증상으로 복통, 속쓰림, 더부룩함, 소화불량, 트림, 오심, 구토, 출혈 등이 있어, 상기 증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제산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제산제는 위산을 일시적으로 중화시키는 속효성 효능이 있을 뿐 계속 투여해야 하는 단점과 변비, 설사, 요로 결석증 등의 부작용이 있다. 위산의 분비 자체를 막는 약물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아세틸콜린 수용체 억제제 및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 활성 약물들은 위장관 외 다른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부작용을 나타내 널리 사용되지 않고, 수소이온 운반체 억제 기전을 가지는 약물 역시 장기 섭취 시 위벽이 두꺼워 지는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면역저하 등 다양한 부작용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특히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은 오히려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 궤양을 심화시켜 궤양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을 극도로 자제하거나 제산제와 함께 복용시키는 등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이롤리(helicobacter pylori)균을 억제하는 항생제나 제균제는 설사, 복통, 오심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유의 쓴맛으로 섭취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위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고, 장기간 복용에도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8882호(2012년05월16일)
본 발명의 일 측면상 해결 과제는, 위장관 질환의 개선 및 치료와 동시에 장기 복용에도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기탁번호: KCCM11179P)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물, 및 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알코올이나 염증에 의한 소화기관 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여 관련 환자들의 쾌유 및 삶의 복지를 도모할 수 있고, 상기 질환과 관련된 식의약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마우스를 5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고 해부하여 사진으로 위장 조직을 찍은 결과로서, 1그룹은 PBS(phosphate buffer saline)만 처리한 군, 2그룹은 PBS와 에탄올을 처리한 군, 3그룹은 에탄올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처리한 군, 4그룹은 에탄올과 L. plantarum 299V을 처리한 군, 5그룹은 오메프라졸(Omemprazole, OMPZ)을 처리한 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PBS, 에탄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APsulloc 331261, L. plantarum 299V, 오메프라졸을 각각 처리한 군의 위장 조직에서 IL6/IL10을 확인하여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의 각 군별 위장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화학적 약물보다 부작용이 적으면서 안정성이 확보된 새로운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여러 공격인자에 의해 유발된 위염, 위궤양, 식도염, 식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 등의 위장관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공격인자로부터의 위장관 보호, 항염증 등의 작용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한 연구에 집중하면서, 유산균에 초점을 맞추었다.
유산균은 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락트산(lactic acid)을 생성하는 세균을 가리키며, 젖산균이라고도 한다. 유산균의 이러한 성질은 유제품, 김치류, 양조 식품 등의 식품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유산균은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 발효를 방지하므로 정장제(整腸劑)로도 이용되는 세균이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유산균에 속하는 균주로 주로 김치의 발효가 많이 진행되어 신맛이 날 때 생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막대기 모양의 간균이고 그람양성균이며, 생성하는 락트산의 광학이성체는 D형과 L형이다.
한편, 마시는 용도의 차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 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불활성화하고 수분을 제거한 것이다. 이러한 차는 비타민을 비롯하여 카페인, 탄닌, 플라보노이드 및 정유 등을 함유하고, 식품 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제주 차나무(Camellia sinensis) 잎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균주(기탁번호: KCCM11179P)의 위장관 질환 개선 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위장관 질환”은 위장, 십이지장 등을 포함하는 기관의 질환을 이르며, 식도염, 식도 궤양 같은 식도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기탁번호: KCCM11179P)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물, 및 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APsulloc 331261 균주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잎에서 분리한 균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APsulloc 331261 균주는 차나무 잎을 차나무 잎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의 식염으로 절이는 단계; 절인 차나무 잎을 0.1% 내지 3%의 프락토 올리고당을 예로 들 수 있는 당 용액과 혼합하여 25 내지 35℃에서 1 내지 5일간 배양하는 단계; 및 pH 5 미만으로 된 배양액을 취하여 25 내지 35℃ 혐기 조건에서 1 내지 5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은, 균주,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을 배양하여 발생한 배양 산물을 함유하는 배양액 또는 그 배양액의 추출물을 의미할 수 있다. 배양액에는 균주 자체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위장관 질환은 알코올, 알코올을 함유하는 식품, 및 주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한 식도, 위장 또는 십이지장 질환일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위장관 질환은 위염, 위궤양, 식도염, 식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위장관 질환은 식도, 위장, 및 십이지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직에서 IL(interleukin receptor)6 / IL10 발현량 비율이 정상인의 비율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IL6 / IL10 비율은 위염, 십이지장염, 식도염, 위장관 궤양, 위암과 같은 위장관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가한다고 알려진 지표이다.
본 명세서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투여할 경우, 위장 조직 등에서 염증 및 혈흔이 감소하고, IL6/IL10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등 위장관 질환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실험예 1 및 실험예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그러한 질환에 대한 개선 및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알코올에 의한 위장관 질환(위염, 위궤양, 식도염, 식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x103 CFU/일 이상, 1x104 CFU/일 이상, 1x105 CFU/일 이상, 1x106 CFU/일 이상, 1x107 CFU/일 이상, 1x108 CFU/일 이상, 1x109 CFU/일 이상, 1x1010 CFU/일 이상, 1x1011 CFU/일 이상, 또는 1x1012 CFU/일 이상일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일일 투여량은 1x1013 CFU/일 이하, 1x1012 CFU/일 이하, 1x1011 CFU/일 이하, 1x1010 CFU/일 이하, 1x109 CFU/일 이하, 1x108 CFU/일 이하, 1x107 CFU/일 이하, 1x106 CFU/일 이하, 1x105 CFU/일 이하, 또는 1x104 CFU/일 이하일 수 있다.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106 내지 1010 CFU/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 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중량% 이상, 0.005중량% 이상, 0.01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1중량% 이상, 3중량% 이상, 5중량%이상, 7중량% 이상, 9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또는 11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고, 11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9중량% 이하, 7중량% 이하, 5중량% 이하, 3중량% 이하, 1중량% 이하, 0.1중량% 이하, 0.005중량% 이하 또는 0.003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경구투여일 수 있으나, 복강이나 식도 및 위장관에 직접 투여할 수도 있고, 단순 섭취,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투여 또는 스퀴즈 투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분말 또는 액상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환제, 분말제, 캡슐,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졸, 겔, 바, 티백 등 어떠한 형태의 가공식품 제형도 포함하고,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조성물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복강이나 식도 및 위장관에 주사 투여 등의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은 2011년 3월 28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미생물 기탁번호 KCCM11179P로 기탁하였다.
이하,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명세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명세서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의 분리
차나무 잎 200g을 1차 증류수에 2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한 차나무 잎의 물기를 털어내고 차나무 잎 중량의 8%에 해당하는 식염과 혼합한 후 3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한다. 식염에 절여진 차나무 잎을 1% 프락토 올리고당 용액 1000 mL에 혼합한 후 3일간 3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3일 후 배양액의 pH가 5 미만으로 떨어졌는지 확인하고 pH 5 미만인 경우 이를 취해 디프코 락토바실리 MRS 아가®(Difco Lactobacilli MRS Agar®)배지에 배양한다. 이때 배양은 32℃, 혐기 조건의 챔버에서 2일간 배양한 후 백색 집락을 보이는 콜로니를 취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차나무 잎에서 분리하였고, 이렇게 분리한 균주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19197호(2017년03월17일) 명세서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출원 명세서 내용에서 알 수 있듯, 내산성, 내담즙산성 등이 현저하게 우수하고, 의약품이나 식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락트산에 취약한 성인이나 영유아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을 균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분리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은 2011년 3월 28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미생물 기탁번호 KCCM11179P로 기탁하였다.
[실험예 1] 알코올성 위 손상 억제 효능 평가
4주령 ICR 마우스를 1주일간 적응(adaptation) 및 안정을 시킨 후 아래와 같이 다섯 그룹에 각 8마리씩 나누었다. L. plantarum APsulloc 331261가 1x109 CFU인 배양액, L. plantarum 299v가 1x109 CFU인 배양액 그리고 Omemprazole을 13mpk(mg per kg)로 각 그룹에 7일간 투여하고 난 뒤 마지막 날에 4시간 fasting후 0.01ml/g의 100% 에탄올(ethanol)을 투여하고 1시간 후에 희생시켜, 위, 간, 혈액 과 맹장을 해부하여 분석할 때까지 -80℃에 보관하였다. 해부한 위의 1/3은 조직 분석을 위해 4%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에 넣어 보관했다. 각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그룹: 음성 대조군으로서 에탄올 없이 PBS(phosphate buffer saline)만 투여
2그룹: 양성 대조군으로서 에탄올과 PBS 투여
3그룹: L. plantarum APsulloc 331261 (AP)과 에탄올 투여
4그룹: L. plantarum 299V (299v)과 에탄올 투여
5그룹: Omeprazole(위산 분비 억제 약물,OMPZ)과 에탄올 투여
다섯 그룹의 마우스를 해부하여 사진으로 조직을 찍은 결과, 에탄올을 처리한 군에서는 혈흔과 위 조직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에탄올과 L. plantarum APsulloc 331261, L. plantarum 299V, 오메프라졸(Omemprazole)을 함께 처리한 군들에서는 혈흔과 위 조직 손상이 적은 것을 확인했다. 특히, L.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투여할 경우 표준 균주인 L. plantarum 299V에 비하여 육안상 현저하게 혈흔과 위조직 손상이 적은 것이 확인되었으며, 위산 분비 억제제인 오메프라졸(Omeprazole)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보였다(도 1 및 도 3).
[실험예 2] IL6/IL10비율 측정
위 조직에서 염증 사이토카인인 IL6과 항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위 조직의 1/3을 트리졸(Trizol)에 20초간 균질화(homogenize) 한 후 Ambion™ TRIzol™ Reagent Protocol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SPECTROstar Nano (BMG Labtech, Durham, USA)을 이용해 추출된 RNA의 순도와 양을 측정한 뒤(2000ng RNA, 50ng oligo dT, 1ul reverse transcriptase (GoScript, Promega)), 이를 cDNA로 역전사한 후 takara RR820 SYBR Master Mix 및 ABI사의 stepOne plus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real time PCR)을 진행하였다. RNA 정량분석은 GAPDH를 기준으로 normalize 하여 delta-delta CT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지표들의 프라이머 정보는 아래와 같다.
프라이머 순방향(Forward) 역방향(Reverse)
GAPDH TGTGTCCGTCGTGGATCTGA CCTGCTTCACCACCTTCTTGA
IL6 CTGCAAGAGACTTCCATCCAGTT AAGTAGGGAAGGCCGTGGTT
IL10 TGCTATGCTGCCTGCTCTTAC CGGTTAGCAGTATGTTGTCCAG
그 결과, L. plantarum APsulloc 331261 처리군(AP)의 IL6/IL10 비율을 보면, EtOH대조군(EtOH)에 비해 L. plantarum APsulloc 331261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L. plantarum 299V(299v)보다 현저하게 뛰어난 효능이고, 심지어 위산억제 약물인 omeplazole(OMPZ)보다 뛰어난 효능이다. IL6/IL10비율은 식도염, 십이지장염,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관 궤양 및 위암과 같은 위장관 스트레스(gastric stress) 상황에서 증가한다고 알려진 지표이므로, L. plantarum APsulloc 331261를 통해 그러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이하에서, 조성물의 제형예를 기재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측면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고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다.
[제형예 1] 산제
약전 제제총칙 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포당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APsulloc 331261를 107 내지 109 cfu 포함하는 배양액 20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mg를 함유하는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약전 제제총칙 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 당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APsulloc 331261를 107 내지 109 cfu 포함하는 배양액 2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건강 기능성 음료
통상의 건강기능성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APsulloc 331261를 106 내지 109 cfu 포함하는 배양액 2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8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우유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혼합한 다음, 여과하여 멸균된 2℃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상기 원료의 함량은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지역적 또는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함량을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1179P 20110328

Claims (10)

  1. 위장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APsulloc 331261(기탁번호: KCCM11179P)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물, 및 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위장관 질환은 위염, 위궤양, 식도염, 식도궤양, 십이지장염, 및 십이지장궤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위장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 질환은 알코올에 의한 질환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인,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 질환은 위장 또는 십이지장 조직에서 IL6 / IL10 발현량 비율이 정상인의 비율보다 높은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1 X 103 CFU/일 내지 1 X 1013 CFU/일 이상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APsulloc 331261(기탁번호: KCCM11179P) 균주, 그 파쇄물, 그 배양물, 및 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내지 10중량%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경구투여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분말 또는 액상인, 조성물.
KR1020170118427A 2017-09-15 2017-09-1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64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27A KR102464397B1 (ko) 2017-09-15 2017-09-1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16/647,250 US20200254033A1 (en) 2017-09-15 2018-08-09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order containing lactobacillus plantarum
PCT/KR2018/009089 WO2019054641A2 (ko) 2017-09-15 2018-08-0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27A KR102464397B1 (ko) 2017-09-15 2017-09-1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72A KR20190030872A (ko) 2019-03-25
KR102464397B1 true KR102464397B1 (ko) 2022-11-08

Family

ID=6572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427A KR102464397B1 (ko) 2017-09-15 2017-09-1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54033A1 (ko)
KR (1) KR102464397B1 (ko)
WO (1) WO20190546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153A (ko) * 2022-05-18 2023-11-27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3771C2 (sv) * 1999-05-21 2004-05-18 Probi Ab Sportdryck innehållande mikronäringsämnen i kombination med levande laktobaciller
CA2787544C (en) * 2010-01-28 2019-07-09 Ab-Biotics S.A. Probiotic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bowel inflammation
TWI401086B (zh) * 2010-07-20 2013-07-11 Univ China Medical 胚芽乳酸桿菌及其用途
KR101282356B1 (ko) 2010-11-08 2013-07-04 (주)휴럼 오가피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9197B1 (ko) * 2011-06-10 2017-03-24 (주)아모레퍼시픽 차나무 잎에서 분리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R101404285B1 (ko) * 2011-08-08 2014-06-05 주식회사 풀무원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98210B1 (ko) * 2012-10-31 2019-07-1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조성물
US10188684B2 (en) * 2015-04-20 2019-01-29 National Yang-Ming University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by lactic acid bacter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4033A1 (en) 2020-08-13
KR20190030872A (ko) 2019-03-25
WO2019054641A2 (ko) 2019-03-21
WO2019054641A3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134B1 (ko) 장기능 개선용 발효 키위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0051B1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1369647B2 (en) Probiotics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progression of renal disease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progression of renal diseases comprising same
KR101924389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64397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68698B1 (ko) 3단 발효 공법을 통한 장내균총 개선 소재의 개발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KR101076223B1 (ko) 한약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3421B1 (ko)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7546A (ko) 벌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2054121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77732B1 (ko) 황백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골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18621A (ko)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80868B1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00000956A (ko) 프로피오니바크테리움 후레우덴레이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6751B1 (ko)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2866A (ko)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263956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chbl-00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이용한 비만, 당뇨 또는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20000B1 (ko)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904A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20080094982A (ko) 귤껍질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9906A (ko)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40028661A (ko)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01394A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니 균으로부터 야기되어지는 위장질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