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906A -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906A
KR20230139906A KR1020220037527A KR20220037527A KR20230139906A KR 20230139906 A KR20230139906 A KR 20230139906A KR 1020220037527 A KR1020220037527 A KR 1020220037527A KR 20220037527 A KR20220037527 A KR 20220037527A KR 20230139906 A KR20230139906 A KR 2023013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fermented red
extract
water extra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창
Original Assignee
(주)유영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영글로벌 filed Critical (주)유영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3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906A/ko
Publication of KR2023013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발효 홍삼 추출물은 천연 유래의 물질로 인체에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항염 효과가 우수하므로, 염증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red ginseng and hazelnut extract with improved lung function improvement effe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 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려 질환의 주요 병리현상(과민성질환, 만성 염증)이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 치 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현재까지는 염증 반응의 물리적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제약학적 제제를 투여하여 치료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항염증성 약제는 광범위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동일한 약제가 종종 상이한 질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치료작용 및 부작용을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부작용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하며, 결과적으로 현재까지의 치료법에 부작용의 심각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새롭거나 개선된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은 필수적이고 시급한 실정이며,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는 인체에 안전한 항염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홍삼(red ginseng)은 생인삼(수삼)을 수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수삼을 찐 후 건조과정에서 갈색화 반응, 즉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띄게 된다. 인삼의 여러 종류 중에서도홍삼이 백삼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부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질과 산화 억제및 항산화 활성, 알코올 해독 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에서 홍삼은 백삼보다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는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발효는 오랜 역사를 가진 생물학 기술로, 유산균, 곰팡이, 효모 등의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의 효소작용을 이용하여 식품 내 천연 고분자 물질을 저분자 물질로 변화시켜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다당체, 올리고당, 사포닌,펩타이드, 피틴산 등의 새로운 발효산물을 얻거나 또는 상호 간의 시너지 작용에 의해 생리활성 및 기능성 효능이 상승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주로 분해하는 미생물 중 하나인 곰팡이 균주는 증식하면서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당류, 아미노산류, 기산류 등의 맛 성분이 품질을 결정하며, 폴리페놀류등의 유효성분이 증가함으로써 다양한 생리활성 작용을 나타낸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9474호에는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염증질환 치료 및예방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751398호에는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홍삼 분말에 캔디다 유틸리스(Candidautilis)를 접종하여 3일간 발효시킨 후 물로 추출하여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발효 홍삼 물추출물이 발효되지 않은 홍삼 물 추출물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되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발효되지 않은 홍삼 물 추출물 및 발효 홍삼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항염증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 홍삼 추출물은 천연 유래의 물질로 인체에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항염효과가 우수하므로, 염증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NF) 및 발효 홍삼 물 추출물(F/3) 내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NF) 및 발효 홍삼 물 추출물(F/3) 내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NF) 및 발효 홍삼 물 추출물(F/3)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한 결과이다. 양성대조군은 BHT(butylated hydroxytoluene, 0.05%)를 처리한 것이다.
도 4는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NF)과 홍삼 물 추출물(F/3-W) 및 발효 홍삼 에탄올 추출물(F/3-E)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lipoxygenase inhibition activity)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양성대조군은IDM(Indomethacine, 0.05%)을 처리한 것이다.
도 5는 발효 균주에 따른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양성대조군은IDM(Indomethacine, 0.05%)을 처리한 것이고, NF는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이며, Lc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Bs는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Cu는 캔디다 유틸리스(Candidautilis)를 각각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6은 발효 균주로 캔디다 유틸리스를 접종한 후 발효 기간에 따른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양성대조군은 IDM(Indomethacine, 0.05%)을 처리한 것이고, NF는 비발효 홍삼 물추출물 처리군; F/1은 1일간; F/2는 2일간; F/3은 3일간; F/4는 4일간; 및 F/5는 5일간 각각 발효시켜 제조한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 홍삼은 홍삼 분말에 곰팡이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홍삼 분말에 캔디다 유틸리스(Candidautilis)를 접종하고 2~5일 동안 발효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일 동안 발효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발효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 홍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며,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및 발효 홍삼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염증유발 인자인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생성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있어,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효 홍삼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효 홍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발효 홍삼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의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를 들어, 사과, 배,포도, 알로에, 감귤,복숭아, 당근, 토마토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저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 홍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유발 인자인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의 저해 활성이 증가된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발효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발효 홍삼의 제조
홍삼은 (주)오케이바이오랩에서 제공받았으며, 발효 균주는 곰팡이의 일종인 캔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KFRI 566 균주를 한국식품연구원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YM 액체 배지(Yeast Malt broth, Difco)에서 전배양 시킨 KFRI 566 균주(1.0×104내지1.0×106CFU/mL)를 홍삼 분말에 1:1의 비율로 접종한 후 30℃에서120rpm으로 3일간 액상 발효시키고 60℃에서 8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2. 발효 홍삼의 추출 조건
추출물은 발효 처리되지 않은 홍삼 분말 및 발효된 홍삼의 건조 분말 100g에 각각 10배의 물을 첨가한 후 37℃에서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모아 Adventec 110 mm No.2 여과지(Toyo 2A; Toyo Roshi, 일본)로 여과하여 하기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상기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이하 'NF'라 함)과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이하 'F/3 또는 F/3-W'라 함)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의 비교대조군으로 발효된홍삼의 건조 분말 100g에 7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상기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홍삼 에탄올 추출물(이하'F/3-E'라 함)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페놀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w/v)의 발효 홍삼 물 추출물 또는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에 페놀용액(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을 처리하면 페놀성 물질이 인몰리브덴산(phosphomolybdic acid)과 반응하여 청색으로 변하게 되며, 이를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검량 곡선은 탄닌산(tannic acid)을 일정 농도(0~500μg/㎖)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획득하였으며, 시료의 흡광도를 표준 검량 곡선에 대입하여 총 페놀 함량을 mg/100g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0.5%(w/v)의 발효 홍삼 물 추출물 또는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0.25㎖에 정제수 1.25㎖과 5% 아질산나트륨(NaNO2) 용액 5㎖을 가하고, 5분 후 10% 염화알루미늄·6수화물(AlCl3·6H2O) 0.15㎖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 물질로서 (+)-카테킨 하이드레이트(catechin hydrate)를 일정 농도(20~200㎍/㎖)로 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획득하였으며, 시료의 흡광도를 표준 검량 곡선에 대입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mg/100g로 나타내었다.
4.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에탄올 100㎖에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16㎎을 녹이고 증류수 100㎖을 혼합한 후 Whatman필터지 NO.2에 여과시켜 DPPH 반응 용액을 제조하였다. 1%(w/v)의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또는 발효 홍삼 물 추출물 1㎖를 취한 후 DPPH 반응 용액 5㎖을 넣어 혼합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기존에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BHT(butylated hydroxytoluene)를 0.05% 농도로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구하는 식은 하기와 같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100
5.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억제 활성
1%(w/v)의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또는 발효 홍삼 물 추출물 100㎕와 200mM 보레이트 완충액(borate buffer,pH 9.0) 1㎖을 넣은 후 기질인 리놀렌산(linoleic acid, 0.6 mM/㎖ in ethanol) 2㎖을 넣고 혼합한 후 234nm에서 보정값을 측정한 다음, 리폭시게나아제 10,000 unit/㎖ 100㎕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2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인도메타신(indomethacin, Sigma)을 0.05%(w/v)로 에탄올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리폭시게나아제 억제활성(%)={1-(b'-b)/(a'-a)}×100
b: 효소 무첨가 시료'
b : 효소 첨가 시료군
a: 효소 무첨가 blank 군
a': 효소 첨가 blank 군
6. 통계처리
상기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one-way ANOVA 검정에 의한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각 실험 군 간의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과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총 페놀 함량은 NF군에서 약 10mg/100g인 반면, F/3군에서 약 12mg/100g인 것으로,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에 비해 발효 홍삼 물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이 미량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비발효 홍삼 물추출물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가 정량화되지 않는 반면, 발효 홍삼 물 추출물에서는 약 0.45mg/100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측정되어, 발효 공정에 의해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2.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및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butylated hydroxytoluene) 0.05%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DPPH 라디칼소거 활성이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NF)에서 30%인 반면, 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F/3)에서 40%로NF군 및 F/3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3.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분석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는 정상적인 세포에서는 발현이 미비하지만, 염증이 유발되면 류코트리엔(leukotrienes) 물질의 증가로 인해 활성을 나타낸다. 리폭시게나아제 효소의 저해 활성 측정에 있어서, 양성대조군에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0.05%를 처리하였다.
비발효 홍삼 물 추출물(NF)과 추출 용매에 따라 제조된 발효 홍삼 물 추출물(F/3-W) 및 발효 홍삼 에탄올 추출물(F/3-E)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비발효 홍삼 물추출물 처리군(NF)에서 약 12%인 반면에, 발효 홍삼 추출물 처리군에서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F/3-W)의 경우 NF군에 비해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약 3배 증가되었으며, 발효 홍삼 물 추출물 처리군(F/3-W) 및 발효 홍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F/3-E)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4. 발효 균주 및 기간에 따른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분석
상기 '발효 홍삼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균주(Lactobacillus casei ATCC 393, Bacillus subtilisKACC 91157 및 Candida utilis KFRI 566)별로 발효 1일 기준으로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NF 처리군과 비교하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Lc)를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경우에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변화가 없었지만,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Bs) 및 캔디다 유틸리스(Candida utilis, Cu)를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의 경우에는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발효 균주로 캔디다 유틸리스를 접종한 경우바실러스 서틸리스에 비해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또한, 캔디다 유틸리스(Cu)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 기간(1, 2, 3, 4 및 5일)별로 발효 홍삼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 기간 중 3일째에서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한것을 확인하였다(도 6).

Claims (1)

  1.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20037527A 2022-03-25 2022-03-25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30139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27A KR20230139906A (ko) 2022-03-25 2022-03-25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27A KR20230139906A (ko) 2022-03-25 2022-03-25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906A true KR20230139906A (ko) 2023-10-06

Family

ID=8829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527A KR20230139906A (ko) 2022-03-25 2022-03-25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9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309B1 (ko)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5469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75062B1 (ko) 혈소판 응집 저해능과 관능성이 우수한 한방 약선차
KR102390927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idcc 3701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83275B1 (ko) 발효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97537A (ko) 강황, 석창포, 원지의 열수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및 기억력 향상용 조성물
KR10231463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죽순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2398A (ko)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갖는 포도씨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26921B1 (ko) 페오포바이드 a와 같은 포피린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제재와,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9906A (ko)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023576A (ko)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1695507B1 (ko)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64397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61793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7174A (ko) 브로콜리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8563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증숙 비트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99756B1 (ko)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