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756B1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756B1
KR102499756B1 KR1020200034269A KR20200034269A KR102499756B1 KR 102499756 B1 KR102499756 B1 KR 102499756B1 KR 1020200034269 A KR1020200034269 A KR 1020200034269A KR 20200034269 A KR20200034269 A KR 20200034269A KR 102499756 B1 KR102499756 B1 KR 102499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fermented grain
fermented
present
tyrosin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703A (ko
Inventor
옥민
조영수
김정욱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오케이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20003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7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Y2220/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곡류 발효물은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되어, 뇌 건강, 면역력 증진, 혈전증 등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cereal with increased tyrosine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proteolytic activity and fibrinolytic activity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본 발명은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 증진 인식이 높아지면서 질병 예방 및 건강 유지, 나아가 평균 수명의 연장 등에 기여하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건강 관련 기능성 물질의 탐색, 기능성 소재 및 식품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발효는 유기물이 미생물 작용에 의해 분해 및 변화하는 현상이다. 좁은 뜻으로는 당질이 미생물에 의해 무산소적으로 분해되는 현상이며, 넓은 뜻으로는 미생물에 의한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것이다. 사람이 식품으로 섭취하는 대부분의 식물들은 사람에게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서 그 자체로도 섭취의미가 충분히 있다. 그러나 지역적, 계절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유용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발효과정을 통해서 재탄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발효과정에서, 발효조건에 따라 기존의 유용한 성분의 함량이 늘어나는 경우도 있고, 아예 다른 물질로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 곡물의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지고 있고,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곡물의 시장 잠재력도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곡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은 많지 않으며, 미생물 발효를 통한 풍미 및 기능성 개선 시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요한 에너지원인 곡류와 곡류에서 잘 생장하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증진된 곡류 발효물을 제공함으로써 곡물의 소비를 촉진하여 농가의 경제적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우수한 곡류 발효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864786호에는 '바실러스 속 엠에비 06 균주를 이용한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956986호에는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의 곡류 혼합물에 기탁번호가 KACC91157P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접종하여 곡류 발효물을 제조하였을 때, 발효 전에 비해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류 혼합물에 유용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기탁번호 KACC91157P)를 이용하여 제조한 곡류 발효물은 발효 과정을 통해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되어, 뇌 건강, 면역력 증진, 혈전증 등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물에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물에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였을 때, 티로신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물에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였을 때, 단백질 분해 활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물에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였을 때, 혈전 분해 활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류 혼합물에 유용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유용 미생물은 기탁번호가 KACC91157P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곡류 혼합물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를 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두, 옥수수 및 현미를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두, 옥수수 및 현미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효는 30~40℃에서 45~5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에서 48시간 동안 수행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1) 대두, 옥수수, 현미를 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곡류를 분말화하고 멸균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멸균한 곡류 분말에 유용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곡류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대두, 옥수수, 현미를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곡류를 분말화하고 100~130℃에서 10~20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멸균한 곡류 분말에 바실러스 속 FF-9 균주를 접종하여 30~40℃에서 45~50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곡류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대두, 옥수수, 현미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곡류를 분말화하고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멸균한 곡류 분말에 바실러스 속 FF-9 균주를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곡류 발효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의 곡류 혼합물을 기탁번호가 KACC91157P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곡류 발효물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은 발효시키기 전의 곡류 비발효물에 비해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곡류 발효물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떡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곡류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의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곡류 발효물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의 곡류 혼합물을 기탁번호가 KACC91157P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으로, 상세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은 발효시키기 전의 곡류 비발효물에 비해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혈전증"이란,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혈전색전증이라고도 하며,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질환을 일컫는다.
용어 "혈전"은 주로 혈소판과 세포성분을 둘러싼 섬유소로 구성된 혈액성분의 응집을 말하며, 혈액의 기타 형성된 혈액 요소와 뒤섞인 것으로 주로 혈소판 및 피브린의 응집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질병은 다양하고, 예를 들어 고혈압, 심장병, 뇌졸증, 심근경색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혈전 및 혈소판의 응집으로 유발되는 질병은 모두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제형 및 종류는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곡류 발효물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에 따른 곡류 발효물은 발효시키기 전의 곡류 비발효물에 비해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혈전증은, 예를 들어 혈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고혈압, 뇌졸증, 심근경색 등의 질병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혈전 및 혈소판의 응집으로 유발되는 질병은 모두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류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발효굼벵이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곡류 발효물의 제조
대두, 옥수수 및 현미는 산들농산으로부터 제공받았으며, 건조된 대두, 옥수수, 현미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한 후, 121℃에서 15분 동안 가압멸균하였다. 멸균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분말 혼합물에 기탁번호가 KACC91157P인 바실러스 속 FF-9 균주 배양액(OD600=1.6~1.8)을 접종하여 3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곡류 발효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건조하여 하기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비교대조군은 발효하지 않은 대두, 옥수수 및 현미 분말 혼합물(이하 '곡류 비발효물'이라 함)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DPPH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
곡류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에탄올 100㎖에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16㎎을 녹이고 증류수 100㎖을 혼합한 후 Whatman 필터지 NO. 2에 여과시켜 DPPH 반응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곡류 발효물과 곡류 비발효물을 10%(w/v)의 농도로 만들어 1㎖를 취한 후 DPPH 반응 용액 5㎖을 넣어 혼합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기존에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BHT(butylated hydroxytoluene)를 0.05% 농도로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구하는 식은 하기와 같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1-(시료 흡광도528nm)/대조구 흡광도528nm]×100.
그 결과, 곡류 비발효물 처리군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40%인 반면, 곡류 발효물 처리군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60%로 증가하였으며,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티로신 함량 측정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곡류 발효물의 티로신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폴린 페놀 시약을 이용하여 곡류 발효물 중에 존재하는 티로신 함량을 측정하였다. 곡류 발효물 2g에 증류수 18㎖을 희석하여 균질화 한 시료를 15,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0.7㎖에 0.44M TCA(trichloroacetic acid) 0.7㎖을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5,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회수된 상등액 1㎖에 0.55M Na2CO3 2.5㎖와 페놀 시약 0.5㎖를 차례로 넣고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660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곡류 발효물(490mg%)에서 곡류 비발효물(280mg%) 보다 티로신 함량이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3. 단백질 분해 활성 측정
단백질 분해 활성은 곡류 발효물 또는 곡류 비발효물 2g에 0.02M 인산 버퍼(pH 7.0) 18㎖을 첨가한 뒤 실온에서 진탕 후 원심분리(15,000 rpm, 15 min)하여 상등액으로부터 조효소액을 조제한 다음 앤슨의 방법(Anson, M. L. 1939, J. Gen. Physiol., 22:79-91)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0.6% 카제인 용액 0.35㎖을 기질로 하여 검액과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시험용과 공시험용 각의 e-tube에 10배 희석한 효소액을 0.35㎖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0.44M TCA 0.7㎖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단백질을 침전시킨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5,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회수된 상등액 1㎖에 0.55 M Na2CO3 25㎖과 폴린 시약(원액을 3배 희석한 액) 0.5㎖을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반응 조건하에서 1분 동안 티로신 1㎍을 유리하는 효소량을 1 unit로 하였다. 공시험은 조효소액을 첨가하기 전에 0.44 M TCA를 넣은 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곡류 비발효물 처리군에서 약 8 unit/g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나타낸 반면, 곡류 발효물 처리군에서는 약 44 unit/g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혈전 분해 활성 측정
0.5% 피브리노겐(fibrinogen, Sigma, 미국)을 67mM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버퍼(pH 7.5)에 용해시켜서 직경 9cm인 페트리 디쉬에 10㎖씩 분주하고, 67mM 인산나트륨 버퍼(pH 7.5)에 용해된 트롬빈 효소(thrombin, 1000 unit, Sigma) 0.1㎖을 가하고 신속하게 혼합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고형화시켰다. 곡류 발효물 또는 곡류 비발효물 1g에 0.1M 인산나트륨 버퍼(pH 7.5) 9㎖을 혼합한 후 15,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이용하였다. 상기 피브린 배지에 곡류 발효물 또는 곡류 비발효물 20㎕씩 각각 점적하여 37℃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피브린이 분해되어 생기는 투명대(환) 면적으로 활성을 구하였다. 혈전 분해 활성은 대조구인 플라스민(plasmin) 효소 활성의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플라스민 unit로 환산하여 혈전용해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조구로는 정제된 혈전용해효소인 플라스민(5 unit/㎖)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곡류 비발효물 처리군에서 혈전용해효소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곡류 발효물 처리군에서 약 0.63 unit/㎖의 혈전용해효소 활성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157P 20050322

Claims (8)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물에 기탁번호가 KACC91157P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FF-9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 발효물의 제조 방법.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40℃에서 45~5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 발효물의 제조 방법.
제1항 또는 제4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 발효물.
제5항의 항산화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제5항의 항산화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대두, 옥수수 및 현미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삭제
KR1020200034269A 2020-03-20 2020-03-20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2499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269A KR102499756B1 (ko) 2020-03-20 2020-03-20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269A KR102499756B1 (ko) 2020-03-20 2020-03-20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03A KR20210117703A (ko) 2021-09-29
KR102499756B1 true KR102499756B1 (ko) 2023-02-14

Family

ID=7792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269A KR102499756B1 (ko) 2020-03-20 2020-03-20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7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15B1 (ko) * 2010-12-07 2013-01-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류 분말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곡류 분말 발효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3159B2 (ja) * 1991-09-19 2004-03-31 オリエンタルバイオ株式会社 大豆発酵物由来抗酸化物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15B1 (ko) * 2010-12-07 2013-01-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류 분말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곡류 분말 발효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지은 외, 한국식품과학회지, 2009, 41권, 2호, p.179-185 (2009.0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03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096B1 (ko) 숙취해소효소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48309B1 (ko)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6651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083275B1 (ko) 발효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5469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0051B1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80719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치료용, 근력 개선 또는 근육량 증대용 조성물
KR102424598B1 (ko)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okbl-l.p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99756B1 (ko)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티로신 함량, 항산화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 및 혈전 분해 활성이 증가된 곡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JP2011132188A (ja) プラスミノーゲン活性化増強作用を有する乳酸菌及びその組成物
KR10231463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죽순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11656B1 (ko)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okbl-l.pl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08502B1 (ko)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95471A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7713B1 (ko) 목이버섯 유래 혈전분해효소의 발효 생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210041871A (ko) 글라이코매크로펩타이드 효소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 위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0492B1 (ko) 황칠나무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9020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200655 균주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1721A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g72 균주를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02453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20230139906A (ko) 폐기능 개선 효과가 증진된 홍삼 및 개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00096442A (ko) 목이버섯 유래 혈전분해효소의 발효 생산방법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