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71B1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71B1
KR102461971B1 KR1020200176097A KR20200176097A KR102461971B1 KR 102461971 B1 KR102461971 B1 KR 102461971B1 KR 1020200176097 A KR1020200176097 A KR 1020200176097A KR 20200176097 A KR20200176097 A KR 20200176097A KR 102461971 B1 KR102461971 B1 KR 10246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temple
frame
spectacle fram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017A (ko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드림
Priority to KR102020017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시를 이용한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숫부시가 안경테에 비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안경테에 대해 안경다리가 회전되어도 숫부시가 안경다리와 같이 회전되지 않아 나사의 풀림을 원천봉쇄하여 안경다리의 처짐도 생기지 않게 해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hinge structure spectacle frames and temple}
본 발명은 부시를 이용한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숫부시가 안경테에 비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안경테에 대해 안경다리가 회전되어도 숫부시가 안경다리와 같이 회전되지 않아 나사의 풀림을 원천봉쇄하여 안경다리의 처짐도 생기지 않게 해서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는 나사를 통해 연결되었다. 하지만 나사를 통해 힌지 연결하면 안경다리의 회전이 부드럽지 않고, 안경을 오랜 기간 착용 시 나사가 닳게 되어 안경다리가 헐렁거려 착용감이 불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로서 예컨대 특허문헌1,2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1) 양쪽 끝에 각기 한쪽이 연결되는 것으로, 후방으로 연장된 다른 한쪽에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부(a)에 상하로 구멍이 형성되며, 끝단 외측에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는 힌지편(10)의 돌출부(a) 상면과 저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각기 상하로 관통구멍 형성되고, 힌지편(10)의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부쉬(2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와셔(20)와; 상부와 하부의 와셔(20)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간격을 두고 상부와 하부에 경첩(31)이 형성되는 안경다리(30)와; 안경다리(30)의 상부 경첩(31) 내부에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되고, 하부의 경첩(31) 내부에 너트(41)가 삽입되며, 나사부가 와셔(20)의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41)에 체결되도록 되는 고정나사(4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고정나사(40)의 머리부와 너트(41)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와셔(20) 상하 부쉬(21)의 연장 길이가 힌지편(10) 돌출부(a)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와셔(20) 상하 부쉬(21)의 외경이 힌지편(10) 구멍의 내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안경테(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100)의 양측에 안경다리(200)의 선단부를 결합하는 힌지구조로서, 프론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연결단(10)과, 안경다리(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단(30), 및 상기 힌지연결단(10)과 힌지결합단(30)을 힌지구조로 결합하여, 안경다리의 절첩/전개에 따른 힌지결합단(30)의 회전시에 회전중심축이 되는 힌지축부재(20A, 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힌지구조에 있어서는 힌지축 부재(20A,20B)와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는 직접 접하도록 조립되지 않고, 힌지축 부재(20A,20B)와 힌지결합단(30)의 후크부(32)의 사이에는 이들 간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회전부시(4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1의 부시(21)와 특허문헌2의 회전부시(40)로 인해 안경테에 대해 안경다리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1,2의 안경다리가 회전할 때마다 부시(21,40)도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안경다리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인해 특헌문헌1,2의 나사(40,20B)도 회전되어 풀릴 게 된다.
특허문헌1,2의 나사(40,20B)가 서서히 풀리면, 특허문헌1에서는 부시와 안경테 사이에 유격이 생기고, 특허문헌2에서는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에 유격이 생기기 때문에, 안경다리가 위아래로 흔들려 처지기 시작하면서 착용감이 불편해지고, 분리 이탈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1의 경첩(31)은 프레임을 절곡해서 말은 것으로서 사용 중에 조금이라도 벌어지면 나사(40)와 너트(41)에 유격이 생기면 안경다리가 처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2의 후크부(32)도 절곡시킨 것으로서 사용 중에 조금이라도 벌어지면 부시(40)와 유격이 생겨 안경다리가 처지게 된다.
특허문헌1 : 한국등록특허 제10-1940376호 특허문헌2 :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760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경테에 대해 안경다리가 부드럽게 움직임과 더불어 나사 풀림을 원천봉쇄하여 유격이 생기지 않게 해서 안경다리의 처짐에 따른 불편한 착용감을 없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는, 안경테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는 안경테 프레임에 고정되는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와 하측 암부시; 안경다리의 일단에 고정된 채 상기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 사이에 삽입되는 안경다리용 암부시; 상기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와 안경다리용 암부시 및 상기 안경테용 하측 암부시에 순서대로 삽입 설치되는 숫부시; 상기 숫부시의 하단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숫부시는 상기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의 상면에 놓이는 머리부와, 상기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와 안경다리용 암부시에 삽입된 채 상기 나사가 체결되는 원통 암나사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의 상면에는 아래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밑면에는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는, 상기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는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상하측에서 반원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하 반원 프레임과, 상기 상하 반원 프레임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도넛 형상의 상하측 암부시편을 포함하되, 상기 요홈은 상기 상측 암부시편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는, 상기 안경테용 하측 암부시와 상기 나사 사이에 와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의 상면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에 머리부의 밑면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짐으로써, 안경다리가 회전되더라도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에 걸린 숫부시는 절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나사가 풀리지 않아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의 유격에 따른 안경다리의 처짐을 원천 봉쇄시켜, 착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안경테 프레임의 상하측에서 반원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하 반원 프레임의 내주면에 도넛 형상의 상하측 암부시편이 고정됨으로써, 설령 상하 반원 프레임이 변형되더라도 금형으로 제조된 숫부시와 암부시가 결합된 관계로 유격 없이 회전을 유지한다.
더불어, 안경테용 하측 암부시와 상기 나사 사이에 와셔를 더 포함함으로써, 나사의 체결로 머리부와 와셔가 안경테용 상하측 부시를 보다 확실하게 서로 눌러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와 안경다리용 암부시의 상하 유격을 더욱 줄이고, 와셔의 가압 범위도 넓어 나사의 풀림방지를 더욱더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를 상하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특허문헌1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9 및 도 9는 특허문헌2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를 상하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100)는 크게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 사이에 삽입되는 안경다리용 암부시(400),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와 안경다리용 암부시(400)에 삽입 설치되는 숫부시(500), 숫부시(500)의 하단에 체결되는 나사(600)를 포함한다.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는 안경알을 지지하는 림(R)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는 안경테 프레임(110)의 상하에 고정되어 있다.
안경다리용 암부시(400)는 안경다리(B)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숫부시(500)는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200)의 상면에 놓이는 머리부(510)와,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와 안경다리용 암부시(400)에 삽입된 채 나사(600)가 체결되는 원통 암나사 부시(530)를 포함한다.
특히,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200)의 상면에는 아래로 오목한 요홈(250)이 형성되고, 머리부(510)의 밑면에는 요홈(250)에 끼워지는 돌기(5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250)과 돌기(550)가 결합되면, 숫부시(500)는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200)에 회전되지 않게 설치됨으로써, 안경다리용 암부시(400)가 숫부시(500)에 대해 회전되더라도 숫부시(500)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나사(600)가 풀릴 우려가 전혀 없이 부드럽게 움직임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는 안경테 프레임(110)의 상하측에서 반원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하 반원 프레임(210)(310)과, 상하 반원 프레임(210)(3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도넛 형상의 상하측 암부시편(230)(330)을 포함한다.
즉, 상하 반원 프레임(210)(310)을 상하 원형 프레임으로 하지 않고, 별도의 상하측 암부시편(230)(330)을 용접해서 사용하는 것은, 숫부시(500)와 상하측 암부시편(230)(330)을 금형으로 제작해서 끼움 오차를 최대한 줄여 유격이 최대한 없애기 위함이다.
상측 암부시편(230)의 상면에는 요홈(250)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4와 같이 안경테용 하측 암부시(300)와 나사(600) 사이에 와셔(70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와셔(700)의 밑면에는 나사(600)의 머리부가 수용될 수용홈(710)이 형성되어 있다.
와셔(700)는 나사(600)가 조일 때 머리부(510)와 함께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를 상하로 가압하여 안경다리용 암부시(400)와의 유격을 최대한 줄일 뿐 아니라 나사(600)의 풀림 방지로 현저히 향상시킨다.
안경다리용 암부시(400)의 외주면에는 제1걸림턱(430)이 형성되어, 안경테 프레임(110)의 끝단에 형성된 제2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하기 위해 안경다리(B)를 벌리면 제1걸림턱(430)이 제2걸림턱(130)에 걸려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100)는 안경테에 대해 안경다리의 부드러운 움직임과 더불어,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200)(300)와 안경다리용 암부시(400) 간의 유격을 최대한 줄여 안경다리의 처짐이 생기지 않게 해서 착용감을 오래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110 : 안경테 프레임 130 : 제2걸림턱
200,300 :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 210,310 : 상하 반원 프레임
230,330 : 상하측 암부시편 250 : 요홈
400 : 안경다리용 암부시 430 : 제1걸림턱
500 : 숫부시 510 : 머리부
530 : 원통 암나사 부시 550 : 돌기
600 : 나사 700 : 와셔
710 : 수용홈

Claims (3)

  1. 삭제
  2. 안경테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는 안경테 프레임에 고정되는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와 하측 암부시;
    안경다리의 일단에 고정된 채 상기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 사이에 삽입되는 안경다리용 암부시;
    상기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와 안경다리용 암부시 및 상기 안경테용 하측 암부시에 순서대로 삽입 설치되는 숫부시; 및
    상기 숫부시의 하단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숫부시는, 상기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의 상면에 놓이는 머리부와, 상기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와 안경다리용 암부시에 삽입된 채 상기 나사가 체결되는 원통 암나사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용 상측 암부시의 상면에는 아래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밑면에는 상기 요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용 상하측 암부시는,
    상기 안경테 프레임의 상하측에서 반원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하 반원 프레임과,
    상기 상하 반원 프레임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도넛 형상의 상하측 암부시편을 포함하되,
    상기 요홈은 상기 상측 암부시편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용 하측 암부시와 상기 나사 사이에 와셔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1020200176097A 2020-12-16 2020-12-1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10246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97A KR102461971B1 (ko) 2020-12-16 2020-12-1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97A KR102461971B1 (ko) 2020-12-16 2020-12-1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17A KR20220086017A (ko) 2022-06-23
KR102461971B1 true KR102461971B1 (ko) 2022-11-03

Family

ID=8222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97A KR102461971B1 (ko) 2020-12-16 2020-12-1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9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832A (ja) 2001-03-21 2002-09-25 Nishimura Kinzoku:Kk 縁なしメガネ及びスリーブ付きスプリングワッシャ
JP2002357794A (ja) * 2001-06-01 2002-12-13 Takeuchi Kogaku Kogyo Kk メガネフレームの蝶番
JP2017009755A (ja) * 2015-06-19 2017-01-12 株式会社タケダ企画 眼鏡の蝶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823U (ja) * 1992-01-31 1993-08-27 ホーヤ株式会社 眼鏡枠用ねじ緩み止め構造
KR101940376B1 (ko) 2016-08-11 2019-01-18 신상호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200107606A (ko)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이노 (Inno)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832A (ja) 2001-03-21 2002-09-25 Nishimura Kinzoku:Kk 縁なしメガネ及びスリーブ付きスプリングワッシャ
JP2002357794A (ja) * 2001-06-01 2002-12-13 Takeuchi Kogaku Kogyo Kk メガネフレームの蝶番
JP2017009755A (ja) * 2015-06-19 2017-01-12 株式会社タケダ企画 眼鏡の蝶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17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1349A (en) Hinge motion regulator for eyeglasses
JP3519085B2 (ja) 眼鏡ヒンジ
KR19990062442A (ko) 안경부품의 연결구조
JP2000206467A (ja) ブラケットに対するテンプルの回動機構及びその眼鏡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US4605293A (en) Spectacle frame with resilient hinges
US5589895A (en) Hinge structure of a spectacle frame
KR100848217B1 (ko) 안경용 사이드 아암의 탄성화를 위한 축소형 탄성 힌지
EP3767372B1 (en) Glasses temple assembly and glasses
KR10246197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JP4798936B2 (ja) 眼鏡フレーム、丁番、眼鏡及び丁番の製造方法
EP0992831A1 (en) Flexible ear-piece for eyeglasses, of the type with ball elastic yielding mechanism
US6336251B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CN115421315A (zh) 一种镜腿铰接结构及眼镜
US4018516A (en) Spectacle frame
WO2010061429A1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3115193B2 (ja) 眼鏡フレーム蝶番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CN213750545U (zh) 一种不易变形的眼镜脚架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CN210155445U (zh) 一种眼镜铰链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US20230096733A1 (en) Friction hinge
JP2002357794A (ja) メガネフレームの蝶番
CN215067568U (zh) 一种无螺丝铰接镜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