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054B1 -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054B1
KR102457054B1 KR1020200144071A KR20200144071A KR102457054B1 KR 102457054 B1 KR102457054 B1 KR 102457054B1 KR 1020200144071 A KR1020200144071 A KR 1020200144071A KR 20200144071 A KR20200144071 A KR 20200144071A KR 102457054 B1 KR102457054 B1 KR 10245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eet
base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568A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4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5/00Adhesive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탕면에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를 연속 배열하여 고정부로 고정하고 건식 바탕 조정재의 상면에 TPO 복합 방수시트를 연이어서 중첩되게 접착하는 다층 실링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TPO 복합 방수시트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므로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와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TPO composite waterproof sheet and composite waterproof sheet assembly structure and c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탕면에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를 연속 배열하여 고정부로 고정하고 건식 바탕 조정재의 상면에 TPO 복합 방수시트를 연이어서 중첩되게 접착하는 다층 실링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TPO 복합 방수시트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므로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설된 학교, 호텔,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로 물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수공사는 통상 고무화 아스팔트, 우레탄 도막 방수, 합성수지시트 방수 등 각각의 특성에 맞게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수공사는 산업의 발전과 함께 계속 품질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 공법의 경우는, 일정한 규격의 두께로 생산된 방수시트를 바탕처리한 후 바닥 면 위에 일정 간격으로 끝단이 겹치도록 하고 겹치게 이음으로 연결된 부위에는 토치 등과 같은 가열기구를 사용하여 열융착으로 접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열융착이 완료되면 보호 몰타르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수층과 보호층을 이중으로 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 도막방수에 의한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 위에 롤러 또는 스프레이로 얇은 페인트 막을 2~3회 도포한 후 건조시키면 시공이 종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우레탄 도막방수는 도막 두께가 2mm 내외이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가 비교적 저렴한 이점은 있으나 구조체 표면의 수축 팽창 시 도막이 쉽게 탈락하여 4~5년 주기로 재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공장에서 균일한 두께로 생산된 합성수지 방수 시트 롤 형태로 시공하는 건식 방수공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노출형 시트 방수공법을 사용하기도 하며, 프라이머를 도포 후 접착시키는 접착공법과, 방수시트 일측면을 고정화스너로 고정시키는 비접착 공법이 있다.
먼저 프라이머를 도포한 접착공법은 시공표면과 완전밀착 접착시공에 있어서 시트 배면에 습기나 공기가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향후 부풀어 오르는 수포 현상을 방지하고져 일정간격 기포 배출용 에어밴트를 설치하고 있으며, 외기온도나 계절에 따라 점착 정도가 달라 바탕면 부착 강도의 품질 편차가 심하다.
이에 최근에는 바탕면과 비접착 공법의 시공이 많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으로 시공표면 상부에 소정두께(1.5mm)의 방수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겹치게 포설하여 바닥에 시트의 일측면을 화스너와 앵커로 일정 간격(400~500mm)마다 고정시키고, 그 위에 중첩되는 시트를 겹치기 열풍으로 융착한다.
이러한 비접착식 공법은,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균일하게 생산함으로써 계절과 관계없이 시공이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전용장비와 숙련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시트 저면에 습기와 결로가 발생함과 방수 연결부위에 틈이 생기게 되면 옥상의 빗물이 틈새로 스며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방수시공기술의 숙련 이외에도 바탕면의 노후 정도와 신,구 콘크리트의 물리적 겹합강도, 바탕면의 습윤상태, 클랙보수상태, 표면의 프라이머 접착제와의 접착상태 등에 의해 현장 시공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2767호(2012. 11. 1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2921호(2019. 04. 08.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바탕면에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를 배열하여 고정부로 고정하고 TPO 복합 방수시트를 연이어서 중첩되게 접착하는 다층 실링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PO 복합 방수시트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므로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수지(TPO; Thermoplastic Polyolefin)가 주성분인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섬유보강층; 상기 섬유보강층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점착층; 상기 베이스점착층의 일측 가장자리 내측으로 점착층이 제외되어 소정폭 단차지게 구비되는 융착면; 상기 베이스점착층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부시트 타측 외부로 소정폭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되는 실링접합면; 상기 베이스접착층의 노출된 표면에 점착층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이형필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는, 일정 규격으로 형성되어 바탕면에 전·후, 좌·우로 연속 배열되는 육각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 '+'자로 밀착되는 건식 바탕 조정재의 네 모서리 부분을 바탕면에 고정하고, 건식 바탕 조정재의 상면에 접착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의 상부시트 상면의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를 바탕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수지(TPO; Thermoplastic Polyolefin)가 주성분인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섬유보강층과, 상기 섬유보강층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점착층과, 상기 베이스점착층의 일측 가장자리 내측으로 점착층이 제외되어 소정폭 단차지게 구비되는 융착면과, 상기 베이스점착층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부시트 타측 외부로 소정폭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되는 실링접합면으로 이루어져 건식 바탕 조정재의 상부에 고정부가 복개되도록 중첩되게 접착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의 상면에 어느 하나의 TPO 복합 방수시트를 접착하여 고정부를 복개시키고,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 다른 하나의 TPO 복합 방수시트의 타측 가장자리 바닥면을 중첩하여 융착면의 상부를 열융착수단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 시공방법은, 바탕면의 표면을 정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를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바탕면에 전·후, 좌·우로 연속 배열하는 단계; '+'자로 밀착된 건식 바탕 조정재의 네 모서리 부분의 상부에 고정부의 금속화스너를 위치시킨 후, 금속화스너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칼블럭으로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건식 바탕 조정재를 바탕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의 상면에 건식 바탕 조정재를 고정한 고정부가 복개되도록 TPO 복합 방수시트를 덮어 접합하는 단계; 상기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의 상부시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부의 금속화스너를 위치시킨 후, 금속화스너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칼블럭으로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TPO 복합 방수시트를 건식 바탕 조정재와 바탕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를 접착시키되, TPO 복합 방수시트를 고정시킨 고정부가 복개되도록 덮으면서 TPO 복합 방수시트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의 타측 가장자리 바닥면을 중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의 상부시트와, 연이어서 시공된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의 융착면이 위치한 상부시트를 동시에 열풍가열하게 되면, 베이스점착층이 녹음과 동시에 건식 바탕 조정재의 통공을 메워 접착되면서 TPO 복합 방수시트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탕면에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를 배열하여 고정부로 고정하고 TPO 복합 방수시트를 연이어서 중첩되게 접착하는 다층 실링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TPO 복합 방수시트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처리하여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므로 부착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 구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 구조의 시공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는, 상부시트(310), 섬유보강층(320), 베이스점착층(330), 융착면(340), 실링접합면(350), 이형필름(3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시트(310)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수지(TPO; Thermoplastic Polyolefin)이며, 프로필렌(C3)과 에틸렌(C2)를 메탈로센 중합촉매로 얻어진 변성 코폴리머 45~55 중량부, 블록 코폴리머 25~35 중량부, 탄산칼슘(CaCo3) 15~25 중량부, 분산제 0.5~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Anti UV) 0.6~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1.0 중량부, 이산화타이타늄(Tio2) 1.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시트(310)는 무극성으로 표면 장력이 낮으며,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표면처리 중 하나인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한다.
이는 상부시트(310)를 T-Die 압출 연속 생산시 상부시트(310) 표면에 너비 방향으로 코로나 방전처리기를 설치하여 전기적 방법으로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상부시트(310)의 표면 장력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섬유보강층(320)은 상부시트(3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섬유보강층(320)은 폴리에스터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패브릭으로 제작된 롤 형태의 보강직물이며, 폴리에스터 패브릭은 경사와 위사가 1000D의 밀도를 가진다.
상기 섬유보강층(320)은 수분흡수를 방지하도록 발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점착층(330)은 섬유보강층(320)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50 중량부, 아스팔트 개질제인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5~1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3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충진제 10~30 중량부,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에서 폴리아로메틱 계열의 성분을 제거하여 인화점을 낮춘 저인화점 오일 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융착면(340)은 베이스점착층(3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섬유보강층(320)의 내측으로 점착층이 제외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실링접합면(350)은 베이스점착층(330)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부시트(310)의 타측 외부로 소정폭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이형필름(360)은 베이스점착층(330)의 노출된 표면에 부착되어 점착층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는 일정 길이의 롤 형태로 제작되어 현장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C)에 배열되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와,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바탕면(C)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0)와,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부에 접착 고정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는 PE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바탕면(C)에 전·후, 좌·우로 연속 배열된다.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는 육각 셀 구조로 이루어지는 조정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조정판(110)에 일정 간격으로 격벽(120)을 이루게 되며, 상기 격벽(120)과 격벽(120) 사이에는 통공(1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통공(130)은 고정부(200)의 고정볼트(240)를 고정하는 공간이기도 하고,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베이스점착층(330)이 녹아서 채워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상기 고정부(200)는 고정홀(210), 칼블럭(220), 금속화스너(230), 고정볼트(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00)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가 서로 밀착되는 네 모서리의 '+'자 부분에 고정되어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바탕면(C)에 고정시키기도 하고,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부에 접착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건식 바탕 조정재(100)와 바탕면(C)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홀(210)은 바탕면(C)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칼블럭(220)은 상기 고정홀(210)에 삽입된다.
상기 금속화스너(230)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고정할 때에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가 연속 배열되어 서로 밀착된 '+'자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하며, 중앙에는 관통공(231)이 관통형성되고, 강성을 높이기 위해 다단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금속화스너(230)는 고정볼트(24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볼트(240)는 금속화스너(230) 상부에서 관통공(231)을 통해 결합되어 칼블럭(220)으로 체결된다.
상기 금속화스너(230)가 절곡된 형상이 아니라 'ㅡ'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고정볼트(240) 체결시 금속화스너(230)가 휘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인 금속화스너(230)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300)는, 상부시트(310), 섬유보강층(320), 베이스점착층(330), 융착면(340), 실링접합면(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시트(310)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수지(TPO; Thermoplastic Polyolefin)이며, 프로필렌(C3)과 에틸렌(C2)를 메탈로센 중합촉매로 얻어진 변성 코폴리머 45~55 중량부, 블록 코폴리머 25~35 중량부, 탄산칼슘(CaCo3) 15~25 중량부, 분산제 0.5~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Anti UV) 0.6~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1.0 중량부, 이산화타이타늄(Tio2) 1.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섬유보강층(320)은 상부시트(3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터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패브릭으로 제작된 롤 형태의 보강직물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패브릭은 경사와 위사가 1000D의 밀도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섬유보강층(320)은 수분흡수를 방지하도록 발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점착층(330)은 섬유보강층(320)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50 중량부, 아스팔트 개질제인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5~1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3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충진제 10~30 중량부,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에서 폴리아로메틱 계열의 성분을 제거하여 인화점을 낮춘 저인화점 오일 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융착면(340)은 베이스점착층(3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섬유보강층(320)의 내측으로 점착층이 제외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실링접합면(350)은 베이스점착층(330)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부시트(310)의 타측 외부로 소정폭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 TPO 복합 방수시트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탕면(C)의 표면에 에어건으로 에어를 불거나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탕면(C)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210)을 형성하여 칼블럭(220)을 삽입 설치하고,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를 일정 규격(1220×2440mm)으로 절단하여 바탕면(C)에 배열하되, 일정 규격으로 절단된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의 각 변이 전·후, 좌·우로 서로 밀착되도록 배열한다.(S10)
이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바탕 조정재(100)가 서로 밀착된 네 모서리 부분의 상부에 금속화스너(230)를 위치시키되, 상기 금속화스너(230)가 건식 바탕 조정재(100)가 서로 밀착된 '+'자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위치시켜야 하며, 상기 금속화스너(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을 통해 고정볼트(240)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240)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에 형성된 통공(130)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볼트(240)가 칼블럭(220)으로 체결되어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가 바탕면(C)에 고정된다.(S20)
또한,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면에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고정한 고정부(200)가 복개되도록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덮어 접합한다.(S30)
이때,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300)는 열풍가열을 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베이스점착층(330)이 녹지 않고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면에만 접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200)를 이용하여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건식 바탕 조정재(100)와 바탕면(C)에 고정시키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부시트(31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부(200)의 금속화스너(230)를 위치시킨 후, 관통공(231)을 통해 고정볼트(240)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240)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에 형성된 통공(130)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볼트(240)가 칼블럭(220)으로 체결되어 TPO 복합 방수시트(300)가 건식 바탕 조정재(100)와 바탕면(C)에 고정된다.(S40)
상기와 같이 TPO 복합 방수시트(300)가 선 시공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를 접착시키되,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의 타측 가장자리 바닥면을 중첩되게 하여 접착시킨다.
이때, 후 시공된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의 베이스점착층(330)은 열풍가열을 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면과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면에만 접착된 상태이다.(S50)
이 상태에서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와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의 상부시트(310)에 열융착수단(미도시)으로 가열하게 되면 융착면(340)이 상부시트(310)의 상면에 접착되고, 베이스점착층(330)의 GEL이 녹으면서 틈새를 메워 접착됨과 동시에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의 통공(130)으로 유입되어 건식바탕 조정재(100)(100')와 TPO 복합 방수시트(300)(300')와의 결착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점착층(330)의 GEL이 녹으면서 접착력을 높여주게 됨으로써 TPO 복합 방수시트(300)(300')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산화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시공품질을 높이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건식 바탕 조정재(100)(100')를 사용함으로써 한층 향상된 결착력을 구현할 수 있고, TPO 복합 방수시트(300)(300')가 중첩되게 시공되는 다중 실링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시공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부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로서, TPO 복합 방수시트(300)와 섬유보강층 간의 벗김 저항 성능을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으로 시험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동일한 점착성을 적용하였고, 실험예1: TPO 복합 방수시트, 실험예2: 직물합지 + TPO 복합 방수시트, 실험예3: 직물합지 + 코로나 방전 처리된 TPO 복합 방수시트 + 다중보강층으로 실험하였다.
실험수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장성능과 인열성능 등은 실험예1 < 실험예2 = 실험예3 순으로 직물보강이 월등히 우수하고, 벗김저항 성능은 실험예1,2는 품질기준이 미달되었으나 실험예3은 기준치를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건식 바탕 조정재
110: 조정판 120: 격벽
130: 통공
200: 고정부
210: 고정홀 220: 칼블럭
230: 고정판재 240: 고정볼트
300: TPO 복합 방수시트
310: 상부시트 320: 섬유보강층
330: 베이스접착층 340: 융착면
350: 실링접합면

Claims (11)

  1.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수지(TPO; Thermoplastic Polyolefin)가 주성분인 상부시트(310);
    상기 상부시트(3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섬유보강층(320);
    상기 섬유보강층(320)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점착층(330);
    상기 베이스점착층(330)의 일측 가장자리 내측으로 점착층이 제외되어 소정폭 단차지게 구비되는 융착면(340);
    상기 베이스점착층(330)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부시트(310) 타측 외부로 소정폭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되는 실링접합면(350);
    상기 베이스접착층(330)의 노출된 표면에 점착층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이형필름(360)이 구성되며,
    상부시트(310)는,
    프로필렌(C3)과 에틸렌(C2)를 메탈로센 중합촉매로 얻어진 변성 코폴리머 45~55 중량부, 블록 코폴리머 25~35 중량부, 탄산칼슘(CaCo3) 15~25 중량부, 분산제 0.5~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Anti UV) 0.6~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1.0 중량부, 이산화타이타늄(Tio2) 1.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부시트(310)의 표면에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표면부착력을 개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섬유보강층(320)은,
    폴리에스터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패브릭으로 제작된 롤 형태의 보강직물로서 수분흡수를 방지하도록 발수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점착층(330)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50 중량부, 아스팔트 개질제인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5~1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3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충진제 10~30 중량부,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에서 폴리아로메틱 계열의 성분을 제거하여 인화점을 낮춘 저인화점 오일 5~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5. 일정 규격으로 형성되어 바탕면(C)에 전·후, 좌·우로 연속 배열되는 육각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100);
    '+'자로 밀착되는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네 모서리 부분을 바탕면(C)에 고정하고,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면에 접착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부시트(310) 상면의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를 바탕면(C)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0);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수지(TPO; Thermoplastic Polyolefin)가 주성분인 상부시트(310)와, 상기 상부시트(3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섬유보강층(320)과, 상기 섬유보강층(320)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점착층(330)과, 상기 베이스점착층(330)의 일측 가장자리 내측으로 점착층이 제외되어 소정폭 단차지게 구비되는 융착면(340)과, 상기 베이스점착층(330)의 타측 가장자리가 상부시트(310) 타측 외부로 소정폭 노출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되는 실링접합면(350)으로 이루어져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부에 고정부(200)가 복개되도록 중첩되게 접착되는 TPO 복합 방수시트(300)(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면에 어느 하나의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접착하여 고정부(200)를 복개시키고,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 다른 하나의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타측 가장자리 바닥면을 중첩하여 융착면(340)의 상부를 열융착수단으로 가열하고,
    상기 상부시트(310)는,
    프로필렌(C3)과 에틸렌(C2)를 메탈로센 중합촉매로 얻어진 변성 코폴리머 45~55 중량부, 블록 코폴리머 25~35 중량부, 탄산칼슘(CaCo3) 15~25 중량부, 분산제 0.5~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Anti UV) 0.6~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1.0 중량부, 이산화타이타늄(Tio2) 1.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부시트(310)의 표면에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표면부착력을 개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건식 바탕 조정재(100)는,
    PE 재질의 육각 셀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정 규격으로 절단되는 조정판(110);
    상기 조정판(110)에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격벽(120);
    상기 격벽(120)과 격벽(120) 사이에 형성되는 통공(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고정부(200)는,
    상기 바탕면(C)에 형성되는 고정홀(210);
    상기 고정홀(210)에 삽입되는 칼블럭(220);
    상기 건식 조정 바탕재(100)의 네 모서리 또는 베이스점착층(330)이 단차지게 노출된 상부시트(310)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밀착고정되고, 강성을 높이기 위해 다단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관통공(231)이 관통형성되는 금속화스너(230);
    상기 금속화스너(230)를 통해 칼블럭(220)으로 체결되어 건식 조정 바탕재(100) 또는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섬유보강층(320)은,
    폴리에스터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패브릭으로 제작된 롤 형태의 보강직물로서 수분흡수를 방지하도록 발수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베이스점착층(330)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50 중량부, 아스팔트 개질제인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5~10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30 중량부, 탄산칼슘(CaCo3) 충진제 10~30 중량부,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에서 폴리아로메틱 계열의 성분을 제거하여 인화점을 낮춘 저인화점 오일 5~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조립구조.
  11. 바탕면(C)의 표면을 정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육각 셀 구조의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바탕면(C)에 전·후, 좌·우로 연속 배열하는 단계;
    '+'자로 밀착된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네 모서리 부분의 상부에 고정부(200)의 금속화스너(230)를 위치시킨 후, 금속화스너(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을 통해 칼블럭(220)으로 고정볼트(240)를 체결하여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바탕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상면에 건식 바탕 조정재(100)를 고정한 고정부(200)가 복개되도록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덮어 접합하는 단계;
    상기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부시트(31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부(200)의 금속화스너(230)를 위치시키되, 상기 상부시트(310)는 프로필렌(C3)과 에틸렌(C2)를 메탈로센 중합촉매로 얻어진 변성 코폴리머 45~55 중량부, 블록 코폴리머 25~35 중량부, 탄산칼슘(CaCo3) 15~25 중량부, 분산제 0.5~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Anti UV) 0.6~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5~1.0 중량부, 이산화타이타늄(Tio2) 1.5~2.0 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표면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부시트(310)의 표면에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표면부착력을 개질하고, 금속화스너(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을 통해 칼블럭(220)으로 고정볼트(240)를 체결하여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건식 바탕 조정재(100)와 바탕면(C)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를 접착시키되, TPO 복합 방수시트(300)를 고정시킨 고정부(200)가 복개되도록 덮으면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의 타측 가장자리 바닥면을 중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선 시공된 TPO 복합 방수시트(300)의 상부시트(310)와, 연이어서 시공된 다른 하나의 방수시트(300')의 융착면(340)이 위치한 상부시트(310)를 동시에 열풍가열하게 되면, 베이스점착층(330)이 녹음과 동시에 건식 바탕 조정재(100)의 통공(130)을 메워 접착되면서 TPO 복합 방수시트(300)(300')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PO 복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20200144071A 2020-11-02 2020-11-02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5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71A KR102457054B1 (ko) 2020-11-02 2020-11-02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71A KR102457054B1 (ko) 2020-11-02 2020-11-02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568A KR20220060568A (ko) 2022-05-12
KR102457054B1 true KR102457054B1 (ko) 2022-10-25

Family

ID=8159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71A KR102457054B1 (ko) 2020-11-02 2020-11-02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0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43Y1 (ko) * 2007-07-12 2007-10-2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콘크리트수조의 방수시트 고정장치
KR101744766B1 (ko) * 2016-06-22 2017-06-09 유한회사 금영토건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963659B1 (ko) * 2018-08-23 2019-03-29 주식회사 한경희멤브레인 강판과 pvc 시트가 합지된 방수시트 및 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166B1 (ko) * 2004-10-11 2006-08-17 주식회사 젠트로 방수시트 및 이를 구비한 물접촉 구조체
KR101202767B1 (ko) 2012-06-27 2012-11-19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열가소성 접착 증강제 및 그 제조방법, 열가소성 접착 증강제가 코팅된 써머플라스틱 올레핀(tpo)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015359B1 (ko) * 2017-10-23 2019-08-28 윤종구 발수 및 변형 강화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방법
KR102082921B1 (ko) 2019-04-08 2020-04-27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방근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043Y1 (ko) * 2007-07-12 2007-10-29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콘크리트수조의 방수시트 고정장치
KR101744766B1 (ko) * 2016-06-22 2017-06-09 유한회사 금영토건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963659B1 (ko) * 2018-08-23 2019-03-29 주식회사 한경희멤브레인 강판과 pvc 시트가 합지된 방수시트 및 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568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532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US7776177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roofing membrane
US8709565B2 (en) Pre-primed roofing membrane
US10857759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JP2001521840A (ja) 構造物表面用密閉シ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並びに適用方法
US20240051255A1 (en) Roofing Underlayment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KR102238477B1 (ko) Tpo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조립구조
US10988933B2 (en) Flashing assemblies prepared with liquid flashing compositions
US6904731B2 (en) Application of a membrane roof cover system having a polyester foam layer
KR102457054B1 (ko) Tpo 복합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A2670548A1 (en) Tpo roofing membrane fastening system and method
JP2005090161A (ja)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1618555B1 (ko) 수밀성 방수시트
JP2006125182A (ja) 改修用防水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改修構造
US20200217063A1 (en) Wall/Roof Constru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JP2007198121A (ja) シート防水改修方法およびシート防水改修構造
US20240102288A1 (en) Cup-resistant roof coverboard panels
US93346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shingles to a roof
JPH0228048Y2 (ko)
JPH08209863A (ja) 折版屋根上の断熱防水構造及び断熱防水施工方法
JPH03190730A (ja) 防水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工法
JP2008106599A (ja) 水切り部材及び防水シート端部の固定構造
JP2002174008A (ja) 防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