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766B1 - 롤투롤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롤투롤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766B1
KR102454766B1 KR1020170139496A KR20170139496A KR102454766B1 KR 102454766 B1 KR102454766 B1 KR 102454766B1 KR 1020170139496 A KR1020170139496 A KR 1020170139496A KR 20170139496 A KR20170139496 A KR 20170139496A KR 102454766 B1 KR102454766 B1 KR 10245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eb
cleaning apparatus
removal modul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202A (ko
Inventor
한규석
서영호
안중용
조용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766B1/ko
Priority to PCT/KR2018/012697 priority patent/WO2019083296A1/ko
Publication of KR2019004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투롤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는, 웹을 이송하는 롤링형 드럼과, 롤링형 드럼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형 드럼과, 고정형 드럼 상에 형성되는 갭 스페이서와, 갭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웹 상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효율적인 웹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롤투롤 세정장치{Roll to roll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롤투롤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웹 세정이 가능한 롤투롤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투롤(roll to roll) 세정장치는, 롤과 롤 사이에서 제공되는 웹을 세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롤투롤 세정장치는, 공기를 이용하는 건식 롤투롤 세정장치와, 액체를 이용하는 습식 롤투롤 세정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건식 롤투롤 세정장치의 경우, 방출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 구현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균일하게 파티클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건식 롤투롤 세정장치의 경우, 헤드와 웹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사용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야 하므로, 이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흡입 유닛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웹 세정이 가능한 롤투롤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 토출에 의한 기류 확산을 방지하고, 파티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롤투롤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는, 웹을 이송하는 롤링형 드럼과, 롤링형 드럼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형 드럼과, 고정형 드럼 상에 형성되는 갭 스페이서와, 갭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웹 상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이송 중인 웹으로부터의 파티클을 석션하는 석션 유닛과, 석션 유닛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온 토출 유로를 구비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을 포함하며, 이온 토출 유로는, 석션 유닛의 개구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는, 웹을 이송하는 롤링형 드럼과, 롤링형 드럼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형 드럼과, 고정형 드럼 상에 형성되는 갭 스페이서와, 갭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웹 상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인 웹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파티클 제거 모듈이, 갭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롤링형 드럼을 통해 이송되는 웹의 파티클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방출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형 드럼은 가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웹의 파티클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정전기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웹의 파티클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파티클 제거 모듈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웹으로부터의 파티클을 석션하는 석션 유닛과, 석션 유닛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온 토출 유로를 포함하며, 이온 토출 유로는, 상기 석션 유닛의 개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온 토출에 의한 기류 확산을 방지하고, 파티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이송 중인 웹으로부터의 파티클을 석션하는 석션 유닛과, 석션 유닛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온 토출 유로를 구비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을 포함하며, 이온 토출 유로는, 석션 유닛의 개구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이온 토출에 의한 기류 확산을 방지하고, 파티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송 중인 웹의 제2 면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제2 파티클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웹의 양면의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투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투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의 롤투롤 장치(10)는, 웹(FMaa)을 이송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RO1, RO2), 그리고, 웹(FMaa) 상에 불순물인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기 위한 파티클 제거 모듈(Particle Suction Module; PSM)(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롤투롤 장치(10) 내의 파티클 제거 모듈(PSM)(20)은, 복수의 롤(RO1, RO2) 상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파티클 제거 모듈(PSM)(20)과 웹(FMaa) 상의 간격이 넓을수록, 사용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야 하므로, 이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흡입 유닛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파티클 제거 모듈(PSM)(20)과 웹(FMaa)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지 않으며, 도면과 같이, 제1 롤(Ro1) 부근에서의 파티클 제거 모듈(PSM)(20)과 웹(FMaa) 사이의 간격은 Da이고, 제2 롤(Ro2) 부근에서의 파티클 제거 모듈(PSM)(20)과 웹(FMaa) 사이의 간격은 Db로서,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웹 세정이 가능한 롤투롤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특히,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100)는, 웹(FM)을 이송하는 롤링형 드럼(130)과, 롤링형 드럼(1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형 드럼(135a,135b)과, 고정형 드럼(135a,135b) 상에 형성되는 갭 스페이서(127a,127b)와, 갭 스페이서(127a,127b) 상에 형성되며,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웹(FM) 상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120)을 포함함으로써, 효율적인 웹(FM)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파티클 제거 모듈(120)이, 갭 스페이서(127a,127b) 상에 형성되며,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D1)으로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과 달리, 롤링형 드럼(130)을 통해 이송되는 웹(FM)의 파티클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방출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링형 드럼(130)은, 일방향 회전하며, 회전하지 않는 고정형 드럼(135a,135b)과는 베어링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하지 않는 고정형 드럼(135a,135b) 상에, 갭 스페이서(127a,127b)를 형성함으로써, 파티클 제거 모듈(120)이,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D1)으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파티클 제거 모듈(120)과, 롤링형 드럼(130) 사이에 일정한 공극(air gap)(125)이 형성되며, 일정하게 형성된 공극(125) 사이에, 웹(FMa)이 이송되게 된다.
한편, 파티클 제거 모듈(120)은, 공기(예를 들어, N2)를 방출하는 공기 방출구(미도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하며, 방출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조절하여, 웹(FMa) 상의 불술물인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도 2의 롤투롤 세정장치(100)는, 건식 파티클 제거 모듈(120)을 구비함으로써, 웹(FMa) 상의 불술물인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한편, 롤링형 드럼(130)은, 일방향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웹(FM)을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FM) 상의 불순물인 파티클의 분리가 더 용이하게 되어, 결국, 파티클 제거 모듈(120)을 통해,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롤링형 드럼(130)의 외주에 대응하는 영역이,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이 되도록,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티클 제거 모듈(120)이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D1)으로 이격되게 된다.
한편, 일정 간격(D1)은, 공정 조건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대략 수 u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웹(FMa)은 필름 또는 기판일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필름 또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필름 또는 플랙서블 기판은, 플렉서블 이동 단말기,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 상에 부착 가능하다.
한편, 롤투롤 세정장치(100)를 통한 파티클 제거한 후에, 바로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롤투롤 세정장치(100) 주변에, 바로 증착 모듈(미도시)이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 또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웹이 증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FM)은, 롤링형 드럼(130)에 접촉되어, 이송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의 롤투롤 세정장치(100b)는, 도 2의 롤투롤 세정장치(100)와 유사하나,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정전기 제거 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정전기 제거 모듈(150)은, 이오나이저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온을 방출하는 공기 방출구(미도시), 이온울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FMa) 상의 불술물인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b의 롤투롤 세정장치(100c)는, 도 2의 롤투롤 세정장치(100)와 유사하나, 롤링형 드럼(130)의 중심 위치 조정을 통해, 웹(FMb)과 파티클 제거 모듈(120) 사이의 간격(125b)이, 웹 이송 방향에 따라 가변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다음, 도 4c의 롤투롤 세정장치(100d)는, 도 2의 롤투롤 세정장치(100)와 유사하나, 롤링형 드럼(130) 대신에 에어 롤러(130b)가 사용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에어 롤러(130b)는, 에어 방출구(미도시), 에어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FMc)은, 에어 롤러(130b)에 접촉되지 않고, 에어 롤러(130b)과 파티클 제거 모듈(120) 사이에 이격되어,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4c와 유사하게, 에어 롤러(130b) 대신에 롤링형 드럼(130)이 사용되는 경우, 웹(FMc)이, 롤링형 드럼(130)에 접촉되지 않고, 롤링형 드럼(130)과 파티클 제거 모듈(120) 사이에 이격되어, 이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의 롤투롤 세정장치(200)는,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을 구비할 수 있으며,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은, 케이스(CS)와, 케이스(CS) 내에 형성되며, 웹(FM)으로부터의 파티클을 석션하는 석션 유닛(SU)과, 석션 유닛(SU)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온 토출 유로(Lta,Ltb)를 포함하며, 이온 토출 유로(Lta,Ltb)는, 상기 석션 유닛(SU)의 개구(INH)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온 토출에 의한 기류 확산을 방지하고, 파티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CS) 내에 중앙 영역에, 석션 유닛(SU)이 형성되며, 석션 유닛(SU)의 양 측에, 이온 토출 유로(Lta,Lt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온 토출 유로(Lta,Ltb)는, 도면과 같이, 석션 유닛(SU)의 개구(INH)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온 토출 유로(Lta,Ltb)는, 석션 유닛(SU)의 개구(INH) 방향 또는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의 개구(OP) 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석션 유닛(SU)의 개구(INH) 방향 또는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의 개구(OP) 방향으로, 이온(IONa,IONb)이 효율적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의 개구(OP)는, 케이스(CS) 중 이온 토출 유로(Lta,Ltb)의 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개구(OP)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이온 토출 유로(Lta,Ltb)의 단면이 가변되며, 특히, 석션 유닛(SU)의 개구(INH) 방향에서의 단면(Pc,Pf)의 크기가, 굴곡이 시작되는 부분의 단면(Pd,Pe) 보다 큰 것을 예시한다.
한편, 석션 유닛(SU)의 단부에도 개구(INH)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CS) 중 이온 토출 유로(Lta,Ltb)의 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OP)의 크기는, 석션 유닛(SU)에 형성된 개구(INH)의 크기 보다 크며, 이온 토출 유로(Lta,Ltb)의 크기가, 석션 유닛(SU)에 형성된 개구(INH)의 크기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온 토출 유로(Lta,Ltb)에서 토촐되는 이온이, 이온 토출 유로(Lta,Ltb)의 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OP)로 출력되어, 웹(FM1)의 표면으로 출력되며, 웹(FM1)의 표면의 파티클이, 석션 유닛(SU)에 형성된 개구(INH)를 통해, 흡입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웹(FM1)의 표면의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석션 유닛(SU)의 석션 속도가, 이온 토출 유로(Lta,Ltb)를 통해 토출되는 이온의 속도 보다 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웹(FM1)의 표면의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와 달리, 파티클 제거 모듈(120a)에서 케이스(CS)가 없는 경우, 웹(FM1)의 표면의 파티클이 사방으로 퍼져나가, 석션 유닛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파티클 제거가 수행되지 못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b는 도 5의 파티클 제거 모듈(120a)에서 케이스(CS)가 있는 경우로서, 웹(FM1)의 표면의 파티클이 케이스(CS) 안에 모여, 석션 유닛(SU)을 통해 안정적으로 파티클 제거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의 롤투롤 세정장치(200b)는, 웹(FM2)의 제1 면의 파티클 제거를 위한 제1 파티클 제거 모듈(120a)과, 웹(FM2)의 제2면의 파티클 제거를 위한 제2 파티클 제거 모듈(120b)을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제1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은, 도 5에 도시된 파티클 제거 모듈(120a)과 유사하게, 케이스(CSa)와, 케이스(CSa) 내에 형성되며, 웹(FM2)으로부터의 파티클을 석션하는 석션 유닛(SUa)과, 석션 유닛(SUa)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온 토출 유로(Ltaa,Ltba)를 포함하며, 이온 토출 유로(Ltaa,Ltba)는, 상기 석션 유닛(SUa)의 개구(INHa)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온 토출에 의한 기류 확산을 방지하고, 파티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파티클 제거 모듈(120b)은, 케이스(CSb)와, 케이스(CSb) 내에 형성되며, 웹(FM2)으로부터의 파티클을 석션하는 석션 유닛(SUb)과, 석션 유닛(SUb)의 양 측에 형성되는 이온 토출 유로(Ltab,Ltbb)를 포함하며, 이온 토출 유로(Ltab,Ltbb)는, 상기 석션 유닛(SUb)의 개구(INHb)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온 토출에 의한 기류 확산을 방지하고, 파티클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의 롤투롤 세정장치(200c)는, 도 4a의 롤투롤 세정장치(100b)와 유사하나, 파티클 제거 모듈(120) 대신에, 도 5의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이 사용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한편, 도 8a의 롤투롤 세정장치(200c)는, 롤링형 드럼(130)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정전기 제거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 제거 모듈(150)은, 이오나이저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온을 방출하는 공기 방출구(미도시), 이온울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FMa) 상의 불술물인 파티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8b의 롤투롤 세정장치(200d)는, 도 4b의 롤투롤 세정장치(100c)와 유사하나, 파티클 제거 모듈(120) 대신에, 도 5의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이 사용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8b의 롤투롤 세정장치(200d)는, 롤링형 드럼(130)의 중심 위치 조정을 통해, 웹(FMb)과 파티클 제거 모듈(120a) 사이의 간격(125b)이, 웹 이송 방향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다음, 도 8c의 롤투롤 세정장치(200e)는, 도 4c의 롤투롤 세정장치(100d)와 유사하나, 파티클 제거 모듈(120) 대신에, 도 5의 파티클 제거 모듈(120a)이 사용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8c의 롤투롤 세정장치(200e)는, 롤링형 드럼(130) 대신에 에어 롤러(130b)가 사용될 수 있다.
에어 롤러(130b)는, 에어 방출구(미도시), 에어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FMc)은, 에어 롤러(130b)에 접촉되지 않고, 에어 롤러(130b)과 파티클 제거 모듈(120a) 사이에 이격되어,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8c와 유사하게, 에어 롤러(130b) 대신에 롤링형 드럼(130)이 사용되는 경우, 웹(FMc)이, 롤링형 드럼(130)에 접촉되지 않고, 롤링형 드럼(130)과 파티클 제거 모듈(120a) 사이에 이격되어, 이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투롤 세정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롤투롤 세정장치의 동작방법은 롤투롤 세정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웹을 이송하는 롤링형 드럼;
    상기 롤링형 드럼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형 드럼;
    상기 고정형 드럼 상에 형성되는 갭 스페이서;
    상기 갭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웹 상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파티클 제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제거 모듈은, 건식 파티클 제거 모듈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형 드럼은, 일방향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상기 웹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제거 모듈은,
    원형의 상기 롤링형 드럼의 외주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이 되도록,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형 드럼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정전기 제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상기 롤링형 드럼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상기 롤링형 드럼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롤링형 드럼과 상기 파티클 제거 모듈 사이에 이격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투롤 세정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39496A 2017-10-25 2017-10-25 롤투롤 세정장치 KR10245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96A KR102454766B1 (ko) 2017-10-25 2017-10-25 롤투롤 세정장치
PCT/KR2018/012697 WO2019083296A1 (ko) 2017-10-25 2018-10-25 롤투롤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96A KR102454766B1 (ko) 2017-10-25 2017-10-25 롤투롤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202A KR20190046202A (ko) 2019-05-07
KR102454766B1 true KR102454766B1 (ko) 2022-10-13

Family

ID=6624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96A KR102454766B1 (ko) 2017-10-25 2017-10-25 롤투롤 세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4766B1 (ko)
WO (1) WO201908329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135A (ja) 2000-09-25 2002-04-05 Ricoh Co Ltd 帯電ローラ、帯電装置、担持体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帯電ローラの製造方法
JP2002251055A (ja) 2001-02-23 2002-09-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64823A (ja) 2005-03-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ウェブ巻取装置及びスペー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753U (ko) * 1999-04-20 2000-11-25 김영환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러빙 장치
KR100815990B1 (ko) * 2006-12-18 2008-03-24 이규환 섬유원단가공용 회전식 진공흡입롤러
JP5019287B2 (ja) * 2007-04-27 2012-09-05 Bellmatic株式会社 フィルム状物の表面処理装置
KR101098984B1 (ko) * 2009-12-03 2011-12-2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KR101791197B1 (ko) * 2011-05-27 2017-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건식 세정 장치
KR101535472B1 (ko) * 2015-02-16 2015-07-14 조종수 초박막 열확산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135A (ja) 2000-09-25 2002-04-05 Ricoh Co Ltd 帯電ローラ、帯電装置、担持体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帯電ローラの製造方法
JP2002251055A (ja) 2001-02-23 2002-09-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64823A (ja) 2005-03-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ウェブ巻取装置及びスペー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296A1 (ko) 2019-05-02
KR20190046202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7352B2 (ja) 基板搬送装置
TWI285136B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JP5427736B2 (ja) 巻取紙駆動型負圧移送
KR102252983B1 (ko) 레이저 노칭기의 스크랩 배출 컨베이어 및 스크랩 배출방법
KR102454766B1 (ko) 롤투롤 세정장치
JP2007301442A (ja) 粉塵除去装置
KR102576893B1 (ko) 종이 말림에 대해 강건한 모듈들 사이에서의 매체 취급
EP2103357B1 (en) Curtain coating apparatus and curtain coating method
WO2014136512A1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43811A (ja) プリント回路板のスプレー処理装置
KR102018271B1 (ko) 균일한 에칭 환경 조성을 위한 에칭 장치
KR102152491B1 (ko) 에어 나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분진 제거 장치
JP2013108702A (ja) 電極シートの乾燥装置
JP4952115B2 (ja) 液体除去装置およびウェブ処理装置
WO2014147874A1 (ja) 気流発生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321641B (ko)
US9511608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TW535195B (en) A carrying-typed device for treating substrate
KR102075263B1 (ko) 집진장치
JP2001038880A (ja) ダンボール紙印刷機用除塵装置
JP2005262088A (ja) 支持体表面の防塵方法及び装置
KR102044243B1 (ko) 기재 표면의 물기 제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기재 표면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
JP2017164676A (ja) 異物除去装置
JPH0943826A (ja) 感光材料乾燥装置
KR20170024447A (ko) 필름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