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101B1 -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101B1
KR102453101B1 KR1020210096240A KR20210096240A KR102453101B1 KR 102453101 B1 KR102453101 B1 KR 102453101B1 KR 1020210096240 A KR1020210096240 A KR 1020210096240A KR 20210096240 A KR20210096240 A KR 20210096240A KR 102453101 B1 KR102453101 B1 KR 10245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pared
rice
rice bran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하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하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하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 혼합 추출액, 무 혼합 추출액, 양배추 발효액, 서리태 분쇄물, 우엉, 고구마, 감자, 해조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마란스 및 차전자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밥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composition using rice water for increasing health}
본 발명은 (1) 미강을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에 무를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를 첨가하여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에 양배추를 첨가하여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과 서리태 분쇄물, 우엉, 고구마, 감자, 해조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마란스 및 차전자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밥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식생활이 향상되고 고급화되면서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한층 고조되어 우리의 쌀밥에 대한 관심도 더욱 고조되어 통상적인 쌀밥에서 벗어나 맛과 영양이 향상된 영양밥을 선호하게 되었다.
그런데, 통상적인 쌀밥은 100 g에 열량이 148 kcal, 수분 65%, 당질 31.7%, 단백질 26%, 지질 0.5%, 섬유질 0.1%, 회분 0.1%이며 무기질 중에는 인과 칼륨이 가장 많이 들어있고 비타민 B군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쌀밥은 맛은 좋으나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B 복합체,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등의 무기질 결핍으로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고, 장기간 쌀밥만을 섭취하게 되면 영양분의 불균형으로 건강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대 수명이 증가하면서 급속한 인구 고령화 시대에 고령자들이 섭식장애 및 생리적 기능 저하로 건강 유지에 불편을 겪는 것을 줄이고 식사 및 소화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쌀밥 취반 시 웰빙, 편의, 건강까지 모두 갖춘 밥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고령친화식품 한국산업표준(KS) 품질기준의 영양성분은 단백질 6 g/100 g 이상, 비타민 A 75 ㎍ RAE /100 g 이상, 비타민 C 10 mg/100 g 이상, 비타민 D 1.5 ㎍/100 g 이상, 리보플라빈 0.15 mg/100 g 이상, 나이아신 1.6 mg NE/100 g 이상, 칼슘 80 mg/100 g 이상, 칼륨 0.35 g/100 g 이상, 식이섬유 2.5 g/100 g 이상 등의 영양성분 중 3종 이상의 제품 100 g당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으로 10% 이상이 되도록 원료 식품을 조합하거나 영양성분을 첨가하여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628650호에는 밥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밥물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272568호에는 밥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쌀밥의 영양성분과 식감 및 맛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밥물을 제조하기 위해, 부재료 선정, 재료 전처리 및 배합비 등의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영양성분이 부족한 쌀밥의 영양소를 개선시키면서 밥맛도 좋아지고 찰기와 식감이 우수한 밥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미강을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에 무를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를 첨가하여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에 양배추를 첨가하여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과 서리태 분쇄물, 우엉, 고구마, 감자, 해조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마란스 및 차전자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밥물을 제공한다.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된 본 발명의 밥물로 쌀밥을 취반함으로써, 쌀밥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어 영양이 풍부하며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취반시 간편하게 즉석에서 쌀과 함께 넣어 밥을 짓게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여 용이하게 영양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미강을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에 무를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를 첨가하여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에 양배추를 첨가하여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과 서리태 분쇄물, 우엉, 고구마, 감자, 해조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마란스 및 차전자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볶은 미강은 바람직하게는 미강을 130~150℃에서 4~6분 동안 볶아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강을 140℃에서 5분 동안 볶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볶은 팥은 바람직하게는 팥을 190~210℃에서 8~12분 동안 볶아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팥을 200℃에서 10분 동안 볶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단계의 미강 혼합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물 0.8~1.2 L에 볶은 미강 27~33 g 및 볶은 팥 18~22 g을 넣고 90~11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1 L에 볶은 미강 30 g 및 볶은 팥 20 g을 넣고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4)단계의 무 혼합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물 0.8~1.2 L에 무 45~55 g을 넣고 90~110℃에서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27~33 g을 첨가하여 20~30℃에서 2~4시간 동안 우려내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1 L에 무 50 g을 넣고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30 g을 첨가하여 25℃에서 3시간 동안 우려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5)단계의 양배추 발효액은 바람직하게는 엿기름 물 2~3 L에 양배추 400~600 g을 첨가하여 50~6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엿기름 물 2.5 L에 양배추 500 g을 첨가하여 55℃에서 5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6)단계의 밥물은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미강 혼합 추출액 42~48 중량%, 무 혼합 추출액 18~22 중량%, 양배추 발효액 4~6 중량%, 서리태 분쇄물 7~9 중량%, 우엉 4~6 중량%, 고구마 4~6 중량%, 감자 4~6 중량%, 해조칼슘 0.2~0.4 중량%, 칼륨 0.2~0.4 중량%, 마그네슘 0.3~0.5 중량%, 아마란스 2.5~3.5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2.5~3.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미강 혼합 추출액 45 중량%, 무 혼합 추출액 20 중량%, 양배추 발효액 5 중량%, 서리태 분쇄물 8 중량%, 우엉 5 중량%, 고구마 5 중량%, 감자 5 중량%, 해조칼슘 0.3 중량%, 칼륨 0.3 중량%, 마그네슘 0.4 중량%, 아마란스 3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3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밥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미강을 130~150℃에서 4~6분 동안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190~210℃에서 8~12분 동안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 0.8~1.2 L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27~33 g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 18~22 g을 넣고 90~11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 0.8~1.2 L에 무 45~55 g을 넣고 90~110℃에서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27~33 g을 첨가하여 20~30℃에서 2~4시간 동안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 2~3 L에 양배추 400~600 g을 첨가하여 50~6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42~48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18~22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 4~6 중량%와 서리태 분쇄물 7~9 중량%, 우엉 4~6 중량%, 고구마 4~6 중량%, 감자 4~6 중량%, 해조칼슘 0.2~0.4 중량%, 칼륨 0.2~0.4 중량%, 마그네슘 0.3~0.5 중량%, 아마란스 2.5~3.5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2.5~3.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미강을 140℃에서 5분 동안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200℃에서 10분 동안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 1 L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30 g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 20 g을 넣고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 1 L에 무 50 g을 넣고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30 g을 첨가하여 25℃에서 3시간 동안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 2.5 L에 양배추 500 g을 첨가하여 55℃에서 5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45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20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 5 중량%와 서리태 분쇄물 8 중량%, 우엉 5 중량%, 고구마 5 중량%, 감자 5 중량%, 해조칼슘 0.3 중량%, 칼륨 0.3 중량%, 마그네슘 0.4 중량%, 아마란스 3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3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밥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밥물
(1) 서리태를 분쇄하여 서리태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2) 미강을 140℃에서 5분 동안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였다.
(3) 팥을 200℃에서 10분 동안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였다.
(4) 정제수 1 L에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30 g 및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 20 g을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5) 정제수 1 L에 무 50 g을 넣고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25℃로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30 g을 첨가하여 25℃에서 3시간 동안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6) 엿기름 물(물 2 L에 엿기름 500 g을 혼합)에 채썬 양배추 500 g을 첨가하여 55℃에서 5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7) 1×1×1 mm의 크기로 잘게 깍둑썰기한 우엉, 고구마 및 감자를 각각 준비하였다.
(8)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45 중량%, 상기 (5)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20 중량%,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 5 중량%,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서리태 분쇄물 8 중량%, 상기 (7)단계의 준비한 우엉 5 중량%, 고구마 5 중량% 및 감자 5 중량%와 해조칼슘 0.3 중량%, 칼륨 0.3 중량%, 마그네슘 0.4 중량%, 아마란스 3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3 중량%을 혼합하여 밥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밥물
(1) 서리태를 분쇄하여 서리태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2) 정제수 1 L에 미강 30 g 및 팥 20 g을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정제수 1 L에 무 50 g을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25℃로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30 g을 첨가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4) 양배추 500 g에 정제수 2 L를 첨가하여 10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5) 1×1×1 mm의 크기로 잘게 깍둑썰기한 우엉, 고구마 및 감자를 각각 준비하였다.
(6)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45 중량%,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20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 5 중량%,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서리태 분쇄물 8 중량%, 상기 (5)단계의 준비한 우엉 5 중량%, 고구마 5 중량% 및 감자 5 중량%와 해조칼슘 0.3 중량%, 칼륨 0.3 중량%, 마그네슘 0.4 중량%, 아마란스 3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3 중량%을 혼합하여 밥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4. 밥물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밥물을 제조하되, (8)단계의 재료 종류 및 배합비를 달리하여 비교예 2 내지 4의 밥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밥물 배합비(중량%)
재료 종류 제조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미강 혼합 추출액 45 50 - 30
무 혼합 추출액 20 20 60 30
양배추 발효액 5 - 10 2
서리태 분쇄물 8 8 8 13
우엉 5 5 5 3
고구마 5 5 5 8
감자 5 5 5 2
해조칼슘 0.3 0.3 0.3 0.3
칼륨 0.3 0.3 0.3 0.3
마그네슘 0.4 0.4 0.4 0.4
아마란스 3 - 6 1
차전자피 분말 3 6 - 10
실시예 1. 밥물의 세포독성
실험에 사용한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독성 측정은 MTT assay로 측정하였으며, 배양된 세포주를 5×104 cell/well의 농도로 조정하여 96 웰-플레이트에 100 ㎕씩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고, 이후 새로운 배지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 mg/mL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Aldrich Co.) 용액을 각 웰 10 ㎕씩 첨가하고 다시 4시간 동안 배양하여 포르마잔을 형성시켰다. 이후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100 ㎕를 각 웰에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켜 포르마잔을 녹인 후 ELISA 리더(UVM-340, ASYS Co.)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of control)
시료 농도(㎍/mL)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제조예 1 100 110
200 104
300 106
비교예 1 100 104
200 98
300 100
비교예 2 100 105
200 113
300 110
비교예 3 100 104
200 107
300 96
비교예 4 100 98
200 101
300 103
제조예 1과 비교예들의 밥물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는 상기 표 2와 같다. 추출물을 100~300 ㎍/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300 ㎍/mL의 농도까지 유의적인 세포사멸이 나타나지 않아 모든 밥물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밥물의 산화질소(NO) 및 TNF-α 생성량
NO는 면역계에서 외부물질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중요한 신호 전달 물질로 NOS(nitric oxide synthase)의 작용에 의해 L-아르기닌이 L-시트룰린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대부분의 조직세포에 영향을 미쳐 순환기계에서는 혈관 이완 물질로, 중추신경계에서는 신경 전달 물질로, 면역계에서는 방어 물질로 알려져 있다. TNF-α는 인체에 침입한 병원체에 대한 숙주의 방어에 관여하며, 또한 IL-1, IL-6, IFNs과 같은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를 유도함으로써 인체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NO 분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질산 이온(NO2 -)의 농도는 NaNO2를 기준으로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발색정도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ATCC The Global Bioresource CenterTM)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웰 당 1×105씩 분주하고, 각각 300 ㎍/㎖ 농도의 밥물을 처리한 후,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100 ㎕의 세포 배양 상층액에 동량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0.1%(w/v)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 1%(w/v) sulfanilamide in 5%(v/v) phosphoric acid)을 넣고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두었으며, 그 후 울트로스펙 4000 스펙트로포토메터(Pharmacia Biotech사, Uppsala, Sweden)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조건에서 50 ㎕의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염증 매개물질(inflammatory mediator)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ELISA 검사를 실시하였다.
밥물의 산화질소 및 TNF-α 생성량
구분 NO 농도(uM) TNF-α 농도(ng/ml)
음성 대조군 5.0±0.2 7.4±0.1
LPS 처리 26.0±1.2 30.1±0.8
제조예 1 23.1±0.6 26.3±1.1
비교예 1 19.0±1.0 21.1±1.2
비교예 2 17.3±0.8 20.4±1.0
비교예 3 16.2±0.3 19.6±0.7
비교예 4 20.2±0.7 23.2±0.8
그 결과, RAW264.7 세포에서 밥물 처리 시 산화질소(NO) 및 TNF-α 분비를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제조예 1의 밥물 처리 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PS(Lipopolysaccharide) 단독 처리군과 유사한 증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밥물의 관능검사
멥쌀에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예들의 밥물을 첨가하여 밥을 지은 후, 각각 지은 밥을 60세 이상의 관능검사 요원 50명을 대상으로 섭취하게 하고, 향, 맛, 식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4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매우 좋음을 나타나는 5점 기호척도법으로 3 반복한 후 평균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밥물 종류를 달리한 쌀밥의 관능검사
밥물 종류 식감 전반적인 기호도
제조예 1 4.1 4.4 4.2 4.3
비교예 1 3.4 3.6 3.7 3.6
비교예 2 3.3 3.5 3.5 3.4
비교예 3 3.2 3.4 3.4 3.3
비교예 4 3.6 3.7 3.8 3.8
그 결과, 제조예 1의 밥물을 이용한 쌀밥이 향과 맛이 우수하면서 찰기와 식감도 부드러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조예 1의 밥물은 영양성이 우수하면서 고령자의 기호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1) 미강을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에 무를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를 첨가하여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에 양배추를 첨가하여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과 서리태 분쇄물, 우엉, 고구마, 감자, 해조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마란스 및 차전자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의 밥물은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미강 혼합 추출액 42~48 중량%, 무 혼합 추출액 18~22 중량%, 양배추 발효액 4~6 중량%, 서리태 분쇄물 7~9 중량%, 우엉 4~6 중량%, 고구마 4~6 중량%, 감자 4~6 중량%, 해조칼슘 0.2~0.4 중량%, 칼륨 0.2~0.4 중량%, 마그네슘 0.3~0.5 중량%, 아마란스 2.5~3.5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2.5~3.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 미강을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 0.8~1.2 L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27~33 g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 18~22 g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 0.8~1.2 L에 무 45~55 g을 넣고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27~33 g을 첨가하여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 2~3 L에 양배추 400~600 g을 첨가하여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42~48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18~22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 4~6 중량%와 서리태 분쇄물 7~9 중량%, 우엉 4~6 중량%, 고구마 4~6 중량%, 감자 4~6 중량%, 해조칼슘 0.2~0.4 중량%, 칼륨 0.2~0.4 중량%, 마그네슘 0.3~0.5 중량%, 아마란스 2.5~3.5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2.5~3.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1) 미강을 130~150℃에서 4~6분 동안 볶아 볶은 미강을 제조하는 단계;
    (2) 팥을 190~210℃에서 8~12분 동안 볶아 볶은 팥을 제조하는 단계;
    (3) 물 0.8~1.2 L에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볶은 미강 27~33 g 및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볶은 팥 18~22 g을 넣고 90~11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미강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4) 물 0.8~1.2 L에 무 45~55 g을 넣고 90~110℃에서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무 추출액을 식히고, 여기에 다시마 27~33 g을 첨가하여 20~30℃에서 2~4시간 동안 우려내 무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엿기름 물 2~3 L에 양배추 400~600 g을 첨가하여 50~6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양배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밥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3)단계의 제조한 미강 혼합 추출액 42~48 중량%,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무 혼합 추출액 18~22 중량% 및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양배추 발효액 4~6 중량%와 서리태 분쇄물 7~9 중량%, 우엉 4~6 중량%, 고구마 4~6 중량%, 감자 4~6 중량%, 해조칼슘 0.2~0.4 중량%, 칼륨 0.2~0.4 중량%, 마그네슘 0.3~0.5 중량%, 아마란스 2.5~3.5 중량% 및 차전자피 분말 2.5~3.5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밥물.
KR1020210096240A 2021-07-22 2021-07-22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5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240A KR102453101B1 (ko) 2021-07-22 2021-07-22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240A KR102453101B1 (ko) 2021-07-22 2021-07-22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101B1 true KR102453101B1 (ko) 2022-10-12

Family

ID=8359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240A KR102453101B1 (ko) 2021-07-22 2021-07-22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1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416A (ko) * 2008-05-02 2009-11-05 권오석 식품용 물에 불린 검정콩, 검정콩물, 다시마 밥물
KR20130062538A (ko) * 2011-12-05 2013-06-13 정현우 즉석 취반용 영양쌀
KR20130003717U (ko) * 2013-06-03 2013-06-21 김추부 무설탕 단맛식물 우물 쌓기 건강 물
KR20130069897A (ko) * 2011-12-19 2013-06-27 김연구 밥물 첨가물을 이용한 맞춤식 영양 밥 제조방법
KR101628650B1 (ko) * 2015-07-23 2016-06-09 주식회사 정식품 밥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밥물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416A (ko) * 2008-05-02 2009-11-05 권오석 식품용 물에 불린 검정콩, 검정콩물, 다시마 밥물
KR20130062538A (ko) * 2011-12-05 2013-06-13 정현우 즉석 취반용 영양쌀
KR20130069897A (ko) * 2011-12-19 2013-06-27 김연구 밥물 첨가물을 이용한 맞춤식 영양 밥 제조방법
KR20130003717U (ko) * 2013-06-03 2013-06-21 김추부 무설탕 단맛식물 우물 쌓기 건강 물
KR101628650B1 (ko) * 2015-07-23 2016-06-09 주식회사 정식품 밥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밥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1985A (ko) 보리 된장의 제조 방법
KR101959191B1 (ko) 유황현미쌀과 고소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성 죽 제조방법
KR20200090424A (ko) 보리막장의 제조 방법
KR101822515B1 (ko) 아로니아 쿠키의 제조방법
KR102453101B1 (ko) 건강 증진을 위한 밥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923333A (zh) 一种非油炸虫草锅巴及制备方法
KR20150068580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귀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귀리 된장
KR101906246B1 (ko) 산야초 및 아로니아를 이용한 발효 쌀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쌀눈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7638B1 (ko) 대두 및 흑마늘을 이용한 비만예방용 단백질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KR20190083623A (ko) 청국장,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청국장 찌개용 소스 조성물
KR102447194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KR100777622B1 (ko) 항균성이 개선된 구기자함유 고추장
KR101200584B1 (ko) 발효 당침지 검정콩 스낵의 제조방법
KR20010069787A (ko)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102151742B1 (ko) 가바 함량이 증진된 발효미강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바 함량이 증진된 발효미강
JP2008148616A (ja) 食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93857A (ko) 고혈압 환자식용 저염 단호박 고추장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19767A (zh) 一种甜米粥及其制作方法
KR102538922B1 (ko) 막걸리 지게미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지게미 마들렌
KR102243929B1 (ko) 호화미를 이용한 즉석 현미죽의 제조방법
KR20190118800A (ko) 분말 된장찌개 제조방법
KR20030009782A (ko) 기능성 사과 고추장의 제조 방법
KR102452260B1 (ko) 천마를 이용한 어린이용 젤리 음료의 제조방법
KR20190008785A (ko) 복분자를 첨가한 기능성 버섯 발효콩고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