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94B1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94B1
KR102447194B1 KR1020200097380A KR20200097380A KR102447194B1 KR 102447194 B1 KR102447194 B1 KR 102447194B1 KR 1020200097380 A KR1020200097380 A KR 1020200097380A KR 20200097380 A KR20200097380 A KR 20200097380A KR 102447194 B1 KR102447194 B1 KR 10244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aterial mixture
bacillus subtilis
strain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186A (ko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1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 작두콩 및 기타 곡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하는 단계;및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 및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두콩은 식이섬유의 단단한 조직감 때문에 쉽게 섭취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발효 음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두콩 발효 음료는 맛과 향미가 부드럽고 일반인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FERMENTED BEVERAGE OF SWORD BEAN USING BACILLUS SUBTILIS}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 작두콩 및 기타 곡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하는 단계;및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 및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서 6~7월에 꽃이 피고, 8~10월에 꼬투리를 맺어 늦가을에 열매가 익는다. 식용 콩 중에서 제일 큰 콩이며, 그 모양이 작두를 닮았다고 하여 작두콩 혹은 도두(刀豆)라 부르기도 한다. 작두콩에는 urease, hemaglutinine, canavanine, canavalia gibberellin I 과 II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항균, 항암, 항염증,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민간요법에서는 축농증, 치질, 종기 등의 화농성 염증을 다스리는데 사용되어 왔다. 최근의 몇몇 동물 실험은 작두콩의 섭취가 폐경 후의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
작두콩의 주된 항산화 화합물은 gallic acid 유도체로 gallic acid와 그 methyl ester에 더하여 당과 gallic acid가 2분자 및 3분자가 에스테르 결합을 하고 있는 일련의 gallic acid 유도체들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gallic acid와 gallic acid 유도체들은 강력한 항산화제이면서 항암, 함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식품과 음료의 핵심적인 역할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기대 수명과 의료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질 높은 삶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건강에 도움을 주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 식이요법과는 별도로 건강 기능 강조표시가 제시되어 있는 식품 품목은 'Functional Food'라 불리우며, 전통적인 식품과 의약품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여러 카테고리 중에서도 특히 음료 군이 가장 활발하게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작두콩에 대한 생산량이나 소비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는 실정이며, 주로 입에서 입으로 소비와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작두콩의 우수한 기능성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작두콩을 발효시켜 개발한 "진화 851 구복액"이라는 음료가 건강보조제로 국내에 소개된 적이 있고, 일본에서는 작두콩에 질경이, 율무, 산치자, 예덕나무를 배합해 만든 건강차인 "도두파워"가 제품으로 판매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작두콩이 암, 염증, 만성신장염과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외에도 항산화, 항균작용 및 항당뇨 등에도 효능이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2398호
본 발명은 주재료인 작두콩과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진 곡류(흑미, 보리, 귀리)의 재료 배합비 등의 개발과 발효 공정 등 제조공정을 확립하고 이를 통한 발효 작두콩 음료 제조와 제조된 제품의 영양학적 실험을 통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구축하고 기존의 작두콩 음료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이전에" 또는 "이후에" 더 포함될 수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작두콩 및 기타 곡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하는 단계; 및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 및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척 단계는 원료 혼합물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료 혼합물을 청수에 일정시간 침지시킨 후 흐르는 청수로 일정시간 접촉시켜 세척을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하는 단계는 작두콩 및 기타 곡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세척한 후, 원료 혼합물을 찌는 단계를 의미하고, 상기 증자는 원료 혼합물을 익히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기에 넣고 100 ~ 150℃, 바람직하게는 122℃에서 30 ~ 50분, 바람직하게는 40분간 증자한다. 이 경우 상기 온도와 시간은 원료 혼합물이 완전히 익히기 위하여 제조 환경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증자 단계 이후에는 원료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증자된 원료 혼합물을 35℃까지 냉각하며, 이는 온도 조절 없이 바로 발효단계로 넘어가기 위함이다.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균주는 원료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5 wt%로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효는 35 ~ 40℃에서 15 ~ 2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주가 원료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wt% 미만으로 접종되는 경우 원료 혼합물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원료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wt%를 초과하여 접종되는 경우에는 발효물에서 이취가 생성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효 단계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가 접종된 후 15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시간 이상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효 온도 범위는 통상 30 ~ 40℃이며 이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활성이 미약하여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 1) 원료 혼합물을 세척하는 단계 이후에 원료 혼합물을 불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혼합물을 불리는 단계는 물에서 4 ~ 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곡물을 물에 불리면 곡물은 곡물 무게의 2 내지 2.5 배의 물을 흡수하는데, 4시간 보다 적게 불리면 원료 혼합물이 제대로 물을 흡수하지 못하고, 6시간을 넘게 물에 불리면 콩이 더 이상 불지 않고, 물속에 함유된 유해 세균의 번식 우려가 있어 상기 시간 동안 콩을 불리는 것이 좋다.
상기 원료 혼합물을 불리는 단계 이후에 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 이후에 발효 혼합물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에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발효 혼합물의 수분을 제거하고, 추후 첨가되는 물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수분함량은 10% 이하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 단계는 60 ~ 70℃의 온도에서 40 ~ 60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된 발효 혼합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는 건식 밀링 또는 습식 밀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물 이외에 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당은 백설탕, 흑설탕, 황설탕, 과당, 포도당, 올리고당, 유기농 사탕수수 원당 및 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는 발효 혼합물을 분말 20 ~ 40 wt%, 당 5 ~ 20 wt% 및 물 50 ~ 70 wt%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두콩 이외에 혼합되는 기타 곡물은 밀, 밀배아, 밀기울, 백미, 현미, 발아현미, 보리, 귀리, 적미, 흑미, 찹쌀, 미강, 대두, 약콩, 검은콩, 퀴노아, 렌틸콩 및 율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타 곡물은 흑미, 보리, 귀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 혼합물은 작두콩, 흑미, 보리, 귀리일 수 있으며, 원료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작두콩 32 ~ 66 wt%, 흑미 14 ~ 24 wt%, 보리 14 ~ 24 wt%, 귀리 6 ~ 20 wt%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실험예에 따르면, 작두콩이 50 wt%로 혼합되는 경우에 발효 음료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66 wt% 첨가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작두콩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발효 음료의 기호도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작두콩은 원료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32 ~ 50 wt%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흑미와 보리는 원료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20 ~ 24 wt%, 귀리는 원료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10 ~ 20 wt%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나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 방법은 작두콩, 흡미, 보리 및 귀리를 손질하는 단계; 상기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배합된 재료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원료 혼합물을 불리는 단계; 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하는 단계; 냉각 단계; 균주 접종 단계; 발효 단계; 건조 단계; 분쇄 단계; 분쇄물, 꿀 및 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작두콩은 식이섬유의 단단한 조직감 때문에 쉽게 섭취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발효 음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작두콩 발효 음료는 맛과 향미가 부드럽고 일반인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작두콩과 부재료 첨가에 의한 균의 생육활성도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두콩 발효음료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작두콩과 균의 생육 활성도
1. 균주 준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1021) 균주는 한국생물자원센터(KCTC, Jeongeup, Korea)에서 동결건조된 형태로 분양받아 TSB(Tryptic Soy Broth)를 배지로 사용하여 30℃의 진탕배양기에서 150 rpm, 48시간 전배양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2. 작두콩과 부재료 첨가에 의한 균의 생육활성도 측정
작두콩과 작두콩 껍질을 이용하여 발효하는데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재료로 곡물(흑미)을 혼합하여 균의 생육 정도를 측정하였다. 작두콩과 작두콩 껍질을 곱게 갈아서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물에 첨가한 다음, 121℃ 20min 멸균하여 냉각한 후 TSB(Tryptic Soy Broth)에 액체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배양액을 1% 접종하여 35℃ 115rpm으로 24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작두콩 작두콩 껍질 흑미
A 14 wt%
B 7 wt% 8 wt%
C 9.5 wt% 4.5 wt%
D 5 wt% 5.5 wt% 4.5 wt%
도 1을 참고하면, 균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은 작두콩 분말(A)로 발효했을 때이며, 그 다음은 작두콩과 흑미를 혼합(C)했을 때와 작두콩과 작두콩 껍질, 흑미를 혼합(D)했을 때는 균의 생육이 비슷하였으며, 작두콩과 작두콩 껍질 혼합군(B)의 균의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작두콩 발효음료 제조
작두콩 발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흑미, 보리, 귀리를 혼합하여 발효하였으며, 재료 배합비는 [표 2]와 같다. 표에서와 같이 작두콩의 첨가 비율을 혼합물 총 중량 대비 0 wt%(대조구), 32 wt%, 50 wt%, 66 wt%로 달리하여 제조한 작두콩 발효음료 배합 비이다.
작두콩 첨가 비율
0 wt% 32 wt% 50 wt% 66 wt%
작두콩 0 32 50 66
흑 미 40 24 20 14
보 리 40 24 20 14
귀 리 20 20 10 6
총 계 100 100 100 100
상기 원료 혼합물(작두콩, 흑미, 보리 귀리)의 이물질을 골라내어 제거한 후 [표 2]의 배합 비율대로 계량한 후 혼합한다. 배합된 재료를 깨끗이 세척한 후 실온에서 5시간 정도 불린다. 충분히(1시간 정도) 물 빼기를 한 다음 증자기에 넣고 122℃에서 40분간 증자한다. 증자한 원료는 균주를 접종하기 위해 35℃ 정도로 냉각시킨 후 원료 총 중량 대비 약 3 wt% 전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접종한다. 균 접종 후 38℃에서 20시간 발효한다. 발효가 끝나면 65℃에서 48시간 건조한 후 곱게 분쇄한다. 이후 상기 발효 혼합 분쇄물 30 wt%, 꿀 10 wt% 및 물 60 wt%를 혼합하여 작두콩 발효 음료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작두콩 발효음료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1. 수분 함량
수분함량은 적외선 수분측정기(MB45 Moisture Analyzer, OHAU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0 wt% 32 wt% 50 wt% 66 wt%
수분 함량(% w/w) 66.91±0.72 63.32±0.92 63.81±1.38 64.54±1.62
[표 3]을 참고하면, 수분 함량은 작두콩 첨가구보다 대조구가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2. pH 및 산도
pH는 blender로 잘 혼합한 상태의 시료에 pH electrode를 직접 넣어 측정하였다. 적정 산도는 시료 약 1 g을 정확히 달아 희석(100 mL)하여 여과액 20 mL에 0.01N NaOH 용액으로 pH가 8.30이 될 때까지 적정하고 lactic acid(%, w/w)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0 wt% 32 wt% 50 wt% 66 wt%
pH 5.06±0.04 5.09±0.01 5.18±0.00 5.36±0.00
산도(%, /w) 0.05±0.00 0.18±0.00 0.20±0.00 0.23±0.00
[표 4]를 참고하면, 대조구에 비해 작두콩 첨가구의 pH 및 산도가 높았으며, 작두콩 함량이 높을수록 pH, 산도 모두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회분 함량
회분은 AOAC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시료 약 3.0g을 자재도가니에 넣고 550℃에서 회화시킨 뒤 방랭 후 무게를 측정하여 회분 함량을 구하였다.
0 wt% 32 wt% 50 wt% 66 wt%
회분(g/100g) 0.27±0.01 0.62±0.03 0.68±0.02 0.69±0.00
[표 5]를 참고하면, 회분 함량은 작두콩 첨가구가 약 3배가량 높았으며 작두콩 함량이 높을수록 회분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조단백 함량
조단백질 함량은 micro-Kjeldahl법으로 구하였다.
0 wt% 32 wt% 50 wt% 66 wt%
조단백질 2.11±0.02 5.35±0.08 6.14±0.04 6.35±0.07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 회분함량과 마찬가지로 대조구보다 작두콩 첨가구에서 함량이 더 많았으며, 작두콩 함량이 높을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더 많았다.
5. 식이섬유 함량
식이섬유 분석은 AOAC 방법에 의한 효소중량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총 식이섬유(TDF) 함량은 IDF, SDF를 각각 산출하여 두 값을 더하여 산출하였다.
0 wt% 32 wt% 50 wt% 66 wt%
식이섬유 2.10±0.03 4.87±0.08 5.37±0.02 5.75±0.06
식이섬유 함량 또한 회분, 조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대조구보다 작두콩 첨가구에서 많은 함량이 검출되었으며, 작두콩 함량이 높을수록 식이섬유 함량도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6. 관능평가
맛, 향, 색, 먹을 때의 느낌, 전반적인 기호도를 9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평가하며 평가하고자 하는 특성을 최고 9점에서 최저 1점으로 하여 특성이 강할수록 높은 점수를 주는 9점 채점법으로 시행하였다.
Sensory characteristics 0 wt% 작두콩 함량
32 wt% 50 wt% 66 wt%
3.85±2.08 5.35±1.66 5.45±1.57 4.95±1.90
향미 2.55±1.28 5.55±1.15 6.10±1.12 4.70±1.84
4.45±1.61 5.10±1.07 5.60±0.82 3.50±1.32
씹힘성 5.15±1.04 4.90±0.85 5.20±0.41 4.50±1.05
전반적 기호도 4.45±1.88 4.75±1.12 5.35±0.93 3.95±0.94
색(color)의 경우 작두콩 50 wt% 첨가 시료가 5.45±1.57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다음으로 32 wt% 첨가 시료(5.35±1.66), 66 wt% 첨가 시료(4.95±1.90), 대조구 시료(3.85±2.08)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구는 작두콩 첨가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묽고 연하여 기호도가 낮았다.
향미(Flavor)의 경우 작두콩 50 wt% 첨가 시료가 6.10±1.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2 wt% 첨가 시료(5.55±1.15), 66 wt% 첨가 시료(4.70±1.84), 대조구 시료(2.55±1.28) 순으로 나타났다. 작두콩을 넣었을 때 기호도가 더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조구에 비해 작두콩 첨가구가 고소한 향이 강해 점수를 높게 주었다는 패널들의 의견이 있었다.
맛(taste)은 작두콩 50 wt% 첨가 시료가 5.60±0.82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다음으로 32 wt% 첨가 시료(5.10±1.07), 대조구 시료(4.45±1.61) 그리고 66 wt% 첨가시료(3.50±1.32) 순으로 나타났다. 앞선 두 항목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맛에서는 작두콩 첨가 66 wt%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작두콩 함량이 많아 텁텁한 맛이 느껴져 기호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사료된다.
씹힘성(Chewiness)은 50 wt% 첨가 시료(5.20±0.41), 대조구가 시료(5.15±1.04), 32 wt% 첨가 시료가 4.90±0.85, 66 wt%첨가 시료(4.50±1.05)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다.
전반적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의 경우 작두콩 50 wt% 첨가된 시료가 5.35±0.93 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32 wt% 첨가 시료(4.75±1.12)와 함께 다른 대조구(4.45±1.88), 66 wt% 첨가(3.95±0.94)시료 보다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작두콩 및 기타 곡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세척하는 단계;
2) 상기 원료 혼합물을 증자하는 단계;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 및 발효시키는 단계;및
4) 상기 균주에 의하여 발효된 발효 혼합물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및
5) 발효 혼합물 분말 30 wt%, 꿀 10 wt% 및 물 60 wt%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타 곡물은 흑미, 보리 및 귀리이고 원료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작두콩 50 wt%, 흑미 20 wt%, 보리 20 wt%, 귀리 10 wt%로 혼합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이후에 원료 혼합물을 불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균주는 원료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5 wt%로 접종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5 ~ 40℃에서 15 ~ 25시간 동안 수행되는 작두콩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200097380A 2020-08-04 2020-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KR10244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80A KR102447194B1 (ko) 2020-08-04 2020-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80A KR102447194B1 (ko) 2020-08-04 2020-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86A KR20220017186A (ko) 2022-02-11
KR102447194B1 true KR102447194B1 (ko) 2022-09-23

Family

ID=8026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380A KR102447194B1 (ko) 2020-08-04 2020-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113A (ko) 2022-10-13 2024-04-23 소재우 부산물의 발효와 식물의 생육 개선을 촉진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ws22002 균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산물 발효 촉진방법과 식물 생육 촉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98B1 (ko) 2004-08-25 2006-02-21 박희학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120125042A (ko) * 2011-05-06 2012-11-14 김영욱 복합 미생물에 의한 생약재 발효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액, 및 그 발효액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KR101489569B1 (ko) * 2013-01-02 2015-02-09 (주)미애부생명과학 혈전 용해능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혈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571012B2 (en) * 2015-10-26 2023-02-07 CJ Wellcare Corporation Strain deriv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having excellent enzyme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cereal enzyme food by using same
KR20180065683A (ko) * 2016-12-08 2018-06-18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뽕잎 발효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113A (ko) 2022-10-13 2024-04-23 소재우 부산물의 발효와 식물의 생육 개선을 촉진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ws22002 균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산물 발효 촉진방법과 식물 생육 촉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86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1985A (ko) 보리 된장의 제조 방법
KR20140046232A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7194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음료 제조방법
KR100681532B1 (ko) 리조푸스속 거미줄 곰팡이를 이용한 대두발효식품의제조방법
JP3569503B2 (ja) おから加工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11839A (ko) 치즈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고로케
KR20200111838A (ko) 빵 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빵 과자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165955B1 (ko) 당귀, 지황, 홍삼이 함유된 한방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청국장 분말?환의 제조방법
KR101614142B1 (ko) 산방풍 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109B1 (ko) 유색 맥아를 이용한 유색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조청
KR102397969B1 (ko) 귀리국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674405B1 (ko) 토마토를 이용한 토마토 된장의 제조방법
KR20180072453A (ko) 홍삼커피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8612A (ko) 발효콩 분말을 포함하는 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9064B1 (ko) 서리태를 원료로 한 기능성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건강식품
CN109156709A (zh) 一种苋菜面粉及其制备方法
KR101745180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장류 제조방법
KR20200059870A (ko) 복합배양 균사체 및 홍국현미가 포함된 취반용 첨가제
KR101695927B1 (ko) 조청이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130018446A (ko) 카라멜을 포함하지 않는 춘장의 제조방법
KR102538922B1 (ko) 막걸리 지게미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지게미 마들렌
KR102181795B1 (ko) 발효 원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발효 원두
KR102196439B1 (ko) 등겨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8835A (ko) 기능성 모시잎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