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941B1 -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941B1
KR102447941B1 KR1020210092749A KR20210092749A KR102447941B1 KR 102447941 B1 KR102447941 B1 KR 102447941B1 KR 1020210092749 A KR1020210092749 A KR 1020210092749A KR 20210092749 A KR20210092749 A KR 20210092749A KR 102447941 B1 KR102447941 B1 KR 10244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or
frame
mov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남기
Original Assignee
태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남기 filed Critical 태남기
Priority to KR102021009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combined with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핀을 가압하여 핀이 결합된 커넥터를 배출시키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핀결합장치{pin coupling device for connectors}
본 발명은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핀을 가압하여 핀이 결합된 커넥터를 배출시키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를 포함하는 전선탈피장치 및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들이 개발되어 인간 생활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고있는데, 이러한 전자 기계 장치들은 단순히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제어 방식을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현대 산업에 사용되는 많은 전자 기계 장치들은 별도의 제어반과 같은 외부 기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계 장치들과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다른 기기들과도 다양하게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통상 플라스틱 재질의 커넥터 하우징에 다수개의 커넥터 밴도리어 핀이 삽입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암수 커넥터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내부의 커넥터 밴도리어 핀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제조 장치를 통해 대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밴도리어 핀이 별도의 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에 다수개의 커넥터 밴도리어 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 제작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밴도리어 핀 삽입 장치는 그 기술 수준이 초보적인 수준으로, 커넥터 밴도리어 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커넥터 밴도리어 핀에 손상이 가거나 또는 잘못된 위치에 커넥터 밴도리어 핀을 삽입하는 등의 이유로 불량률이 매우 높고, 시스템적으로 전체적인 공정 시간이 길게 구성되어 생산 효율 또한 매우 낮게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있었다.
즉, 가늘고 긴 밀핀으로 핀을 삽입하므로 파손이 잦고, 핀 가이드 레일 홈을 돌출된 스타마크 치수에 맞춰야 하므로 핀이 전진할 때 흔들림이 있어 핀 삽입 시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다량 발생하여 불량 발생률이 상승하며, 핀 도금부에 스크래치의 발생이 잦아 품질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트러블 발생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42723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3115호
본 발명은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핀을 가압시켜 핀이 결합된 커넥터를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 일부를 파지하여 상승시켜 피복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전선탈피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탈피장치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안착거치부재와, 슬라이드패널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착거치부재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패널과, 메인구동실린더를 안착거치부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안착거치부재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부재와, 슬라이드패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고정부재 일측으로 실린더축이 연결되며, 타측이 절단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메인구동실린더와, 슬라이드패널이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단고정패널과, 절단고정칼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절단고정패널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절단고정부재와, 절단칼날이 맞닿도록 절단고정부재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단고정칼날과, 절단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해 절단고정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지지대와, 절단부재를 절단고정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이 실린더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절단실린더와, 절단실린더의 작동으로 절단고정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절단부재와, 절단고정칼날과 맞닿도록 절단부재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단칼날과, 안착거치부재 일측 상면으로 고정 형성되는 전선고정패널과, 전선밀착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전선고정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선고정부재와, 전선고정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밀착실린더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전선밀착부재와, 밀착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해 전선고정패널 타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대와, 전선밀착부재를 전선고정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고정대에 형성되는 밀착실린더와, 전선의 밀착시 전선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전선고정부재의 일측면과 전선밀착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착홈과, 핀부재를 지지하도록 절단고정부재 일측으로 수직방향 형성되는 가이드핀과, 전선감지센서를 지지하도록 가이드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부재와, 피복을 절단하는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핀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선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탈피장치에는, 피복 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비산물제거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비산물제거부는, 슬라이드패널 상에 낙하되는 비산물을 흡입덕트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에어분사노즐과,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에어분사노즐 일측으로 에어공급관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압력제어펌프와, 에어분사노즐과 압력제어펌프 간의 연결 형성되는 에어공급관과, 에어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흡입덕트 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패널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패널에 연결 형성되는 에어가이드패널과, 에어가이드패널을 따라 이동되는 에어와 비산물을 흡입하기 위해 타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상에 형성되는 흡입덕트와,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된 흡입물이 집진기 측으로 이동되도록 일측이 흡입덕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입팬에 연결 형성되는 흡입관과, 흡입관을 통해 흡입물을 흡입하여 집진기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집진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입팬과,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흡입물 중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흡입팬 일측으로 형성되는 집진기와, 집진기 내에서 이물질과 에어로 분리하여 분리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해 집진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서, 상기 전선탈피장치에는, 전선을 자동 고정시키며, 고정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선손상방지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전선손상방지부는, 완충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안착거치부재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고정판과, 압착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해 안착거치부재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판과, 압착패널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압착고정판과 실린더고정판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슬라이드바와, 압착패널을 슬라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고정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실린더와, 압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슬라이드바에 결합 형성되는 압착패널과, 압착패널과 접촉되는 압착판이 완충되도록 압착고정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케이스와, 압착패널과 접촉되는 압착판의 완충을 위해 완충케이스 내부로 형성되는 압착스프링과, 완충케이스 내부에서 걸려짐으로 완충스프링에 의한 복귀시 완충케이스 상에서 압착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돌기와, 압착패널의 압착시 완충케이스 측으로 완충되며, 전선을 잡아주도록 완충케이스 상에 결합 형성되는 압착판과, 압착패널과 압착판에 의해 눌려지는 전선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압착판 일측면에 형성되는 미끌림방지패드와, 압착패널에 의한 전선의 압착됨을 감지하도록 압착판 일측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압착센서와, 압착패널과 압착고정판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압착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거리감지센서와, 전선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바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선안착베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핀을 가압하여 핀이 결합된 커넥터를 배출시키기 위한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는, 커넥터정렬수단과 핀이동수단과 커넥터이동수단과 핀삽입수단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프레임수단; 및 복수개의 커넥터를 정렬하기 위해 프레임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정렬수단; 및 커넥터에 삽입될 핀을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이동수단; 및 정렬되어 배출되는 커넥터를 핀삽입수단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로 형성되는 커넥터이동수단; 및 커넥터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핀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핀이 커넥터 측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삽입수단; 및 핀삽입수단에 의해 결합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수단은, 지면에 안착형성되는 장치프레임과, 구동프레임과 배출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치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안착프레임판과, 핀이동수단과 커넥터이동수단과 핀삽입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판 상부로 형성되는 구동프레임과, 제품배출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프레임과, 커넥터정렬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정렬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핀롤을 거치하기 위해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핀롤지지대와, 핀롤을 거치 고정하도록 수직핀롤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직핀롤바와, 핀가이드 방향 측으로 이동되는 핀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수직핀롤지지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핀롤지지대와, 핀의 방향이 전환되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핀롤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핀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정렬수단은, 복수의 커넥터를 보관하도록 정렬프레임 상부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정렬함케이스와, 복수의 커넥터를 정렬이동시키기 위해 정렬함케이스 내부 둘레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정렬이동레일과, 정렬함케이스 내부의 커넥터의 뭉침을 방지하며, 정렬함케이스 상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렬함케이스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동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이동수단은, 수평핀롤바를 통해 이동되는 핀을 지지하며, 핀고정부재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핀가이드와, 이동되는 핀이 핀가이드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핀가이드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고정부재와, 핀가이드 상에 위치되는 핀을 핀눌림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핀고정부재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핀이동부재와, 핀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핀을 눌러 타 핀을 이탈시키기 위해 핀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눌림바와, 핀눌림바에 의해 일측의 핀이 눌려진 상태에서 타측의 핀이 실린더에 의해 눌려 일측과 타측의 핀이 분리되도록 핀가이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눌림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이동수단은, 정렬이동레일로부터 이동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커넥터이동바 측으로 진입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진입가이드레일과, 복수의 커넥터가 진입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진입가이드레일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과, 이동되는 커넥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실린더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넥터이동바와, 커넥터를 커넥터삽입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동실린더와, 이동되는 커넥터를 커넥터위치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삽입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텍터삽입바와, 커넥터를 커넥터위치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삽입수단은, 커넥터삽입바에 의해 이동되는 커넥터가 위치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위치부재와, 핀밀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커넥터에 핀삽입시 커넥터가 커넥터위치부재 상에서 밀리지 않고 위치되도록 가압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넥터고정부재와, 핀을 눌러 분리시키기 위해 눌림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고정실린더와, 분리된 핀을 커넥터 측으로 밀어주도록 고정실린더와 수직을 이루도록 핀눌림부재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핀밀착부재와, 핀밀착부재를 커넥터 방향 측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핀눌림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동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밀착실린더와, 커넥터고정부재를 커넥터 측으로 이동시켜, 커넥터가 밀리지않도록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커넥터고정부재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가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품배출수단은, 핀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커넥터의 상부를 압착시켜주기 위해 부재지지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넥터압착부재와, 이동되는 커넥터가 안착되며, 커넥터압착부재에 의한 압착을 지지하도록 부재지지대 하부방향인 구동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압착지그부재와, 압착실린더와 압착지그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부재지지대와, 커넥터를 압착하기 위한 커넥터압착부재를 압착지그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부재지지대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압착실린더와, 압착이 완료된 커넥터 제품이 제품보관함 측으로 배출되도록 압착지그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판과, 제품배출판을 통해 배출되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배출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제품보관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는, 복수개의 커넥터의 뭉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정렬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진동정렬부는, 정렬함케이스 바닥면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커넥터가 뭉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진동정렬수단; 또는 정렬함케이스 바닥면에서 원형의 띠가 회전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커넥터가 뭉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정렬회전수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되, 상기 진동정렬수단은, 진동발생시 복수개의 커넥터의 뭉쳐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렬함케이스 바닥에 복수개 형성되는 진동부재와, 정렬함케이스 내부로 형성되는 진동홈과, 진동부재를 지지하며, 진동발생시 상하측으로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일측이 진동홈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진동부재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진동스프링과, 진동부재와 접촉되어 진동부재가 진동발생되도록 진동모터에 연결 형성되며, 진동부재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진동자와, 진동자를 회전시켜 진동부재와 접촉이 발생될 수 있도록 진동홈 바닥면에 형성되는 진동모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렬회전수단은, 정렬함케이스 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지지판과, 정렬함케이스 바닥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띠판과, 판롤러가 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띠판 하부와 회전지지판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롤러가이드와, 롤러가이드를 따라 회전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판롤러와, 회전띠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회전지지판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판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는, 롤형태로 형성되는 핀롤에서 제공되는 핀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핀공급승하강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핀공급승하강부는, 수직핀롤바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수직핀롤지지대 상에 수직형성되는 수직홈과, 수직핀롤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수직핀롤지지대 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직텐션실린더와, 일측이 수직텐션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연결 되며, 타측이 수직핀롤바와 연결 형성되는 수직바와, 수직핀롤바에 권취되는 핀롤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수직핀롤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텐션감지센서와, 수평핀롤바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핀롤지지대 상에 수평형성되는 수평홈과, 수평핀롤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수평핀롤지지대 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텐션실린더와, 일측이 수평텐션실린더의 실린더축이 연결 되며, 타측이 수평핀롤바와 연결 형성되는 수평바와, 수평핀롤바에 권취되는 핀롤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수평핀롤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텐션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사출물이 자동정렬하여 이동하며,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설정된 핀의 갯수와 설정된 삽입 깊이로 자동 핀이 삽입되어 제품을 생산함으로 인건비 절감과 불량율을 낮춰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정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2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핀공급승하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4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배출완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는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핀을 가압하여 핀이 결합된 커넥터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는 프레임수단(510), 커넥터정렬수단(520), 핀이동수단(530), 커넥터이동수단(540), 핀삽입수단(550), 제품배출수단(56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수단(510)은 커넥터정렬수단(520)과 핀이동수단(530)과 커넥터이동수단(540)과 핀삽입수단(550)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수단(510)은 장치프레임(511), 안착프레임판(512), 구동프레임(513a), 배출프레임(513b), 정렬프레임(513c), 수직핀롤지지대(515), 수직핀롤바(516), 수평핀롤지지대(517), 수평핀롤바(518)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프레임(511)은 지면에 안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프레임판(512)은 구동프레임(513a)과 배출프레임(513b)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프레임판(512)은 장치프레임(51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프레임(513a)은 핀이동수단(530)과 커넥터이동수단(540)과 핀삽입수단(55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프레임(513a)은 안착프레임판(512)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프레임(513b)은 제품배출수단(56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프레임(513b)은 안착프레임판(512)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프레임(513c)은 커넥터정렬수단(52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렬프레임(513c)은 안착프레임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핀롤지지대(515)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핀롤을 거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핀롤지지대(515)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핀롤바(516)는 핀롤을 거치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핀롤바(516)는 수직핀롤지지대(5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핀롤지지대(517)는 핀가이드(531) 방향 측으로 이동되는 핀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핀롤지지대(517)는 수직핀롤지지대(515)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핀롤바(518)는 핀의 방향이 전환되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핀롤바(518)는 수평핀롤지지대(5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정렬수단(520)은 복수개의 커넥터를 정렬하기 위해 프레임수단(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정렬수단(520)은 정렬함케이스(521), 정렬이동레일(522), 진동실린더(523)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함케이스(521)는 복수의 커넥터를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렬함케이스(521)는 정렬프레임(513c) 상부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이동레일(522)은 복수의 커넥터를 정렬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렬이동레일(522)은 정렬함케이스(521) 내부 둘레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실린더(523)는 정렬함케이스(521) 내부의 커넥터의 뭉침을 방지하며, 정렬함케이스(521) 상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실린더(523)는 정렬함케이스(52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이동수단(530)은 커넥터에 삽입될 핀을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5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이동수단(530)은 핀가이드(531), 핀고정부재(532), 핀이동부재(533), 핀눌림바(534), 눌림부재(535)를 포함한다.
상기 핀가이드(531)는 수평핀롤바(518)를 통해 이동되는 핀을 지지하며, 핀고정부재(532)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가이드(531)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고정부재(532)는 이동되는 핀이 핀가이드(531)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고정부재(532)는 핀가이드(53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이동부재(533)는 핀가이드(531) 상에 위치되는 핀을 핀눌림바(53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이동부재(533)는 핀고정부재(532)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눌림바(534)는 핀이동부재(533)에 의해 이동되는 핀을 눌러 타 핀을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눌림바(534)는 핀고정부재(53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눌림부재(535)는 핀눌림바(534)에 의해 일측의 핀이 눌려진 상태에서 타측의 핀이 실린더에 의해 눌려 일측과 타측의 핀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눌림부재(535)는 핀가이드(53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이동수단(540)은 정렬되어 배출되는 커넥터를 핀삽입수단(55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5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이동수단(540)은 진입가이드레일(541), 레일홈(542), 커넥터이동바(543), 이동실린더(544), 커넥터삽입바(545), 삽입실린더(546)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가이드레일(541)은 정렬이동레일(522)로부터 이동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커넥터이동바(543) 측으로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가이드레일(541)은 구동프레임(513a)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홈(542)은 복수의 커넥터가 진입가이드레일(541)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홈(542)은 진입가이드레일(541)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이동바(543)는 이동되는 커넥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이동바(543)는 이동실린더(544)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실린더(544)는 커넥터를 커넥터삽입바(545)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실린더(544)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삽입바(545)는 커넥터를 커넥터위치부재(55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삽입바(545)는 삽입실린더(546)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실린더(546)는 커넥터를 커넥터위치부재(55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실린더(546)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삽입수단(550)은 커넥터이동수단(540)에 의해 이동되고, 핀이동수단(530)에 의해 이동되는 핀이 커넥터 측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5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삽입수단(550)은 커넥터위치부재(551), 커넥터고정부재(552), 고정실린더(553), 핀밀착부재(554), 밀착실린더(555), 가압실린더(556)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위치부재(551)는 커넥터삽입바(545)에 의해 이동되는 커넥터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위치부재(551)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고정부재(552)는 핀밀착부재(554)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커넥터에 핀삽입시 커넥터가 커넥터위치부재(551) 상에서 밀리지 않고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고정부재(552)는 가압실린더(556)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실린더(553)는 핀을 눌러 분리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실린더(553)는 눌림부재(535)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밀착부재(554)는 분리된 핀을 커넥터 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밀착부재(554)는 고정실린더(553)와 수직을 이루도록 핀눌림부재(535)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555)는 핀밀착부재(554)를 커넥터 방향 측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555)는 핀눌림부재(535)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동프레임(513a)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실린더(556)는 커넥터고정부재(552)를 커넥터 측으로 이동시켜, 커넥터가 밀리지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실린더(556)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 일측으로 커넥터고정부재(552)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배출수단(560)은 핀삽입수단(550)에 의해 결합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510)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배출수단(560)은 커넥터압착부재(561), 압착지그부재(562), 부재지지대(563), 압착실린더(564), 제품배출판(565), 제품보관함(566)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압착부재(561)는 핀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커넥터의 상부를 압착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압착부재(561)는 부재지지대(563)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실린더(564)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지그부재(562)는 이동되는 커넥터가 안착되며, 커넥터압착부재(561)에 의한 압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지그부재(562)는 부재지지대(563) 하부방향인 구동프레임(513a)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지지대(563)는 압착실린더(564)와 압착지그부재(562)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대지지대는 구동프레임(513a)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실린더(564)는 커넥터를 압착하기 위한 커넥터압착부재(561)를 압착지그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실린더(564)는 부재지지대(563)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배출판(565)은 압착이 완료된 커넥터 제품이 제품보관함(566) 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배출판(565)은 압착지그부재(56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보관함(566)은 제품배출판(565)을 통해 배출되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보관함(566)은 배출프레임(513b)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정렬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정렬부(600)는 핀결합장치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정렬부(600)는 복수개의 커넥터의 뭉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정렬부(600)는 진동정렬수단(610), 정렬회전수단(630)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정렬수단(610)은 정렬함케이스(521) 바닥면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커넥터가 뭉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정렬수단(610)은 진동부재(611), 진동홈(612), 진동스프링(613), 진동자(614), 진동모터(615)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재(611)는 진동발생시 복수개의 커넥터의 뭉쳐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부재(611)는 정렬함케이스(521) 바닥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홈(612)은 정렬함케이스(52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스프링(613)은 진동부재(611)를 지지하며, 진동발생시 상하측으로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스프링(613)은 일측이 진동홈(612)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진동부재(611)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자(614)는 진동부재(611)와 접촉되어 진동부재(611)가 진동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자(614)는 진동모터(615)에 연결 형성되며, 진동부재(611)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모터(615)는 진동자(614)를 회전시켜 진동부재(611)와 접촉이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모터(615)는 진동홈(612)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회전수단(630)은 정렬함케이스(521) 바닥면에서 원형의 띠가 회전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커넥터가 뭉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회전수단(630)은 회전지지판(631), 회전띠판(632), 롤러가이드(633), 판롤러(634), 판모터(63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판(631)은 정렬함케이스(521) 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띠판(632)은 정렬함케이스(521) 바닥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가이드(633)는 판롤러(634)가 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가이드(633)는 회전띠판(632) 하부와 회전지지판(631)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롤러(634)는 롤러가이드(633)를 따라 회전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모터(635)는 회전띠판(63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모터(635)는 회전지지판(631)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핀공급승하강부(7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핀공급승하강부(700)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핀공급승하강부(700)는 롤형태로 형성되는 핀롤에서 제공되는 핀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공급승하강부(700)는 수직홈(710), 수직텐션실린더(711), 수직바(712), 제1텐션감지센서(713), 수평홈(714), 수평텐션실린더(715), 수평바(716), 제2텐션감지센서(717)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홈(710)은 수직핀롤바(516)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홈(710)은 수직핀롤지지대(515) 상에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텐션실린더(711)는 수직핀롤바(516)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텐션실린더(711)는 수직핀롤지지대(515) 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바(712)는 일측이 수직텐션실린더(711)의 실린더 축이 연결 되며, 타측이 수직핀롤바(516)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텐션감지센서(713)는 수직핀롤바(516)에 권취되는 핀롤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텐션감지센서(713)는 수직핀롤바(5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홈(714)은 수평핀롤바(518)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홈(714)은 수평핀롤지지대(517) 상에 수평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텐션실린더(715)는 수평핀롤바(518)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텐션실린더(715)는 수평핀롤지지대(517) 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바(716)는 일측이 수평텐션실린더(715)의 실린더축이 연결 되며, 타측이 수평핀롤바(518)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텐션감지센서(717)는 수평핀롤바(518)에 권취되는 핀롤의 텐션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텐션감지센서(717)는 수평핀롤바(518)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배출완충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완충부(800)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500)에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완충부(800)는 배출되는 복수개의 커넥터 제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에 따라 자동 하강되도록 하며, 배출되는 제품이 낙하시 타 제품과의 접촉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완충부(800)는 지지패널(810), 안착패널(811), 안착판(812), 제품함(813), 완충패드(814), 스프링고정대(815), 완충스프링(816), 거리감지센서(817), 감지부재(818), 완충힌지(819), 완충판(8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패널(810)은 제품함(813)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패널(810)은 제품함(813)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패널(811)은 지지패널(8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패널(81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판(812)은 제품함(813)이 안착패널(811)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판(812)은 안착패널(811)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함(813)은 배출되는 제품이 보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함(813)은 안착패널(811)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안착판(812)에 의해 안착패널(8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패드(814)는 안착패널(811)에 안착되는 제품함(813)에 낙하되는 제품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패드(814)는 제품함(813) 하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대(815)는 안착패널(811)과 지지패널(810)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스프링(816)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대(815)는 안착패널(811) 하면과 지지패널(810) 상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816)은 일측이 안착패널(811)에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대(815)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패널(810) 상면에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대(815)에 결합되어 제품의 무게에 따라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817)는 안착패널(811)과 지지패널(810)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감지센서(817)는 안착패널(811)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재(818)는 거리감지센서(817)가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재(818)는 지지패널(810)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힌지(819)는 완충판(820)이 제품함(813) 상에서 일정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힌지(819)는 내부로 스프링이 구비되며, 제품함(813)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판(820)은 배출판을 통해 배출되는 제품의 낙하시 타 제품과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판(820)은 1차 낙하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완충힌지(819)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선탈피장치 110 : 안착거치부재
111 : 가이드부재 112 : 슬라이드패널
113 : 실린더고정부재 114 : 메인구동실린더
115 : 절단고정패널 116 : 절단고정부재
117 : 절단고정칼날 118 : 실린더지지대
119 : 절단실린더 120 : 절단부재
121 : 절단칼날 130 : 전선고정패널
131 : 전선고정부재 132 : 전선밀착부재
133 : 실린더고정대 134 : 밀착실린더
135 : 밀착홈 140 : 가이드핀
141 : 핀부재 142 : 피복거리센서
200 : 비산물제거부 210 : 에어분사노즐
211 : 압력제어펌프 212 : 에어공급관
213 : 에어가이드패널 214 : 흡입덕트
215 : 흡입관 216 : 흡입팬
217 : 집진기 218 : 배출관
300 : 전선손상방지부 310 : 압착고정판
311 : 실린더고정판 312 : 슬라이드바
313 : 압착실린더 314 : 압착패널
315 : 완충케이스 316 : 압착스프링
317 : 압착돌기 318 : 압착판
319 : 미끌림방지패드 320 : 압착센서
321 : 거리감지센서 322 : 전선안착베드
400 : 자동거치배출부 410 : 핀지지대
411 : 모터지지대 412 : 회전모터
413 : 거치고정부재 414 : 슬라이드부재
415 : 가이드핀 416 : 거치실린더
417 : 안착홈 418 : 안착감지센서
500 :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510 : 프레임수단
511 : 장치프레임 512 : 안착프레임판
515 : 수직핀롤지지대 516 : 수직핀롤바
517 : 수평핀롤지지대 518 : 수평핀롤바
520 : 커넥터정렬수단 521 : 정렬함케이스
522 : 정렬이동레일 523 : 진동실린더
530 : 핀이동수단 531 : 핀가이드
532 : 핀고정부재 533 : 핀이동부재
534 : 핀눌림바 535 : 눌림부재
540 : 커넥터이동수단 541 : 진입가이드레일
542 : 레일홈 543 : 커넥터이동바
544 : 이동실린더 545 : 커텍터삽입바
546 : 삽입실린더
550 : 핀삽입수단 551 : 커넥터위치부재
552 : 커넥터고정부재 553 : 고정실린더
554 : 핀밀착부재 555 : 밀착실린더
556 : 가압실린더
560 : 제품배출수단 561 : 커넥터압착부재
562 : 압착지그부재 563 : 부재지지대
564 : 압착실린더 565 : 제품배출판
566 : 제품보관함
600 : 진동정렬부 610 : 진동정렬수단
611 : 진동부재 612 : 진동홈
613 : 진동스프링 614 : 진동자
615 : 진동모터
630 : 정렬회전수단 631 : 회전지지판
632 : 회전띠판 633 : 롤러가이드
634 : 판롤러 635 : 판모터
700 : 핀공급승하강부 710 : 수직홈
711 : 수직텐션실린더 712 : 수직바
713 : 제1텐션감지센서 714 : 수평홈
715 : 수평텐션실린더 716 : 수평바
717 : 제2텐션감지센서
800 : 배출완충부 810 : 지지패널
811 : 안착패널 812 : 안착판
813 : 제품함 814 : 완충패드
815 : 스프링고정대 816 : 완충스프링
817 : 거리감지센서 818 : 감지부재
819 : 완충힌지 820 : 완충판

Claims (3)

  1. 이동되는 커넥터 사출물에 핀을 가압하여 핀이 결합된 커넥터를 배출시키기 위한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는,
    커넥터정렬수단과 핀이동수단과 커넥터이동수단과 핀삽입수단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프레임수단; 및
    복수개의 커넥터를 정렬하기 위해 프레임수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정렬수단; 및
    커넥터에 삽입될 핀을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이동수단; 및
    정렬되어 배출되는 커넥터를 핀삽입수단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로 형성되는 커넥터이동수단; 및
    커넥터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고, 핀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핀이 커넥터 측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삽입수단; 및
    핀삽입수단에 의해 결합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프레임수단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수단은,
    지면에 안착형성되는 장치프레임과,
    구동프레임과 배출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치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안착프레임판과,
    핀이동수단과 커넥터이동수단과 핀삽입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판 상부로 형성되는 구동프레임과,
    제품배출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프레임과,
    커넥터정렬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프레임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정렬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핀롤을 거치하기 위해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핀롤지지대와,
    핀롤을 거치 고정하도록 수직핀롤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직핀롤바와,
    핀가이드 방향 측으로 이동되는 핀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수직핀롤지지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핀롤지지대와,
    핀의 방향이 전환되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핀롤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핀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정렬수단은,
    복수의 커넥터를 보관하도록 정렬프레임 상부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정렬함케이스와,
    복수의 커넥터를 정렬이동시키기 위해 정렬함케이스 내부 둘레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정렬이동레일과,
    정렬함케이스 내부의 커넥터의 뭉침을 방지하며, 정렬함케이스 상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정렬함케이스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동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이동수단은,
    수평핀롤바를 통해 이동되는 핀을 지지하며, 핀고정부재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핀가이드와,
    이동되는 핀이 핀가이드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핀가이드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고정부재와,
    핀가이드 상에 위치되는 핀을 핀눌림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핀고정부재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핀이동부재와,
    핀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핀을 눌러 타 핀을 이탈시키기 위해 핀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눌림바와,
    핀눌림바에 의해 일측의 핀이 눌려진 상태에서 타측의 핀이 실린더에 의해 눌려 일측과 타측의 핀이 분리되도록 핀가이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눌림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이동수단은,
    정렬이동레일로부터 이동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커넥터이동바 측으로 진입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진입가이드레일과,
    복수의 커넥터가 진입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진입가이드레일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과,
    이동되는 커넥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실린더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넥터이동바와,
    커넥터를 커넥터삽입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동실린더와,
    이동되는 커넥터를 커넥터위치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삽입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텍터삽입바와,
    커넥터를 커넥터위치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삽입수단은,
    커넥터삽입바에 의해 이동되는 커넥터가 위치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위치부재와,
    핀밀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커넥터에 핀삽입시 커넥터가 커넥터위치부재 상에서 밀리지 않고 위치되도록 가압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넥터고정부재와,
    핀을 눌러 분리시키기 위해 눌림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고정실린더와,
    분리된 핀을 커넥터 측으로 밀어주도록 고정실린더와 수직을 이루도록 핀눌림부재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핀밀착부재와,
    핀밀착부재를 커넥터 방향 측으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핀눌림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동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밀착실린더와,
    커넥터고정부재를 커넥터 측으로 이동시켜, 커넥터가 밀리지않도록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커넥터고정부재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가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품배출수단은,
    핀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커넥터의 상부를 압착시켜주기 위해 부재지지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커넥터압착부재와,
    이동되는 커넥터가 안착되며, 커넥터압착부재에 의한 압착을 지지하도록 부재지지대 하부방향인 구동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압착지그부재와,
    압착실린더와 압착지그부재를 지지하도록 구동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부재지지대와,
    커넥터를 압착하기 위한 커넥터압착부재를 압착지그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부재지지대 상부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압착실린더와,
    압착이 완료된 커넥터 제품이 제품보관함 측으로 배출되도록 압착지그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판과,
    제품배출판을 통해 배출되는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배출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제품보관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핀결합장치에는,
    복수개의 커넥터의 뭉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정렬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진동정렬부는,
    정렬함케이스 바닥면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커넥터가 뭉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진동정렬수단; 또는
    정렬함케이스 바닥면에서 원형의 띠가 회전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커넥터가 뭉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정렬회전수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되,
    상기 진동정렬수단은,
    진동발생시 복수개의 커넥터의 뭉쳐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렬함케이스 바닥에 복수개 형성되는 진동부재와,
    정렬함케이스 내부로 형성되는 진동홈과,
    진동부재를 지지하며, 진동발생시 상하측으로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일측이 진동홈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진동부재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진동스프링과,
    진동부재와 접촉되어 진동부재가 진동발생되도록 진동모터에 연결 형성되며, 진동부재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진동자와,
    진동자를 회전시켜 진동부재와 접촉이 발생될 수 있도록 진동홈 바닥면에 형성되는 진동모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렬회전수단은,
    정렬함케이스 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회전지지판과,
    정렬함케이스 바닥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띠판과,
    판롤러가 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띠판 하부와 회전지지판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롤러가이드와,
    롤러가이드를 따라 회전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판롤러와,
    회전띠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회전지지판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판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KR1020210092749A 2021-07-15 2021-07-15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KR10244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49A KR102447941B1 (ko) 2021-07-15 2021-07-15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49A KR102447941B1 (ko) 2021-07-15 2021-07-15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941B1 true KR102447941B1 (ko) 2022-09-28

Family

ID=8346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49A KR102447941B1 (ko) 2021-07-15 2021-07-15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9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081A (ja) * 1988-02-23 1990-01-31 Molex Inc ワイヤリードの挿入装置
KR101213115B1 (ko) 2012-09-20 2012-12-18 김근환 커넥터 핀 벤딩 장치
KR101442723B1 (ko) 2013-04-02 2014-09-24 주식회사 기가레인 수직형 전선 탈피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081A (ja) * 1988-02-23 1990-01-31 Molex Inc ワイヤリードの挿入装置
KR101213115B1 (ko) 2012-09-20 2012-12-18 김근환 커넥터 핀 벤딩 장치
KR101442723B1 (ko) 2013-04-02 2014-09-24 주식회사 기가레인 수직형 전선 탈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0233B (zh) 机械硬盘用铝合金基板自动化生产线及其工作方法
KR101703032B1 (ko) 판유리 가공시스템
CN108971955B (zh) 顶升式螺母拧装机及其拧装方法
CN108015432A (zh) 激光切割机
CN116727544B (zh) 一种引线框架制造用冲压模具
KR102447941B1 (ko) 커넥터용 핀결합장치
CN105437724A (zh) 自动撕背胶膜装置
CN114620484A (zh) 一种具有定装限位功能的蓝牙耳机主板生产用防偏移装置
CN113580748A (zh) 一种医用针筒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210709796U (zh) 一种纸张上料机构
KR102346530B1 (ko) 전선탈피장치
KR101489373B1 (ko) 반도체 장치용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이물질 제거장치
CN111940333A (zh) 一种用于蓝牙耳机的检测系统
KR101108291B1 (ko)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CN111785661A (zh) 用于半导体封装设备的吹气吹尘装置
CN211516633U (zh) 弹臂高度调整机
CN106827562B (zh) 揭网布装置以及麦克风组装装置
CN213645182U (zh) 一种产品测试装置
CN213615140U (zh) 裁切检测分穴摆盘组装设备
CN115041951A (zh) 一种密封圈的组装系统
CN209795942U (zh) 用于汽车压制前挡玻璃包装前的玻璃取出装置
KR102033998B1 (ko) 타공 장치
CN211385646U (zh) 一种高强纤维无纬布连续脱膜装置
KR102606464B1 (ko) 포장팩 제조 시스템
CN114348574B (zh) 一种可自行检测的送料插针折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