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371B1 -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371B1
KR102442371B1 KR1020177003459A KR20177003459A KR102442371B1 KR 102442371 B1 KR102442371 B1 KR 102442371B1 KR 1020177003459 A KR1020177003459 A KR 1020177003459A KR 20177003459 A KR20177003459 A KR 20177003459A KR 102442371 B1 KR102442371 B1 KR 10244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tensioning
pulley
cord
mov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568A (ko
Inventor
브람 반더예우그트
매튜 테오발트
다니엘 스키너
Original Assignee
밴데윌리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밴데윌리 엔브이 filed Critical 밴데윌리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2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40Constructions of lifting-co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44Ling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후크(1, 2), 날실을 위해 후크 운동을 캐리어(10)에 전달하는 전달 요소(3-9), 캐리어(10) 상에 아래쪽으로-지향되는 힘을 가하는 제1 힘 요소(11), 및 에너지 버퍼 및 캐리어(10) 상에 위쪽으로-지향되는 힘을 발생하여 운동 시스템의 요소(1-12)가 텐션 하에 유지되도록 요소(1-12)가 변형 또는 변위되게 하는 힘을 운동 시스템의 요소(1-12) 상에 가하는 제2 힘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로 이루어지는 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SHED 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복수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로서, 각 운동 시스템은 쉐드에 하나 이상의 날실을 위치시키기 위해 구동 요소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와, 캐리어에 각 구동 요소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요소를 포함하고, 각 운동 시스템은 한편으로는 캐리어에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포인트에 결합되어 캐리어 상에 아래쪽으로-지향되는 제1 힘을 가하는 제1 힘 요소를 포함하고, 각 운동 시스템은 제2 힘 요소 및 에너지 버퍼를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어 '힘 요소'는 본 특허 명세서에서 포텐셜, 유압 또는 공압 에너지가 축적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자체로부터 그 자신의 에너지 상태를 통해 다른 요소 상에 또는 운동 시스템의 부분 상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이다.
직기 상에서 제직하는(weaving) 동안, 연속적인 제직 사이클이 행해지고, 이 연속적인 각 제직 사이클 동안 하나 이상의 씨실(weft threads)이 날실(warp threads) 사이의 쉐드(shed) 내로 삽입된다. 이 쉐드 형성 동안 그리고 각 제직 사이클 동안, 날실이 다음의 씨실에 대해 통로를 갖는 방식으로, 그리고 원하는 구조 및 원하는 디자인 또는 패턴을 갖는 직물이 얻어지도록 상이한 날실은 씨실이 삽입되는 각 레벨에 대해 위치되어야 한다.
쉐드 형성은 상하 운동으로 역위상으로 상호 구동되는 2개의 나이프 세트 및 각각이 2개의 상호 작용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일련의 운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알려진 자카드 장치를 이용하여 직기 상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들 2개의 후크 각각은 나이프 세트 중 특정 나이프에 의해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후크가 고정된 높이에 유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2개의 상호 작용하는 후크의 운동은 각 운동 시스템에서 풀리 요소 및 풀리 코드에 의해, 헤들 아일릿을 포함하는 각 헤들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하니스 코드로 전달된다. 하나 또는 양쪽 후크의 적절한 선택 또는 비-선택에 의해, 선택 헤들 아일릿은 많은 가능한 상이한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헤들 아일릿을 통해 연장되는 각 날실은 각 제직 사이클에서 올바르게 위치될 수 있다.
헤들 아일릿의 올바른 위치 설정을 보장하기 위해, 헤들은 복귀 스프링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복귀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더 낮은 레벨에 있는 장치의 고정된 지점에 결합된다. 영구적인 하향힘이 이에 따라 헤들 아일릿에 가해진다. 헤들이 더 높은 위치로부터 더 낮은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면, 전달 요소 상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은 이 하향 운동에 반대하므로, 이 운동을 보장하도록 추가힘이 요구된다. 여기에 가해지는 초기 인장력(pretensioning force) 및 복귀 스프링은 가해진 결과적인 하향힘이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헤들을 신속하고 신뢰 가능하게 더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치수가 설정되고 초기 인장된다.
그러나, 쉐드 형성 장치의 작동 동안, 복귀 스프링이 의도된 하향힘을 가할 수 없거나 또는 충분히 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복귀 스프링이 예컨대 먼지 침착(deposit)으로 인해 블로킹되어, 더 이상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기능할 수 없을 때일 수 있다. 또한 후크의 상향 운동 후, 복귀 스프링의 텐션(tension) 피크에 후속하여 텐션 드롭(drop)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복귀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향힘은 매우 작아지거나 또는 단시간 동안 심지어 실제로 제로가 된다. 그 결과 운동 시스템의 텐션이 매우 작거나 또는 소멸되는 순간이 존재할 수 있다. 그 결과, 풀리 코드 및 하니스 코드의 수직 부분들은 더 이상 적절하게 긴장되게 유지되지 않고, 인접하는 부분과 바람직하지 않게 상호 작용하고, 이동하는 나이프 상에 착좌된 후크가 이 보유 위치 밖으로 튀게 되는(bouncing)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들 모두에 의해, 특히 날실의 부정확하거나 또는 잘못된 위치 설정에 의해 쉐드 형성 장치의 작동 신뢰성의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US 5,010,927호는 전형적인 복귀 스프링에 추가하여, 쉐드 형성 장치의 작동 동안 후크가 하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후크에 결합된 코드 상에 하향힘을 가하는 추가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쉐드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그러나, 후크 상의 추가의 하향힘은 복귀 스프링의 약해지는 기능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없다. 추가의 하향힘의 접촉 포인트 아래에 있는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은 이에 의해 텐션 하에 확실히 유지되지는 않을 것이다. 수직 코드 부분은 긴장되게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후크 상의 추가의 하향힘은 후크가 함께 이동하는 나이프 상에 추가의 부하를 생성하여, 장치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게 된다. 추가의 단점은 추가의 하향힘의 크기가 후크의 위치에 의존하고, 추가의 스프링 요소가 헤들의 전체 운동을 따를 수 있어야 하므로 그 결과 매우 크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명세서의 첫 번째 문단에 지시된 특성을 갖지만, 복귀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향힘이 매우 크게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상실되더라도 상술된 문제점들이 회피되고, 쉐드 형성 장치 상의 부하 및 구동 요소의 위치와 무관한 힘이 최소로 증가하는 쉐드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제1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은 운동 시스템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변위 또는 변형에 의해 에너지 버퍼에서 에너지 공급의 축적을 발생시키고, 각 운동 시스템은 스톱핑 수단을 포함하여 제1 힘에 의해 발생된 변위 또는 변형이 미리 결정된 최대치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힘 요소는 에너지 버퍼에 저장된 에너지를 운동 시스템의 요소 상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변형하도록 제공되고, 캐리어 상의 위쪽으로-지향되는 제2 힘이 발생되고, 후자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인장력의 영향 하에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여 운동 시스템의 요소는 텐션 하에 유지되면 달성된다.
인장력은 캐리어 상의 하향힘을 발생시키는 힘이므로, 이 힘은 또한 캐리어 상의 하향 제1 힘이 이렇게 하지 않거나 또는 충분히 이렇게 하지 않는 상황에서 캐리어와 힘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된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을 텐션 하에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힘은 또한 운동 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이 운동 시스템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변위 또는 변형시킴으로써 텐션 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2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인장력은 구동 요소의 위치에 무관하고, 제1 힘 요소가 가하는 하향힘보다 훨씬 더 작을 수 있으므로, 이 제2 힘 요소는 쉐드 형성 장치의 구동 수단 상에 매우 적은 부하만을 보장하거나 또는 심지어 추가의 부하를 보장하지 않는다. 상술된 종래 기술의 단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극복된다.
운동 시스템은 이러한 변형 또는 변위 및 상응하는 에너지 공급의 축적이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그 최대한에 도달하도록 개발될 수 있다. 정상 작동 상태는 여기서 특히 제1 힘 요소가 의도된 제1 힘을 캐리어 상에 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최대로 변형된 또는 변위된 부분 또는 요소는 스톱핑 수단에 의해 이 최대한 초과만큼 변위 또는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고, 운동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 및 부분들은 운동 시스템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된 상대적 위치를 가질 수 있고, 후크의 운동을 캐리어에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쉐드 형성 시 날실의 위치 설정의 정확성은 변위 가능한 또는 변형 가능한 요소들 또는 부분들이 운동 시스템에 존재함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받지 않는다.
캐리어 상의 제1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이 상실되거나 또는 캐리어 상의 상향 제2 힘보다 더 작아지면, 인장력은 앵커링 시스템의 요소들이 텐션 하에 유지되도록 상기 변위 또는 변형을 보장해야 한다. 그 결과, 후크의 운동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운동 시스템의 가요성 요소들(예컨대, 풀리 코드 및 하니스 코드)은 긴장되게 유지되어야 한다.
양호하게는 제1 힘 요소는 캐리어 상에 또는 캐리어에 결합된 운동 시스템의 요소 상에 하향 견인력을 가하도록 제공된다. 일 특별한 실시예에서, 제1 힘 요소는 이로써 캐리어 아래에 위치된다. 매우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힘 요소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소이거나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소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제1 힘 요소는 운동 시스템의 최외측 지점에 위치되고, 제2 힘 요소는 제1 힘 요소와 구동 요소 사이에 위치된다. 소정의 (바람직하지 않은) 작동 상태 하에서, 제1 힘 요소가 감소된 견인력을 (일시적으로) 가한다면, 제2 힘 요소는 운동 시스템이 시스템을 긴장되게 유지하는 힘을 여전히 받는 것을 보장한다. 예컨대 복귀 스프링 자체가 고장나서 더 이상 충분한 힘을 전개할 수 없다면, 그러나 또한 운동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힘 요소 사이에 블로킹이 발생한다면, 또는 시스템의 관성에 의해 복귀 스프링의 텐션이 전달되지 않게 되면(예컨대, 충돌 또는 진동의 경우), 상술된 작동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어 "상" 및 "하" 및 "상향" 및 "하향"은 본 발명을, 캐리어가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되고, 캐리어가 "수직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하향으로" 지향되는 힘을 받는 쉐드 형성 장치에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캐리어가 경사진 표면 상에서 이동 가능한 쉐드 형성 장치에서도, 캐리어는 최상위 위치와 최하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이러한 경사진 운동 평면 상에서 사선으로 상향으로 그리고 사선으로 하향으로 지향되는 캐리어 상에 가해진 힘은 이에 따라 또한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지향되는 힘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완전히 수평한 표면 상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쉐드 형성 장치에서, 용어 '상' 및 '하'는 각각 '캐리어로부터 볼 때, 구동 요소의 방향으로' 그리고 '구동 요소로부터 볼 때, 캐리어의 방향으로'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용어 "수직으로 상향힘"은 캐리어로부터 볼 때 구동 요소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해석되고, 용어 '수직으로 하향힘'은 구동 요소로부터 볼 때 캐리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양호하게는 구동 요소는 캐리어에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후크와 함께 작동한다. 이들 후크는 예컨대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동된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운동 시스템은 또한 캐리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운동 시스템의 가요성 요소(예컨대, 코드)를 선택적으로 감고 풀도록 제공된 회전 가능한 구동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구동 요소는 코드, 예컨대, 풀리 코드의 많은 연속적인 감김이 존재하는 예컨대 드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힘 요소는 캐리어의 부정확한 위치 설정을 방지하기 위해 운동 시스템의 요소에서 텐션의 상실에 의해 코드 감김이 의도하지 않게 드럼을 떠나지 않거나 또는 다른 감김 위에 감기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운동 시스템이 가요성 요소(예컨대, 코드 등) 또는 약간 탄성인 요소를 포함하면, 여기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들 요소의 수직 부분을 긴장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표현 '텐션 하에 유지'는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긴장되게 유지'의 의미로 사용되고 상기 '인장력'은 따라서 이 긴장된 상태를 확립하도록 제공되는 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소정의 환경 하에서 운동 시스템의 텐션은 매우 작거나 또는 심지어 실제로 제로일 수 있다. 운동 시스템의 가요성 또는 탄성 요소의 수직 부분을 '긴장되게 유지'는 매우 작거나 또는 완전히 상실된 텐션으로도 이들 요소를 '텐션 하에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가요성 또는 약간 탄성인 요소가 없는 운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쉐드 형성 장치가 상기 내용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어 운동 시스템의 비-가요성 또는 상대적으로 비-탄성인 요소도 텐션 하에 유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인장력에 의해 요소 또는 그 부분의 변위 또는 변형이 발생하므로, 상기 요소 또는 그 부분과 캐리어 사이에 위치된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은 텐션 하에 유지된다. 그러나, 요소의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 또는 변형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제한되도록 운동 시스템에서 소정의 지점에 국부적 폐색(blockage)이 발생한다면 그렇지 않다는 것은 명확하다. 여기서 폐색 지점과 캐리어 사이의 운동 시스템의 부분은 본질적으로 텐션 하에 유지될 수 없고, 폐색 지점과 상기 구동 요소 사이에 위치된 운동 시스템의 부분만이 텐션 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변위 또는 변형에 의해 앵커링 포인트의 변위 및/또는 다양한 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운동 시스템이 구동 요소(나이프)와 캐리어(헤들 아일릿) 사이에서 브릿지하는 높이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인장력은 운동 시스템의 탄성 요소의 부분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은 비-긴장된 상태에 있고, 다른 요소는 비-긴장된 부분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비-긴장된 부분을 브릿지하여 힘 및 운동을 운동 시스템에 전달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요소는 예컨대 코드일 수 있고, 브릿징 요소는 예컨대 힘 요소 자체일 수 있다. 여기서 요소의 비-긴장된 부분은 이를테면 브릿징 요소에 의해 운동 시스템 외부에 배치되고, 그 때에 운동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탄성 요소의 부분 및 모든 다른 요소들이 텐션 하에서 긴장되게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미 강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쉐드 형성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 운동 시스템은 구동 요소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 하나 이상의 날실을 쉐드에 위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및 각 후크의 이동을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전달하는 전달 요소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제2 힘 요소는 에너지 버퍼이거나 또는 에너지 버퍼를 포함하고, 제1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은 에너지 버퍼 내의 에너지 공급의 축적을 발생시키는 제2 힘 요소 상의 힘을 발생시킨다.
양호하게는 에너지 버퍼는 포텐셜 에너지, 유압 에너지 또는 공압 에너지의 어큐뮬레이터이다. 에너지 버퍼는 예컨대 탄성 에너지 또는 중력 에너지 형태의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공급은 스프링 요소의 단순한 탄성 변형에 의해 축적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힘 요소, 예컨대, 복귀 스프링, 즉,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은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미리 결정된 최대 변형까지 스프링 요소를 변형시키는 제1 힘을 가할 수 있다. 변형된 스프링 요소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는 여기서 상기 에너지 공급이다. 이 에너지는 상기 최대 변형과 관련되는 복귀 스프링 힘 형태의 인장력으로 변환된다. 제1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이 일시적으로 최대 복귀 스프링 힘보다 더 작아지면, 이 복귀 스프링 힘은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백을 보장하여 운동 시스템에서의 텐션의 드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된다.
본 쉐드 형성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 운동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1 텐셔닝 부분 및 제2 텐셔닝 부분을 구비하는 텐셔닝 요소이고, 제2 힘 요소는 이들 텐셔닝 부분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상기 인장력을 가하도록 제공되어 이들 텐셔닝 부분은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이 텐션 하에 유지되는 상대적 위치로 가압된다.
이로써 텐셔닝 부분들은 예컨대 텐셔닝 부분들이 인장력에 의해 제1 상대적 위치로 가압되어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이 텐션 하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운동 시스템 내로 병합된다.
여기서 상대적 위치는 예컨대 운동 시스템에 의해 브릿지되는 운동 시스템의 구동 요소와 캐리어 간의 높이의 차이에 대한 결정 인자이고, 텐셔닝 부분은 인장력에 의해 높이의 최소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상대적 위치로 가압되어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은 상기 높이의 차이의 감소에 의해 텐션 하에 유지된다.
제1 및 제2 힘 요소는 양호하게는 제1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이 이들 텐셔닝 부분들을 인장력에 대항하여 제2 상대적 위치로 이동시키는 텐셔닝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 상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제2 상대적 위치는 양호하게는 제1 상대적 위치보다 높이에서 더 큰 차이에 해당한다.
제1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은 양호하게는 제2 힘 요소에 의해 가해진 인장력의 결과인 대향하는 제2 힘보다 훨씬 더 크다.
이로써, 양호하게는 제1 상대적 위치로부터 제2 상대적 위치로 텐셔닝 부분들이 변위됨으로써 에너지 버퍼의 에너지 공급의 축적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매우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 힘 요소는 제1 상대적 위치로부터 제2 상대적 위치로의 텐셔닝 부분의 변위에 의해 스프링 요소의 탄성 변형이 발생되도록 제공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제2 힘 요소는 스프링 요소, 양호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이다. 이는 압력 스프링 및 텐션 스프링일 수 있다.
각 운동 시스템은 또한 텐셔닝 부분들이 제1 힘의 영향 하에 미리 결정된 제2 상대적 위치 초과만큼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톱핑 수단을 포함한다. 운동 시스템은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즉, 제1 힘 요소가 필요한 제1 힘을 가할 때), 텐셔닝 부분들이 제1 힘에 의해 제2 상대적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텐셔닝 요소는 이 상황에서 캐리어에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구동 요소의 운동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날실을 쉐드에 올바르게 위치시키는 안정된 전달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힘이 일시적으로 최대 복귀 스프링 힘보다 더 작아지면, 이 인장력은 운동 시스템에서의 텐션의 드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상기 변위 또는 변형을 보장해야 한다. 그 결과, 후크의 운동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운동 시스템의 가요성 요소(예컨대, 풀리 코드 및 하니스 코드)는 예컨대 긴장되게 유지되어야 한다.
제1 특별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는 운동 시스템의 코드이고, 제1 코드 섹션 및 제2 코드 섹션은 각각 중간 코드 섹션 위 및 아래에서 서로 이격되고, 제2 힘 요소는 제1 코드 섹션 및 제2 코드 섹션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도록 하나 또는 양쪽 코드 섹션 상에 인장력을 가한다.
양호하게는 운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포함하고, 풀리 코드는 구동 요소의 운동을 가능하게는 후크를 통해 하니스 코드에 전달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에서 이어지고, 텐셔닝 요소는 풀리 코드이다.
또한, 제2 힘 요소는 또한 이 중간 코드 섹션을 긴장되게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어, 이 중간 코드 섹션은 상기 코드 섹션 사이의 거리의 임의의 추가의 증가를 방지하도록 긴장된 상태에서 스톱핑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쉐드 형성 장치의 제2 특별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는 상기 텐셔닝 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커넥터 부분을 구비하는 커넥터이고, 2개의 커넥터 부분은 운동 시스템의 각 요소에, 또는 각각 운동 시스템의 요소 및 고정된 기계 부분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하나의 커넥터 부분은 다른 커넥터 부분의 위치 설정 공간에 변위 가능하게 위치된 헤드 피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쉐드 형성 장치의 제3 특별한 실시예에서, 각 운동 시스템은 구동 요소의 운동을 적어도 하나의 코드에 전달하도록 서로 위에 위치된 2개의 풀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 요소를 포함하고, 풀리 요소는 풀리 요소가 텐셔닝 요소를 형성하고 2개의 풀리 부분이 상기 텐셔닝 부분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개의 풀리 부분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최상위 풀리 코드 및 최하위 풀리 코드는 각각 서로 위에 위치된 2개의 풀리 위에서 이어지고, 최상위 풀리 코드의 2개의 단부는 각각의 구동 요소(I, II)에 의해 변위 가능하고, 최하위 풀리 코드는 하나 이상의 하니스 코드에 결합되고, 풀리 요소는 거리로 떨어진 최상위 풀리 부분 및 최하위 풀리 부분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풀리 요소는 텐셔닝 요소로서 작용하고, 풀리 부분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제2 힘 요소는 상기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이들 풀리 부분 상에 힘을 가한다.
제4 특별한 실시예에서, 텐셔닝 요소는 텐셔닝 부분을 형성하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개의 후크 섹션을 구비하는 구동 요소에 의해 구동 가능한 후크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 힘 요소는 텐셔닝 요소의 상기 텐셔닝 부분 상에 견인력을 가하여 이들 텐셔닝 부분을 함께 당기는 텐션 스프링 요소이거나, 또는 상기 텐셔닝 부분 중 하나 상에 압축력을 가하여 이 텐셔닝 부분을 다른 텐셔닝 부분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 스프링 요소이다.
양호하게는 제1 힘 요소가 에너지 버퍼에 에너지를 축적하는 즉시 제2 힘 요소는 인장력을 영구적으로 가하도록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제2 힘 요소는 운동 시스템에서 캐리어와 구동 요소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힘 요소는 운동 시스템의 최외측 포인트에서, 양호하게는 캐리어와 고정된 포인트 사이에 위치되고, 제2 힘 요소는 운동 시스템에서 구동 요소와 제1 힘 요소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힘 요소는 각각 캐리어 위 및 아래에 위치될 수 있어, 각각 캐리어 상에 하향힘 또는 상향힘을 가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2개 이상 또는 상술된 특별한 실시예는 동일한 운동 시스템에서 조합될 수 있다. 운동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또한 텐셔닝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을 더욱 예시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쉐드 형성 장치의 많은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한 설명이 행해진다. 이들은 오직 본 발명에 의해 커버되는 많은 가능한 실시예들의 예이고, 이 설명은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이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기 위해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장치의 운동 시스템의 개략적 도시이다.
도 2 및 도 4는 각각 자카드 장치의 가장 낮은 풀리 코드와 고정된 부분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시스템의 텐셔닝 요소로 설계되는 서로 나란히 위치된 4개의 결합 요소의 부분 단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이로써 이들 도면은 2개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 도 8a 및 도 8b,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시스템에 대한 텐셔닝 요소로 설계된 풀리 요소의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의 2개의 상이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풀리 요소의 2개의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8b의 풀리 요소의 2개의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a 및 도 10b의 풀리 요소의 2개의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시스템에 대한 텐셔닝 요소로 설계된 하니스 커넥터의 수 커넥터 부분의 2개의 상이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시스템에 대한 텐셔닝 요소로 설계된 하니스 커넥터의 2개의 상이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시스템에 대한 텐셔닝 요소로 설계된 풀리 코드의 2개의 상이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장치(도 1 참조)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최하 및 최상 위치 사이에서 상하 운동으로 역위상으로 상호 구동될 수 있는 2개의 나이프(I, II) 세트를 구비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자카드 장치는 또한 연속적인 제직 사이클에서 쉐드 형성 동안 직기 상에 날실을 위치시키기 위해 일련의 운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 운동 시스템은 나이프 세트의 각 나이프(I, II)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2개의 상호 작용하는 후크를 포함한다. 각 후크(1, 2)는 또한 고정된 높이에 유지되어 상응하는 나이프(I, II)에 의해 보유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후크(1, 2)의 운동은 운동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 아래에서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날실로 전달된다. 운동 시스템의 2개의 후크(1, 2)의 각각의 적당한 선택 또는 비-선택에 의해, 날실은 각각 연속적인 제직 사이클 동안 많은 가능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 유닛은 원하는 특성을 갖는 직물이 제직되는 방식으로 날실을 위치시키기 위해 제어된다.
후크(1, 2)의 운동을 날실로 전달하기 위해, 각 운동 시스템은 이들 후크(1, 2)뿐만 아니라, 결합 피스(32)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를 구비하는 후크 아래에 위치된 풀리 요소(3)도 구비한다. 2개의 상호 작용하는 후크(1, 2)는, 후크(1, 2)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고 최상위 풀리(30) 위에서 이어지는 최상위 풀리 코드(4)의 각 단부에 결합된다. 최하위 풀리 코드(5)는 최하위 풀리(3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고 이 풀리(31) 위에서 이어지며, 상기 코드의 일 단부는 앵커(6)로 불리는 결합 요소에 의해 자카드 장치의 고정 부분(7)에 연결되고, 상기 코드의 다른 단부는 하니스 커넥터(8)를 통해 하니스 코드(9)에 연결되고, 이 하니스 코드는 차례로 헤들 아일릿(heddle eyelet)(10a)을 포함하는 헤들(10)에 결합된다. 날실이 이 헤들 아일릿(10a)을 통해 연장된다는 사실로 인해, 이들은 운동 시스템에 의해 위치될 수 있다. 헤들(10)은 복귀 스프링(11)을 통해 하부 고정 부분(12)에 결합되고, 이 하부 고정 부분은 "고형 월드(solid world)"에 직접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는 복귀 스프링(11)은 이에 따라 헤들(10)을 신속하고 신뢰 가능하게 하부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헤들(10) 상에 영구적인 아래쪽으로-지향되는 힘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운동 시스템의 상기 요소들(1-9) 중 하나 이상이 텐셔닝 요소(tensioning element)로 설계되어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을 텐션 하에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풀리 코드(4, 5) 및 하니스 코드(9)의 수직 부분들을 긴장되게 유지할 수 있다. 많은 가능성이 이하에서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제시된다.
제1 가능성(도 2, 도 3, 도 4 및 도 5 참조)에서 자카드 장치는 최하위 풀리 코드(5)와 자카드 장치의 고정 부분(7)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는 앵커(6)가 텐셔닝 요소로 설계되는 운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유사한 앵커(6)가 운동 시스템의 각 최하위 풀리 코드(5)의 최상위 단부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4는 최하위 풀리 코드(5)의 최상위 단부, 및 교호식 좌측 및 우측 앵커 포인트를 구비하는 자카드 기계의 4개의 운동 시스템 중 이들에 결합되는 앵커(6)를 도시한다. 좌측 및 우측 앵커 포인트를 구비하는 각 2개의 운동 시스템 사이에, 각각 (이하 좌측 및 우측 운동 시스템으로 언급됨) 모듈러 구조의 부분을 형성하는 수직 가이드(60a, 60b)를 구비하는 파티션(60)이 존재한다. 이들 가이드(60a, 60b)는 이들 좌측 및 우측 운동 시스템의 각 앵커(6)에 대해 수직 가이드웨이(60a, 60b)를 형성한다.
각 앵커(6)는, 채널이 제공되고, 최하위 풀리 코드(5)의 최상위 단부가 가이드되고 고정되며, 파티션(60)의 가이드웨이(60a, 60b)에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 단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레그(6b)를 포함하는 수직 레그(6a)를 구비하는 본질적으로 L-형상의 몸체로 설계된다. 측면으로 돌출되는 레그(6b)의 상부 측면 상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핑거(6c)가 존재한다(특히 도 3 참조). 각 핑거(6c) 주위에는, 비-텐션 상태에서 핑거(6c)의 상부 측면 위로 연장되는 나산형 스프링(62)이 존재한다.
2개의 인접하는 파티션(60) 사이에는 이들 2개의 파티션(60)에 결합된 풀리 코드(5)가 위치되는 수직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톱 프로파일(61)이 장착된다. 각 스톱 프로파일(61)은 앵커(6)가 그 가이드웨이(60a, 60b) 상에서 상향으로 이동될 때 핑거(6c)와 이들 앵커(6)의 나선형 스프링(62)이 스톱 프로파일(61)의 하측면(61a)과 접촉하게 되는 그러한 위치에서 이들 풀리 코드(5)의 2개의 앵커(6) 위에 위치된다. 각 스톱 프로파일(61)은 하측면(61a)의 높이가 작동하게 하는 운동 시스템에 조절될 수 있도록 장착 높이가 변경될 수 있게 하는 장착 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장착된다.
나선형 스프링(62) 및 복귀 스프링(11)의 탄성 특성은 운동 시스템의 복귀 스프링(11)이 정상 동작 상태 하에서 헤들(10)에 가하는 하향 힘에 의해 핑거(6c)가 스톱 프로파일(61)의 하측면(61a)에 접촉하고 그 결과 나선형 스프링(62)이 이 하측면(61a)에 대항하여 압축될 때까지 하니스 코드(9) 및 최하위 풀리 코드(5)(도 1 참조)를 통해 앵커(6)를 당기기에 충분한 앵커(6) 상의 상향 힘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도 2에서 제2 및 제4 운동 시스템의 앵커(6)의 상황(좌측 운동 시스템이 제1로 간주됨) 및 도 3에서 좌측 앵커의 상황이다.
복귀 스프링(11)의 기능으로 인해, 나선형 스프링(62)은 하측면(61a)에 대항하여 압축되고, 포텐셜 에너지가 탄성 에너지의 형태로 축적된다. 이 에너지는 앵커(6), 및 이에 따라 또한 상기 앵커에 결합된 최하위 풀리 코드(5)의 단부 상에 영구적인 아래쪽으로-지향되는 인장력을 보장한다. 소정의 (바람직하지 않은) 작동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일시적으로) 감소된 견인력을 가한다. 이는 복귀 스프링 자체가 고장나서 더 이상 충분한 힘을 발생하지 않는다면, 그러나 또한 운동 시스템에서 복귀 스프링(11)과 나선형 스프링(62) 사이에 블로킹이 발생하면, 또는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의 관성에 의해 복귀 스프링의 텐션이 운동 시스템으로 (예컨대, 충돌 또는 진동의 경우에) (완전히) 전달되는 것은 아니라면 발생한다. 여기서 복귀 스프링(11)은 더 이상 운동 시스템을 텐션 하에 유지할 수 없다. 최대의 복귀 스프링 힘보다 더 작은 하향힘이 앵커(6) 상에 가해지는 즉시, 나선형 스프링(62)은 더욱 릴랙스되고 앵커(6)를 하부 위치로 가압하여 핑거(6c)는 더 이상 스톱 프로파일(61)의 바닥 표면(61a)과 접촉할 수 없다. 앵커(6) 및 최하위 풀리 코드(5)의 부착된 단부의 이와 같은 하향 변위에 의해, 운동 시스템의 코드(4, 5, 9)의 모든 수직 부분은 그들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선형 스프링(62)은 나선형 스프링(11)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거의 완전히 작동하지 않을지라도 코드(4, 5, 9)를 긴장되게 유지할 것이다. 복귀 스프링(11)이 운동 시스템의 최외측 포인트에 존재하고 나선형 스프링(62)은 운동 시스템에서 나이프(I, II)와 복귀 스프링(11)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텐셔닝 효과가 달성된다.
각 앵커(6)의 측면으로 돌출하는 레그(6b)가 편평한 상부 측면을 구비하여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핑거가 존재하지 않고, 스톱 프로파일은 다른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즉, 스톱 프로파일(63)로서 하측면이 중앙 리세스(63c)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탄성 변형 가능한 윙(63a, 63b)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운동 시스템은 도 2의 운동 시스템과 다르다. 중앙 리세스(63c)는 하측면이 개방된다. 릴랙스 상태에서 윙은 경사지게 하향으로 대향 윙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5의 윙(63a)이 우측 앵커와 접촉할 때) 상향 방향으로 탄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각 윙(63a, 63b)과 나란히 범퍼(63d, 63e)가 존재하므로, 도 5에서 좌측 앵커(6)에 의해 범퍼(63d)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윙(63b)과 마찬가지로 최대 탄성 변형에서 각 윙(63a, 63b)은 리세스(63c)의 대향 측에 위치된 범퍼(63d, 63e)와 접촉하게 된다.
각 경우에 2개의 인접하는 파티션(60) 사이에는, 이들 2개의 파티션(60)에 결합된 풀리 코드(5)가 위치되는 수직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사한 스톱 프로파일(63)이 장착된다. 각 스톱 프로파일(63)은 앵커(6)가 그 가이드웨이(60a, 60b) 사에서 상향으로 이동될 때 이들 앵커(6) 각각의 측면으로 돌출하는 레그(6b)의 편평한 상부 측면이 각각의 윙(63a, 63b)과 접촉하게 되어 이 윙을 변형시키는 그러한 위치에서 이들 풀리 코드(5)의 2개의 앵커(6) 위에 위치된다. 각 스톱 프로파일(63)은 윙(63a, 63b)의 높이가 작동하게 하는 운동 시스템에 조절될 수 있도록 장착 높이가 변경될 수 있게 하는 장착 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장착된다.
변형 가능한 윙(63a, 63b) 및 복귀 스프링(11)의 탄성 특성은 윙(63a, 63b)이 각 범퍼(63d, 63e)에 대항하여 최대의 변형에 도달할 때까지 운동 시스템의 복귀 스프링(11)이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가하는 힘이 앵커(6)를 당기기에 충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도 4에서 제2 및 제4 운동 시스템의 앵커(6)의 상황(좌측 운동 시스템이 제1로 간주됨) 및 도 5에서 좌측 앵커의 상황이다.
윙(63a, 63b)의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62)의 기능에 상응한다. 복귀 스프링(11)의 기능에 의해, 상응하는 운동 시스템의 앵커(6)는 스톱 프로파일(63)의 윙(63a, 63b)에 대항하여 상향으로 변위되고 이 윙은 변형되며, 이로써 탄성 에너지 형태의 포텐셜 에너지를 축적한다. 이 에너지는 앵커(6) 및 이에 따라 또한 여기에 고정된 최하위 풀리 코드(5)의 단부 상에 아래쪽으로-지향되는 인장력을 보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바람직하지 않은) 작동 상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써 복귀 스프링은 (일시적으로) 더 이상 운동 시스템을 텐션 하에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감소된 견인력을 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는 복귀 스프링 자체가 고장난 사실에 의해, 그러나 또한 운동 시스템의 블로킹에 의해, 또는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의 관성에 의해 복귀 스프링의 텐션이 운동 시스템으로 (예컨대, 충돌 또는 진동의 경우에) (완전히) 전달되는 것은 아니라면 발생한다. 복귀 스프링(11)의 이러한 감소된 견인력은 앵커(6)가 보다 적은 상향힘을 받게 한다. 그 결과, 변형된 윙(63a, 63b)은 스프링백되어 앵커(6)를 하위 위치로 가압할 수 있어 윙(63a, 63b)은 더 이상 그 범퍼(63d, 63e)와 접촉하지 않는다. 앵커(6) 및 최하위 풀리 코드(5)의 결합된 단부의 이러한 하향 변위에 의해, 이 풀리 코드(5)는 그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코드(4, 9)의 수직 부분은 그 결과 또한 텐션 하에서 긴장된 상태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윙(63a, 63b)은 나선형 스프링(11)에 의해 가해진 힘이 거의 완전히 작동하지 않을지라도 운동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긴장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1)이 운동 시스템의 최외측 포인트에 존재하고 윙(63a, 63b)은 운동 시스템에서 나이프(I, II)와 복귀 스프링(11)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텐셔닝 효과가 달성된다.
제2 가능성에서 자카드 장치는 텐셔닝 요소로 설계된 풀리 요소(3)를 구비하는 운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이러한 풀리 요소의 제1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제2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는 제3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풀리 요소(3)는 공통된 중간 섹션(32) 상에서 서로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32)은 최상위 중간 부분(320) 및 최하위 중간 부분(321)을 구비하는 2개의 부분에 있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서, 중간 부분의 전방 벽의 부분은 내부 부분이 보여질 수 있도록 제거되었다.
최상위 중간 부분(320)은 그 단부에 디스크 형상 몸체(320b)를 구비하는 핀(320a)을 포함한다. 핀(320a) 주위에는 나선형 스프링(322)이 존재한다. 최하위 중간 부분(321) 내에는, 단계적으로 넓어지고 보다 큰 직경으로 최하위 챔버 섹션(321b)으로 전이되는 최상위 챔버 섹션(321a)을 구비하는 원통형 챔버(321a, 321b)가 존재하고, 챔버(321a, 321b)는 최하위 중간 부분(321)의 최상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최상위 챔버 섹션(321a)에서 종료되는 축방향 통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최상위 중간 부분(320)의 핀(320a)은 통로를 통해 최하위 중간 부분(321)의 더 넓은 최하위 챔버 섹션(321b) 내로 연장되고, 디스크 형상 몸체(320b)는 더 넓은 챔버 섹션(321b) 내로 방사상으로 장착되고 나선형 스프링(322)은 핀(320a) 주위에 위치되어 디스크 형상 몸체(320b)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더 좁은 최상위 챔버 섹션(321a) 내로 연장된다. 디스크 형상 몸체(320b)가 더 넓은 챔버 섹션(321b)에서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최하위 풀리(31)는 또한 최상위 풀리(30)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최상위 풀리(30)에 대해 가장 먼 가능한 위치로 최하위 풀리(31)를 변위시키기에 충분한 최하위 풀리(31) 상에 하니스 코드(9) 및 최하위 풀리 코드(5)를 통해 하향힘을 가한다. 이 위치에서(도 6b 및 도 7b에 도시됨) 몸체(320b)는 더 넓은 챔버 섹션(321b)의 상부 벽에 대항하고, 나선형 스프링(322)은 더 좁은 챔버 섹션(321a)에서 압축된다.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 사이의 수직 거리(A)는 이에 따라 여기서 최대한이다. 나선형 스프링(322)은 중간 섹션(32)의 2개의 중간 부분(320, 321)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도록 인장력을 영구적으로 가한다. 나선형 스프링(322)은 이에 따라 여기서 압력 스프링과 같이 작용한다.
소정의 작동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11)은 헤들(10) 상에 감소된 하향힘을 (일시적으로) 가할 수 있거나, 또는 헤들(10) 위에서 운동 시스템의 블로킹 또는 운동 시스템에서 요소들의 관성에 의해 복귀 스프링(11)의 텐션이 (완전히) 전달되는 것은 아니므로, 텐셔닝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운동 시스템의 코드(4, 5, 9)가 긴장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 텐셔닝 요소의 형태의 풀리 요소(3)의 존재에 의해, 이는 아래와 같이 방지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1)의 감소된 견인력으로 인해, 최하위 풀리(31) 상의 하향힘이 또한 더 작아지고, 이러한 최하위 풀리(31)는 나선형 스프링(322)의 힘 하에서 최상위 풀리(30)에 대해 상향으로 변위된다. 최상위 중간 부분(320)의 몸체(320b)는 이로써 최하위 중간 부분(321)의 더 넓은 챔버 섹션(321b)으로,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가 함께 더 가까워지는 새로운 위치로 하향으로 변위된다.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의 이러한 상대적 변위에 의해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 사이의 수직 거리(A)가 최대 거리로부터(도 6b 및 도 7b의 상황) 더 작은 거리로 감소되고, 이로써 운동 시스템의 모든 코드(4, 5, 9)가 긴장되게 유지된다. 최하위 풀리(31)가 최대 거리로 상향으로 변위되고, 몸체(320b)가 더 넓은 챔버 섹션(321b)의 바닥에 대항하여 변위되고, 거리(A)가 이에 따라 최대한에 있는 가장 극단의 위치가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다.
2-부품 중간 섹션(32)의 원리가 또한 텐셔닝 요소로 설계된 풀리 요소(3)의 제2 실시예에서도 적용되고, 이로써 양쪽 중간 부분(323, 324)은 풀리(30, 31) 사이의 상이한 거리(A)를 갖는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고, 이로써 스프링 요소(325)는 풀리(30, 31)가 최소 거리(A)로 상대적 위치 내로 가압되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 하나의 중간 부분은 일 단부에서 최하위 풀리(31)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상이한 폭을 갖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리세스(323a, 323e)를 구비하는 아암(323)이다. 더 넓은 최상위 부분(323a)은 단계적으로 리세스의 더 좁은 최하위 부분(323e)으로 전이되므로, 리세스의 더 넓은 부분(323a)의 하부 단부와 접하는 2개의 횡단 에지(323b)가 형성된다. 이 더 넓은 부분(323a)은 측면에서 원호 형상 상부 에지로 전이되는 2개의 평행한 에지(323c)에 의해 접한다. 이들 평행한 에지(323c)는 도 9a 및 도 9b에서만 도시되고 그 기능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서로에 대면하는 돌기(323d)를 구비한다.
다른 중간 부분은 최상위 풀리(30)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리세스의 더 넓은 최상위 부분(323a)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몸체(324)이다. 슬라이딩 몸체(324)의 폭은 리세스의 더 넓은 부분(323a)의 폭에 대응되고, 슬라이딩 몸체(324)는 더 작은 높이를 가지므로 리세스의 이 부분(323a)에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다. 슬라이딩 몸체(324)의 측면 에지는 상술된 돌기(323d)에 대항하여 시프트 가능하게 제한된다.
더 좁은 부분(323e)은 하부 단부에서 단부 에지(323f)에 의해 접한다. 슬라이딩 몸체(324)의 하측면과 이 단부 에지(323f) 사이에,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지그재그형 형태를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소로 설계되는 스프링 요소(325)가 존재한다. 이 스프링 요소(325)의 비-변형된 상태가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9b에서 스프링 요소(325)는 최대의 탄성 변형을 갖는다.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최상위 풀리(30)에 대해 가장 먼 가능한 위치로 최하위 풀리(31)를 변위시키기에 충분한 최하위 풀리(31) 상의 최하위 풀리 코드(5) 및 하니스 코드(9)를 통해 하향힘을 가한다. 이 위치에서(도 8b 및 도 9b에 도시됨) 슬라이딩 몸체(324)는 상부 단부에서 리세스(323a)에 접하여 이에 따라 상향으로 최대 거리로 변위되는 원호형 벽에 대항하고, 스프링 요소(325)는 최대 변형을 갖는다.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의 회전축 사이의 수직 거리(A)는 이에 따라 여기서 최대한에 있다. 스프링 요소에 축적된 포텐셜 에너지에 의해 영구적인 인장력이 발생되므로, 결합 피스(32) 및 이에 따라 또한 결합된 풀리(30, 31)의 2개의 중간 부분(323, 324)은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스프링 요소(325)는 여기서 텐션 스프링으로 작용한다.
제1 실시예에서 유추하여, 이러한 풀리 요소(325)의 존재에 의해 이에 따라 복귀 스프링(11)의 감소된 견인력의 경우에 코드(4, 5, 9)의 수직 부분이 긴장되게 유지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이러한 감소된 견인력에 의해 본질적으로 최하위 풀리(31) 상의 감소된 하향힘이 발생되어,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는 스프링 요소(325)의 힘에 의해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슬라이딩 몸체(324)는 이로써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가 서로 더 가까워지는 새로운 위치로 리세스의 더 넓은 부분(323a)으로 하향으로 변위된다.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의 이러한 상대적 변위에 의해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 사이의 수직 거리(A)가 최대 거리로부터(도 8b 및 도 9b의 상황) 더 작은 거리(A)로 감소되고, 이로써 운동 시스템의 모든 코드(4, 5, 9)가 긴장되게 유지된다. 2개의 풀리(30, 31)가 최대 거리에 의해 서로를 향해 변위되고, 슬라이딩 몸체(324)가 리세스의 더 넓은 부분(323a)의 하측면에 접하는 횡단 에지(323b)에 대항하여 변위되고, 상기 거리(A)가 이에 따라 최소한에 있는 가장 극단적 위치가 도 8a 및 도 9a에 제시된다.
상술된 원리는 또한 제3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여기서 중간 섹션(32)은 각각의 풀리(30, 3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길쭉한 결합 피스(326, 324)로 이루어진다. 2개의 결합 피스는 운동 시스템의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서로 결합된다. 최상위 결합 피스(326)는 결합 피스의 자유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T형상 커플링 요소(326a, 326b)를 구비한다. 커플링 요소는 목부(326a) 및 부착된 헤드 피스(326b)를 구비한다. 최하위 결합 피스(327)는, 그 상부 단부에서 상부벽(327b) 및 그 하부 단부에서 하부벽(327c)에 의해 제한되는 자유 단부의 근처에 내부 공간(327a)을 구비한다. 내부 공간(327a)은 통로를 통해 상부벽에서 접근 가능하다. 목부(326a)는 이 통로를 통해 내부 공간(327a)으로 연장되고, 헤드 피스(326b)는 내부 공간(327a) 내로 위치된다. 이러한 결합은 또한 수직 방향으로 풀리(30, 31)의 상대적 변위를 허용한다.
2개의 풀리(30, 31) 사이에는 최상위 브릿지 섹션(328c)과 최하위 브릿지 섹션(328d)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는 2개의 탄성 변형 가능한 플랭크(328a, 328b)를 구비하는 일-부품 스프링 몸체(328)가 존재한다. 최상위 브릿지 섹션(328c)은 최상위 풀리(30)에 결합되고, 최하위 브릿지 섹션(328d)은 최하위 풀리(31)에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 몸체(328)의 비-변형된 상태는 도 10a 및 도 11a에 도시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1b에서 스프링 몸체(328)는 최대 탄성 변형을 갖는다.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최상위 풀리(30)에 대해 가장 먼 가능한 위치로 최하위 풀리(31)를 변위시키기에 충분한 최하위 풀리(31) 상의 최하위 풀리 코드(5) 및 하니스 코드(9)를 통해 하향힘을 가한다. 이 위치에서(도 10b 및 도 11b에 도시됨) 내부 공간(327a) 내의 헤드 피스(326b)는 상부벽(327b)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최대 거리로 상향으로 변위되고, 스프링 몸체(328)의 플랭크(328a, 328b)는 최대 변형을 갖는다.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의 회전축 사이의 수직 거리(A)는 이에 따라 여기서 최대한에 있다. 스프링 요소(328)에 축적된 포텐셜 에너지에 의해 영구적인 인장력이 발생되므로, 중간 섹션(32) 및 이에 따라 또한 결합된 풀리(30, 31)의 2개의 중간 부분(326, 327)은 서로를 향해 가압된다. 스프링 몸체(328)는 따라서 또한 여기서 텐션 스프링으로도 작용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기능에서 유추하여, 최하위 풀리(31) 상의 더 작은 하향힘에 의해 스프링 몸체(328)가 스프링백하게 될 것이므로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는 서로를 향해 변위된다. 헤드 피스(326b)는 이로써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가 함께 더 가까워지는 새로운 위치로 내부 공간(327a) 내로 하향으로 변위된다. 최상위 풀리(30) 및 최하위 풀리(31)의 이러한 상대적 변위에 의해 최상위 풀리(30)와 최하위 풀리(31) 사이의 수직 거리(A)는 최대 거리(도 10b 및 도 11b의 상황)로부터 더 작은 거리로 감소되고, 이로써 운동 시스템의 모든 코드(4, 5, 9)는 긴장되게 유지된다. 2개의 풀리(30, 31)가 최대 거리로 서로를 향해 변위되고, 헤드 피스(326b)가 내부 공간(327a)의 하부벽(327c)에 대항하여 변위되고, 이에 따라 거리(A)가 최소한에 있는 가장 극단적 위치가 도 10a 및 도 11a에 도시된다.
제3 가능성에서 자카드 장치는 텐셔닝 요소로 설계되는 하니스 커넥터(8)를 구비한 운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하니스 커넥터(8)는 풀리 코드(5)에 결합되는 수 커넥터 부분(81) 및 하나 이상의 하니스 코드(9)에 결합되는 암 커넥터 부분(82)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2개의 커넥터 부분(81, 82)은 함께 결합되어 풀리 코드(5)와 하니스 코드(9) 사이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커넥터 부분(81)은 탄성 변형 가능한 헤드(81c)가 그 단부에 형성되는 길다란 스템(81b)으로 전이되는 대부분 원통형인 베이스(81a)를 포함한다. 암 커넥터 부분(82)은 커넥터 부분(82)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위치 설정 공간(820a)에서 종료되는 채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수 커넥터 부분(81)의 헤드(81c)에 대한 위치 설정 공간(820a)을 포함한다. 다른 단부에서 암 커넥터 부분(82)은 하나 또는 수개의 하니스 코드(9)에 대한 결합을 위한 후크(821c)를 구비한다(도 12a 내지 도 13b에 도시되지 않음).
수 커넥터 부분(81) 및 암 커넥터 부분(82)이 결합되도록 헤드(81c)가 위치 설정 공간(820a)의 의도된 결합 위치에 있을 때까지 수 커넥터 부분(81)의 스템(81b)은 채널을 통해 위치 설정 공간(820a)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1 가능한 실시예가 텐셔닝 요소로 설계되는 커넥터(8)의 수 커넥터 부분(81)을 도시한다.
수 커넥터 부분(81)에는 단계적으로 서로에 대해 전이되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4개의 부분을 구비하는 일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채널(81d, 81e, 81f, 81g)이 존재한다: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81d), 직경이 제1 부분(81d)보다 더 큰 제2 부분(81e), 직경이 제2 부분(81e)보다 더 크고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풀리 코드(5)에 결합된 원통형 몸체(84)에 대한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제3 부분(81f). 마지막으로 직경이 다시 제3 부분(81f)보다 더 작은 제4 부분(81g)이 존재한다. 직경의 단계적인 변화는 채널에서 경사진 벽을 형성한다.
풀리 코드(5)는 채널의 제1 부분(81d) 및 제2 부분(81e)을 형성하는 통로를 통해, 풀리 코드(5)가 채널의 이 제3 부분(81f)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원통형 몸체(84)에 결합되는 가장 넓은 제3 부분(81f) 내로 연장된다. 원통형 몸체(84)의 높이는 채널의 제3 부분(81f)의 높이보다 더 작고, 원통형 몸체(84)의 직경은 채널보다 약간만 더 작고, 임의의 경우에도 채널의 제2 부분(81e) 및 제4 부분(81f)의 직경보다 더 크다. 원통형 몸체(84)는 이에 따라 채널의 제3 부분(81f)에서, 제3 부분(81f)의 하부 단부에 접하는 경사진 벽(81h)과 접촉하는 최하위 위치와 제3 부분(81f)의 상부 단부와 접하는 경사진 벽(81i)과 접촉하는 최상위 위치 사이에서, 위아래로 변위될 수 있다.
풀리 코드(5) 주위에는 원통형 몸체(84)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나선형 스프링(83)의 최상위 단부가 채널의 제2 부분(81e)의 상부 단부에 접하는 경사진 벽(81j)과 접촉하는 채널의 제2 부분(81e)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스프링(83)이 존재한다.
원통형 몸체(84)가 채널의 제3 부분(81f)에서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풀리 코드(5)의 앵커링 포인트는 수 커넥터 부분(81)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정상 동작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채널의 제3 부분(81f)의 원통형 몸체(84)를 나선형 스프링(83)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채널(81f)의 제3 부분의 상부 단부에 접하는 경사진 벽(81i)에 접촉하는 최상위 위치로 변위시키기에 충분한 수 커넥터 부분(81) 상의 암 커넥터 부분(82) 및 하니스 코드(9)를 통해 하향힘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도 12a에 도시됨), 나선형 스프링(83)은 원통형 몸체(84)의 상부 측면과 채널의 제2 부분의 상부 단부에 접하는 경사진 벽(81j) 사이에서 채널(81e)의 제2 부분의 최대 압축을 갖는다.
나선형 스프링(83)은 아래쪽으로-지향되는 힘이 원통형 몸체(84)에 가해지도록 인장력을 영구적으로 가한다. 나선형 스프링(83)은 이에 따라 여기서 압력 스프링과 같이 작용한다.
복귀 스프링(11)의 감소된 견인력에 의해, 수 커넥터 부분(81) 상의 하향힘은 또한 더 작아지고, 이러한 원통형 몸체(84)는 나선형 스프링(83)의 힘 하에서 채널(81f)의 제3 부분의 하부 위치로 변위된다. 이러한 유형의 상태가 도 12b에 도시된다. 그 결과 풀리 코드(5)의 앵커링 포인트는 하니스 코드(9)의 앵커링 포인트에 더 가깝게 되므로, 운동 시스템의 모든 코드(4, 5, 9)는 긴장되게 유지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결합된 상태에서 수 커넥터 부분(81) 및 암 커넥터 부분(82)을 구비하는 하니스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암 커넥터 부분(82)은 텐셔닝 요소로서 설계된다. 암 커넥터 부분(82)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암 커넥터 부분(82)의 헤드를 위한 위치 설정 공간(820a)이 존재하는 베이직 부분(820)과, 하나 이상의 하니스 코드의 결합을 위해 후크(821c)가 존재하는 단부 부분(821)이다(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지 않음).
단부 부분(821)은 단부에 더 큰 직경을 갖는 디스크형 몸체(821b)를 구비하는 핀(821a), 및 핀(821a) 주위의 나선형 스프링(83)을 포함한다. 위치 설정 공간(820a) 하의 베이직 부분(820)에는 베이직 부분(820)의 최하위 단부로부터 채널을 통해 접근 가능한 이동 챔버(820b)가 존재한다. 단부 부분(821)의 핀(821a)은 이 채널을 통해 이동 챔버(820b) 내로 연장된다. 디스크형 몸체(821b)는 이동 챔버(820b)에 위치되고 이 공간에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나선형 스프링(83)은 일 단부에서 경사진 벽(820c)에 지지되고, 타 단부에서 디스크형 몸체(821b)의 하측면과 접촉하고 디스크형 몸체(821b) 상에 위쪽으로-지향되는 힘을 가한다. 나선형 스프링(83)은 압력 스프링이다.
디스크형 몸체(821b)가 이동 챔버(820b)에서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하니스 코드(9)의 앵커링 포인트는 암 커넥터 부분(82)의 베이스 부분(820)에 대해, 이에 따라 또한 풀리 코드(5)의 앵커링 포인트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이동 챔버(820b) 내의 디스크형 몸체(821b)를 나선형 스프링(83)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동 챔버(820b) 내의 최하위 위치로 변위시키기에 충분한 단부 부분(821) 상의 하니스 코드(9)를 통해 하향힘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도 13a에 도시됨) 디스크형 몸체(821b)는 이동 챔버의 하부 단부에 접하는 경사진 벽(820d)과 접촉하고, 나선형 스프링(821c)은 나선형 스프링(63)이 지지되는 경사진 벽(820c)과 디스크형 몸체(821b)의 하측면 사이에서 최대 압축을 갖는다.
나선형 스프링(83)은 위쪽으로-지향되는 힘이 원통형 몸체(821b)에 가해지도록 인장력을 영구적으로 가한다. 복귀 스프링(11)의 감소된 견인력의 경우에, 단부 부분(821) 상의 하향힘은 또한 더 작아지고, 디스크형 몸체(821b)는 나선형 스프링(83)의 힘 하에서 이동 챔버(820b) 내의 더 높은 위치로 변위된다. 디스크형 몸체(821b)가 이동 챔버의 상부벽에 대항하여 변위된 가장 극단적 위치가 도 13b에 도시된다. 그 결과 하니스 코드(9)의 앵커링 포인트는 풀리 코드(5)의 앵커링 포인트에 더 가까워지므로, 운동 시스템의 모든 코드(4, 5, 9)는 긴장되게 유지된다.
제4 가능성에서 자카드 장치는 텐셔닝 요소로 설계되는 풀리 코드(5)를 구비하는 운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풀리 코드(5)는 나선형 스프링(50) 내에서 축방향 공간을 통해 연장되는 중간 코드(51)의 각 단부 부분(51a, 51b)에 그리고 나선형 스프링(50)의 각 단부(50a, 50b)에 결합된 2개의 별도의 코드 섹션(5a, 5b)으로 이루어진다. 나선형 스프링(50)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코드 단부 위에서 벤딩시켜 클램핑 요소(52)를 사용하여 동일한 코드의 평행한 런(run)에 고정함으로써 각 코드 섹션(5a, 5b)의 단부에 루프가 형성된다. 나선형 스프링(50)의 후크 형상 단부(50a, 50b)는 이와 같이 형성된 루프 내로 후킹된다. 중간 코드(51)의 단부 부분(51a, 51b)은 동일한 클램핑 요소(52)를 사용하여 풀리 코드(5)의 각각의 코드 섹션(5a, 5b)에 고정된다.
앵커링 포인트 사이의 중간 코드(51)의 길이는 나선형 스프링(50)이 릴랙스 상태에 있을 때 중간 코드(51)가 긴장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도 14a 참조). 코드 섹션(5a, 5b)이 나선형 스프링(50)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서로로부터 멀리 변위될 때, 나선형 스프링(50)은 더 큰 길이를 갖도록 변형된다. 코드 섹션(5a, 5b)의 최대 상대적 변위는 중간 코드(51)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될 때 얻어진다.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복귀 스프링(11)은 코드 섹션(5b)을 나선형 스프링(50)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최상위 코드 섹션(5a)에 대해 하향으로 변위시키기에 충분한 풀리 코드(5)의 최하위 코드 섹션(5b) 상의 하니스 코드(9)를 통해 하향힘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도 14b) 나선형 스프링(50)은 최대 신장을 갖고, 중간 코드(51)는 긴장된다. 나선형 스프링(51)은 위쪽으로-지향되는 힘이 최하위 코드 섹션(5b) 상에 가해지도록 인장력을 영구적으로 가한다. 복귀 스프링(11)의 감소된 견인력에 의해, 최하위 코드 섹션(5b) 상의 하향힘은 또한 더 작아지고, 최하위 코드 섹션(5b)은 나선형 스프링(50)의 힘 하에서 최상위 코드 섹션(5a)에 더 가까운 더 높은 위치로 변위된다. 중간 코드(51)는 이 때 물론 더 이상 긴장되지 않는다. 릴랙스 상태의 나선형 스프링(50)이 그 최소 길이를 갖고, 최상위 코드 섹션(5a)과 최하위 코드 섹션(5b) 사이의 거리가 이에 따라 최소인 가장 극단적 위치가 도 14a에 도시된다. 그 결과 풀리 코드(5)의 유효 길이가 감소되므로, 운동 시스템의 모든 코드(4, 5, 9)는 긴장되게 유지된다.
1, 2: 후크
4, 5: 풀리 코드
6: 앵커
30, 31: 풀리
32: 결합 피스

Claims (21)

  1. - 쉐드에 하나 이상의 날실을 위치시키기 위해 구동 요소(I, II)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10)와,
    - 캐리어(10)에 각 구동 요소(I, II)의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 요소(1-9)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1-12)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운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로서,
    각 운동 시스템은 한편으로는 캐리어(10)에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포인트(12)에 결합되어 캐리어(10) 상에 아래쪽으로-지향되는 제1 힘을 가하는 제1 힘 요소(11)를 포함하고, 각 운동 시스템은 제2 힘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 및 에너지 버퍼를 포함하며,
    제1 힘 요소(11)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은 운동 시스템의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1-12)의 변위 또는 변형에 의해 에너지 버퍼에 에너지 공급의 축적을 발생시키고, 각 운동 시스템은 스톱핑 수단(6c, 51, 61a, 63d, 63e, 81i, 327b, 820d)을 포함하여 제1 힘에 의해 발생된 변위 또는 변형이 미리 결정된 최대치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힘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는 에너지 버퍼에 저장된 에너지를 운동 시스템의 요소(1-12) 상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변형하도록 제공되어 캐리어(10) 상의 위쪽으로-지향되는 제2 힘을 발생하고, 상기 인장력이 가해진 운동 시스템의 요소(1-12)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인장력의 영향 하에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여 운동 시스템의 요소(1-12)는 텐션 하에 유지되고,
    상기 제2 힘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은 구동 요소(I, II)의 위치와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운동 시스템은
    - 구동 요소(I, II)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1, 2), 하나 이상의 날실을 쉐드에 위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10), 및
    - 각 후크(1, 2)의 이동을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10)에 전달하는 전달 요소(3-9)를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힘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는 에너지 버퍼이거나 또는 에너지 버퍼를 포함하고, 제1 힘 요소(11)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은 에너지 버퍼 내의 에너지 공급의 축적을 발생시키는 제2 힘 요소 상의 힘을 발생시키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에너지 버퍼는 포텐셜 에너지, 유압 에너지 또는 공압 에너지의 어큐뮬레이터인,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운동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1-12)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제1 텐셔닝 부분(5a, 6, 320, 323, 326, 81, 820) 및 제2 텐셔닝 부분(5b, 60, 321, 324, 327, 84, 821)을 구비하는 텐셔닝 요소(5a, 5b; 6, 60; 320, 321; 323, 324; 326, 327; 81, 84; 820, 821)이고, 제2 힘 요소는 이들 텐셔닝 부분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상기 인장력을 가하도록 제공되어 이들 텐셔닝 부분은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이 텐션 하에 유지되는 상대적 위치로 가압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텐셔닝 부분들은 텐셔닝 부분들이 인장력에 의해 제1 상대적 위치로 가압되어 운동 시스템의 요소들이 텐션 하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운동 시스템 내로 병합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힘 요소는 제1 힘 요소(11)에 의해 가해진 제1 힘이 이들 텐셔닝 부분들을 인장력에 대항하여 제2 상대적 위치로 이동시키는 텐셔닝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 상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상대적 위치로부터 제2 상대적 위치로 텐셔닝 부분들이 변위됨으로써 에너지 버퍼의 에너지 공급의 축적이 발생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2 힘 요소는 스프링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를 포함하고, 제1 상대적 위치로부터 제2 상대적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스프링 요소의 탄성 변형이 발생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각 운동 시스템은 텐셔닝 부분들이 제1 힘의 영향 하에 미리 결정된 제2 상대적 위치 초과만큼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톱핑 수단(6c, 51, 61a, 63d, 63e, 81i, 327b, 820d)을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텐셔닝 요소는 운동 시스템의 코드(4, 5, 9)이고, 제1 코드 섹션(5a) 및 제2 코드 섹션(5b)은 각각 중간 코드 섹션(51) 위 및 아래에서 서로 이격되고, 제2 힘 요소(50)는 제1 코드 섹션(5a) 및 제2 코드 섹션(5b)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도록 하나 또는 양쪽 코드 섹션 상에 인장력을 가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운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풀리(30, 31)를 포함하고, 풀리 코드(4)는 구동 요소(I, II)의 운동을 캐리어(10)에 전달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에서 이어지고, 텐셔닝 요소는 풀리 코드(4, 5)인,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제2 힘 요소(50)는 중간 코드 섹션(51)이 긴장되게 당겨지게 하여, 이 중간 코드 섹션(51)은 상기 코드 섹션(5a, 5b) 사이의 거리의 추가적 증가를 방지하도록 긴장된 상태에서 스톱핑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텐셔닝 요소는 상기 제1 및 제2 텐셔닝 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커넥터 부분(60, 6, 81, 82)을 구비하는 커넥터이고, 2개의 커넥터 부분은 운동 시스템의 각 요소(5, 9)에, 또는 각각 운동 시스템의 요소 및 고정된 기계 부분에 결합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의 커넥터 부분(81)은 다른 커넥터 부분(82)의 위치 설정 공간(820a)에 변위 가능하게 위치된 헤드 피스(81c)를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각 운동 시스템은 구동 요소(I, II)의 운동을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10)에 전달하도록 서로 위에 위치된 2개의 풀리(31, 32)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 요소(3)를 포함하고, 풀리 요소(3)는 풀리 요소(3)가 텐셔닝 요소를 형성하고 2개의 풀리 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 텐셔닝 부분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개의 풀리 부분(320, 321, 323, 324, 326, 327)을 포함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최상위 풀리 코드(4) 및 최하위 풀리 코드(5)는 각각 서로 위에 위치된 2개의 풀리(30, 31) 위에서 이어지고, 최상위 풀리 코드(4)의 2개의 단부는 각각의 구동 요소(I, II)에 의해 변위 가능하고, 최하위 풀리 코드(5)는 하나 이상의 하니스 코드(9)에 결합되고, 풀리 요소가 일정 거리(A)로 떨어진 최상위 풀리 부분(30, 320, 30, 324, 30, 326) 및 최하위 풀리 부분(31, 321, 31, 323, 31, 327)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풀리 요소(3)는 텐셔닝 요소로서 작용하고, 풀리 부분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제2 힘 요소는 상기 거리(A)를 감소시키도록 이들 풀리 부분 상에 힘을 가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텐셔닝 요소는 제1 및 제2 텐셔닝 부분을 형성하는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한 2개의 후크 섹션을 구비하는 구동 요소(I, II)에 의해 구동 가능한 후크(1. 2)인,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제2 힘 요소는 텐셔닝 요소의 상기 제1 및 제2 텐셔닝 부분 상에 견인력을 가하여 이들 제1 및 제2 텐셔닝 부분을 함께 당기는 텐션 스프링 요소(50, 325, 328)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텐셔닝 부분 중 하나 상에 압축력을 가하여 이 텐셔닝 부분을 다른 텐셔닝 부분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 스프링 요소(62, 63a, 63b, 83, 322)인,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힘 요소(50, 62, 63a, 63b, 83, 322, 325, 328)는 인장력을 영구적으로 가하도록 제공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힘 요소는 운동 시스템에서 캐리어(10)와 구동 요소(I, II) 사이에 위치되는,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KR1020177003459A 2014-07-18 2015-07-20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KR10244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14/0563 2014-07-18
BE2014/0563A BE1021951B1 (nl) 2014-07-18 2014-07-18 Gaapvormings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PCT/IB2015/055480 WO2016009413A1 (en) 2014-07-18 2015-07-20 Shed 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568A KR20170029568A (ko) 2017-03-15
KR102442371B1 true KR102442371B1 (ko) 2022-09-08

Family

ID=5160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59A KR102442371B1 (ko) 2014-07-18 2015-07-20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15013B2 (ko)
EP (1) EP3169835B1 (ko)
KR (1) KR102442371B1 (ko)
CN (1) CN106687629B (ko)
BE (1) BE1021951B1 (ko)
WO (1) WO2016009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2509A1 (en) * 2015-07-02 2017-01-04 NV Michel van de Wiel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elements of a shed forming mechanism for a weaving machine with each other
CN205775064U (zh) * 2016-05-31 2016-12-07 崔如奎 高速提花机的滑轮组件
JP6534134B1 (ja) * 2017-07-27 2019-06-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を駆動する方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を製造す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403A (en) 1995-04-04 1997-07-1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Jacquard loom latch control mechanism
KR100902304B1 (ko) 2002-05-10 2009-06-10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무선 실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09810A (de) * 1963-02-13 1966-03-15 Oerlikon Buehrle Holding Ag Jacquardmaschine mit einzeln elektromagnetisch gesteuerten Litzen
SE325836B (ko) * 1967-09-29 1970-07-06 W E N Lauritsen
CH512605A (de) * 1970-05-29 1971-09-15 Staeubli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Keilkupplung insbesondere in einer Sch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US3828826A (en) * 1971-06-19 1974-08-13 Sulzer Ag Jacquard mechanism
BE790077A (fr) * 1971-10-16 1973-04-13 Sulzer Ag Dispositif electromecanique de formation de la foule de metiersa tisse
CH552088A (de) * 1972-05-19 1974-07-31 Sulzer Ag Jacquardmaschine.
IT1105933B (it) * 1977-07-26 1985-11-11 Brochier Soieries J Apparecchiatura per il comando dei movimenti dei fili di ordito in un telaio di tessitura
DE2841281C2 (de) * 1978-09-22 1980-08-28 Maschinenfabrik Carl Zangs Ag, 4150 Krefeld Steuerung für eine Rotations-Schaftmaschine
CH639707A5 (de) * 1979-08-16 1983-11-30 Staeubli Ag Rotationsschaftmaschine.
US4481979A (en) * 1982-09-16 1984-11-13 Yamada Dobby Co., Ltd. Heald frame driving method in negative dobby machines or cam machines
DE3301931C2 (de) * 1982-10-26 1986-08-28 Textilma Ag, Hergiswil Einzellitzensteuervorrichtung für eine Webmaschine mit einer Fachbildevorrichtung
GB8306813D0 (en) * 1983-03-11 1983-04-20 Bonas Machine Co Heald control apparatus
DE3476900D1 (en) * 1984-12-18 1989-04-06 Staeubli Ag Rotary dobby
BE1000304A5 (nl) * 1987-02-13 1988-10-11 Wiele Michel Nv Van De Opengaap-jacquardmachine waarvan de takelinrichting door middel van op en neer beweegbare planken in blok gestuurd wordt.
DE3713832C1 (de) * 1987-04-24 1988-06-23 Grosse Webereimaschinen Gmbh Platinen-Steuervorrichtung fuer Offenfach-Jacquardmaschine
IT1204672B (it) * 1987-05-29 1989-03-10 Creazioni Tessili Borsa Di Ces Tirante elastico,applicabile alle macchine jacquard,per la realizzazione di tessuti operati
DE3728513A1 (de) * 1987-08-26 1989-03-09 Grosse Webereimaschinen Gmbh Niederhaltevorrichtung fuer durch jacquardmaschinen gesteuerte webmaschinen
US5095952A (en) * 1991-01-03 1992-03-17 Yu Hsiu Hsia Cheng Electromagnetic heald rod retention system for a jacquard system
US5145263A (en) * 1991-02-07 1992-09-08 Junichi Yokoi Backlash absorbing system for bearings
FR2685014B1 (fr) * 1991-12-11 1994-04-01 Staubli Ets Mecanisme jacquard pour la realisation de motifs sur les lisieres des tissus en cours de tissage.
DE4309983C2 (de) * 1993-03-29 1996-09-05 Schleicher Oskar Fachbildevorrichtung für Webmaschinen
GB9407710D0 (en) * 1994-04-19 1994-06-15 Bonas Machine Co Jaquard apparatus
FR2752246B1 (fr) * 1996-08-06 1998-10-09 Staubli Lyon Procede et dispositif de selection des crochets mobiles d'un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du type jacquard
DE29621008U1 (de) * 1996-12-03 1997-01-30 Textilma Ag, Hergiswil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Querbewegung mindestens eines Fadens einer Textilmaschine
GB9718987D0 (en) * 1997-09-09 1997-11-12 Bonas Machine Co Drive transmission assembly
FR2772796B1 (fr) * 1997-12-24 2000-01-28 Staubli Sa Ets Procede de montage d'un element funiculaire,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BE1013353A5 (nl) * 2000-03-17 2001-12-04 Wiele Michel Van De Nv Hakenselectie-inrichting voor een gaapvormings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FR2811687B1 (fr) * 2000-07-11 2002-10-18 Sraubli Faverges Lisse pour mecanique jacquard, ensembl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equipes d'une telle lisse
FR2846343B1 (fr) * 2002-10-25 2004-12-17 Staubli Lyon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mecanisme
TWI303679B (en) * 2003-06-12 2008-12-01 Textilma Ag Loom
ZA200602674B (en) * 2003-10-02 2007-09-26 Albany Int Corp Compact jacquard selecting card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DE102005060163A1 (de) * 2004-12-16 2006-07-13 Gerhard Piegeler Fachbildevorrichtung für die Textiltechnik
BE1016427A5 (nl) * 2005-01-25 2006-10-03 Wiele Michel Van De Nv Inrichting voor het aansturen van bind-en spankettinggarens, en poolweefmachine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US7318456B2 (en) * 2005-04-25 2008-01-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odular weaving system with individual yarn control
KR101412371B1 (ko) * 2006-09-28 2014-06-25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리본 방직 기계를 위한 쉐딩 장치
CN201990807U (zh) * 2010-12-14 2011-09-28 上海超诚电子科技有限公司 开口机构、开口机构组件及提花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403A (en) 1995-04-04 1997-07-1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Jacquard loom latch control mechanism
KR100902304B1 (ko) 2002-05-10 2009-06-10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무선 실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15013B2 (en) 2018-03-13
CN106687629B (zh) 2019-08-16
KR20170029568A (ko) 2017-03-15
EP3169835A1 (en) 2017-05-24
US20170167059A1 (en) 2017-06-15
CN106687629A (zh) 2017-05-17
EP3169835B1 (en) 2020-11-11
BE1021951B1 (nl) 2016-01-28
WO2016009413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371B1 (ko)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US5839481A (en) Procedure and a selector device of the movable hooks of a shed-forming mechanism and a jacquard type loom force balancing of hooks in a jacquard loom
US7441567B2 (en) Needle loom with automatic change of the weft thread
US3960182A (en) Heddles for weaving machines having heddle frame bars for several heddles, which bars are moved by a shed-forming device
KR100760441B1 (ko) 직기
EP2829647A1 (en) Yarn feeder provided with a weft-winding drum and with a feedback-controlled, weft-braking device
US9498564B2 (en)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US7493920B2 (en) Shed forming device and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a shed forming device
JP4513646B2 (ja) 織機における綾取り装置
JP3568635B2 (ja) たわみ素子手段により複数の開口装置の選択を行うための機構
US6085803A (en) Spring supported hook arrangement in a shed forming device
US7451786B2 (en) Weaving machine for weaving pile fabrics, and set of at least two spacers provided to be mounted next to one another in a weaving machine for weaving pile fabrics
CN101240472B (zh) 织造机构和配备有这种织造机构的提花机型织机
CN110592765B (zh) 使纱罗组织设备的综线与升降综片可拆松地连接的夹紧设备
EP0292632A2 (en) A Resilient tensioner device for a jaquard machine
KR20010087265A (ko) 직성된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
CA1048902A (en) Device for exerting back-pull on the heddles of jaquard looms
JP2004526883A (ja) ばね減衰ひ道形成装置
EP0246718A2 (en) Weaving loom
EP1600537A1 (en) Needle loom
SU579910A3 (ru) Ремизна рамка к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EP0930385B1 (en) Shed-forming device for weaving machines
US6382263B2 (en) Hook selection device for a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CN113825866A (zh) 梭口形成装置
EP1989346B1 (en) Heddle for a weaving machine,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such heddles and method for to manufacture such a he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