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441B1 - 직기 - Google Patents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441B1
KR100760441B1 KR1020057023587A KR20057023587A KR100760441B1 KR 100760441 B1 KR100760441 B1 KR 100760441B1 KR 1020057023587 A KR1020057023587 A KR 1020057023587A KR 20057023587 A KR20057023587 A KR 20057023587A KR 100760441 B1 KR100760441 B1 KR 10076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m
control
warp
driver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251A (ko
Inventor
프란시스코 스파이크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1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10Centre-shed 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3/00Shedd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03D49/14Compensating for tension differences during shedd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20Warp stop motions
    • D03D51/28Warp stop motions electrical
    • D03D51/30Warp stop motions electrical wherein droppers are suspended on individual warp threads or small groups of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warp thread) 인장 장치 및 개구 장치(12)를 구비한 직기에 대한 것으로서, 개구 장치는 제 1 개구 위치(F1)에 당겨진 경사(4)를 구비한다. 직기는 또한 진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승강 장치(38)와, 경사(4)용 종동자(40), 및 경사들(4)을 종동자(40)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액튜에이터들(44)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경사들(4)을 제 2 개구 위치(F3)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46)을 구비한다. 직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개구 위치(F1)로부터 경사(4)를 제 1 승강 장치(38)가 작동되는 중간 위치(F2)로 이동시키고 전체 비선택 경사들을 경사(4)를 당기는 것에 의하여 제 1 개구 위치(F1)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든 경사들(4)에 공통인 제 2 승강 장치(48)가 제공된다.
직기, 경사, 위사, 개구, 실, 인장력, 사전, 비상 스위치, 스프링, 파지부

Description

직기{Loom}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직기(loom)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한 형태의 직기는 WO 99/131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직기는 경사(warp thread) 인장장치와 제 1 개구(shedding) 위치에 인장된 경사를 가지는 개구 장치를 포함한다. 진동 구동가능한 승강장치가 경사를 제 2 개구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버와 선택적으로 경사를 결합시키도록 경사용 드라이버들을 구비하며, 액튜에이터들에 의하여 작동가능한 제어수단이 존재한다. 이러한 직기에서는 드라이버들을 구비한 승강장치가 제 1 개구 위치에서 제 2 개구 위치에 이르기까지 경사의 전체 이동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승강장치는 비교적 긴 이동을 수행하여야 하는 데, 이는 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더 큰 구동력이 필요하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WO 99/13145에서는 추가적인 예로서의 실시예가 개시되는 데, 경사가 중간 개구 위치를 가지며 경사가 상부 개구 위치 혹은 바닥 개구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각 드라이버들을 가지는 두 개의 승강 장치들이 있다. 이는 두 배의 드라이버들이 필요하며, 그 결과 이러한 구조 변경은 아주 복잡하고 따라서 비용 집약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한 형태의 직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기가 모든 경사들에 공통이며 경사들을 제 1 개구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승강 장치에 대해 효과적인 절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승강 장치를 구비하며, 이로써 모든 경사들에 대해 상기 제 1 승강 장치에 대한 절환 이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아주 간단한 제 2 승강 장치를 발생하므로 상기 제 1 승강 장치는 경사를 절환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개구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양자의 승강 장치들은 단지 한정된 이동만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더 적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승강 장치들이 동시에 작동되므로 직기 성능의 상당한 증가가 얻어진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사용 수명이 증가된다. 상기 직기는 또한 소음 발생이 작다.
직기의 효과적인 특징들이 청구항 2항 내지 22항에 기재된다.
청구항 2항에 따르면, 상기 제 2 승강 장치는 전 경사들에 걸치는 승강 비임일 수 있다. 상기 제 2 승강 장치의 승강 이동은 크게 변하므로 청구항 3항에 따라 개구의 경사들의 승강 이동의 적어도 반을 제 2 승강 장치가 수행하면 효과적이다.
제 1 승강 장치의 구조에 대해 WO 99/13145에 포함된 여러 구조 변경이 존재할 수 있다. 청구항 4항에 기재된 실시예는 특히 효과적인 데, 제 1 승강장치는 각각의 경사에 대해 후크 형상의 구조임이 바람직한 드라이버 슬롯과 관련된 경사에 대한 정해진 드라이버를 가지는 제어 인입 와이어를 가진다. 경사는 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절환가능한 제어 인입 와이어에 의하여 드라이버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청구항 5항에 따르면, 드라이버 슬롯은 드라이버의 이동 경로에 형성되며, 절환 영역에서 드라이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 형성되는 제어 슬롯을 개재하여 드라이버의 이동 경로로부터 제어 인입 와이어의 확장된 안내 슬롯으로 연장한다. 청구항 6항에 따라, 경사를 신속하게 제어 슬롯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안내 슬롯에는 경사 측면이 구비된다.
기본적으로, 제어 인입 와이어는 강판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7항에 기재된 구성도 효과적이며, 이에 따르면, 제어 인입 와이어는 두 측벽들을 가진 슬리브 형태로 구성되며, 드라이버는 측벽들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드라이버로부터의 전후 안내가 신뢰성 있게 달성된다. 경사를 보호하는 한편, 제어 인입 와이어를 통과하여 경사가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청구항 8항에 따라 적어도 드라이버 슬롯과 제어 슬롯은 제어 인입 와이어의 이송 경사의 굽힘 각도(α)가 90°보다 작은, 바람직하기로는 10°보다 작도록 경사의 이송 방향에서 제어 인입 와이어의 두 측벽들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드라이버들을 구동하는 여러 방법들이 존재하는 데, 바람직하기로는 청구항 9항에 따라 하나의 열의 모든 드라이버들이 공통의 승강 비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특히 간단하고 비용 절감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각 경우에서 경사들이 제 1 개구 위치로부터 제 2 개구 위치로 이동되므로 만족한 기능을 보장하기에 경사의 탄성이 충분하지 않도록 경사가 이동한다. 따라서, 청구항 10항에 따라 경사 인장장치는 경사의 기울어진 측면에서 개구 장치로 각각의 경사에 대해 개별적인 실 텐셔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별적인 경사의 장력은 개구의 경사의 개별적인 위치에 더욱 근접해질 수 있다. 직기는 통상의 실 파지장치를 부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11항에 따라 실 텐셔너들이 동시에 또한 실 파지 장치로서 구성되면 더욱 효과적이다.
청구항 12항에 따르면, 각각의 경사는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된 두 안내부재들을 통하여 안내되며, 이들 사이에 경사와 결합하고 경사에 장력을 미치는 실 텐셔너가 배치된다. 청구항 13항에 따르면, 장력은 인장 웨이트에 의하여 발생된다. 청구항 14항의 구조에서는 사전 인장은 사전 인장 스프링에 의하여 생성되며, 이 또한 특히 실 텐셔너를 수직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실 텐셔너는 닫혀진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15항에 기재된 구조는 더욱 효과적인데, 이에 의하면, 각각의 실 텐셔너는 경사용의 측면 이송 구멍을 가진다. 청구항 16항에 따르면, 각각의 실 텐셔너는 인장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홀더가 장착된 안내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 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신호부를 구비한 파지부를 가진다. 이러한 신호부는 예컨대, 실 텐셔너의 돌출된 헤드부일 수 있다. 따라서, 실의 오류가 발생한 실 텐셔너가 더욱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데, 이는 만족하게 작동하는 실 텐셔너의 평면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17항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절연되어 실 텐셔너의 안내 오리피스의 측면들과 연동하는 측면 접촉부에 함입되는 중간 접촉부를 가지는 홀더 위에 실 텐셔너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못된 경사 장력의 경우, 접촉부들은 오류 경보를 위해 안내 오리피스의 단부면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실 텐셔너는 아주 다양하게 여러 직기들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18항의 직기에서, 경사 인장장치는 전체 경사가 정해진 장력하에서 위치하도록 경사 비임의 보유력의 함수로서 직물 권취기의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직물 권취기의 구동기에 연결된 제어장치를 가지는 직기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보유력은 경사 송출기의 제동 장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19항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경사 비임은 자동 잠금 기어를 가진 일정한 구동기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경사 인장장치는 청구항 20항에 기재된 구조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는 데, 여기에서 인장 스프링 장치에 의하여 사전 인장되는 경사용의 후방 지지부를 가진다. 인장 스프링 장치는 후방 지지부에서 정해진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경사 비임 및 직물 권취기의 구동기들이 제어되도록 제어장치에 연결된다. 인장 스프링 장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청구항 21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인장 스프링 장치는 제어장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굽힘 컨버터를 가진 판스프링을 구비한다. 또한, 청구항 22항에 따라, 경사 인장 장치는 후방 지지부에서 발생하는 경사의 힘이 정해진 안전양만큼 설정된 장력 보다 큰 경우 반응하는 비상 스위치를 가지고 후방 지지부에 연동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데, 여기에서:
도 1은 직기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직기의 개구 장치를 상세하게 확대하여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개구 장치의 Ⅲ - Ⅲ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며;
도 4 내지 도 8은 도 2의 개구 장치의 여러 작업 단계를 도시하며;
도 9는 각각 실 텐셔너들을 구비한 다른 실시예의 직기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직기의 실 텐셔너의 확대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F1: 제 1 개구 위치 F2: 절환위치
F3: 제 2 개구 위치 H1: 제 1 승강장치의 인상 높이
H2: 제 2 승강장치의 인상 높이 S: 절환양
α: 굽힘 각도 2, 2a: 경사 송출기(경사 비임)
4: 경사(warp thread) 6, 6a: 후방 지지부
8, 8a: 실 텐셔너 10: 실 파지장치
12, 12a: 개구 장치 14: 개구(shed)
16: 씨실(weft) 18: 타격 에지
20: 직물웹 22: 직물 홀더
24, 24a: 직물 권취기 26, 26a: 제어장치
28, 28a: 구동기 29: 제동장치
30, 30a: 안내 부재 32, 32a: 사전 인장 스프링
34, 34a: 구멍 36: 굽힘 롤러
38: 제 1 승강장치 40: 드라이버
40a: 후크 42: 승강 비임
44: 액튜에이터 54: 승강 비임
56: 정지부 58, 60: 후크부
62, 62a, 62b: 드라이버 슬롯 64: 제어 슬롯
66: 안내 슬롯 68, 70: 측벽
72, 74: 단부 벽 76: 활주 측면
80: 직물 비임 82: 구동기
84: 자동잠금 기어 86: 인장 스프링 장치
88: 록커 90: 지지 장치
92: 판스프링 94: 굽힘 컨버터
96: 안전 장치 98: 나사 볼트
100: 헤드 102: 유지벨
104: 정지부 106: 사전 인장 스프링
108: 세트 스크류 110: 와셔
112: 스위치 114: 안내 오리피스
116: 홀더 118: 접점
120: 측면 접점 124: 단부면
126: 파지부 128: 신호부
도 1은 예컨대 경사(warp) 비임으로서 설계된 경사 송출기(let-off)(2)를 가지는 직기를 도시하는데, 이로부터 경사들(4)은 후방 지지부(6), 개별 실 텐셔너들(8) 및 실 파지기(10)를 거쳐 개구 장치(shedding devide)(12)에 도달한다. 개구 장치(12)에서, 경사들(4)은 타격 에지(18)에서 타격된 직물의 실(16)이 도입되는 개구(14)를 형성하도록 개방되므로 직물웹(20)이 얻어진다. 직물 홀더(22)에 의해 유지되는 직물웹(20)은 직물 권취기(24)에 의하여 감겨진다. 직기를 제어하도록 제어장치(26)가 작용한다.
직기는 실 인장장치가 구비되는데, 그 구동기(28)는, 모든 경사들(4)에 공통인 소정의 장력이 경사 송출기(2)의 유지력의 함수로서 주어지도록 제어장치(26)에 의하여 제어된다. 경사 송출기의 유지력은 자동 잠금 기어에 의하여 경사 송출기에 모터가 연결된 제동장치(29) 혹은 일정한 구동기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경사 인장 장치는 또한 각 경사(4)에 대하여 도시된 예에서 두 안내부재들(30) 사이에 배치되고 개별적으로 사전 인장 스프링(32)에 의하여 구멍(34)을 통해 연장하는 경사(4)를 미리 당기는 개별적인 경사 텐셔너(8)를 구비한다.
개구장치(12)에서, 경사들(4)은 굽힘 롤러(36)와, 익스팬더로서 구성될 수 있는 피복 홀더(22) 사이의 제 1 개구 위치(F1)로 당겨진다. 제 1 승강장치(38)는경사(4)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하며, 승강 비임(42)에 의하여 전환 위치(F2)에서 제 2 개구 위치(F3)로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버들(40)을 가진다. 액튜에이터(44)에 의하여 제어가능한 제어수단(46)을 통하여 경사들(4)이 도 1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의 제 2 승강 장치(48)에 의하여 제 1 개구 위치(F1)에서 절환위치(F2)로 이동된 경우, 경사들(4)은 선택적으로 드라이버들(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수단(46)은 정지부(56)를 통하여 그 위에 지지되는 승강 비임(54)에 대해 사전 인장 스프링(52)에 의하여 당겨지는 제어 인입 와이어들(50)을 구비한다. 액튜에이터들(44)은 제어 인입 와이어들(50) 위에서 후크부(60)와 연동하고 작동 상태에서 승강 위치에 제어 인입 와이어(50)를 유지하는 후크부(58)를 구비한다. 비작동 액튜에이터(44)는 제어 인입 와이어(50)의 변위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에서, 각각의 제어 인입 와이어(50)는 도 2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절환 이동에 의하여 특정되어진다. 이와 같이, 제어 인입 와이어들은 경사(4)의 변위 이동에 있는 드라이버 슬롯(62)을 포함한다. 드라이버 슬롯은 드라이버(40)에 의하여 파지되지 않도록 드라이버의 이동 경로로부터 벗어나서 확장된 안내 슬롯(66)으로 경사를 안내하는 제어 슬롯(64)에 상향으로 인접한다.
도 2 및 도 3 도시와 같이, 제어 인입 와이어는 슬리브 형태로 구성되어 단부 벽들(72, 74)에 의하여 연결되고 드라이버(4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공동을 제공하는 측벽들(68, 70)을 가진다. 특히, 드라이버 슬롯들(62a 62b)은 경사가 제어 인입 와이어를 통하여 이동시 경사 인입 와이어에 대해 90°,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각도로서 경사 인입 와이어에 대해 경사가 기울어지도록 실의 주행 방향으로 경사되게 측벽들(68, 70)에 배치되므로, 제어 인입 와이어를 통과하는 경사의 통과 저항이 가능한 작게 유지되고 따라서 경사의 마모 및 제어 인입 와이어의 마모가 가능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개구 장치의 작용은 도 2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어 인입 와이어가 도 1에 도시되고, 도 2, 4 및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액튜에이터에 유지되는 인상 위치에 존재시, 경사는 제 2 승강장치(40)에 의하여 경사 주행 측면(76)을 통하여 안내 슬롯(66)으로부터 제어 슬롯(66)으로 안내되고 제어 슬롯(64)에 의하여 드라이버(40)의 이동 경로상에 경사가 위치하는 드라이버 슬롯(62)으로 안내된다. 드라이버(40)의 이러한 하향 이동 동안에 경사(4)는 드라이버(40)의 후크부(40a)에 의하여 절환위치(F2)로부터 바닥 개구위치인 제 2 개구 위치(F3)로 구동된다. 제어 인입 와이어(50)가 인상 위치에 있는 동안은 경사(4)는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환 위치(F2)로부터 제 2 개구 위치(F3) 사이에 단지 높이의 양(H1) 만큼 전후로 이동된다.
액튜에이터(44)가 제어 인입 와이어(50)를 해제하면, 와이어는 드라이버(40)의 상향 이동 동안에 절환양(S)만큼 하강되며, 경사는 제어 슬롯(64)을 통하여 확장 안내 슬롯(66)으로 진행하며, 따라서 드라이버(40)의 이송 경로로부터 벗어난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는 재차 제 2 승강장치(48)의 이동 경로를 통과하고 절환 위치(F2)로부터 상부의 개구 위치인 제 1 개구 위치(F1)로 높이(H2)에 걸쳐 이동된다.
도 9는 도 1의 직기에 따른 개구 장치를 예컨대 구비하며 특정 설계의 경사 인장 장치 및 텐셔너를 구비한 직기를 도시한다. 직기는 그로부터 경사들(4)이 후방 지지부(6a)로부터 개구 장치(12a)의 상류에 배치된 개별 실 텐셔너(8a)로 안내되는 경사 비임(2a)을 포함한다. 개구 장치(12a)는 도 1의 직기의 개구 장치(12)에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조된 직물웹(20)은 직물 권취기(24a)를 통하여 직물 비임(80)에 권취된다. 직기는 경사 인장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26a)를 구비한다. 경사 비임(2a)은 자동 잠금 기어(84)를 가진 구동기(82)에 의하여 작동된다. 구동기는 경사(4)에 대항하여 후방 지지부(6a)가 지지되는 특히 인장 스프링 장치(86) 및 직물 권취기(24a)의 구동기(28a)의 작용으로서 제어장치(26a)에 의하여 제어된다. 후방 지지부(6a)에서 소정의 인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경사 비임(2a)의 구동기(82)의 유지력의 함수로서 직물 권취기(24a)가 설정됨으로써 제어가 이루어진다.
경사 비임(6a)은 그 데이터를 제어장치(26a)에 전송하는 굽힘 컨버터(94)가 구비된 판스프링(92) 위에 지지 장치(90)를 통하여 지지되는 로커(88)에 고정된다. 지지 장치(90)는 그 헤드(100)가 유지벨(102)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나사볼트(98)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96)를 구비한다. 유지벨(102)은 로커(88)에 연결된다. 유지벨의 정지부(104) 위에 헤드(100)는 지지된다. 유지벨(102)의 외측에 배치된 사전 인장 스프링(106)은 한편으로는 세트 스크류(108)를 통하여 나사볼트(98) 위에 그리고 다른 한편은 와셔(110)를 통하여 유지벨(102) 위에 지지되므로 헤드(100)는 유지벨(102)의 정지부(104)에 대항하여 상응하는 인장력을 미친다. 나사볼트(98)는 또한 판스프링(92)에 연결된다. 이어서, 판스프링(92)에 허용가능하도록 설정된 장력 보다 큰 장력이 후방 지지부(6a)에 발생하면, 사전 인장 스프링(106)은 압축되고 유지벨(102)은 나사볼트(98) 위로 이동되어 유지벨(102)에 연결된 스위치(112)가 닫혀지고 제어장치(26a)에 오류 신호를 전송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동시에 실 파지장치로서 구성된 실 텐셔너(8a)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실 텐셔너들(8a)은 인입 와이어들로 구성되고 각각 안내 오리피스(114)를 구비하는 데, 이들에 의하여 텐셔너들은 장력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홀더(116) 위에 장착된다. 홀더들은 일측으로 돌출하는 중간 접점(118)과 측면 접점들(120)로 함입 절연된다. 후자들은 안내 오리피스의 측면들에 연결된다. 오류 경사 장력의 경우, 실 텐셔너들(8a)은 홀더(116)의 접점들(118, 120)이 안내 오리피스(114)의 단부면(124)에 대항하여 지지되어 오류 경고를 발생하기까지 사전 인장 스프링(32a)에 의하여 이동된다. 실 텐셔너들은 각각의 경우 구멍(34a)을 통하여 실 텐셔너(8a)에 연결되는 경사(4)용 두 안내부재들(30a) 사이에 위치된다. 사전 인장 스프링(32a)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서는 실 텐셔너들이 각각 실 텐셔너들의 이동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신호부(128)를 가지는 파지부(126)를 포함하므로 파손된 경사를 나타내는 이들 실 텐셔너들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서 잔여 신호부(128)와 더 이상 정렬되지 않는다. 신호부(128)는 이동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헤드부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구조 변경이 아주 간단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직기가 제공된다.

Claims (22)

  1. 경사 인장 장치와, 제 1 개구 위치(F1)로 사전 인장된 경사들(4)을 가지는 개구 장치(12, 12a)와, 경사(4)용 드라이버들(40)을 가지며 진동 구동가능한 승강장치(38)와, 액튜에이터들(44)에 의하여 작동가능하며 경사들(4)을 제 2 개구 위치(F3)로 이동시키는 상기 드라이버들(40)에 경사들(4)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어수단(46)을 구비하는 직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위치(F1)로부터 상기 제 1 승강장치(38)를 위해 작동가능한 절환 위치(F2)로 상기 경사(4)를 이동시키며 상기 경사(4)의 인장 결과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사들(4)을 같이 상기 제 1 개구 위치(F1)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든 경사들(4)에 공통인 제 2 승강장치(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장치(48)는 모든 경사들(4)에 걸쳐 연장하는 승강 비임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승강장치(48)는 개구의 경사들(4)의 상향 이동의 적어도 반(H2)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장치(38)는 각각의 경사에 대해 후크 형상의 구조임이 바람직한 드라이버 슬롯(62, 62a 62b)과 관련된 경사(4)에 대한 정해진 드라이버(40, 40a)를 가지는 제어 인입 와이어(50)를 가지며, 상기 경사는 상기 액튜에이터(44)에 의하여 절환 가능한 상기 제어 인입 와이어(50)에 의하여 상기 드라이버들(40, 40a)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슬롯(62, 62a 62b)은 상기 드라이버(40, 40a)의 이동 경로에 형성되며, 절환 영역에서 드라이버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 형성되는 제어 슬롯(64)을 개재하여 드라이버(40, 40a)의 이동 경로로부터 제어 인입 와이어의 확장된 안내 슬롯(66)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롯(66)은 상기 제어 슬롯(64)을 향하여 연장하는 경사 측면(7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입 와이어(50)는 두 측벽들(68, 70)을 가진 슬리브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드라이버(40, 40a)는 상기 측벽들(68, 7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드라이버 슬롯(62a 62b)과 제어 슬롯(64)은 상기 두 측벽들(68, 70)에 형성되며, 상기 측벽들(68, 70)의 상기 드라이버 슬롯(62a 62b)과 상기 제어 슬롯(64)은 상기 제어 인입 와이어(50)의 이송 경사의 굽힘 각도(α)가 90°보다 작은, 바람직하기로는 10°보다 작도록 경사(4)의 이송 방향에서 상호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9.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의 열의 모든 드라이버들(40)이 공통의 승강 비임(4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인장 장치는 경사(4)의 기울어진 측면에서 개구 장치(12, 12a)로 각각의 경사(4)에 대해 개별적인 실 텐셔너(8, 8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텐셔너(8a)는 실 파지장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4)는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된 두 안내 부재들(30, 30a)을 통하여 안내되며, 이들 사이에 경사와 결합하고 경사에 사전 인장력을 미치는 실 텐셔너(8, 8a)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장력은 인장 웨이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인장력은 인장 스프링(32, 32a)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 텐셔너(8a)는 경사(4)용의 측면 이송 구멍(34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 텐셔너(8a)는 인장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홀더(116)가 장착된 안내 오리피스(114)를 구비하며, 인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 방향으로부터 돌출하는 신호부(128)를 구비함이 바람직한 파지부(1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16)는 일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절연되어 상기 실 텐셔너의 안내 오리피스(114)의 측면들과 연동하는 측면 접촉부(120)에 함입되는 중간 접촉부(118)를 가지며, 경사의 오류 인장인 경우, 접촉부들(118, 120)이 오류 경보를 위해 안내 오리피스(114)의 단부면(124)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인장 장치는 전체 경사가 소정의 사전 인장력 하에서 위치하도록 경사 비임(2, 2a)의 보유력의 함수로서 직물 권취기(24, 24a)의 구동기(28, 28a)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권취기(24, 24a)의 구동기(28, 28a)에 연결된 제어장치(26, 26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보유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비임(2a)은 자동 잠금 기어(84)를 가진 일정한 구동기(8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인장 장치는 인장 스프링 장치(86)에 의하여 사전 인장되는 경사(4)용의 후방 지지부(6a)를 가지며, 상기 인장 스프링 장치(86)는 후방 지지부(6a)에서 소정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경사 비임(2a) 및 직물 권취기(24a)의 구동기들(28, 28a)이 제어되도록 제어장치(26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 장치(86)는 제어장치(26a)에 연결된 굽힘 컨버터(94)를 가진 판스프링(9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 장치(86)는 상기 후방 지지부(6a)에서 발생하는 경사(4)의 힘이 정해진 안전양 만큼 설정된 인장력 보다 큰 경우 반응하는 비상 스위치(112)를 가지는 안전장치(96)를 통하여 후방 지지부(6a)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KR1020057023587A 2003-06-12 2004-06-03 직기 KR100760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027/03 2003-06-12
CH10272003 2003-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51A KR20060018251A (ko) 2006-02-28
KR100760441B1 true KR100760441B1 (ko) 2007-10-04

Family

ID=3354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587A KR100760441B1 (ko) 2003-06-12 2004-06-03 직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320343B2 (ko)
EP (1) EP1631712B1 (ko)
JP (1) JP4276676B2 (ko)
KR (1) KR100760441B1 (ko)
CN (1) CN1806072B (ko)
AT (1) ATE389740T1 (ko)
BR (1) BRPI0411345A (ko)
DE (1) DE502004006588D1 (ko)
ES (1) ES2299836T3 (ko)
HK (1) HK1089487A1 (ko)
TW (1) TWI303679B (ko)
WO (1) WO20041113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29B1 (ko) 2008-04-16 2010-08-18 소진수 실공급방법, 경사공급방법, 실공급장치 및 직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3679B (en) * 2003-06-12 2008-12-01 Textilma Ag Loom
CN1886540B (zh) * 2003-11-28 2011-01-12 泰克斯蒂尔玛股份公司 用于织机、特别是用于开口装置的纱线控制装置
GB2432595B (en) * 2005-11-24 2010-09-29 John Rush Direct warp selection device
DE502007004972D1 (de) * 2007-03-27 2010-10-14 Textilma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querbewegung der kettfäden einer textilwebmaschine
CN101392427B (zh) * 2008-11-05 2010-12-08 东华大学 一种三维织机张力控制系统
CN102936791A (zh) * 2011-08-16 2013-02-20 苏州华龙针织品有限公司 一种控制张力机构
BE1021506B1 (nl) * 2012-11-19 2015-12-03 Nv Michel Van De Wiele Module geschikt voor inbouw in een jaquardmachine
CN103382615B (zh) * 2013-06-27 2014-12-24 浙江理工大学 一种伺服驱动式活动后梁机构
US9109308B2 (en) 2013-11-12 2015-08-18 Sheila A. Wright Loom and method for creating an article
BE1021951B1 (nl) * 2014-07-18 2016-01-28 Michel Van De Wiele Nv Gaapvormings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US10415161B2 (en) * 2014-12-10 2019-09-17 Uchino Co., Ltd. Method for weaving multiply gauze, and multiply gauze woven fabric
CN106037119A (zh) * 2016-07-25 2016-10-26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体鞋面制造方法及一体编织鞋面
CN209555469U (zh) * 2017-04-28 2019-10-29 爱世伴公司 织机以及织机的综片系统和致动器系统
BE1027384B1 (nl) * 2019-06-20 2021-01-28 Vandewiele Nv Gaapvormingsinrichting
CN115161856B (zh) * 2022-08-05 2024-03-19 河北英凯模金属网有限公司 打纬机构及丝网编织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97B (de) 1953-03-09 1958-02-20 Trikotfabriken J Schiesser A G Vorrichtung zum Bilden des Faches auf Webmaschinen
WO1997011215A1 (de) * 1995-09-21 1997-03-27 Textilma Ag Vorrichtung zur wahlweisen steuerung einer oszillierenden querbewegung eines fadens, insbesondere eines kettfadens einer webmaschine
WO1999013145A1 (de) * 1997-09-08 1999-03-18 Textilma Ag Fadensteu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953A (en) * 1961-03-13 1963-09-17 Lauritsen William Shedding mechanisms
BE669911A (ko) * 1964-09-22
CH657162A5 (de) * 1982-07-01 1986-08-15 Textilma Ag Fachbildevorrichtung fuer eine webmaschine.
FR2586431B1 (fr) * 1985-08-23 1987-11-13 Staubli Verdol Palonnier pour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dans un metier a tisser
FR2586432B1 (fr) * 1985-08-23 1987-11-13 Staubli Verdol Dispositif pour la formation de la foule d'un metier a tisser
IT1259606B (it) * 1992-02-12 1996-03-25 Tecnotessile Centro Ricerche S Dispositivo di selezione e comando dei mezzi di movimentazione dei fili di ordito, singolarmente.
EP0562214A1 (de) * 1992-03-27 1993-09-29 Sulzer RàœTi Ag Webmaschine mit Teilkettbäumen
GB9422519D0 (en) * 1994-11-08 1995-01-04 Bonas Machine Co Heald control mechanism
DE19514995C2 (de) * 1995-04-24 1997-06-19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EP0841418B1 (de) * 1996-11-12 2001-05-23 Sulzer Textil A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Webkettenspanners und Webmaschine mit dieser Vorrichtung
FR2795434B1 (fr) * 1999-06-25 2001-08-10 Staubli Sa Ets Procede et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es fils de chaine d'un metier a tisser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dispositif
WO2001073177A1 (de) * 2000-03-27 2001-10-04 Textilma Ag Jacquardmaschine
TWI303679B (en) * 2003-06-12 2008-12-01 Textilma Ag Lo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97B (de) 1953-03-09 1958-02-20 Trikotfabriken J Schiesser A G Vorrichtung zum Bilden des Faches auf Webmaschinen
WO1997011215A1 (de) * 1995-09-21 1997-03-27 Textilma Ag Vorrichtung zur wahlweisen steuerung einer oszillierenden querbewegung eines fadens, insbesondere eines kettfadens einer webmaschine
WO1999013145A1 (de) * 1997-09-08 1999-03-18 Textilma Ag Fadensteuer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29B1 (ko) 2008-04-16 2010-08-18 소진수 실공급방법, 경사공급방법, 실공급장치 및 직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1712B1 (de) 2008-03-19
TWI303679B (en) 2008-12-01
CN1806072B (zh) 2010-11-10
EP1631712A1 (de) 2006-03-08
ES2299836T3 (es) 2008-06-01
US20060169345A1 (en) 2006-08-03
JP4276676B2 (ja) 2009-06-10
BRPI0411345A (pt) 2006-07-11
ATE389740T1 (de) 2008-04-15
WO2004111321A1 (de) 2004-12-23
HK1089487A1 (en) 2006-12-01
CN1806072A (zh) 2006-07-19
JP2006527312A (ja) 2006-11-30
TW200510588A (en) 2005-03-16
KR20060018251A (ko) 2006-02-28
DE502004006588D1 (de) 2008-04-30
US7320343B2 (en) 200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441B1 (ko) 직기
JP4974032B2 (ja) 織物機械内の糸ガイドを選択的にシフトするためのジャカード装置
US7111647B2 (en) Weaving machine and method for weaving pile fabrics and spacer for such a weaving machine
US8333222B2 (en) Loom for producing a woven article with a profiled cross section, in particular a rope
KR19980018399A (ko) 쉐드 형상 메카니즘의 이동 훅에 대한 실렉션 방법, 실렉터 디바이스 및 이동 훅이 설치된 자카드 타입 직기
US5183084A (en) Rapier guide with two series of guide elements
KR101557248B1 (ko) 실 초과 장력의 모니터링 방법 및 실 초과 장력의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한 직조기
JP4513646B2 (ja) 織機における綾取り装置
US6085803A (en) Spring supported hook arrangement in a shed forming device
EP0930385B1 (en) Shed-forming device for weaving machines
US4114658A (en) Mechanism for compensating the length of a weft thread for a loom
JPS6042304B2 (ja) 編成機械などの繊維機械におけるヤーン,スライバその他の繊維糸の供給装置
EP1115928B1 (en) Selector
US6973942B2 (en) Weft carrying grippers for weaving looms and in guiding means thereof
KR20040106468A (ko) 무선 실 제어장치
US6116293A (en) Electromagnetic shed forming apparatus for a jacquard machine
KR100877238B1 (ko) 셔틀직기의 셔틀구동방법 및 장치
KR20010041462A (ko) 섬유사 이송 버퍼용 엉킴 방지 장치
EP14798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aking over a weft yarn by a gripper rapier from a donor rapier
JP2935670B2 (ja) ジェット織機の緯糸押込み装置
US6941977B2 (en) Jacquard machine
US6305435B1 (en) Weaving machine with an insertion system for a plurality of generally different weft threads
CN113906174A (zh) 用于在纺织毛圈织物时使交织点线均匀的设备
BE1015918A5 (nl) Weefmachine en werkwijze voor het weven van poolweefsels bestaande uit inslaggarens grondkettinggarens en poolkettinggarens.
US760024A (en) Harness mechanism for l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