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304B1 - 무선 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304B1
KR100902304B1 KR1020047017769A KR20047017769A KR100902304B1 KR 100902304 B1 KR100902304 B1 KR 100902304B1 KR 1020047017769 A KR1020047017769 A KR 1020047017769A KR 20047017769 A KR20047017769 A KR 20047017769A KR 100902304 B1 KR100902304 B1 KR 10090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wireless
control device
control means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468A (ko
Inventor
프란시스코슈파이히
실반보르에르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10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42Arrangements of lifting-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실 제어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특히 직기 개구기구의 경사(2)에 대해,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에 있어서, 진동중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구(22,70); 실 가이드(18)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4,44,68); 및 상기 드라이버(4,44,68)를 상기 승강기구(22,70)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엑튜에이터(34,48)에 의해 구현가능한 제어수단(30,46)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기구(28,60);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4,48,68)는 댐퍼(40,40a)를 구비하고, 세로방향으로 휨 방지가 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승강기구(22,70)와 상기 제어수단(30,46) 사이에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각 드라이버 파트(4a,4b,44a,44b,68a,68b)는 탄성 댐퍼부재(42)를 통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68)는 댐퍼(40a)로 기능하는 전자기 커플링기구(66)의 전자기장을 통해 상기 승강기구(70)에 무접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버는 승강기구와 제어수단의 사이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드라이버 파트는 탄성 댐퍼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는 댐퍼로 기능하는 전자기 커플링기구의 전자기장을 통해 상기 승강기구에 무접촉 결합되고, 그로인해 상기 드라이버가 수용기구상에 인터로킹될때 발생하는 하중이 제동되더라도,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수용기구상의 안정적인 인터로킹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기 실 제어장치의 힘의 전달은 특별히 고 구동 사이클(high drive cycle)에서도 제동되게 되고, 충격이 완화되며, 상기 수용기구의 손상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장치의 마모율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개선된 성능과 함께 작동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나아가, 소음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게 된다.
직기, 개구기구, 승강기구, 드라이버, 수용기구

Description

무선 실 제어장치{WIRELESS THREAD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직기 개구기구의 경사에 대해,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무선 실 제어장치에 대해서는 GB 1 219 012 A에 대표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실 구동용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스틸(Steel) 승강기로 구성되고, 일측 말단부가 수용기구와 맞닿으며, 상기 스틸 승강기와 상기 수용기구를 선택적으로 인터로킹(interlocking)시키는 후크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는 아치형의 외형을 지니며, 이러한 디자인은 상기 후크와 상기 수용기구의 인터로킹을 제동하려는 의도로 상기 드라이버의 일측 말단부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그러나, 상기 후크의 아치형 내지 탄성 설계에 의해, 스틸 승강기의 세로방향 불안정이 야기되고, 그 결과 드라이버와 수용기구의 신뢰성 있는 인터로킹이 보장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는 실 제어기구의 부정확한 작동을 야기하게 되고, 회전속도의 감속을 가져오며, 최종적으로 피륙생산에 있어 짜임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청구항 제 1항의 특성부의 구성을 통해 이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어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승강기구와 제어수단의 사이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드라이버 파트는 탄성 댐퍼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는 댐퍼로 기능하는 전자기 커플링기구의 전자기장을 통해 상기 승강기구에 무접촉 결합되고, 그로인해 상기 드라이버가 수용기구상에 인터로킹될때 발생하는 하중이 제동되더라도,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수용기구상의 안정적인 인터로킹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기 실 제어장치의 힘의 전달은 특별히 고 구동 사이클(high drive cycle)에서도 제동되게 되고, 충격이 완화되며, 상기 수용기구의 손상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장치의 마모율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개선된 성능과 함께 작동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나아가, 소음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게 된다.
상기 실 제어장치의 개선된 점은 청구항 제 2항 내지 제 13항에 구체적으로개시되어 있다.
청구항 제 2항에 따르면, 상기 댐퍼는 상기 승강기구의 정지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직접적인 힘의 도입이 이곳에서 발생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3항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기구는 상기 드라이버상에 고착된 영구자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구자석부의 극은 상기 승강기구상에 배열된 자기기구의 양극 사이에 매달리도록 배열되며,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용될수 없을 때까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부의 극은 제 4항에 따를때 상기 드라이버의 운동방향으로, 제 5항에 따를때 운동방향과 횡축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6항에 따르면, 상기 승강기구의 자기기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7항에 따르면, 복잡한 전규흐름에도 불구하고 전기적 디자인도 가능하다.
청구항 제 8항에 따르면, 위사방향 또는 경사방향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상기 수용기구는 상기 경사를 가이드하는 드라이버와 동일한 구획(TS/TK)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특별히 소형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청구항 제 9항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버는 평리프터로 이루어지고, 일측 말단부가 전자기 엑튜에이터의 효과하에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어수단(46)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특별히 평평하고 효율적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0항에 따르면, 상기 엑튜에이터는 경사막대자석(oblique-pole magnet)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제 11항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버의 일측 말단부는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2항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버의 일측 말단부는 상기 돌출부와 연동하는 잠금리세스(locking reces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3항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상기 드라이버의 일측 말단에 배치된 리턴스프링과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며, 이는 주로 직기(weaving machine)의 개구기구에 적용된다. 실 제어장치에 있어서, 경사빔(8)을 통해 공급되는 경사(2)는 잉아(heddles)로 구성된 드라이버(4)에 의해 개구(6)를 개방한다. 각 개구가 변경된 후에, 위사(10)는 상기 개구(6)에 투사되고, 옷감 테두리부(12)에서 패여져서, 패브릭웹(14)이 얻어지며, 이는 상기 옷감빔(16)를 통해 공급된다.
실 제어장치는 상기 경사(2)를 안내하는 루프(18)를 포함하는 드라이버(4)를 구비한다. 상기 드라이버(4)는 한가지 방향으로 압축 응력이 주어지며, 아래방향인 경우 스프링(20)에 의해 기본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진동 승강기구(22)는 정지부(26)를 통해 드라이버(4) 상에서 승강날(26)과 결합되고, 상기 승강날(26)은 상기 드라이버가 수용기구(28)에 의해 상부위치에서 차단될때까지 상기 승강기구(22)의 리듬에 맞추어 상하운동하게 된다. 상기 수용기구(28)는 리프스프링(32)이 형성된 제어수단(30)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스프링(32)은 일측이 견고히 클램핑되고 전자기 엑튜에이터(34)의 영향으로 상기 드라이버(4)를 향해 선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리프스프링의 후크(36)은 상기 드라이버의 후크(38)와 연동하여 이를 상부 위치인 상위 개구 위치에 보유시키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4)를 제동시키기 위해, 후자는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드라이버 파트(4a,4b)는 댐퍼(40)에 의해 무접촉 결합되고, 상기 댐퍼(40)는 상기 승강기구(22)의 승강날(24)과 결합된 탄성댐퍼부재(42)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기구(22)가 상기 정지부(26)에 미치는 충격은 감쇄되고, 그 결과 고 구동 파워를 갖추면서도 한편으로는 소음발생이 또다른 한편으로는 실 제어장치의 마모율이 감소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30)과 상기 드라이버(4)의 후크들(36,38)의 마모율은 현격히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개구기구의 작동수명은 연장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제어장치를 나타내며, 이는 도 1의 실 제어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되며, 직기의 개구기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 제어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버(44)는 평 리프터(flat lifter)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핑부재(40)에 의해 무접촉 결합되는 두개의 드라이버 파트(44a,44b)로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버(44)의 상위 말단부는 제어수단(46)으로 기능하고, 이를 위해 엑튜에이터(48)을 향해 선회가 가능한 리프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엑튜에이터(48)는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막대자석(oblique-pole magnet)으로 형성된다. 이는 E자 형상의 단면을 지니며, 그 중앙웹(50)에는 와인딩(52)이 제공되며 그에 따라 전류가 공급될때 엑튜에이터는 전자기기적으로 변하여 상위 말단부(54)를 끌어당기게 된다. 제어수단(46)으로 기능하는 상기 드라이버(44)의 상위 말단부(54)는 오리피스(orifice)(56)를 구비하고, 이는 잠금 리세스(locking recess)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에 의해 상기 엑튜에이터(48)가 활성될때 상기 드라이버는 돌출부(detaining nose)(58)와 연동하여 감금 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드라이버(44)에 의해 이동된 경사는 상기 엑튜에이터(48)가 다시 비활성화될때까지 고 개구 위치(high shed position)에 남아있게 된다. 상술한 실 제어장치의 구성은, 개구기구의 위사방향(62)과 경사방향(64)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고, 상기 엑튜에이터(48)와 상기 제어수단(46)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용기구(60)는 상기 드라이버(44)가 상기 경사(2)를 안내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구획(TK/TS)을 지닌다. 이는 결과적으로 주로 직기의 개구기구에 적용되는 실 제어장치의 초소형화에 이바지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제어장치를 나타내고, 이는 도 1의 실 제어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되며, 댐퍼(40a)로 기능하는 무접촉 자기 커플링기구(66)를 구비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68)는 상기 승강기구(70)에 결합된다. 상기 드라이버(68)는 비분리 구조이거나,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분리구조가 가능하고, 후자인 경우 상기 드라이버의 파트(68a, 68b)는 댐퍼(40)를 통해 상호 무접촉 결합된다. 상기 커플링기구(66)는 영구자석 커플링부재(72)를 구비하고, 이는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커플링부재(74)와 연동하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68)의 영구자석 커플링부재(72)는 상기 드라이버(68)의 운동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승강기구(70)의 커플링부재(74) 또한 운동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영구자석 커플링부재(72)와 연동하게 되나, 이때 상기 커플링부재들(72,74)의 자극은 상호 반발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자기장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드라이버(68)의 영구자석 커플링부재(72)는 무접촉되어 메달릴수 있으며, 상기 승강기구(70)의 커플링부재(74) 사이로 구동된다. 상기 커플링기구는 특별히 상기 드라이버의 무충격 구동을 제공하고, 이는 소음과 마모율의 완화에 기여하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는 변위방향으로 충분한 휨방지가 되어야 하며,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등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는 스틸(steel)로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기구용 실 제어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기구용 실 제어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실 제어장치의 Ⅲ-Ⅲ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실 제어장치의 Ⅳ-Ⅳ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실 제어장치의 Ⅴ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기구용 실 제어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승강기구와 드라이버 사이 커플링기구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경사(warp thread) 4, 4a, 4b : 드라이버
6 : 개구(shed) 8 : 경사빔(warp beam)
10 : 위사 12 : 옷감 테두리부(cloth edge)
14 : 피륙 웹(fabric web) 16 : 옷감빔(cloth beam)
18 : 루프(loop) 20 : 스프링
22 : 승강기구(lifting device) 24 : 승강날(lifting knife)
26 : 정지부(stop) 28 : 수용기구(detaining device)
30 : 제어수단 32 : 리프스프링(leaf spring)
34 : 엑튜에이터 36 : 32의 후크
38 : 4의 후크 40, 40a : 댐퍼(damper)
42 : 탄성부재 44 : 드라이버
44a : 상위 드라이버 파트 44b : 하위 드라이버 파트
46 : 제어수단 48 : 엑튜에이터
50 : 웹(web) 52 : 와인딩(winding)
54 : 44a의 상위 말단부 56 : 오리피스(orifice)
58 : 돌출부(detaining nose) 60 : 수용기구(detaining device)
62 : 위사방향 64 : 경사방향
68, 68a, 68b : 드라이버 70 : 승강기구
72 : 68용 커플링부재 74 : 70용 커플링부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 제어장치에 의하면, 드라이버는 승강기구와 제어수단의 사이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드라이버 파트는 탄성 댐퍼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는 댐퍼로 기능하는 전자기 커플링기구의 전자기장을 통해 상기 승강기구에 무접촉 결합되고, 그로인해 상기 드라이버가 수용기구상에 인터로킹될때 발생하는 하중이 제동되더라도, 상기 드라이버의 상기 수 용기구상의 안정적인 인터로킹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기 실 제어장치의 힘의 전달은 특별히 고 구동 사이클(high drive cycle)에서도 제동되게 되고, 충격이 완화되며, 상기 수용기구의 손상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장치의 마모율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개선된 성능과 함께 작동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나아가, 소음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게 된다.

Claims (13)

  1. 특히 직기 개구기구의 경사(2)에 대해,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에 있어서,
    진동중 구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승강기구(22,70);
    실 가이드(18)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4,44,68); 및
    상기 드라이버(4,44,68)를 상기 승강기구(22,70)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엑튜에이터(34,48)에 의해 구현가능한 제어수단(30,46)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수용기구(28,60);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4,48,68)는 댐퍼(40,40a)를 구비하고, 세로방향으로 휨 방지가 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승강기구(22,70)와 상기 제어수단(30,46) 사이에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각 드라이버 파트(4a,4b,44a,44b,68a,68b)는 탄성 댐퍼부재(42)를 통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68)는 댐퍼(40a)로 기능하는 전자기 커플링기구(66)의 전자기장을 통해 상기 승강기구(70)에 무접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는 상기 승강기구(22)의 정지부(26)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기구(66)는 상기 드라이버(68) 상에 고정 배열된 영구자석 커플링 부재(72)를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부재(72)의 극은 상기 승강기구(70) 상에 배열된 자기기구(74)의 양극 사이에 매달리도록 배열되며, 상기 드라이버(68)는 상기 드라이버(68)가 상기 제어수단(46)에 의해 수용될수 없을 때까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커플링부재(72)의 극은 상기 드라이버(68)의 운동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커플링부재(72)의 극은 상기 드라이버(68)의 운동방향과 횡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70)의 자기기구(74)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70)의 자기기구(74)는 전자기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튜에이터(48)와 상기 제어수단(46)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용기구(60)는 상기 드라이버(44)가 상기 경사(2)를 안내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구획(TS/TK)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4)는 평리프터로 이루어지고, 일측 말단부(54)가 전자기 엑튜에이터(48)의 효과하에 수용부재(58)와 결합될 수 있는 제어수단(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엑튜에이터(48)는 경사막대자석(oblique-pole magnet)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4)의 일측 말단부(54)는 리프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4)의 일측 말단부(54)는 상기 수용부재(58)와 연동하는 잠금리세스(locking recess)(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44,68)는 상기 제어수단(30,46)으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상기 드라이버의 일측 말단에 배치된 리턴스프링(20)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실 제어장치.
KR1020047017769A 2002-05-10 2003-04-15 무선 실 제어장치 KR100902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962002 2002-05-10
CH796/02 2002-05-10
PCT/CH2003/000252 WO2003095728A2 (de) 2002-05-10 2003-04-15 Schnurlose fadensteu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468A KR20040106468A (ko) 2004-12-17
KR100902304B1 true KR100902304B1 (ko) 2009-06-10

Family

ID=2941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69A KR100902304B1 (ko) 2002-05-10 2003-04-15 무선 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50204834A1 (ko)
EP (1) EP1504143B1 (ko)
JP (1) JP2005530049A (ko)
KR (1) KR100902304B1 (ko)
CN (1) CN1653218B (ko)
AT (1) ATE354691T1 (ko)
AU (1) AU2003213980A1 (ko)
BR (1) BR0309364A (ko)
DE (1) DE50306584D1 (ko)
ES (1) ES2279941T3 (ko)
RU (1) RU2299935C2 (ko)
WO (1) WO200309572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568A (ko) * 2014-07-18 2017-03-15 엔브이 미쉘 밴 데 윌리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CN109183236A (zh) * 2018-09-17 2019-01-11 武汉纺织大学 一种织机选综系统
CN110923894A (zh) * 2019-11-17 2020-03-27 绍兴佳宝纺织机械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提花机的电磁提针单元、电磁提针单元组合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7106A1 (de) * 2006-09-28 2008-04-03 Textilma Ag Fachbildevorrichtung für eine webmaschine, insbesondere für eine bandwebmaschine
BRPI0721532A2 (pt) * 2007-03-27 2014-02-18 Textilma Ag Dispositivo para o controle do movimento transversal dos fios de urdume de um tear automático
CN104032439A (zh) * 2014-05-26 2014-09-10 苏州潮盛印花制版实业有限公司 一种电磁经线调节装置
CN112210864A (zh) * 2020-09-18 2021-01-12 西安工程大学 一种织机开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9012A (en) 1967-03-10 1971-01-13 Oerlikon Buehrle Ag Jacquard with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hooks
WO1999010576A1 (de) * 1997-08-26 1999-03-04 Textilma Ag Jaquardvorrichtung für eine webmaschine
US6289755B1 (en) 1997-09-09 2001-09-18 Bonas Machine Company Limited Drive transmiss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0729A (de) * 1972-01-25 1974-06-28 Mueller Jakob Vorrichtung zum bewegen von fadenfuehrungseinrichtungen von textilmaschinen.
JPS58187649A (ja) * 1982-04-28 1983-11-01 Yoichi Tatara 磁気ネジ機構
GB8432476D0 (en) * 1984-12-21 1985-02-06 Bonas Machine Co Heald rod retention device
DE3524569A1 (de) * 1985-07-10 1987-01-22 Wolfgang Herold Webstuhl mit einzellitzensteuerung
DE4028390C2 (de) * 1990-09-07 1994-06-09 Mayer Textilmaschf Elektromagnetisch arbeitende Jacquard-Steuervorrichtung
JPH04108384U (ja) * 1991-02-26 1992-09-18 光洋精工株式会社 磁気継手
JPH05176496A (ja) * 1991-12-26 1993-07-13 Japan Steel Works Ltd:The 回転直線変換機構
DE9307391U1 (de) * 1993-04-26 1993-09-30 Textilma Ag Fachbildevorrichtung für eine Webmaschine
ES2172674T3 (es) * 1995-09-21 2002-10-01 Textilma Ag Dispositivo para el control opcional de un movimiento transversal oscilante de un hilo, en particular de un hilo de urdimbre de un telar automatico.
FR2756849B1 (fr) * 1996-12-06 1999-05-07 Tardy Jean Jacques Dispositif amortisseur pour ressort de lisse de metier a tisser jacquard
DE29716100U1 (de) * 1997-09-08 1997-10-30 Textilma Ag Fadensteuervorrichtung
DE59905063D1 (de) * 1998-12-09 2003-05-22 Sultex Ag Rueti Einrichtung zum gesteuerten Bewegen eines Kettfadens
EP1016743B1 (de) * 1998-12-09 2003-04-16 Sultex AG Einrichtung zum gesteuerten Bewegen eines Kettfade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9012A (en) 1967-03-10 1971-01-13 Oerlikon Buehrle Ag Jacquard with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hooks
WO1999010576A1 (de) * 1997-08-26 1999-03-04 Textilma Ag Jaquardvorrichtung für eine webmaschine
US6289755B1 (en) 1997-09-09 2001-09-18 Bonas Machine Company Limited Drive transmission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568A (ko) * 2014-07-18 2017-03-15 엔브이 미쉘 밴 데 윌리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KR102442371B1 (ko) 2014-07-18 2022-09-08 밴데윌리 엔브이 직기용 쉐드 형성 장치
CN109183236A (zh) * 2018-09-17 2019-01-11 武汉纺织大学 一种织机选综系统
CN110923894A (zh) * 2019-11-17 2020-03-27 绍兴佳宝纺织机械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提花机的电磁提针单元、电磁提针单元组合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4143A2 (de) 2005-02-09
ATE354691T1 (de) 2007-03-15
JP2005530049A (ja) 2005-10-06
RU2299935C2 (ru) 2007-05-27
US20050204834A1 (en) 2005-09-22
AU2003213980A1 (en) 2003-11-11
EP1504143B1 (de) 2007-02-21
WO2003095728A3 (de) 2004-03-25
CN1653218A (zh) 2005-08-10
ES2279941T3 (es) 2007-09-01
CN1653218B (zh) 2010-04-28
WO2003095728A2 (de) 2003-11-20
DE50306584D1 (de) 2007-04-05
BR0309364A (pt) 2005-02-15
RU2004136570A (ru) 2006-01-20
KR20040106468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3570B2 (ja) 織成機構の選択装置及びスリーポジション式ジャカードの織成機構並びにそのような織成機構を備えた織機
KR100902304B1 (ko) 무선 실 제어장치
CN1084809C (zh) 开口机构可动竖钩的选择方法和装置以及提花型织机
CA2273885C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ansverse movement of at least one thread in a textile machine
JP2944214B2 (ja) 織物機械用の杼口形成装置
US7017618B2 (en) Shed forming mechanism and weaving loom equipped with such a mechanism
US5309952A (en) Electro magnetic shedding device for a textile machine
US6085803A (en) Spring supported hook arrangement in a shed forming device
EP0699787B1 (en) Apparatus for the selection of shedding devices by means of bending elements
US20070267083A1 (en) Shed-forming mechanism, a loom fitted with such a mechanism, and a method of selecting moving hooks in such a mechanism
JP5113175B2 (ja) 織機用、特に細幅織機用の開口装置
EP0930385B1 (en) Shed-forming device for weaving machines
US5275211A (en) Electromagnetically activated jacquard control arrangement
EP1217113B1 (en) Pulleyless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EP0982419B1 (en) Shed-forming mechanism for jacquard machines
EP1115928B1 (en) Selector
EP1136603A1 (en) Hook selection device for a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KR100519216B1 (ko)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US6116293A (en) Electromagnetic shed forming apparatus for a jacquard machine
KR200172171Y1 (ko)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EP14798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aking over a weft yarn by a gripper rapier from a donor rapier
KR20010028662A (ko)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KR970005068B1 (ko) 전자기식 자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카드 기계
CN110878437A (zh) 提花机新结构竖钩及其新结构竖钩组件
EP1357210A1 (en) Needle selector of jacquard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