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171Y1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2171Y1 KR200172171Y1 KR2019990020767U KR19990020767U KR200172171Y1 KR 200172171 Y1 KR200172171 Y1 KR 200172171Y1 KR 2019990020767 U KR2019990020767 U KR 2019990020767U KR 19990020767 U KR19990020767 U KR 19990020767U KR 200172171 Y1 KR200172171 Y1 KR 2001721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electromagnet
- needle
- permanent magnet
- open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06—Double-lift jacquar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을 짜는 직기에서 다수의 경사를 서로 나누어서 개구를 만드는 종침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로서, 종침에 결합되어 종침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한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핀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핀을 기준으로 양편에 영구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ㄷ' 자형 전자석 코어의 양단이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핀으로 고정되고, 전자석 코어의 중간에는 전선이 감긴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크에는 전자석코어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이 영구자석은 전자석 코어의 양단에 대하여 동일한 자극이 되도록 하여 전자석이 여자되면 일단은 흡인력이 발생되고 타단은 반발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래서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전자석이 자화되면 상기 후크의 영구자석을 밀고 잡아 당겨서 상기 후크를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후크의 이 회동으로 인하여 후크에 형성된 걸고리가 종침과 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후크에 대한 종침의 상대적인 운동이 제어하므로써 종침의 하강 및 상승 동작에 의하여 경사의 위치가 변하므로 개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속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신호에 의하여 걸림부가 형성된 종침을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카드 개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식 자카드직기의 자카드식 개구장치는 필요한 조직에 따라 천공된 구멍을 가진 문지를 걸어주는 실린더와,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로드에 의하여 승강되는 나이프와, 상기한 실린더에 걸은 문지의 구멍에 맞추어 구동되는 횡침 및 횡침과 나이프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는 종침으로 구성되며 문직 작동은 실린더의 회전에 의하여 문지가 간헐적으로 회동할 때 문지에 천공된 구멍으로 횡침의 선단이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이나 구멍에 끼워지는 횡침이동에 의하여 종침이 승강되는 나이프에 걸려 상승되어 종침에 걸린 경사가 개구되고 샤틀이 개구로 위사를 공급시켜 무늬직을 제직하게 되는 것으로, 바디구동직기와는 달리 각 종침의 구동을 이용한 것이어서 완전조직이 작은 무늬모양의 직물의 제직은 가능하나 제직속도가 늦은 결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계식 자카드 개구장치를 개량하여 본 출원인이 특허 받은 전자식 자카드 개구 장치가 특허공고 제95-13494호에 잘 설명되어 있다.
이 공보에 공지된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는 종침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석 유니트를 사용한다. 이 유니트에는 개구제어장치에서 오는 신호에 따라 자성이 변화하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조합하여 걸고리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한 것이다. 전자석은 코아에 코일이 감긴 보빈을 끼워서 만든 것으로서 프레임에 고정되고, 걸고리에는 영구자석이 형성되어서 전자석의 자화 상태에 따라서 걸고리가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걸고리 단부가 종침의 걸림공에 끼워져서 종침을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이었다.
이러한 공지의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는 고속으로 동작될 때 오동작하는 경우가 있어서 신뢰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지된 기술보다 신뢰성이 향상된 자카드 개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직물을 짜는 직기에서 다수의 경사를 서로 나누어서 개구를 만드는 종침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로서, 종침에 결합되어 종침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한하는 걸고리가 형성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핀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핀을 기준으로 양편에 영구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ㄷ' 자형 전자석 코어의 양단이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핀으로 고정되고, 전자석 코어의 중간에는 전선이 감긴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전자석이 자화 되면 상기 후크의 영구자석을 밀고 잡아 당겨서 상기 후크를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후크의 이 회동으로 인하여 후크에 형성된 걸고리가 종침과 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후크에 대한 종침의 상대적인 운동이 제어하므로서 종침의 하강 및 상승 동작에 의하여 경사의 위치가 변하므로 개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후크의 일단과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후크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스프링 힘을 받도록 되어 있고, 전자석은 전자석 코어의 양단에 코어와 일체로 된 지지부에 의하여 핀으로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자석의 코어의 양단과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그 위치를 설정하는데, 영구자석을 후크의 표면 보다 깊이 박아 넣거나 전자석 코어의 지지부를 코어보다 돌출 되어 배치하여서 영구자석이 직접 전자석 코어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에서 사용되는 종침 2개의 평면도이다.
도3과 도4는 본 고안의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에서 사용되는 후크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5와 도6은 후크와 전자석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직물을 짜는 직기에서 다수의 경사를 서로 나누어서 개구를 만드는 자카드 개구 장치로서, 후크(Hook : 101)(작동자)와 전자석(109,110)을 포함한다.
후크에는 종침(120)에 결합되면 종침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한하는 걸고리(103)가 형성되고, 이 후크는 프레임에 고정된 핀(102)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 핀(102)을 기준으로 하여 양편에 영구자석(104, 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은 후크 몸체의 일부를 자화 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영구 자석편을 후크 몸체에 삽입하여도 된다. 영구 자석의 자석 방향은 일 측이 N가 표면으로 나오도록 형성되면 다른 측에 형성되는 자석도 N 극이 표면으로 나오도록 형성된다. 즉 같은 자극이 표면으로 나오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전자석이 자화되면 전자석코어의 일단은 N극이라면 타단은 S극이 되기 때문에 후크의 일단에는 흡인력이, 타단에는 반발력이 발생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전자석은 'ㄷ' 자형 전자석 코어(109)에 코일(110)을 감은 것이다. 전자석 코어의 양단은 후크의 영구자석과 서로 대향하도록 설계되고 프레임(130)에 핀(108)으로 결합된다. 전자석의 코어의 양단에 코어와 일체로 된 지지부(107)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에 핀홀이 형성되어 핀(108, 112)으로 프레임에 고정된다. 전자석 코어와 영구자석이 직접 접촉될 수 있게 배열하여도 되지만, 지지부(107)가 전자석 코어 보다 돌출 되게 하여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전자석 코어가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전자석의 코어의 양단과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직접 접촉할 경우의 자석의 강한 흡인력 때문에 전자석 코어와 영구자석을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자극에 직접 부착이 되면 큰 힘이 발생되지만 자극과 자화물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면 자력에 의한 힘이 많이 약화된다. 그래서 영구자석을 후크의 표면 보다 깊이 박아 넣어 설치하거나 지지부(107, 111)의 단부가 전자석 코어의 단부보다 돌출 되게 배치하여서 전자석 코어와 영구자석이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전자석의 코일(11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석이 자화 되고 후크의 영구자석 중 한편에 있는 것은 밀고 다른 편에 있는 것은 잡아 당겨서 후크를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후크의 이 회동으로 인하여 후크에 형성된 걸고리(103)가 종침과 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후크에 대한 종침의 상대적인 운동이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후크(101)의 일단과 프레임(130) 사이에 스프링(106)을 설치하여 후크가 일정한 방향으로 항상 스프링 힘에 의하여 회동되어 원위치(도면에서 'A'로 도시된 상태)에 있도록 프레임에 결합한다. 이 경우에 전자석의 코일(11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석이 자화되는데, 그 자화되는 방향은 스프링이 설치되는 쪽의 영구자석과는 서로 당기고, 그 반대쪽에 설치된 영구 자석과는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스프링의 힘을 이겨서 후크가 평소 위치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도면에서 'B'로 도시된 상태)에 그 결과 후크의 갈고리가 종침의 홈(121, 또는 122)과 결합되어 종침의 상대적인 이동이 억제된다. 이렇게 된 후 전기신호가 없어지면 전자석은 힘을 잃고 스프링(106)의 미는 힘에 의하여 후크는 원래(A)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자카드 제어 장치에서 전기신호를 보내면 나이프(140)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종침(120)의 이동을 제어하여 개구를 만든다.
종침(120-2)이 나이프(140)에 의해 올라가고, 전자석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후크가 전자석 힘에 의하여 B와 같은 상태로 되어, 후크의 갈고리(103)가 종침의 홈(122)에 결합되므로 나이프가 하강하여도 종침(120-2)이 하강하지 아니하고 그 위치에 있게 되고, 만일 전자석에 신호가 없으면 후크의 위치는 A 와 같이 되어 후크의 갈고리(103)가 종침(120-1)의 홈(121)에 결합되지 아니하므로 나이프가 하강할 때 종침(120-1)도 같이 하강하게 된다. 나이프는 두 개가 서로 상하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어서 자카드의 개구 동작이 복동식이 되고 고속화 된다. 직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나이프가 고속으로 움직이고 따라서 종침의 반복 이동 속도가 빠르게 되는데, 이렇게 되어도 후크를 움직이는 힘이 전자석 힘과 영구자석 힘 및 스프링 힘이 서로 협력하여 이루어지므로 후크가 신속하게 움직이게 되어 그 동작이 확실하게 되고 에러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의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는 후크를 움직이는 힘이 전자석, 영구자석, 및 스프링의 힘들이 서로 협력하여 후크의 움직임을 제어하므로 후크가 신속하게 움직이게 되어 그 동작이 확실하게 되고 신뢰성이 증진된다.
Claims (6)
- 직물을 짜는 직기에서 다수의 경사를 서로 나누어서 개구를 만드는 자카드 개구 장치에 있어서,종침에 결합되어 종침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한하는 걸고리(103)가 형성되고, 프레임에 고정된 핀(102)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핀을 기준으로 양편에 영구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후크(101)와,상기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ㄷ' 자형 전자석 코어의 양단이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핀으로 고정되고, 전자석 코어의 중간에는 전선이 감긴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전자석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전자석이 자화되면 상기 후크의 영구자석을 밀고 잡아 당겨서 상기 후크를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후크의 이 회동으로 인하여 후크에 형성된 걸고리가 종침과 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후크에 대한 종침의 상대적인 운동이 제어되는 것이 특징인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일단과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후크가 일정한 방향으로 항상 스프링 힘에 의하여 회동되어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인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전자석 코어의 양단에 코어와 일체로 된 지지부(107)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에 핀홀이 형성되어 핀(108)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7)가 전자석 코어 보다 돌출 되어서 상기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과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코어의 양단과 상기 후크에 형성된 영구자석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영구자석을 상고 후크의 표면 보다 깊이 박아 넣어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가 전자석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고.상기 후크에는 양단에 영구자석을 가지고 있고, 이 후크의 양단에 설치된 영구 자석의 극성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영구자석을 되어 있어서,이 후크의 영구자석이 부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전자석의 코어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의하여 후크의 일단에 흡인력이 발생되면 후크의 타단은 반발력이 발생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0767U KR200172171Y1 (ko) | 1999-09-22 | 1999-09-28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1039A KR20010028662A (ko) | 1999-09-22 | 1999-09-22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KR2019990020767U KR200172171Y1 (ko) | 1999-09-22 | 1999-09-28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1039A Division KR20010028662A (ko) | 1999-09-22 | 1999-09-22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2171Y1 true KR200172171Y1 (ko) | 2000-03-15 |
Family
ID=2663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0767U KR200172171Y1 (ko) | 1999-09-22 | 1999-09-28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2171Y1 (ko) |
-
1999
- 1999-09-28 KR KR2019990020767U patent/KR2001721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944214B2 (ja) | 織物機械用の杼口形成装置 | |
US5176186A (en) | Magnetically operated jacquard heald rod selector | |
KR20010028662A (ko)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
KR200172171Y1 (ko)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
JPH0340839A (ja) | 横糸選択提供装置 | |
CA2082655C (en) | Electromagnetic shedding device for a textile machine | |
US6073662A (en) | Hook selection device for a weaving loom dobby head | |
EP0544527B1 (en) | Warp control apparatus for a loom | |
KR20090057080A (ko) | 방직 기계, 특히 리본 방직 기계를 위한 쉐딩 장치 | |
KR100902304B1 (ko) | 무선 실 제어장치 | |
US6478055B2 (en) | Pulleyless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 |
JP2881654B2 (ja) | 繊維機械用制御装置 | |
JP2789324B2 (ja) | ジャカード機の経糸選択制御装置 | |
EP0577638B1 (en) | Heald retention device | |
KR100265670B1 (ko) | 직기용 복동식 개구장치 | |
JPH06316830A (ja) | ジャカード織機のヘルドロッド制御装置 | |
KR100519216B1 (ko) |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 |
KR950013494B1 (ko) | 자카드 개구장치 | |
KR100502139B1 (ko) | 복동식 자카드 직기용 개구장치 | |
KR200289248Y1 (ko) | 복동식 자카드 직기용 개구장치 | |
CN210684076U (zh) | 一种花枕电子纹板 | |
KR970005068B1 (ko) | 전자기식 자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카드 기계 | |
JPH0390647A (ja) | 織機の開口形成装置 | |
KR0125115Y1 (ko) | 전자 자카드기구에 사용하기 위한 헬드로드 리텐션 장치 | |
KR960003925Y1 (ko) | 전자자카드 기구에 사용하는 헬드로드의 상하운동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