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216B1 -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 Google Patents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216B1
KR100519216B1 KR10-2003-0056864A KR20030056864A KR100519216B1 KR 100519216 B1 KR100519216 B1 KR 100519216B1 KR 20030056864 A KR20030056864 A KR 20030056864A KR 100519216 B1 KR100519216 B1 KR 10051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weft
permanent magnet
finger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286A (ko
Inventor
허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시스템
Priority to KR10-2003-005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2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5Driv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색(多色) 직조가 가능한 레피어직기에 사용되는 위사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원과 동력전달수단을 위사선택장치 내부에 설치하여 독자 구동원을 갖도록 함으로써 위사선택장치의 전체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최대동작 RPM과 동작신뢰도는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Presenter of loom}
본 발명은 다색(多色) 직조가 가능한 레피어 직기에 사용되는 위사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피어 직기등에 사용되는 위사선택장치는 직조 동작마다 복수 개의 핑거 중 하나의 핑거가 선택 하강하면 캐리어에 의해 선택된 위사가 개구된 경사 사이(경사의 상사와 하사 사이)로 공급 및 제직되면서 다양한 칼라와 무늬의 원단이 제직된다.
종래의 위사선택장치는 자체 구동원이 없어서 레피어 직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원과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테면, 레피어 직기의 구동축ㆍ기어ㆍ풀리ㆍ타이밍 벨트ㆍ캠ㆍ캠축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위사선택장치가 동작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핑거 중 하나의 핑거가 순차적이거나 독자적으로 선택 하강하고, 하강된 위사는 캐리어를 통하여 직기로 공급되어 직조되게 한 구성으로 위사선택장치의 전체부피가 클 뿐 아니라 무게가 무겁고, 소음이 심하며 동력 전달부가 복잡하여 가격 상승과 설치 위치의 제한 및 부하(負荷)가 상승되는 요인이 있으며, 위사선택속도와 동작정도가 낮아 제직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원과 동력전달수단을 위사선택장치 내부에 설치하여 직기 구동속도에 맞춰 동기되게 함으로써 위사선택장치의 전체 부피와 소음 및 무게를 줄이고 최대 동작 RPM과 동작신뢰도는 크게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기 위사선택장치에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과, 구동원의 회전력을 회동체로 전달하여 그 회동체가 소정구간 정ㆍ역회전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각각 승강 운동할 수 있게 축 설치되는 복수의 핑거와, 복수의 핑거 중 선택된 핑거를 밀어 하강시키는 핑거하강수단과, 상승 상태의 핑거를 붙잡고 있는 핑거홀딩수단과, 핑거의 하강상태를 소정시간 유지하는 하강유지수단과, 하강이 끝난 핑거를 상승시키는 핑거상승수단으로 구성되며, 구동원으로는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모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수단은 구동원에 연결되는 제1, 2차 링크와 회동체에 연결되는 승강레버가 축 연결되고, 1차 링크의 회전반경과 2차 링크의 회전반경의 차이를 적게 함으로써 정지(핑거의 하강)구간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핑거는 아이렛이 결합되는 선단부와, 영구자석이 비접촉식으로 결합되는 유입홈과, 핑거밀대의 선단이 결합되는 요입부와, 영구자석이 핑거밀대와 결합될 때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복수의 탄지편과, 선택안된 핑거밀대의 정ㆍ역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요입홈과, 회전링에 결합되는 축부로 구성된다.
또한, 핑거홀딩수단은 상승된 핑거를 자력으로 붙잡고 있는 영구자석과 완충부재 및 이들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하고, 유입홈의 양측으로 자성체 및/또는 연성자성체로 된 흡자부를 각각 형성하여 영구자석의 삼면을 둘러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승된 핑거가 홀딩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동판체에 축 설치되는 각각의 회동캠은 고정롤러가 접하면서 운동하는 안착홈과 경사면이 형성되고, 축공의 하부에는 유동롤러가 결합되어 운동하는 안내공과 연결부재의 양측면에 유동롤러를 축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핑거는 아이렛을 부착하기 위한 삽입부과 절개홈을 갖는 통공을 두어 아이렛이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내부에 독자적인 구동원과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를 일 예로 설명할 것이다. 상기 위사선택장치는 독자적인 구동원과 동력전달수단들이 구비됨으로써 위사선택장치의 전체 부피와 무게 및 소음이 감소되고 위사선택속도와 동작신뢰도는 크게 향상되며, 레피어 직기로부터 구동력을 얻을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가 보다 간편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 예로 설명될 위사선택장치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도 4는 그 단면 구성도로, 위사선택장치(1)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으로는 제어기(2)의 제어를 받는 모터(3) 또는 이와 유사한 스피드 제어 모터로 구성되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3)의 회전축(3a)에 연결되는 1, 2차 링크(4)(5)와, 상기 링크(4)(5)와 회동체를 연결하는 승강레버(7)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피동수단으로는 구동원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정ㆍ역 회전운동하는 회동체 및 복수의 핑거(10)와, 회동체를 따라 정ㆍ역으로 호운동하면서 선택된 핑거(10)를 밀어 하강시키는 핑거밀대(13)와, 선택된 위사가 캐리어에 홀딩될 수 있게 핑거(10)의 하강 상태를 소정기간 유지한 다음 상승 복귀시키는 회동캠(15) 및 연결부재(64)와, 상기 회동캠(15)과 연결부재(6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16)(17)(18)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 안된 복수의 핑거(10)가 상사점(UP)까지 상승되면 자력(磁力)으로 붙잡고 있는 영구자석(21)과 완충부재(22) 및 이들 영구자석(21)과 완충부재(22)가 설치되는 고정부재(23)로 구성된 핑거(10) 상승 유지수단과, 핑거밀대(13)를 하강시키는 스프링(19)과, 전자력으로 핑거밀대(13)를 당겨 올려 상승시키는 솔레노이드(11)와, 핑거밀대(13)의 승강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핑거밀대 가이드(24)와, 승강레버(7)의 하사점을 감지하는 영구자석(26) 및 홀소자(27)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1)의 동작속도는 제어기(2)에 의해 레피어 직기의 동작속도와 동기화 된다.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1)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 2, 도 4와 같이 복수의 판체에 의해 사방이 막힌 구조이며, 좌측면의 판체(8)와 우측면의 판체(9)는 스페이스(28)와 사방에 위치하는 판체들에 의해 평행으로 유지되고, 복수 개로 구성되는 핑거(10)의 선단부(10b)는 선택신호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판(29)의 장공(29b) 및 핑거 안내공(29a)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좌측면의 판체(8)와 우측면의 판체(9) 사이에 고정되는 축봉(12) 외면에는 복수 개의 부시(30)(31)가 자유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부시(31)의 외주면에는 회동체(32)가 마주보도록 각각 결합되고, 안쪽에 위치하는 부시(30)의 외주면에는 회전링(34)이 결합되어 각각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회전링(34)은 도 8과 같이 부시(30)가 결합되는 통공(50)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으로 외향 돌출테(33)가 빙둘러 형성된다. 돌출테(33)의 측면에는 핑거(10)의 축부(10a)가 결합된 다음 피스(35)로 견고히 체결된다.
그리고, 회전링(34)에 체결된 핑거(10)의 중심선(C)이 회전링(34)의 좌ㆍ우 중심(O)과 일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핑거(10)들이 균등한 거리로 배열되며, 부시(30)와 회전링(34)은 복수 핑거(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회전되므로 복수 개의 핑거(10) 중 선택된 핑거(10)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회동체(32)와 판체(8)(9) 사이에는 도 2, 도 11과 같이 두께가 얇은 또 다른 판체(3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판체(36)는 회동체(32)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기능할 뿐 아니라, 도 12와 같이 회동캠(15)과 접하는 고정롤러(16)가 각각 축 설치되며, 상부 구멍(37)에는 복수의 솔레노이드(11)가 결합된 한 쌍의 축봉(38)이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 축공(43)에는 축봉(12)의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체(32)는 도 7과 같이 부시(31)가 결합되는 통공(50)이 형성되며, 일측 단턱부(39)에는 한 쌍의 회동판체(40)(40a)가 각각 결합된 다음 피스(44)로 체결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판체(40)(40a)는 복수 개의 스페이스(41)와, 축봉(20)과, 스프링 지지봉(42) 및 핑거밀대 가이드(24)에 의해 평행 고정되며, 일측 회동판체(40a)에는 승강레버(7)가 연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레버(7)는 축 연결되는 링크(4)(5)를 통하여 모터(3) 회전축(3a)에 연결된다.
상기 회동판체(40)(40a)는 도 9, 도 10과 같이 스페이스(41)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멍(41a)과, 축봉(20)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멍(20a)과, 스프링 지지봉(42)이 결합되는 홈(42a)과, 핑거밀대 가이드(24)가 결합되는 구멍(24a)과, 회동체(32)가 결합되는 구멍(32a)과, 피스(35)가 끼워지는 구멍(35a)과, 롤러(17)(18)가 구름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안내공(46)이 각각 형성되며, 승강레버(7)가 형성된 일측 회동판체(40a)에는 링크축(5a)을 결합할 수 있는 축공(7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영구자석(21)의 자력(磁力)에 흡자되는 각각의 핑거(10)와 솔레노이드(11)의 여자(勵磁)에 의해 상승되는 핑거밀대(13)와 영구자석(21)이 고정되는 고정부재(23)는 자성체 또는 연성자성체이며, 상기 핑거(10)와 핑거밀대(13) 및 고정부재(23)는 자력이나 전자력이 멀어지거나 없어지면 자력(磁力)이나 전자력(電磁力)이 상실(消去)되는 연성자성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승강레버(7)의 일측면에는 도 16과 같이 영구자석(26)이 고정되고, 상기 영구자석(26)과 대응하는 우측면의 판체(9) 부분에는 홀소자(27)가 설치된다. 상기 홀소자(27)는 우측면의 판체(9) 부분에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지지판(45)에 고정된다.
상기 홀소자(27)는 제어기(2)의 입력에 접속되어 승강레버(7)의 하강을 감지한 다음 그 신호를 제어기(2)로 입력하게 된다. 승강레버(7)에 고정되는 상기 영구자석(26)은 접착제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열수축 튜브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요입홈에 결합시켜 고정하거나, 또는 압지편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모터(3) 회전축(3a)이 회전하면, 회전축(3a)에 고정된 1차 링크(4)가 회전축(3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링크축(4a)에 연결된 2차 링크(5)는 상기 링크축(4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승강레버(7)는 축봉(12)을 중심으로 2차 링크(5)의 링크축(5a)을 따라 승강운동하게 되고, 회동체(32)를 구성하는 한 쌍의 회동판체(40)(40a)와 핑거밀대(13)등은 축봉(12)을 중심으로 소정구간 정ㆍ역 회전운동(정ㆍ역 호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 개로 배열되는 핑거(10)의 축봉(12) 상부에는 핑거(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선택된 핑거를 밀어주는 핑거밀대(13)가 설치된다.
상기 핑거밀대(13)의 후단에 형성된 축공은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축봉(20) 외면에 균등 결합되고, 핑거밀대 가이드(24)의 하부로 연장되어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7)는 핑거밀대 가이드(24)의 복수 걸림홈(48)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걸림홈(48)의 높이는 핑거밀대(13)의 스트로크를 감안하여 그 높이가 결정(설정)된다. 이를테면, 도 19와 같이 걸림부(47)가 상기 걸림홈(48)에 결합되더라도 걸림홈(48)과 걸림부(47) 사이에 형성되는 홈(48a)이 핑거밀대(13)의 승강 스트로크(S1)가 된다.
즉, 걸림홈(48)의 전체 높이(S0)에 걸림부(47)의 높이(S2)를 제외시킨 나머지 홈(48a)의 높이(S1)가 핑거밀대(13)의 승강 스트로크가 되는 것이다.
핑거밀대(13)의 축공 하부에 하향 돌출부(49)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9)에는 스프링(19)의 걸이홈(5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51)에는 스프링(19)의 일측 걸이부가 걸림되고, 스프링(19)의 타측 걸이부는 지지봉(42)에 걸림되므로 핑거밀대(13)의 선단부가 축봉(20)을 중심으로 하향 탄지되지만, 걸림홈(48)에 끼워진 걸림부(47)에 의해 더 이상의 하강이 방지된다.
상기 핑거밀대(13)는 회동체(32)를 따라 정ㆍ역으로 원호운동하게 되고, 그 직상부에는 솔레노이드(11)의 코어(11a)가 위치하므로, 코어(11a)에 근접하는 핑거밀대(13)의 상부면(13a)은 도 18과 같이 원호운동에 맞추어 원호형(곡면형)으로 형성되며, 코어(11a)의 하부면 역시 핑거밀대(13)의 상부면과 같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핑거밀대(13)의 선단부(13b)는 전진하면서 선택된 핑거(10)를 보다 정확하게 선택하여 밀 수 있게 끝부분이 뽀족하게 형성된다.
즉, 솔레노이드(11)에 의해 상승된 핑거밀대(13)가 회동체(32)에 의해 전진하면서 핑거(10)의 요입부(53)에 걸림되므로 해당 핑거(10)가 하강운동하게 되고, 선단부(10b)가 소정시간 하강된 상태에서 도시안된 캐리어를 통하여 위사가 공급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11)의 전자력에 의해 핑거밀대(13)가 상승 및 상승상태가 유지되더라도 핑거밀대(13)의 상부면이 코어(11a)에 근접은 하지만 접촉과 운동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세틈(55)이 형성된다.
상기 미세틈(55)은 홈(48)이 형성된 핑거밀대 가이드(24)의 설치 위치 및 홈(48)의 상, 하 폭을 조정함으로서 가능해진다. 즉, 걸림부(47)의 상부면이 걸림홈(48)의 상부면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미세틈(55)이 형성되도록 핑거밀대 가이드(24)의 설치높이나 홈(48)의 상, 하 폭을 조정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핑거밀대 가이드(24)의 양단부에는 상하로 돌출부(24b)가 형성되어 회동판체(4)의 구멍(24a)에 결합된다.
솔레노이드 축봉(38)은 판체(36)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37)에 끼워 고정되며, 솔레노이드(11)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재(52)를 통하여 방열 및 발산된다.
한편, 회동체(32)를 따라 정ㆍ역회전하는 핑거밀대(13)의 직상부에는 방열부재(52)와 코어(11a)를 갖는 각각의 솔레노이드(11)가 설치된다. 상기 코어(11a)는 한 쌍으로 각각 설치하여 전자력을 증강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핑거밀대(13)의 선단은 스프링(19)에 의해 평소에는 축(20)을 중심으로 하향 탄지되며, 제어기(2)에 의해 복수의 핑거(10) 중 하나의 핑거가 선택되면, 제어기(2)에 의해 핑거(10)의 직상부에 대응 설치된 해당 솔레노이드(11)로 전원이 공급되어 코어(11a)가 여자된다.
따라서,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핑거밀대(13)가 상승하게되고, 상승된 핑거밀대(13)의 선단부(13b)는 회동체(32)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핑거(10)에 형성된 요입부(53)에 걸림되고, 영구자석(21)의 흡자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핑거(10)는 핑거밀대(13)의 보다 큰 힘에 의해 축봉(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사점(DP)까지 하강된다.
상기에서 핑거밀대(13)가 스프링(19)에 의해 하향 탄지되더라도 코어(11a)의 전자력이 스프링(19) 탄지력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하여 핑거밀대(13)가 상승하게 되며, 핑거밀대(13)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시키는 핑거밀대 가이드(24)에 의해 코어(11a)와 핑거밀대(13) 사이에 미세틈(55)이 형성되므로 접촉성 마찰이나 소음이 방지된다.
도 20은 본 발명 핑거(10) 부분 정면도로, 아이렛(eye let)(63)이 결합되는 선단부(10b)와, 절곡부(10c) 및 영구자석(21)이 비접촉 방식으로 결합되는 유입홈(54)과, 핑거밀대(13)의 선단이 결합되는 요입부(53)와, 영구자석(21)이 핑거밀대(13)와 결합될 때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복수의 탄지편(10d)(61)과, 선택되지 아니한 핑거밀대(13)의 정ㆍ역 호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요입홈(56)과, 회전링(34)에 결합되는 축부(10a)로 구성된다.
한편, 선단부(10b)에는 통공(57) 및 상기 통공(57)과 연결되는 절개홈(58)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어서 위사 안내공(63a)이 형성된 아이렛(63)을 쉽게 그리고 탄성있게 결합할 수 있게된다.
핑거(10)의 선단부(10b)와 축부(10a) 사이에는 절곡부(10c)와 꺽임부(60)가 형성되어 핑거의 선단부(10b)가 하향 절곡되며, 꺽임부(60) 부근에는 영구자석(21)이 유입되는 유입홈(54)이 형성된다.
유입홈(54)의 양측으로는 자성체 또는 연성자성체로 된 흡착벽부(54a)가 각각 형성되어 영구자석(21)의 삼면, 즉 영구자석(21)의 양측과 선단면을 포위하듯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흡자력이 보다 향상된다.
그리고, 유입홈(54)의 일측에는 영구자석(21)에 의해 핑거(10)가 상사점(UP)으로 상승할 때 완충부재(22)가 접하는 완충부(59)가 위치한다. 상기 완충부재(22)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이나 다각형등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탄지부(10d)는 일측이 개방된 복수 개의 탄지편(61)과 탄지편(61)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홈(62)으로 구성되며, 외곽 탄지편(61)의 끝부분에는 요입부(53)가 형성된다.
핑거 축부(10a)에는 회전링(34)이 결합되는 결합공(10f)과 피스(35)가 끼워지는 구멍(10e)과, 회전링(34)과의 결합을 도우는 절개부(10g)가 형성된다.
상기 핑거(10)의 선단부(10b)는 끝부분으로 향할수록 그 폭이 대체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고, 선단 끝 부분은 원활한 위사공급을 위하여 뽀족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핑거(10)의 선단부(10b)는 안내판(29)의 핑거 안내공(29a)을 통하여 외부로 각각 돌출되며, 핑거 안내공(29a)의 하부에는 핑거(10)에 아이렛(63)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안내판을 통과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장공(29b)이 형성된다.
상기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는 아이렛(63)은 통공(57)에 억지 끼움되는 삽입부와, 위사가 끼워지는 위사 안내공(63a)이 형성되며, 절개홈(58)을 갖는 통공(57)으로 억지 끼움 한 다음 접착제로 접합하면 아이렛(63)의 견고한 고정이 달성된다.
도 13은 핑거(10)가 승강하는 안내판(29) 부분 정면도로, 핑거(10)가 수직으로 승강하는 점을 감안하여 핑거(10) 두께보다 조금 큰 크기의 핑거 안내공(29a)이 세로로 형성되어 핑거(10)의 자유로운 승강운동이 보장되며, 핑거 안내공(29a)의 하부에는 핑거(10)의 선단부를 끼워 조립할 때 아이렛(63)이 끼워질 수 있는 확개공(29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회동캠(15)은 회동판체(40)(40a)에 각각 축(66) 설치되며, 회동캠(15)의 상부에 상기 축(66)이 결합되는 축공(66a)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캠(15)의 상부에는 양측판체(36)에 각각 축 설치되는 고정롤러(16)가 접하면서 운동하는 안착홈(15c)과 경사면(15d)이 형성되고, 축공(66a)의 하부에는 제1 유동롤러(17)가 결합되어 운동하는 안내공(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64)의 양측면에는 제1 유동롤러(17)와 제2 유동롤러(18)가 각각 축 설치되어 양측 회동캠(15)이 연동된다.
한편, 도 34와 같이 영구자석(21)이 결합되는 상기 유입홈(54)을 삭제하는 경우, 영구자석(21)의 자력이 상사점(UP) 부근에서만 강하게 작용하는 상태가 되므로, 핑거(10)가 자력에 의해 상승하더라도 고정부재(23)에 고정되어 있는 완충부재(22)에 의해 팅겨 나가면서 영구자석(21)에 흡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즉, 선택된 핑거(10)가 하강 운동한 후 상승시에는 정지부근(상사점)에서 고정부재(23)에 의해 정지 한 후 영구자석(21)의 자력에 의해 상사점에 잡혀있게 되는데, 핑거(10)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게되면 우레탄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부재(22)에 닿은 후 영구자석(21)의 자력이 당길 수 있는 힘 이상으로 부딪쳐 팅겨 나가게 된다. 따라서 핑거(10)가 영구자석(21)에 잡혀 있지 못하고 떨어져 나가는 형태의 오동작이 발생되며, 핑거(10)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팅겨 나가려는 빈도는 더욱 높아진다.
이러한 저변에는, 핑거(10)가 저속운동할 때에는 영구자석(21)으로 저속 근접하게 되므로 영구자석(21)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핑거(10)를 잡고 있게 되지만 고속운동시에는 핑거(10)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완충부재(22)에 충돌하여 정지된 후 팅겨 나가려는 거리가 증가되므로 영구자석(21)의 힘으로 상사점에 정지해 있지 못하고 떨어지는 오동작이 유발된다.
이는 자력이 핑거의 상승점에서만 최대의 힘으로 작용하고 영구자석(21)과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면 자력은 이격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약화되는 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핑거(10)가 영구자석(21)이 위치하는 상승 구간에서 점차적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상승점에서 최대의 힘으로 작용하고, 또한 고정부재(23)에 의해 정지 후 팅겨 나가더라도 다시 상사점으로 복귀하는 스프링과도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21)과 핑거(10)를 배치시켜 영구자석(21)이 핑거(10)를 당길 수 있는 구간을 상승점에 근접한 부근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범위에서 당길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도 21, 도 22와 같이 영구자석(21)이 마주하는 핑거(10) 부분에 영구자석(21)이 깊이 삽입될 수 있는 유입홈(54)을 형성하여 영구자석(21)과의 접근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흡자력이 크게 증가되어 핑거(10) 홀딩이 보다 확고히 달성되며, 아울러 위사선택 속도와 동작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영구자석(21)은 유입홈(54)으로 깊이 삽입될 수 있게 고정부재(23)에 돌출형으로 고정되며, 영구자석(21)이 유입홈(54)으로 진입하면서 자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상승점에서 최대의 힘으로 작용하고, 또한 완충부재(22)에 의해 정지후 팅겨 나가더라도 다시 상사점(UP)으로 복귀하는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하게된다.
도 22는 핑거(10)의 유입홈(54)으로 영구자석(21)이 유입되는 상태도로, (b), (c), (d), (e), (f)는 영구자석(21)이 순차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상태이고, (a)는 영구자석(21)이 유입홈(54)으로 완전 유입되고 핑거(10)의 완충부(59)는 완충부재(22)에 의해 완충 및 정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영구자석(21)이 당기는 힘의 세기는 영구자석(21) 자체의 세기 변화로도 가능하며, 물론 영구자석(21)과 핑거(10) 간의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영구자석(21)과 핑거(10)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적정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게된다. 취급 및 제작등에서 영구자석(21)의 자체 세기 변경보다는 영구자석(21)과 핑거(10)와의 이격 거리로써 핑거(10)를 당기는 힘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이 보다 간편하다.
본 발명에서 영구자석(21)의 방향과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핑거(10) 홀딩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5와 같이 원형(Disk) 영구자석을 1열 또는 2열로 배치하는 구조에서 도 23과 같이 사각(Block)형 영구자석이 서로 접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자기장이 보다 증가된다.
상기에서 영구자석(21)의 자극형성은 영구자석(21)의 상하로 N극과 S극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영구자석(21)을 빙둘러 싸는 유입홈(54) 및 흡자부(54a)와 영구자석(21)간에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견고한 흡자력이 유지된다.
상기 영구자석(21)은 도 25와 같이 각각의 핑거(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 또는 사각형의 영구자석(21a)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21b)은 바깥쪽에 이웃하는 영구자석이 없어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21a)들 보다 흡자력이 많이 떨어지는 양상이므로 자력을 증강시켜 균일화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21b)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자력이 강한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체 영구자석의 자력을 균일화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안에 따라서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영구자석(21b)의 바깥측에 같은 규격의 보조 영구자석을 별도로 설치하여 보조 영구자석을 제외한 전체 영구자석(21a)(21b)의 자력(또는 흡자력)을 균일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영구자석(21a)(21b)은 원형(disk 형) 영구자석을 2열로 배치하는 것보다는 도 23과 같이 사각형(block 형) 영구자석을 일체형 또는 개별형으로 1열 배치하는 것이 자력의 균일화를 꾀할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도 24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21)을 1개의 막대형 영구자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영구자석(21)의 자력에 의해 핑거(10)의 상승 상태가 유지되므로 전기적이거나 기구적이거나 또는 이들을 혼용한 방법이 아니므로 고장의 염려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영구자석(21)은 고정부재(23)의 홈(23a)에 억지 끼움식이나 접착제로 끼워넣어 고정하고, 완충부재(22)는 돌출부(23c)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재(23)의 또 다른 홈(23b)에 억지 끼움식이나 접착제로 끼워넣어 고정하고, 고정부재(23)에 형성된 나사공(38a)은 판체(36)의 구멍(37)에 일치하도록 나사를 끼워 넣어 고정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핑거(10)의 유입홈(54)은 축(12)을 중심으로 소정구간 회전운동하게 되고 영구자석(21)은 외면과 모서리 부분이 직선형이므로 유입홈(54)과 영구자석(21) 사이에 경사부와 틈을 형성함으로써 영구자석(21)이 유입홈(54)으로 유입될 때 마찰이나 접촉이 방지된다.
그리고, 꺽임부(60) 부근에 형성되는 탄지부(61)는 1개 또는 1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하여 선택된 핑거(10)가 핑거밀대(13)에 의해 밀릴 때 탄지 및 완충되게 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동작이 연출되고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도 26은 연결부재(64)와의 협조 하에 하강상태의 핑거(10)를 상승시키는 회동캠(15)의 정면도로, 전체적인 형상은 기하학적인 형상ㆍ모양이다. 판체(36)에 축설치되는 고정롤러(16)가 안착되는 안착홈(15c)이 형성되고, 안착홈(15c)의 상부로 상기 고정롤러(16)가 접하는 기하학적인 경사면(15d)이 형성된다.
회동캠(15)의 내부에는 제1 유동롤러(17)가 결합되어 운동하는 안내공(15a)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15a)은 변형된 땅콩 형상이며 상기 회동캠(15)은 회동판체(40)(40a)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캠(15)에 접하거나 결합되는 제1, 2 유동롤러(17)(18)는 하강 핑거(10)를 상사점(UP)으로 상승시키는 연결부재(64)의 양측면에 축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안내판(29) 이외의 부분에는 두께가 얇은 판체(65)로 좌측면의 판체(8)와 우측면의 판체(9)를 빙둘러 막아 위사선택장치(1) 주변의 실보푸라기나 먼지등이 위사선택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 및 방지함으로서 위사선택장치(1)의 고장이나 동작불량이 방지된다.
상기 판체(65) 역시 피스 등을 이용하여 좌측면의 판체(8)와 우측면의 판체(9)에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 탄지결합, 억지끼움, 리벳팅 등의 고정수단이나 고정화 방법으로 좌측면의 판체(8)와 우측면의 판체(9)에 고정된다.
그리고, 좌측면의 판체(8)와 우측면의 판체(9)에는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1)를 직기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나사공이 각각 형성된다. 위 나사공은 직기의 종류(모델), 고정위치, 장착조건 등에 따라 위사선택장치(1)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측면부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링크(4)가 360°(1 싸이클)회전할 때 래피어(또는 캐리어)가 1회 왕복운동하고, 또한 선택된 핑거(10)가 1회 하강하여 위사를 공급한 후 상승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캐리어가 위사를 충분히 홀딩하기 위하여 머물러 있는 구간은 40°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다시말하면 핑거(10)가 최소한 1 싸이클(360°)의 1/9 구간인 40°구간 이상 하강상태로 유지되어야 선택된 위사가 캐리어로 원활히 공급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링크(4)(5)의 회전반경과 그 길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핑거(10)의 하강정지구간이 50°~ 80°범위로 유지되게 하여 충분한 위사공급시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선택된 위사가 도 29와 같이 하강 핑거(10)에 의해 캐리어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링크(4)의 회전반경이 7㎜이고, 제2 링크(5)의 길이 또는 회전반경이 8㎜인 경우 핑거(10)의 하강 정지구간은 대략 80°이며, 제1 링크(4)의 회전반경이 7㎜이고, 제2 링크(5)의 길이 또는 회전반경이 9㎜인 경우 핑거(10)의 하강 정지구간은 대략 50°로 축소되지만 선택된 핑거(10)의 하강정지구간(또는 하강정지시간)이 40°를 초과하는 50°~ 80°범위로 유지되므로 캐리어가 위사를 홀딩시켜 개구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다.
즉, 제1 링크(4)의 회전반경을 조절함으로써 핑거(10)의 스트로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핑거(10)의 선단부(10b)는 위사선택장치(1)가 장착되는 직기의 종류나 모델, 장착위치, 위사공급구조 등에 따라 도 1과 같이 단계별로 돌출되게 배치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배치함으로써 이웃하는 핑거의 아이렛(63)에 끼워지는 위사가 서로 접하거나 중첩되지 아니하면서 소정거리가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링크(4)(5)의 길이를 3 ~ 4배로 보다 길게 형성하고 모터(3)를 운전과 제동의 반복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구동원으로 스테핑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회전수(RPM)가 낮고(연속회전시 600RPM) 회전토크가 떨어질 뿐 아니라, 과부하 등에 의해 동작 중간에 정지하면 동작위치를 잃어버려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2,000RPM ~ 5,000RPM의 모터를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 모터(3)의 회전수는 직기의 회전수와 동기화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1)의 후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는 모터(3)와 솔레노이드(11) 등으로 동작전원이나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홀소자(27)에 의한 승강레버(7) 하강신호를 제어기(2)로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서 모터(3)의 회전운동과 승강레버(7) 및 핑거(10)의 운동 싸이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 일 실시 예로 도시한 회로블럭도로, 제어기(2)의 입력에 직기구동신호(SL)와 위사선택신호(YS)와, 홀소자(27)로부터 승강레버(7)의 하강신호가 각각 접속되고, 제어기(2)의 출력에 커넥터를 통하여 복수의 솔레노이드(11)와 모터(3)가 각각 접속되며, 제어기(2)의 입력으로 직기구동신호(LS)가 입력되면 제어기(2)는 모터(3)로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모터(3)가 회전하고, 링크(4)(5)와 승강레버(7)에 의해 회동체(32)가 축봉(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2)의 입력으로 위사선택신호(YS)가 입력되어 있고 승강레버(7)의 하강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2)는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11) 중 해당 솔레노이드(11)로 전원을 인가하고, 해당 솔레노이드(11)는 인가전원에 의해 여자(勵磁)되면서 전자력을 갖게되므로 회동체(32)를 따라 전ㆍ후진 호운동하고 있던 핑거밀대(13)의 선단부(13b)가 도 4와 같이 축봉(20)을 중심으로 상승되고, 상승된 핑거밀대(13)의 선단부(13b)는 도 31과 같이 1조를 이루는 핑거(10)의 요입부(53)로 유입되어 걸림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체(32)와 핑거밀대(13)가 반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므로 도 29, 도 30과 같이 핑거(10)가 축봉(1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핑거(10)의 선단부(10b)는 하사점(DP)까지 하강한 다음 모터(3)의 소정시간 정지에 의해 핑거(10)의 하강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핑거(10)를 따라 하강된 선택 위사가 캐리어에 홀딩되어 개구된 경사 사이로 공급되어 직조된다. 그리고, 위사가 캐리어로 홀딩되고 개구 사이로 공급되어 직조되는 과정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사의 선택공급이 완료되고 직기구동신호(LS)가 입력되면 모터(3)의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레버가 하강하고 회동체(32)는 회전하게 되며, 제어기(2)는 승강레버(7)의 하강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동안만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11) 중 해당 솔레노이드(11)로 전원을 인가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11)로 공급되는 전원은 이미 차단되어 소자된 상태이고, 스프링(19)에 의해 핑거밀대(13)의 선단부(13b)가 축봉(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하강 복귀하고, 캐리어로 위사를 공급하였던 하강 핑거(10)는 도 15와 같이 회동캠(15)과 연결부재(64)에 의해 상승하면서 핑거(10)에 형성된 유입홈(54)이 영구자석(21)으로 삽입되고, 완충부재(22)에 의해 동작이 멈추면서 상사점(UP)으로 복귀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핑거(10)가 하강한 경우, 제1 유동롤러(17)는 도 30과 같이 회동캠(15)의 안내공(15a) 상부로 이동하게되며, 회동체(32)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제1 유동롤러(17)가 안내공(15a)의 하부로 이동할 때까지 핑거(10)의 하강상태가 유지되므로 선택 위사가 캐리어로 홀딩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핑거(10)마다 각각의 모터(리니어 모터 등)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각각 제어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위사선택장치의 내부에 자체 구동원과 자체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위사선택장치의 전체부피와 무게 및 소음이 줄어들고, 최대 사용 RPM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링크길이를 조절하여 핑거의 하강정지구간(각도)을 충분히 유지함으로써 정확하고 동작신뢰성이 높은 위사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위사선택장치는 직기의 구동축으로부터 기어, 타이밍벨트, 캠과 캠축 등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므로, 전체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울 뿐 아니라, 직기 모델마다 상이한 동력전달수단의 위치에 따라 위사선택장치의 장착위치가 달라지고 또한 장착위치에 제한을 받게되나, 본 발명의 위사선택장치는 자체 동력원에 의해 부피와 무게 및 소음이 대폭 감소되고, 장착위치의 제한을 거의 받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정면도.
도 2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세로 단면도.
도 3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평면도.
도 4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5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밀대 부분 평면도.
도 6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전체 핑거 부분 평면도.
도 7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회동체 부분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회전링 부분 단면도.
도 9, 도 10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회동판체 부분 정면도.
도 11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 사용되는 판체 부분 정면도.
도 12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후면판 부분 내부 정면도.
도 13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 사용되는 안내판 부분 정면도.
도 14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의 회동체와 솔레노이드 부분 단면도.
도 15 :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와 회동캠에 의해 핑거가 상승되는 상태도.
도 16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승강레버에 설치된 센서 부분 단면도.
도 17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스토퍼 부분 정면도.
도 18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밀대와 솔레노이드 부분 정면도.
도 19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스토퍼 부분 단면도.
도 20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링크 부분 정면도.
도 21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 고정부 단면도.
도 22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 고정부의 운동 상태도.
도 23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 고정부의 일 실시 예 정면도.
도 24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 정면도.
도 25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 정면도.
도 26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회동캠 부분 정면도.
도 27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
도 28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가 일부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도 29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가 더욱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도 30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도 31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가 상당히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
도 32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서 핑거가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 단면도.
도 33 : 본 발명에서 모터의 회전운동과 승강레버 및 핑거의 운동 싸이클도.
도 34 : 본 발명 위사선택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핑거의 일 실시 예 정면도.
도 35 :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회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위사선택장치 (2)--제어기
(3)--모터 (3a)--회전축
(4)(5)--1, 2차 링크 (4a)(5a)--링크축
(7)--승강레버 (7a)(43)(66a)--축공
(8)(9)(36)(65)--판체 (10)--핑거
(10a)--핑거 축부 (10b)--핑거 선단부
(10c)--핑거 절곡부 (10d)--탄지부
(10e)(20a)(24a)(32a)(35a)(37)(41a)--구멍
(10f)--결합공 (10g)--절개부
(11)--솔레노이드 (11a)--솔레노이드 코어
(12)(20)(38)--축봉 (13)--핑거밀대
(15)--회동캠 (15a)(46)--안내공
(15c)--안착홈 (15d)--경사면
(16)--고정롤러 (17)(18)--유동롤러
(19)--스프링 (21)(21a)(21b)(26)--영구자석
(22)--완충부재 (23)--고정부재
(23a)--영구자석 결합홈 (23b)--완충부재 결합홈
(23c)(24b)--돌출부 (24)--핑거밀대 가이드
(27)--홀소자 (28)(41)--스페이스
(29)--안내판 (29a)--핑거 안내공
(29b)--장공 (30)(31)--부시
(32)--회동체 (33)--돌출테
(34)--회전링 (35)(44)--피스
(38a)--나사공 (39)--단턱부
(40)(40a)--회동판체 (42)--스프링 지지봉
(42a)(48a)--홈 (45)--지지판
(47)--걸림부 (48)--걸림홈
(49)--돌출부 (50)(57)--통공
(51)--걸이홈 (52)--방열부재
(53)--요입부 (54)--유입홈
(54a)--흡착벽부 (55)--미세틈
(56)--요입홈 (58)--절개홈
(59)--완충부 (60)--꺽임부
(61)--탄지편 (62)--개방홈
(63)--아이렛 (63a)--위사 안내공
(64)--연결부재 (66)--축
(C)--핑거 중심선 (O)--회전링의 좌ㆍ우 중심
(DP)--하사점 (S0)--걸림홈의 높이
(S1)--핑거밀대 승강 스트로크 (S2)--걸림부의 높이
(UP)--상사점

Claims (10)

  1.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에 있어서 ; 양측 판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양측 판체 내부에 축 설치되는 회동체로 전달하여 그 회동체가 소정구간 정ㆍ역회전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각각 승강 운동할 수 있게 상기 회동체에 축 설치되는 복수의 핑거와, 상기 복수의 핑거 중 선택된 핑거를 밀어 하강시키는 핑거하강수단과, 상기 복수의 핑거 중 상승 상태의 핑거를 붙잡고 있는 핑거홀딩수단과, 상기 복수의 핑거 중 핑거의 하강상태를 소정시간 유지하는 하강유지수단과, 상기 복수의 핑거 중 하강이 끝난 핑거를 상승시키는 핑거상승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상기 구동원은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모터 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구동원의 회전력을 회동체로 전달하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원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차 링크와, 상기 제1차 링크에 축 연결되는 제2차 링크와, 상기 제2차 링크와 회동체를 축 연결하는 승강레버로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복수의 핑거는, 아이렛이 결합되는 선단부와, 절곡부(10c)와, 핑거홀딩수단의 영구자석이 비접촉식으로 결합되어 홀딩되는 유입홈(54)과, 영구자석(21)이 핑거밀대(13)와 결합될 때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복수의 탄지편(10d)(61)과, 상기 탄지편(10d) 후단에 형성되는 핑거밀대(13) 결합용 요입부(53)와, 선택안된 핑거밀대(13)의 정ㆍ역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요입홈(56)과, 회전링(34)에 결합되는 축부(10a)가 차례로 구성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홀딩수단은, 복수의 핑거와 마주하는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완충부재와 영구자석이 이격하여 평행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의 핑거 부분에 형성된 흡자부 사이의 유입홈으로 투입되어 복수의 핑거를 홀딩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하강수단은, 회동체에 축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핑거밀대와, 상기 핑거밀대를 하강상태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강상태의 핑거밀대를 상승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핑거밀대의 승강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스토퍼로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하강수단은, 양측 회동판체(40)(40a)에 축(66) 설치되는 각각의 회동캠(15)과, 상기 회동캠(15)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15c) 및 경사면(15d)과, 상기 양측 판체에 축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15c) 및 경사면(15d)에 접하면서 운동하는 고정롤러(16)와, 상기 안착홈(15c) 하부 안내공(15a)에 결합되어 유동하는 유동롤러(17)와, 상기 유동롤러(17)가 측면에 축설치되는 연결부재(64)로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복수의 핑거 선단부(10b)에 절개홈(58)을 갖는 통공(57)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57)에 아이렛(63)을 억지 끼움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복수의 핑거 하강유지수단은, 회동체에 축설치되는 회동캠과, 상기 회동캠의 안착홈과 경사면에 접하고 판체에 축설치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회동캠의 안내공에 결합되는 제1 유동롤러와, 상기 회동캠의 안내면에 접하는 제2 유동롤러와, 상기 제1, 2 유동롤러가 양측면에 축설치되는 안내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핑거상승수단은, 회동캠의 안내공에 결합되는 제1 유동롤러와, 상기 회동캠의 안내면에 접하는 제2 유동롤러와, 제1, 2 유동롤러가 양측면에 축설치되는 안내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KR10-2003-0056864A 2003-08-18 2003-08-18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KR10051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864A KR100519216B1 (ko) 2003-08-18 2003-08-18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864A KR100519216B1 (ko) 2003-08-18 2003-08-18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286A KR20030072286A (ko) 2003-09-13
KR100519216B1 true KR100519216B1 (ko) 2005-10-05

Family

ID=3222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864A KR100519216B1 (ko) 2003-08-18 2003-08-18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4B1 (ko) 2008-12-26 2011-04-13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이엘 와이어를 이용한 발광직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05B1 (ko) * 2009-03-30 2012-05-02 정태웅 제직기의 역회전 장치 및 역회전 장치를 이용한 직물지의 제조 방법
CN104746217B (zh) * 2015-02-15 2018-09-18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剑杆织机的选纬器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4B1 (ko) 2008-12-26 2011-04-13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이엘 와이어를 이용한 발광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286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216B1 (ko)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JP2944214B2 (ja) 織物機械用の杼口形成装置
CA2082655C (en) Electromagnetic shedding device for a textile machine
US4793159A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6105628A (en) Electromagnetic device for automated jacquard machine needle actuation
EP1217113B1 (en) Pulleyless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CN1653218B (zh) 无绳纱线控制装置
EP0330624A2 (en) Double-doffing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improved lifter driving devices
JP2881654B2 (ja) 繊維機械用制御装置
KR100239983B1 (ko)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KR20010028662A (ko)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JPH06316830A (ja) ジャカード織機のヘルドロッド制御装置
JP2789324B2 (ja) ジャカード機の経糸選択制御装置
JPH0784688B2 (ja) ジャカード機の経糸選択制御装置
JPH0616935Y2 (ja) 経糸選択制御装置
JP2693240B2 (ja) 織機の開口形成装置
JP2839315B2 (ja) 織機の開口形成装置
EP0724032A1 (en) Thread selecting device for weaving machine
JPH07166445A (ja) ジャカード機の経糸選択制御装置
JP3242986B2 (ja) い草用織機の縦糸選択装置
KR100265670B1 (ko) 직기용 복동식 개구장치
KR100432911B1 (ko) 자수기의 바늘대 점핑장치
EP0099254B1 (en) Heald control apparatus
CN2516569Y (zh) 通用高速电子提花机电磁选针装置
JPH05214643A (ja) 編機の針選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