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29B1 -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29B1
KR102442029B1 KR1020190156043A KR20190156043A KR102442029B1 KR 102442029 B1 KR102442029 B1 KR 102442029B1 KR 1020190156043 A KR1020190156043 A KR 1020190156043A KR 20190156043 A KR20190156043 A KR 20190156043A KR 102442029 B1 KR102442029 B1 KR 10244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milk
cation exchange
potassium
exchange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600A (ko
Inventor
신창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도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도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도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8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01D15/362Cation-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0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6Ion exchange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유의 칼륨 함량을 낮추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륨이온(K+)의 함량을 낮추어 신장질환자들에게 영양음료로 공급 가능한 두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두유는 영양음료로서 일반인은 물론 환자들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주요식품이나, 신장질환자들은 두유에 함유되어 있는 칼륨으로 인해 음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를 제조, 공급하여 신장질환자들을 위한 영양공급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A producing method of low potassium soymilk}
본 발명은 두유의 칼륨 함량을 낮추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륨이온(K+)의 함량을 낮추어 신장질환자들에게 영양음료로 공급 가능한 두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두(soybean)는 고대 중국 만주지방이 원산지로 양질의 단백질이 40% 이상 함유되어 있어 수세기 동안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서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되어 왔다. 또한 대두에는 철, 불포화지방산, 나이신(niacin)등의 영양성분을 비롯하여 항암, 항균, 항산화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피트산(phytic acid), 피토스테롤(phytosterol), 사포닌(saponin), 식이섬유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도 함유되어 있어, 대두 가공품들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대두 가공품 중 두유는 대두를 추출하여 음료의 형태로 가공한 대표적인 대두 가공식품이다. 두유는 '콩에서 나는 젖', '밭에서 나는 고기' 등으로 일컬을 정도로 주성분인 단백질·지방 등의 함유율이 우유와 거의 비슷하며, 예부터 젖이 잘 나오지 않는 산모의 아기에게 모유 대신 두유를 먹였다고 한다.
두유는 수용성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곡류 위주의 식습관으로 결핍되기 쉬운 영양 성분의 보충이 가능하여 널리 음용되어왔다. 또한, 두유는 동맥경화증 등 성인병을 일으킬 수 있는 포화지방산이 아닌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체질의 산성화를 막는 데 효과가 있는 알칼리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최근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영양과 맛이 뛰어난 검은콩, 녹차, 검은깨를 사용한 두유와 칼슘, 과즙, 이소플라본과 뉴클레오타이드 등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강화한 다양한 두유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대두는 식물성 단백질 및 식물(食物)섬유가 풍부하고,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항과지방 혈증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두는 신장병의 식이요법에 적절하다. 한편, 대두는 식용부분 100mg에 대하여 약 2,000mg의 많은 칼륨 및 약 600mg의 많은 인을 함유하고 있다.
한편, 신장병 환자에게서는, 불충분한 칼륨 배출때문에 칼륨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심하면 호흡곤란 및 지각이상을 유발시키며 최악의 경우에는 심장 정지를 일으킨다.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의 세포에서는, 칼륨은 주로 세포내액에 존재하여, 주로 세포외액에 존재하는 나트륨과 쌍을 이루어, 산염평형의 주된 인자의 하나로서 생체의 항상성(homeostasis)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신부전환자는 칼륨의 배설기능 및 혈중 이온밸런스 유지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고칼륨혈증(hyperkalemia), 고인산혈증(hyperphosphatemia), 저칼슘혈증(hypocalcemia)을 일으키기 쉽다. 과도한 혈청 칼륨레벨의 상승은, 심장의 기능정지를 유발하여 최악의 경우는 생명의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신부전환자는 칼륨의 섭취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고, 특히 칼륨을많이 함유하는 과일이나 야채 등을 마음대로 섭취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부전환자는 고인산혈증 또는 저칼슘혈증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에게는 탄산칼슘의 투여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서는, 과일 및 야채등의 섭취가 제한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식사내용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영양밸런스의 유지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칼륨의 양이 선택적으로 감소된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제조된 두유를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탈이온 필터로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두유의 칼륨 함량을 10분의 1 이하로 낮춘 저칼륨 두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는 칼슘형 양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칼슘형 양이온 교환수지는 디비닐벤젠으로 80% 가교된 설폰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수지로 된 칼슘형 양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탈칼륨에 의한 풍미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탄산칼슘 및 수순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유는 영양음료로서 일반인은 물론 환자들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주요식품이나, 신장질환자들은 두유에 함유되어 있는 칼륨으로 인해 음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를 제조, 공급하여 신장질환자들을 위한 영양공급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칼륨 두유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칼륨 두유의 특징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우선, 대두를 수세한 후 대두를 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두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대두를 입수하고, 대두에서 불순물과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대두를 정선할 수 있다. 정선된 대두를 수세하고, 수세한 대두를 물에 담궈 상온에서 10 내지 12 시간 침지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대두 중량의 18 내지 22배의 물에 담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두는 껍질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껍질이 제거된 두유를 사용함으로써 두유의 풍미와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두는 부석태 콩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석태 1호 콩(국립종자원 품종출원 2012-367)을 사용할 수 있다. 부석태는 영주시 부석면에서 수집된 재래종 콩으로, 혼계 상태인 ‘부석콩’을 순계분리 육종법에 의해 우수개체 선발을 통해 육종한 것이다. 즉, 교배육종이 아닌 선발육종이며, 재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콩 품종 중 콩알의 크기가 가장 큰 극대립종 콩이다. 일반콩 100알의 무게가 25g 내외인 것에 비해, 영주콩 100알의 무게가 40g 정도로 콩의 크기가 커서 두유의 제조에 적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대두를 삶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물에 침지되었던 대두를 끓는 물에 2 내지 3시간 동안 삶을 수 있다. 대두를 삶는 공정을 통하여 대두 세포벽을 파괴하고, 조직을 연화시켜 마쇄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효소의 불활성화를 통하여 콩 비린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삶는 시간이 2 시간 미만이면 조직의 연화가 미비하거나 콩 비린내 발생 억제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3시간을 초과하면 현탁액 안정성이 안 좋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삶은 대두를 습식 분쇄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대두를 삶은 물을 사용하여 상기 삶아진 대두를 습식 분쇄할 수 있다. 삶은 대두를 분쇄하여 입자를 작게 함으로써 수용성 단백질의 추출을 극대화할 수 있다. 습식 분쇄단계에서 대두를 삶은 물과 삶아진 대두의 중량 혼합 비율은 0.8 내지 1.2:1일 수 있다. 상기 비율 보다 높거나 낮으면 두유의 고형분 함량, 산도 또는 pH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로 밀 분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3 um 망으로 습식 분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대두와 물이 혼합된 두유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두유액은 2 내지 4 brix를 가질 수 있다.
분쇄법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여 실시하는 습식분쇄이지만, 건식 분쇄후에 물을 가하여 슬러리를 만드는 방법일 수도 있다. 가열은 분쇄전에 또는 후에 70∼150℃ 바람직하게는 80∼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30℃에서 실시한다. 가열은 효소 및 트립신 억제제 같은 영양-억제인자를 불활성화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이들 인자를 불활성화하지 않으면 두유의 소화율 및 흡수율이 떨어진다. 가열에 의해서 두유의 풀냄새와 같은 냄새를 나게하는 리폭시게나제도 또한 불활성화할 수 있다.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서, 슬러리로부터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조 두유를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또는 균등기 등으로 균질화한 후에 가열 처리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한, 당류, 무기물질, 유지류, 농화제, 과즙 및 향미료 등을 두유에 가할 수 있다. 부풀린 식품은 분쇄후에 공지의 퍼핑(puffing) 물질을 가하고, 반죽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을 가하면서 부풀리고, 건조함으로써 공지의 방법에 따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분쇄법은 바람직하게는 건식 분쇄하고, 입자 크기는 퍼핑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전분, 셀룰로스 등의 강화물질, 조미료, 발포제 등을 퍼핑물질로 분쇄된 재료에 가하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반죽하고, 압축하고, 가열한 후에 감압하여 부풀린다. 부풀린 재료를 오븐 등을 굽고 건조시킨다. 올리고 당류, 즉 올리고-당 같은 중간 분자량 및 저분자량과 당류를 함유하는 대두는 압출기내에서 150∼160℃의 온도에서 36-50kg의 압력을 가하면 당류와 아미노산 사이의 마일라드(Maillard) 반응때문에 갈변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가공 대두는 인 및 칼륨과 함께 올리고당류가 동시에 제거되었기 때문에 거의 갈변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의 관점에서 인 및 칼륨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물질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팽윤제로 사용한다. 팽윤제의 예로는 중탄산나트륨, 암모늄 및 명반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한, 염화나트륨, 조미료 및 양념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조된 두유를 탈이온 처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는, 시판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의 어느 것이더라도 좋고, 이것은 통상의 방법으로 H+형으로 조정된다.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로서는, 배치식이나 컬럼식을 들 수 있다. 배치식으로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원래의 두유 1,000 g 당 약 20~1,000 g 정도의 건조한 양이온 교환 수지를 준비하여, 이것을 두유에 가하고 20분 이상, 통상은 30분 정도 교반한 후, 여과한다.
한편, 컬럼식으로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두유 1,000 g 당 중량(g) 또는 부피(mL)로 85~500 정도의 양이온 교환 수지로 충전된 컬럼을 준비하고, 원래의 두유를 여기에 충전하고, 0.5~2.0시간에 걸쳐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는, 두유 중의 칼륨 함량을 원래함량에 비해 10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칼륨함량은 사용된 양이온 교환 수지의 양, 두유가 양이온 교환 수지와 접촉하는 접촉시간 및 다른 요소등에 따라, 원래함량에 비해 20분의 1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생산성 및 이온 교환의 효율의 관점에서, 컬럼식에 의한 처리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를 행하여 칼륨함량을 낮춘 두유에,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고체상태로 0.5~2.0 g/kg 정도 가하여 원래의 두유와 같은 보존안정성 및 풍미를 유지시키는 저칼륨 두유를 제조할 수 있다.
신부전환자의 혈중 인산이온농도 및 칼륨이온농도간의 밸런스에 따라, 1일당 0.5~1.5 g의 탄산칼슘을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저칼륨 두유는, 필요에 따라, 신장기능에 악영향이 관찰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비타민, 당질, 색소(dyestuffs), 향료 등을 배합하여, 풍미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물론, 두유는 그 자체 음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농축, 건조 및 조립(agglomeration)공정을 부가하여, 분말 또는 과립으로 제조할 수 있다. 분말 또는 과립상 제품은, 그대로 섭취하더라도 좋고, 물을 가하여 액상으로 하여도 좋고, 다른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두유액의 제조
경북 영주시에서 생산된 영주콩(부석태 1호)을 2016년 11월말에 구입하였고, 대두에서 불순물과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대두를 수세하였다. 수세한 대두에 20배의 물을 담가 상온에서 12시간 수침하였다.
침지된 대두를 2 시간 30분 동안 삶은 후 삶은 대두와 대두 삶은 물을 1 : 1의 비율로 하여 0.3 um 망으로 습식 분쇄하였다. 이때 제조된 두유는 3 brix를 나타내었다.
양이온 교환수지 준비
실시예에서 사용된 양이온 교환수지는 아래의 과정에 의해 미리 조정된 시판되는 양이온 교환 수지, Dowex 50W-X4 또는 SK1B(미쯔비시다이아이온사제)였다.
즉, 양이온 교환 수지 500 g에 정제수를 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수지를 충분히 세척했다. 물을 빼낸 수지에 에탄올 500 mL를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에탄올을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에탄올에 의한 세척조작을 3회 반복한 후, 에탄올을 정제수로 바꾸어 세척했다. 물로 세척한 수지에 1M 수산화나트륨용액 500 mL를 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수지를 여과에 의해 회수했다.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처리조작을 5회 반복한 후, 세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 수지를 물로 씻었다.
그뒤, 세척된 수지를 컬럼내에 충전하고, 3M 염산용액 2,500 mL를 통과시키고 세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 컬럼을 물로 세척했다. 상기 조작 이후에, 그 상태대로 또는 흡인여과에 의해 수지를 충분히 건조하여 H+형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공했다.
원래의 원료 두유의 양에 따라 사용된 양이온 교환 수지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서 에탄올, 정제수, 1M 수산화나트륨 및 세정 등의 양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탈칼륨 처리
상기 제조된 두유액 1,000 mL에 건조한 H+ 형 양이온 교환 수지를 50g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여 칼륨을 흡착시켰다.
칼륨 농도는 처리 전에 약 48.0mmol/L에서 처리 후 약 4.5mmol/L로, 제거비는 약 90%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칼륨함량을 천연함량에 비해 10분의 1 이하로 낮춘 저칼륨 두유, 해당 두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저칼륨 두유는, 탄산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고체상태에서 첨가함으로써 풍미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저칼륨 두유는 칼륨의 섭취가 제한되어 있는 신부전환자와 같은 신장기능의 저하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칼륨 두유 및 그의 함유 식품은 신부전환자의 고인산혈증의 억제를 위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5)

  1. 콩의 전처리 단계;
    전처리된 콩을 끓이는 증자 단계;
    냉각 단계;
    분쇄 단계;
    1차 여과(비지분리) 단계; 및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칼륨 함량을 10분의 1 이하로 낮추는 탈칼륨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는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처리 조작된 칼슘형 양이온 교환수지이고,
    상기 칼슘형 양이온 교환수지는 디비닐벤젠으로 80% 가교된 설폰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수지로 된 칼슘형 양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두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탈칼륨에 의한 풍미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탄산칼슘 및 수산화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슘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칼륨 두유의 제조방법.
KR1020190156043A 2019-11-28 2019-11-28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KR10244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43A KR102442029B1 (ko) 2019-11-28 2019-11-28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43A KR102442029B1 (ko) 2019-11-28 2019-11-28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00A KR20210066600A (ko) 2021-06-07
KR102442029B1 true KR102442029B1 (ko) 2022-09-08

Family

ID=7637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043A KR102442029B1 (ko) 2019-11-28 2019-11-28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511A (ja) 1998-12-10 2000-06-2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新規ミルクマグネシウム/カルシウム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9355A (ja) * 1985-04-30 1986-11-06 Yamasa Shoyu Co Ltd カルシウム強化豆乳の製造法
JPS6384641A (ja) * 1986-09-29 1988-04-15 Showa Denko Kk 強酸性陽イオン交換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0145B2 (ja) * 1999-10-12 2010-12-01 明治製菓株式会社 低カリウムジュース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含有食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511A (ja) 1998-12-10 2000-06-2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新規ミルクマグネシウム/カルシウム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00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7759B (zh) 一种湿法制备的风味豆奶粉及其方法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4725A (ko) 쌀을 포함하는 쌀두유의 제조방법
KR900000961B1 (ko) 대두(大豆)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771866A (zh) 红枣核桃乳饮料的生产方法
CN109699745A (zh) 一种岩藻糖基化寡糖婴幼儿配方奶粉及其制备方法
CN104365939A (zh) 黄秋葵精粉茶的制备工艺及其冲调饮用方法
KR101267959B1 (ko) 구아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2029B1 (ko) 칼륨 함량을 낮춘 두유의 제조방법
CN112155058A (zh) 一种大豆奶茶粉及其制备方法
KR20130010793A (ko) 모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43517A (zh) 一种紫色复合速溶粉及其制备方法
CN106418523B (zh) 一种稳定型软枣猕猴桃功能保健凝乳
KR101182696B1 (ko) 전복두부와 그 제조방법
KR101771432B1 (ko) 식이 섬유가 증가된 저당도 두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160149B1 (ko) 대두의 초고압 미세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
CN108124978B (zh) 一种荞香型豆腐干的加工方法
KR100536648B1 (ko) 두부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4456A (ko) 고추장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5179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ево-папоротникового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CN108477575A (zh) 一种复配猴头菇核桃粉的配方及制备方法
KR102515948B1 (ko) 해산물이 함유된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8434B1 (ko) 천연발효식초와 해양심층수를 응고제로 이용하여 제조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4546A (ko) 쌀 함유 두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쌀 함유 두부
CN108783358B (zh) 一种木瓜鲫鱼浓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