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267B1 -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267B1
KR102441267B1 KR1020220041187A KR20220041187A KR102441267B1 KR 102441267 B1 KR102441267 B1 KR 102441267B1 KR 1020220041187 A KR1020220041187 A KR 1020220041187A KR 20220041187 A KR20220041187 A KR 20220041187A KR 102441267 B1 KR102441267 B1 KR 10244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tion
data
lectur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
이지애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22010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267B1/ko
Priority to PCT/KR2023/002861 priority patent/WO20231675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학습효율 향상 및 수강자의 학습도 관리가 가능한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수강자들이 앉아 학습할 공간을 제공하는 교육용 스테이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강의와 관련된 자료 또는 논의자료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받은 자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각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A Station for AI-Based, Personalized Learning Analytics System}
본 실시예는 수강자들의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고 능동적인 그룹 학습을 가능케 하는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통상적인 강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교수자는 강의를 진행할 강의자료를 온·오프라인으로 배포를 하고, 수강자들이 강의자료를 문서로 출력해오거나, 교수자가 강의실 내 강의자료를 스크린 등에 출력함으로써 강의를 진행하였다.
종래의 강의는 강의자료를 토대로, 교수자의 일방적인 강의 내용의 전달만이 존재할 뿐이었으며, 수강자들은 교수자와의 소통 또는 수강자들 간의 소통은 강의 중에 진행되기 곤란했다. 이에, 수강자들은 강의 내용에 대한 문의 또는 피드백을 함에 있어서는, 강의가 끝난 후에 별도로 오프라인 간 미팅을 가져야만 진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방적인 강의는 수강자들의 집중도 및 학습능력의 편차에 따라 학습능률이 현저히 달라지며, 모든 수강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강의 도중에도 교수자와 수강자간, 수강자들 간에 원활한 소통이 진행되며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강의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강자들의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고, 능동적인 그룹 학습을 가능케 하는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수강자들이 앉아 학습할 공간을 제공하는 교육용 스테이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강의와 관련된 자료 또는 논의자료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받은 자료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각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교육용 스테이션은 상기 교육용 스테이션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는 책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교육용 스테이션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하강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강함에 따라 상기 관통공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교육용 스테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면적을 갖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덮개는 상기 관통공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하강시 상기 몸체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어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강자들의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고, 능동적인 그룹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스테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용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용 스테이션이 강의자료를 각 구성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가 원격으로 강의자료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교육용 스테이션이 자신들의 자료를 다른 교육용 스테이션 또는 스크린으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시스템(100)은 교육용 스테이션(110), 교수용 스테이션(120), 관리장치(130), 스크린(140), 촬영부(150), 무선 어댑터(160) 및 학습장치(170, 175)를 포함한다. 나아가, 강의 시스템(100)은 마이크로폰(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강의 시스템(100)은 교수자의 강의자료 등을 수강자들에 출력함은 물론, 수강자들 개개인의 자료를 다른 수강자 또는 교수자와 공유하며 논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강의 시스템(100)은 개개인들이 서로 학습하거나 토론하고자 하는 자료들을 자유로이 공유하며 논의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의 시스템(100)은 수강자가 자신의 학습장치(170, 175)로 강의자료를 학습함에 있어, 수강자들의 학습도를 분석하여 교수자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강의 시스템(100)은 교수자가 각 수강자들이 강의를 얼마나 잘 학습하며 따라오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관리장치(130)로부터 교수자의 강의자료, 기타 자료 또는 논의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각 그룹에 속한 인원수만큼 또는 그보다 적은 숫자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그룹 내 각 인원 또는 일부 인원이 자신의 학습장치(170) 외에도 교수자가 제공하는 기타 자료나 일 수강자가 제공하는 논의자료를 출력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각 수강자들이 교수자의 강의와 자신의 학습장치(170)를 이용하여 강의자료를 학습하면서, 각 수강자들 간 또는 수강자와 교수자 간에 논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강의를 진행할 때와 수강자간 논의를 진행할 때에 따라 각각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최적으로 수강자가 강의를 수강하거나 논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용 스테이션(1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또는 스크린(140)으로 강의에 필요한 기타 자료나 교수자가 자신이 진행할 강의의 강의자료를 제공하거나, 기타자료, 강의자료 및 수강자가 자신으로 제공한 논의자료를 출력하여 교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관리장치(130)를 거쳐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또는 스크린(140)으로 기타자료나 강의자료를 제공한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교수자로부터 교수자의 단말 등을 거치며 기타자료나 강의자료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교수자의 제어에 따라) 관리장치(130)를 거쳐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또는 스크린(140)에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관리장치(130)를 거쳐 교육용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기타자료, 강의자료 및 논의자료를 출력하여 교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기타자료 및 강의자료를 출력하여, 교수자가 이를 확인하여 원활히 강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논의자료를 출력함으로써, 수강자가 논의하고자 하는 주제를 교수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장치(130)는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교수용 스테이션(120), 스크린(140), 촬영부(150), 무선 어댑터(160) 및 학습장치(175)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관리장치(130)는 학습장치(170, 175)로부터 수강자의 피드백을 수신하여 수강자들의 학습도를 분석한다.
관리장치(130)는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교수용 스테이션(120) 및 스크린(1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특정 구성으로부터 다른 구성으로 필요한 자료를 전달한다. 관리장치(130)는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및 교수용 스테이션(120)과는 주로 강의실 내에서 유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부터 다른 구성으로 강의자료, 기타자료 또는 논의자료를 송·수신한다. 한편, 관리장치(130)는 교수용 스테이션(120)의 제어에 따라, 각 자료를 스크린(140)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관리장치(130)는 촬영부(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학습장치(175)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영상을 학습장치(175)로 전달하거나, 학습장치(175)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관리장치(130)는 촬영부(150)가 촬영한 영상을 촬영부(150)로부터 수신하여, 학습장치(175)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학습장치(175)는 강의실 외부에서도 원격으로 촬영부(150)가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강의 내용이나 논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관리장치(130)는 학습장치(170, 175)로부터 수강자의 피드백을 수신하여 수강자들의 학습도를 분석한다. 관리장치(130)는 학습장치(170, 175)로부터 학습장치(170, 175)가 수강자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영상으로부터 수강자의 강의에 대한 집중도를 분석한다. 관리장치(130)는 피드백, 의견 또는 수강자의 집중도를 토대로 각 수강자들의 학습도를 분석한다. 관리장치(1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크린(140)은 관리장치(130)를 거쳐 전달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크린(140)은 강의실 내 기 설정된 위치(주로, 벽면)에 배치되어, 관리장치(130)를 거쳐 전달되는 강의자료, 기타자료 또는 논의자료를 출력한다. 스크린(140)은 직접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영상을 출력하는 외부의 기기(미도시)로부터 영상을 입사받아 입사 영상을 띄우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영부(150)는 하나 이상이 강의실 내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교수자 또는 스크린(140)을 촬영한다. 촬영부(150)는 강의실 내 참석하지 못한 수강자들이 학습장치(175)를 토대로 강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강의실 내를 촬영한다. 촬영부(150)는 주로, 강의실 천장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강의 내용을 전달하는 교수자 또는 강의 자료나 논의 자료를 출력하는 스크린(140)을 촬영한다. 촬영부(150)는 촬영한 자료를 관리장치(130)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장치(130)가 학습장치(175)로 촬영 영상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어댑터(160)는 학습 장치(170)와 관리장치(130)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대로, 경우에 따라 수강자는 강의 내용으로부터 논의하고자 하는 논의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수강자는 자신의 학습장치(170)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논의자료를 교수용 스테이션(120), 교육용 스테이션(110) 또는 스크린(140)으로 전송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무선 어댑터(160)는 일 학습장치(170)에 장착되고, 관리장치(130)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학습장치(170)가 데이터를 무선으로 관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어댑터(160)의 대표적인 구현예가 블루투스 동글이다. 무선 어댑터(160)는 학습장치(170)에 장착되어, 학습장치(17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관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어댑터(160)는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내 하나 이상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수강자가 자신의 학습장치(170) 내 논의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장치(170)는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수강자를 촬영하거나 수강자로부터 피드백을 입력받아 관리장치(130)로 전달한다.
학습장치(170, 175)는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학습장치(170, 175)는 관리장치(130)로부터 강의자료를 수신하거나 기타 외부의 단말로부터 강의자료를 수신하여, 수강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강의자료를 출력한다. 또한, 학습장치(170, 175)는 관리장치(130)로부터 (주로, 강의 중에) 기타 자료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한다. 한편, 학습장치(170)는 수강자의 입력을 받아 논의자료를 무선 어댑터(160)를 거쳐 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학습장치(170, 175)는 수강자를 촬영하거나 수강자로부터 피드백을 입력받아 관리장치(130)로 전달한다. 학습장치(170, 175)는 전술한 자료를 출력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수강자를 촬영한다. 관리장치(130)가 수강자의 학습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학습장치(170, 175)는 수강자를 촬영한다.
한편, 학습장치(175)는 관리장치(130)로부터 촬영부(150)가 촬영한 영상을 제공받아 출력함으로써, 학습장치(175)를 이용하는 수강자에 교수자의 강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지에서도 수강자는 학습장치(175)를 이용하여 교수자의 강의 내용을 수강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80)은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수강자의 음성을 확대한다. 마이크로폰(180)은 주로, 일 수강자가 논의자료를 공유하며 논의를 진행하고자 할 때, 해당 수강자의 음성을 확대하여 강의실 내에서 수강자의 의견을 원활히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스테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입력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제어부(230), 몸체(310), 관통공(314), 덮개(318), 거치부(320) 및 승·하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관리장치(130)로부터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입력받는다. 입력부(210)는 관리장치(13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관리장치(130)로부터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입력받는다.
입력부(210)는 관리장치(130)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한다. 관리장치(130)는 무선 어댑터(160)를 거쳐 일 학습장치(170)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부(210)는 관리장치(130)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한다.
입력부(210)는 관리장치(13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20) 승·하강에 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적절한 자료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그룹 내 포함된 인원의 숫자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숫자만큼 포함되어, 자료를 출력한다. 그룹 내 포함된 각 인원의 숫자만큼 디스플레이부(220)가 포함될 수도 있고, 일정 숫자의 인원을 소그룹으로 하여 소그룹 당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20)가 배정되는 형태로 그룹 내 포함된 인원의 숫자보다 적은 숫자만큼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 내 포함된 인원이 6인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는 6개가 포함될 수도 있고, 2인(가변될 수 있음)을 하나의 소그룹으로 하여 3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10)의 자료 수신 여부를 토대로, 디스플레이부(220) 및 승·하강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부(210)가 관리장치(130)로부터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수신한 자료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 및 승·하강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디스플레이부(220)로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20)의 전 면적이 책상(310) 외부로 드러나는 높이까지 승강하도록 승·하강부(미도시)를 제어하며, 해당 자료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한다.
입력부(210)가 관리장치(130)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논의자료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 및 승·하강부(미도시)를 제어한다.
교수용 스테이션(120) 또는 관리장치(13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20) 하강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하강하도록 승·하강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20)가 승·하강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수강자들은 하나의 책상(310)에서 수강자들 간 면대면 토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강자들 간의 토론의 집중도도 향상될 수 있고, 수강자들 간 의견 교환으로 보다 학습능률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수강자들은 강의자료 또는 기타 자료를 시청할 수 있고, 서로 간의 논의자료를 공유하거나, 이를 다른 수강자 그룹과 공유를 할 수 있다. 서로 간에 용이하게 자료의 공유가 진행될 수 있어 각 수강자들이 수업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자료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20)가 필요에 따라 승·하강함에 따라,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수강자들의 토론의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수강자들의 능동적 자료공유 및 발표를 유도할 수 있어 능동형 학습의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관통공(314)은 몸체(310)에, 적어도 디스플레이부(220)의 전체 면적만큼 형성되어, 몸체(310) 내에서 몸체(310) 외부로 디스플레이부(22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20), 거치부(320) 및 승·하강부(미도시)는 관통공(314) 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20)가 몸체(310) 외부로 승강하거나 하강하며 몸체(310) 내에서 몸체(310)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강자들 간에 토론이 진행되는 등 디스플레이부(220)의 이용이 필요치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부(220)가 관통공(314) 내에 배치되며 수강자들의 토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외력으로부터의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단에 관통공(314)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오차를 갖는 면적을 갖는 덮개(318)가 배치된다. 덮개(318)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단에 관통공(314)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오차를 갖는 면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20)의 승·하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2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가 관통공(314) 내에 배치될 경우, 덮개(318)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자신의 연직상방으로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에 덮개(318)가 배치된 디스플레이부(220)는 관통공(314) 내로 하강함에 있어, 덮개(318)가 인접한 몸체(3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오차를 갖는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가 관통공(314) 내로 하강하게 되면, 몸체(310)의 상부와 덮개(318)는 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어 수강자가 교육용 스테이션(110)의 상부를 책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덮개(318)는 몸체(310)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디스플레이부(220)가 하강할 경우 몸체(310)와 덮개(318)가 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강자가 덮개(318)로부터 느낄 수 있는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덮개(318)는 몸체(310)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거치부(32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지지하여, 승·하강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거치부(32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지지함에 있어, 디스플레이부(220) 개수의 변(邊)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부(220)를 배치시키며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32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출력화면이 외부(디스플레이부 서로 간을 바라보지 않는 방향)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지지한다. 디스플레이부(220)가 다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때, 그룹 내 포함된 각 인원 또는 소그룹이 불편없이 출력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부(220) (전체)가 가장 좁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치부(32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배치시키며 지지함에 있어, 다양한 형상 또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거치부(320)는 디스플레이부(220)들이 승·하강부(미도시)에 의해 승·하강함에 있어 디스플레이부(220)들의 무게를 지지하는 기둥(미도시) 및 기둥으로부터 돌출되어 각 디스플레이부(220)들을 기둥에 고정시키는 암(Arm, 미도시)를 포함한다. 암(미도시)은 기둥(미도시)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220)의 개수만큼 돌출되어, 각 디스플레이부(220)들을 고정한다.
승·하강부(미도시)는 거치부(320)를 승강하거나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가 승·하강부(미도시)에 의해 (거치부(320)의 승강으로 그와 함께) 승강하거나 (거치부(320)의 하강으로 그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용 스테이션(110)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책상(330)이 배치될 수 있다. 책상(330)은 디스플레이부(220)의 숫자만큼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부(220)의 출력화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교육용 스테이션(110)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강자는 책상(330)에 자신의 학습장치(170)를 배치하며,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출력되는 자료를 시청할 수 있다. 책상(330)은 별개의 구성으로서 교육용 스테이션(110)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교육용 스테이션(110)과 일체의 구성으로서 교육용 스테이션(110)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용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용 스테이션(120)는 입·출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410)는 관리장치(130)로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전송하거나, 관리장치(130)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한다. 입·출력부(410)는 관리장치(13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관리장치(130)로부터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전송하거나 논의자료를 수신한다.
입·출력부(410)는 관리장치(130)로 디스플레이부(220) 하강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입·출력부(410)는 관리장치(130)로부터 각 수강생들의 학습도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0)는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출력하거나, 수신한 논의자료를 출력하여 교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420)는 수신한 각 수강생들의 학습도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입·출력부(410) 및 디스플레이부(4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130)는 입·출력부(510), 통신부(520), 제어부(530), 메모리부(540) 및 학습도 관리부(55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510)는 교육용 스테이션(110), 교수용 스테이션(120) 및 스크린(140) 간에 각 자료가 입·출력되도록 한다. 입·출력부(510)는 교수용 스테이션(120)으로부터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입력받아, 교육용 스테이션(110) 또는 스크린(140)으로 전달한다. 한편, 입·출력부(510)는 교육용 스테이션(110)으로부터 수신한 논의자료를 다른 교육용 스테이션(110), 교수용 스테이션(120) 또는 스크린(140)으로 전달한다.
입·출력부(510)는 교수용 스테이션(120)으로부터 학습모드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510)는 교수용 스테이션(120)으로부터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와 함께 강의모드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반면, 입·출력부(510)는 교수용 스테이션(120)으로부터 별도의 자료 수신없이 논의모드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520)는 촬영부(150), 무선 어댑터(160) 및 학습장치(170, 175) 간에 각 자료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통신부(520)는 촬영부(15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수신하여, 이를 학습장치(175)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무선 어댑터(160)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논의자료는 입·출력부(510)를 거쳐 교수용 스테이션(12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다시, 입·출력부(510)를 거쳐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 및 스크린(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논의자료는 통신부(520)에 의해 학습장치(175)로도 공유될 수 있다.
통신부(520)는 학습장치(170, 175)로부터 각 학습장치(170, 175)가 촬영한 영상 및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520)는 수신한 영상 및 피드백으로부터 학습도 관리부(550)가 판단한 각 수강자들의 학습도를 교수용 스테이션(120) 또는 교수자의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입·출력부(510) 및 통신부(520)의 자료 수신 여부를 토대로, 각 구성(510, 520, 540, 5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30)는 입·출력부(510) 및 통신부(520)의 자료 수신 여부를 토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부(510) 및 통신부(520)가 적절한 구성으로 자료를 전달하도록 제어하거나, 학습도 관리부(550)가 각 수강자들의 학습도를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입·출력부(510)가 교수용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논의모드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530)는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으로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전송하던 것을 중단하고, 무선 어댑터를 거쳐(160) 학습장치(170)로부터 수신한 논의 자료를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540)는 통신부(520)가 학습장치(170, 175)로부터 수신한, 각 학습장치(170, 175)가 촬영한 영상 및 피드백을 저장한다.
학습도 관리부(550)는 학습장치(170, 175)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피드백을 토대로, 각 학습자의 학습도를 판단하고 관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치(170)는 입력부(610), 통신부(620), 제어부(630), 촬영부(640) 및 디스플레이부(650)를 포함한다.
입력부(610)는 수강자로부터 피드백을 입력받는다.
통신부(620)는 무선 어댑터(160)와 연결되어, 피드백 또는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통신부(620)는 무선 어댑터(160)로 논의자료, 입력부(610)가 입력받은 피드백 또는 후술할 촬영부(640)의 수강자 촬영 영상을 전송한다.
제어부(630)는 각 구성(610, 620, 640, 6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촬영부(640)는 기 설정된 촬영범위 내에서 수강자를 촬영한다. 관리장치(130)가 수강자의 학습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촬영부(640)는 디스플레이부(650)의 자료의 출력과는 별개로 수강자를 촬영한다.
디스플레이부(650)는 통신부(620)가 수신한 자료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용 스테이션이 강의자료를 각 구성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수자는 자신이 진행할 강의의 자료나, 강의 도중 교수자가 강의에 필요한 기타자료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관리장치(130)로 출력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장치(130)는 입력받은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a 내지 110d),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용 스테이션 내 디스플레이부(220)와 각 스크린(140)으로 출력한다. 교육용 스테이션(110a 내지 110d) 및 디스플레이부(220)는 입력받은 자료를 출력함으로써, 교수자가 원활히 강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교수용 스테이션(120) 또는 관리장치(130)는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교육용 스테이션(110)으로 출력함에 있어, 디스플레이부(220)가 승강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가 원격으로 강의자료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같이, 각 스크린(140)이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출력하며, 교수자가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관리장치(130)는 스크린(140)과 교수자를 촬영하는 각 촬영부(15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관리장치(130)는 촬영부(150)로부터 수신한 촬영영상을 각 학습장치(175)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교육용 스테이션이 자신들의 자료를 다른 교육용 스테이션 또는 스크린으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강의가 완료되었거나, 교수자가 강의 도중 각 수강자들의 논의가 필요하다 판단하였거나, 교수자가 일 수강자로부터 논의자료를 수신한 경우(일 학습장치(170)로부터 무선 어댑터(160)를 거쳐 교수용 스테이션(120)이 논의자료를 수신한 경우), 강의보다는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교수용 스테이션(120)는 관리장치(130)로 논의모드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논의모드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관리장치(130)는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으로 강의자료 또는 기타자료를 전송하던 것을 중단하고,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이 무선 어댑터를 거쳐(160) 학습장치(170)로부터 논의 자료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각 그룹에서 필요한 논의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 각 교육용 스테이션(110)에서 출력되는 논의자료는 스테이션마다 다를 수도 있고, 일부 또는 전부의 스테이션이 동일할 수도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일 수강자가 특정 주제나 강의 내용에 대해 수강자 전체의 논의가 필요하다 판단할 경우, 해당 수강자가 속한 교육용 스테이션(110)은 관리장치(130)로 논의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장치(130)는 논의 자료를 수신하여, 교수용 스테이션(120)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교수자가 이를 모든 수강자들과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교수용 스테이션(120)은 논의자료를 스크린(140)에 출력하도록 관리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장치(130)는 논의자료를 스크린(14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도 9b에 도시한 과정과 동시에 또는 그와 별개로, 특정 수강자 그룹이 다른 수강자 그룹과 해당 논의자료에 대해 논의를 진행할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특정 수강자 그룹이 속한 교육용 스테이션(110a)은 해당 논의자료를 관리장치(130)로 전송하고, 관리장치(130)는 이를 논의를 진행할 교육용 스테이션들(110c, 110d)로 전송하여 그들 간에 논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강의 시스템
110: 교육용 스테이션
120: 교수자 스테이션
130: 관리장치
140: 스크린
150, 640: 촬영부
160: 무선 어댑터
170: 학습장치
180: 마이크로폰
210, 610: 입력부
220, 420, 650: 디스플레이부
230, 430, 530, 630: 제어부
310: 몸체
314: 관통공
318: 덮개
320: 거치부
330: 책상
410, 510: 입·출력부
520, 620: 통신부
540: 메모리부
550: 학습도 관리부

Claims (16)

  1. 복수의 수강자들이 앉아 학습할 공간을 제공하는 교육용 스테이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강의와 관련된 자료 또는 논의자료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자료를 출력하며, 복수 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 출력화면이 상기 복수의 수강자들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개수의 변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들이 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들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승·하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하강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들이 배치되는 몸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들이 관통공을 통하여 승·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하강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 아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교육용 스테이션과 별개의 구성 또는 일체의 구성으로서, 상기 교육용 스테이션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는 책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하강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몸체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받은 자료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의 전 면적이 외부로 드러나는 높이까지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하강시 상기 몸체의 상면과 일 평면을 형성하거나, 몸체의 상면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오차를 갖는 높이까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스테이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20041187A 2022-03-03 2022-04-01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 KR10244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728A KR102516210B1 (ko) 2022-03-03 2022-08-22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
PCT/KR2023/002861 WO2023167504A1 (ko) 2022-03-03 2023-03-02 그룹 학습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학습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34 2022-03-03
KR20220027734 2022-03-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728A Division KR102516210B1 (ko) 2022-03-03 2022-08-22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267B1 true KR102441267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187A KR102441267B1 (ko) 2022-03-03 2022-04-01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
KR1020220104728A KR102516210B1 (ko) 2022-03-03 2022-08-22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
KR1020230025628A KR20230130551A (ko) 2022-03-03 2023-02-27 능동적인 그룹 학습을 위한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강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728A KR102516210B1 (ko) 2022-03-03 2022-08-22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
KR1020230025628A KR20230130551A (ko) 2022-03-03 2023-02-27 능동적인 그룹 학습을 위한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강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441267B1 (ko)
WO (1) WO202316750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138Y1 (ko) * 2001-06-01 2001-10-29 김기영 교육용 영상기기
KR20160066080A (ko) * 2014-11-30 2016-06-10 주식회사 윌드림 다양한 포멧의 컨텐츠 공유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영상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67758B1 (ko) * 2015-04-17 2016-10-28 최동원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484A (ko) * 2012-04-12 2013-10-22 주식회사 케이티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775974B1 (ko) * 2014-10-15 2017-09-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학생 수업태도 분석 시스템 및 분석 방법
KR20210128221A (ko) * 2020-04-16 2021-10-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학습자 제어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과도 부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138Y1 (ko) * 2001-06-01 2001-10-29 김기영 교육용 영상기기
KR20160066080A (ko) * 2014-11-30 2016-06-10 주식회사 윌드림 다양한 포멧의 컨텐츠 공유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영상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67758B1 (ko) * 2015-04-17 2016-10-28 최동원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504A1 (ko) 2023-09-07
KR102516210B1 (ko) 2023-03-30
KR20230130551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umada-Newhart et al. Going to school on a robot: Robot and user interface design features that matter
CN108968384A (zh) 互动教学课桌及互动教学方法
CN210039226U (zh) 一种教学教室控制系统
US94010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2810265A (zh) 信息交互系统及信息交互方法
CN206400816U (zh) 智慧教室系统
KR20190062169A (ko)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3115488A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71337A (ja) バーチャル教室システム
US20100289906A1 (en) Interactive Student Response And Content Sharing System
JP2017161771A (ja) グループ学習支援システム
KR102441267B1 (ko)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위한 스테이션
US201800333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exchange
JP2003233296A (ja) 仮想空間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上で動作する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78750A (ko)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lfram Audiographics for distance education: a case study in student attitudes and perceptions
KR20180065181A (ko) 스마트기기 기반의 협업 판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9602B1 (ko) 가디언 온라인 화상 학습 시스템
CN109243220A (zh) 一种基于多媒体情景交融的课堂教学控制系统
CN113205436A (zh) 一种互动教学评分系统
JP200406207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教育管理システム
Lima et al. Improving observation and practicum experiences for a preservice teacher with visual impairment through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JP3222042U (ja) 学習指導システム
Sansom et al. Addendum to the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Teaching assessment criteria (MBI: TAC) for assessing online delivery of mindfulness-based programs
Cooper et al. Preparation of teacher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via distance education: Perceptions of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