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750A -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750A
KR20080078750A KR1020060139182A KR20060139182A KR20080078750A KR 20080078750 A KR20080078750 A KR 20080078750A KR 1020060139182 A KR1020060139182 A KR 1020060139182A KR 20060139182 A KR20060139182 A KR 20060139182A KR 20080078750 A KR20080078750 A KR 2008007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information
room
termina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철
장지민
Original Assignee
(주)인사이드알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사이드알에프 filed Critical (주)인사이드알에프
Priority to KR102006013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8750A/ko
Publication of KR2008007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강의실을 온라인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강의실에 있는 강의자만으로 양측 강의실의 수강자들에게 실시간 이해도 조사, 퀴즈출제 및 출결확인은 물론 강의자의 능동적인 영상 강의 진행이 가능해 강의 효율을 높이게 됨은 물론, 수도권대학 및 지역대학 등의 경계를 뛰어넘어 전문화된 양질의 지식 서비스를 비주류권 대학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되고, 대학간 지역격차의 해소가 가능하고 대학간 교류 증대를 통한 교육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강의

Description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NLINE TWO-WAY LECTUR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의 구체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강석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강석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강의 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의석 단말기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의석 단말기의 수강자 상세정보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의석 단말기의 결석자 정보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강의실을 온라인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강의실에 있는 강의자만으로 양측 강의실의 출결확인은 물론 강의자의 능동적인 영상 강의 진행이 가능해 강의 효율을 높이게 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 및 영상처리 기술의 발달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전송기술을 교육분야에 접목한 것이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시스템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피강의자에게 강의자의 동영상을 전송하여 피강의자가 직접 학교나 학원 등의 교육장소에 이동하지 않고도 가정 등에서 손쉽게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방법으로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동영상강의 제공서버(웹서버)에 접속한 피강의자의 단말기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동영상 강의 데이타를 비실시간으로 스트림서버를 통해 전송하여 피강의자의 단말기의 웹브라우저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실행하여 피강의자가 강의를 청취할 수 있게 하는 비실시간 동영상 교육기술이다.
이러한, 비실시간 동영상 강의는 시간적인 제약이 없으므로 언제 어디서든지 피강의자의 필요에 따라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강의자와 직접 대화하면서 강의를 청취할 수 없으므로 일방적인 강의가 될 수 밖에 없어 지루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비실시간 동영상 교육은 강의시 피강의자가 질문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즉시 강의자에게 질문하여 해답을 얻을 수 없어 교육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동영상강의 제공서버(웹서버)에 접속한 강의자와 피강의자의 단말기로 강의자의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강의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스트림서버를 통해 전송하여 피강의자의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실행하여 피강의자가 강의를 청취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채팅서버를 통해 강의자와 피강의자간에 서로 대화하면서 강의를 진행하도록 한 실시간 동영상 교육기술이다.
이러한, 실시간 동영상 강의는 시간적인 제약이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든지 피강의자의 필요에 따라 동영상 강의를 청취할 수 없고 특정 시간에만 강의가 제공된다는 단점을 가지나, 강의자와 피강의자가 직접 대화하면서 강의를 청취할 수 있어 일방적인 강의가 되지 않고 자유로운 강의가 진행되어 지루해질 소지가 적은 장점이 있다.
즉, 실시간 동영상 교육은 강의시 피강의자가 질문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즉시 강의자에게 질문하여 해답을 얻을 수 있어 교육 효율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하지만, 실제 이러한 실시간 동영상 교육과 비실시간 동영상 교육은 현재 일반적인 사설 학원 등에서 무차별적으로 제작되어 웹상에서 시청할 수 있지만 그 교육 컨텐츠의 질에 있어서는 많은 의문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강의실을 온라인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강의실에 있는 강의자만으로 양측 강의실의 출결확인은 물론 강의자의 능동적인 영상 강의 진행이 가능해 강의 효율을 높이게 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강의 공유 영상물을 컨텐츠화하여 다시 수강생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양질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강의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강의실이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연결되며, 각각의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에는, 강의실내 각 수강석에 설치되며 해당 수강석에서 수강하는 수강자의 수강자 카드에서 수강자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수강자 정보 및 수강석 정보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무선전송하며 그 결과 수신되는 출석인증 확인정보를 무선수신해 출석상태를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방식의 수강석 단말기; 및, 상기 무선 방식의 수강석 단말기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중계하는 강의 중계기; 가 구비되고, 상기 주강의실에는, 강의실내 강의석에 설치되며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부터 각 수강석의 출석상태 및 수강석의 수강자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강의자에게 인지시키며, 상기 수강석 단말기와 강의 중계기를 통해 통신하여 강 의를 진행하는 강의석 단말기; 및, 해당 주강의실에서 강의자를 촬영하여 촬영된 강의영상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강의자용 카메라; 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강의실에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강의영상을 출력하는 강의 표시기; 가 구비되며,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상기 강의영상을 실시간 중계하며, 상기 강의 중계기를 통해 상기 수강석 단말기의 출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출석정보를 등록시켜 출석인증을 수행하며 해당 출석인증 확인정보를 상기 강의 중계기를 통해 해당 수강석 단말기로 전송해 해당 수강석 단말기를 출석상태로 전환시키는 한편, 상기 출석인증 확인정보를 포함하는 강의실내 각 수강석의 수강자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강의실에는 해당 원격강의실에서 강의를 시청하는 수강생들을 촬영하여 촬영된 수강영상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생용 카메라 B;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수강영상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실시간 중계되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강의실에는 해당 주강의실에서 강의를 시청하는 수강생들을 촬영하여 촬영된 수강영상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생용 카메라 A;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수강영상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실시간 중계되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서 발신된 카메라 제어명령이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의 실시간 중계에 의해 주강의실 또는 원격강의실의 수강생용 카메라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의 촬영각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강의영상을 콘텐츠 제작 서버로 전달하여 강의 후 수강생들이 재학습 가능하도록 하는 배포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되게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수강영상을 저장한 후 강의자의 요청시 학습평가 자료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에 구비되는 수강석 단말기는 질의 버튼을 포함하며, 해당 질의 버튼을 통한 강의 도중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내 수강자의 질의 요청 입력시 해당 수강자 정보 및 수강석 정보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를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송해 질의상태를 접수시키며 그 결과 수신되는 질의접수 상태를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에 구비되는 수강석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된 응답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부터 퀴즈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해당 수강자가 퀴즈대상임을 표시하고 해당 응답 버튼을 통해 선택된 수강자의 퀴즈응답 정보를 상기 강의석 단말기로 회신하며, 그 결과 수신되는 채점 상황을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된 응답 버튼을 포함하는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상기 수강석 단말기는, 주강의실의 상기 강의석 단말기로부터 주의 또는 호출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해당 수 강자에게 강의자의 주의 또는 호출이 접수되었음을 표시하고 해당 응답 버튼을 통해 수강자의 주의 또는 호출 상황 인지에 따른 응답 정보를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 버튼은 번호순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상기 수강석 단말기는 강의 종료에 따라 번호순으로 배열된 상기 응답 버튼 중 하나에 대한 수강자의 선택을 해당 강의에 대한 개인 이해도 평가 정보로 구성하여 주강의실의 상기 강의석 단말기 및 강의중계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강의실의 상기 강의석 단말기는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수강석 단말기와 강의진행 결과인 수강자 질의 정보, 강의자 퀴즈 정보, 수강자 주의 정보, 수강자별 강의이해도 정보를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은, (a)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주강의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강의실의 각 수강석에 설치된 수강석 단말기에서 무선전송된 출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상기 수신된 출석정보의 수신시간과 해당 강의의 개시시간 정보를 비교해 상기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 경우 해당 출석정보를 지각출석으로 인증하고,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이 아닌 경우 해당 출석정보를 정시출석으로 인증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출석정보의 인증결과에 따른 출석확인 정보를 주강의실 및 원 격강의실 수강석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수강석 단말기의 상태를 출석상황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d)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강의의 개시시간에 맞추어 현재 출석인증 단계 수행에 따른 현재 출결자 상황 결과가 포함된 강의진행 정보를 인출하고 해당 주강의실내에 설치된 강의석 단말기로 전송하여, 강의자가 해당 강의석 단말기를 통해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수강석 출석 수강자 및 결석자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e)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주강의실에서 강의자를 향해 설치된 강의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강의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강의영상을 실시간 중계하여 원격강의실의 강의 표시기로 전달해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상기 원격강의실에서 수강생들을 향해 설치된 수강생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수강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수강영상을 실시간 중계하여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해 표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상기 주강의실에서 수강생들을 향해 설치된 수강생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수강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수강영상을 실시간 중계하여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해 표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서 발신된 카메라 제어명령이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의 실시간 중계에 의해 주강의실 또는 원격강의실의 수강생용 카메라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의 촬영각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강의영상을 콘텐츠 제작 서버로 전달하여 강의 후 수강생들이 재학습 가능하도록 하는 배포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되게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수강영상을 저장한 후 강의자의 요청시 학습평가 자료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은 두개의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을 강의중계지원 서버(60)를 통해 연결하여 하나의 강의실(강의실 A)에서만 강의자의 강의가 이루어지더라도 해당 강의자가 다른 강의실(강의실 B)의 출결상황은 물론 다른 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수강생들의 수강태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수강생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수강생들도 주강의실(강의실 A)에서 이루어지는 강의자의 강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시청하고 강의에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통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의 구체적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은, 강의자의 실제 강의가 이루어지는 주강의실(강의실 A)과 실제 강의자 없이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로 구성되며 이러한 주강의실과 원격강의실은 강의중계지원 서버(60)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을 연결하여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를 중계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서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서 이루어지는 출결상황이나 수강생들의 질문 등을 중계해 주강의실(강의실 A)로 실시간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중계되는 강의 영상은 콘텐츠 제작 서버(200)로 전달되어 동영상 컨텐츠로 제작되며, 비실시간 교육 교재로서 수강생들에게 제공된다. 다시 말해, 수강생들은 가정에서 자신의 PC(310)를 이용해 인터넷을 통해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시청하거나, 이동 중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320)을 이용해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시청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설명에서 실제 강의자의 강의가 이루어지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서 실시간으로 강의 내용을 공유하게 되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은 하나 인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바, 다수의 원격강의실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주강의실(강의실 A)과 하나의 원격강의실(강의실 B)을 서로 공유시키는 것을 일예로 하여 기술하게 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제 실제 강의자의 강의가 이루어지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 대하여 설명하면,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은, 수강자가 소지하는 수강자 카드(20), 강의실내 수강석마다 설치되는 수강석 단말기(30), 강의실에 설치되어 수강석 단말기(30)와 외부와의 무선 정보교환을 중계하는 강의 중계기(40), 강의실내 강의자의 강의석에 설치되는 강의석 단말기(50), 해당 강의자의 강의 장면을 촬영하는 강의자용 카메라(71), 해당 강의실내 수강생들의 수강 장면을 촬영하는 수강생용 카메라 A(73)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수강자 카드(20)는 강의를 수강하는 수강자들이 소지하는 카드로서, 내부에 해당 소지 수강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강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강자 정보라 함은 해당 소지 수강자의 이름, 학생번호,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이러한 수강자 카드(20)는 카드 리더기와 수강자 카드의 접촉부(chip) 사이에 물리적인 접촉으로 해당 카드를 인식 가능하게 하는 접촉식 카드(Contact card)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단으로 하여 안테나로 카드 리더기와 통신하는 비접촉식 카드(Contactless card)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식 카드 및 비접촉식 카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카드(Hybrid Card) 또는 콤비 카드(Combi Card)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강자 카드(20)는 항시 수강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 카드 형태의 학생증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강석 단말기(30)는 강의실내의 각 수강석마다 설치되어 상 기 수강자 카드(20)의 정보를 읽어내 인식하며, 상기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강의석 단말기(50) 및 강의중계지원 서버(60)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장치로서, 각 수강석의 책상 위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외부 통신결과에 따른 각종 표시 정보를 해당 수강석의 수강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러한 수강석 단말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단말기(도 3의 (a))나 비접촉식 단말기(도 3의 (b))로 구비되어 상기 수강자 카드(20)의 정보를 읽어내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강석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수강석 단말기(30)는 카드 리더부(31), 단말기 제어부(32), RF 모듈(33), 안테나(34), 메모리부(35), 배터리(36), 강의참여 버튼부(37) 및 강의정보 표시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강자가 강의 출석을 위해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수강자 카드(20)를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에 삽입 또는 근접위치시키면, 수강석 단말기(30)의 카드 리더부(31)가 해당 수강자 카드(20)에서 수강자 정보를 읽어내고 이렇게 인식된 수강자 정보는 단말기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RF 모듈(33)에서 무선전송용 정보로 변환되어 안테나(34)를 통해 상기 강의 중계기(40)로 무선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수강석 단말기(30)에서 전송된 수강자 정보는 상기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자의 출석상황이 등록되게 된다. 반대로, 강의석 단말기(50) 또는 강의중계지 원 서버(60)에서 상기 강의 중계기(40)로 전달된 정보 역시 상기 안테나(34)를 통해 수신되어 RF 모듈(33)에서 변환되어 단말기 제어부(32)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RF 모듈(33)은 외부로의 정보 전송시 해당 정보의 전송타겟(강의석 단말기, 강의지원 단말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의참여 버튼부(37)는 다수의 버튼들로 이루어져 해당 버튼에 대한 수강자의 선택신호를 단말기 제어부(32)로 전달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수강석의 수강자가 해당 강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바, 강의 중 수강자가 강의자에게 질문이 있을 경우 사용되는 질의 버튼과 강의 중 강의자의 간단한 퀴즈에 답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응답 버튼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응답 버튼은 강의자의 해당 수강자에 대한 주의 경고나 호출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차후 강의 종료와 함께 해당 강의에 대한 각 수강자의 이해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정보 표시부(38)는 해당 수강석의 수강자에게 강의 진행에 따른 각종 상황을 표시하게 되는 바, 출석인증 상태 표시, 질의정보 접수 상태 표시, 강의자퀴즈 상태 표시, 퀴즈채점정보 표시, 주의/호출 표시 및 강의종료정보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강의정보 표시부(38)는 다양한 색깔의 LED 로 이루어져 수강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게 되며, 부저(buzzer)로 이루어져 수강자에게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해당 강의정보 표시부(38)는 보다 많은 정보의 표시를 위해 LC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강의정보 표시부(38)가 다양한 색깔의 LED 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수강자의 출석이 확인된 상태에는 녹색등이 수차례 점멸하게 되고, 해당 수강자의 질의가 강의자에게 접수된 상태에는 녹색등이 점등되며, 해당 수강자가 무단강의 이탈한 상태에는 적색등이 수차례 점멸하게 되고, 해당 수강자에게 퀴즈가 제출된 경우에는 적색등이 점등되어 해당 수강자의 퀴즈 응답시까지 유지되게 된다. 또한, 해당 수강자의 퀴즈 응답에 따른 채점 결과 정답인 경우에는 녹색등이 점등되고 오답인 경우에는 적색등이 점등되게 된다. 또한, 강의자의 해당 수강자에 대하 주의나 호출시에는 황색등이 점등되어 해당 수강자의 주의나 호출에 대한 응답시까지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강의정보 표시부(38)의 표시예는 이후 관련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언급될 것이며,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수강자가 강의 청취 중 질문사항이 발생한 경우, 수강자가 상기 강의참여 버튼부(37)의 질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단말기 제어부(32)는 해당 질의정보를 상기 RF 모듈(33) 및 안테나(34)를 통해 무선발신시켜 강의 중계기(40)에 전송시키게 되며, 강의 중계기(40)에 의해 해당 질의정보가 강의자가 사용하는 강의석 단말기(50)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강의석 단말기(50)에는 해당 질의정보의 발생상황이 표시되어 해당 강의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질의정보의 강의석 단말기 접수상태는 다시 수강석 단말기(30)에 알려져 강의정보 표시부(38)에 표시되게 되어 질의한 수강자는 자신의 질의가 강의자에게 접수되었음을 인지하고 해당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기하면 된다.
이때, 상기 질의정보는 수강자 카드에서 읽혀진 수강자 정보와 수강석 정보 가 포함된다.
또한,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자가 강의 진행 도중 수강자들에게 퀴즈를 냈을 경우, 해당 단말기 제어부(32)는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전송된 퀴즈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해당 강의정보 표시부(38)에 강의자의 퀴즈가 있다는 상태를 표시시키게 된다. 강의정보 표시부(38)의 이러한 강의자 퀴즈상태 표시는 해당 수강자의 응답시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수강자의 답변을 강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의자의 퀴즈에 따라 해당 수강자는 상기 강의참여 버튼부(37)의 응답 버튼을 선택적으로 눌러 해당 퀴즈에 답하게 되며, 단말기 제어부(32)는 이러한 수강자의 퀴즈응답 정보를 무선발신해 강의석 단말기(50)로 전송하며, 차후 전달되는 이에 대한 채점정보 역시 해당 강의정보 표시부(38)에 표시시킨다.
실제 이러한 강의자의 퀴즈가 답안 선택형으로 강의자의 직접적인 음성이나 별도의 프리젠테이션 도구를 통해 출제되게 되며, 이에 따라 수강자가 상기 강의참여 버튼부(37)의 응답 버튼을 눌러 자신의 퀴즈에 대한 응답을 선택하게 되는 바, 해당 응답 버튼은 몇개의 간단한 번호 버튼들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35)는 간단한 설정정보와 기기상태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36)는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의 동작전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강의 중계기(40)는 상기 수강석 단말기(3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강의석 단말기 및 강의중계지원 서버와 유선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41), RF 모듈(42), 중계기 제어부(43), 표시부(46), 강의 석 인터페이스(44), DB 인터페이스(45) 및 메모리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41) 및 RF 모듈(4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강석 단말기(30)로부터 출석정보, 질의정보, 퀴즈응답 정보, 강의 이해도 정보를 무선 수신하며 해당 수강석 단말기(30)로 출석확인 정보, 질의접수 정보, 채점정보, 강의 이해도제출 정보를 무선 전송함으로써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와 외부와의 정보교환을 중계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강의석 인터페이스(44)는 강의석에 설치된 강의석 단말기(5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게 되고, 상기 DB 인터페이스(45)는 외부에 설치된 강의중계지원 서버(6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즉, 상기 강의 중계기(40)는 수강석 단말기(30)와 무선정보 교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동시에 강의석 단말기(50) 및 강의중계지원 서버(60)와 유선정보 교환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양자간 정보전달을 중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강의석 인터페이스(44)는 USB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져 간단하게 해당 강의석 단말기(50)와 연결되며, 상기 DB 인터페이스(45)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와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강자 카드(20), 수강석 단말기(30) 및 강의 중계기(40)는 상술한 주강의실(강의실 A) 뿐만 아니라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도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의 중계에 따라 주강의실(강의실 A)에 비치된 강의석 단말기(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강의자가 사용하는 상기 강의석 단말기(50)는 상기 강의 중계기(40)와 연결되어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에 비치된 다수의 수강석 단말기(30)의 수강자와 강의진행과 관련된 정보교환을 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와 연결되어 다양한 강의지원 정보를 전달받고 강의진행결과를 보고하게 된다. 또한, 해당 강의석 단말기(50)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를 통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비치된 다수의 수강석 단말기(30)의 수강자와 강의진행에 관련된 정보교환을 할 수 있다.
즉, 강의자는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해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지원해 준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 수강자들의 현재 출석상황과 각 수강자들의 자리위치, 기본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 수강자의 질의와 퀴즈에 대한 수강자의 응답채점에 따라 각 수강자의 강의 참여도를 직접 체크해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 보고함으로써 차후 수강자 평가에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주강의실(강의실 A)에 위치되는 상기 강의석 단말기(50)는 주강의실의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주강의실내 수강석 단말기(30)들과 강의 진행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고 후술하는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 접속하여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지원되는 출석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강의지원정보를 제공받고 강의진행결과를 보고하는 한편,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를 통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과 연결되어 해당 원격강의실의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원격강의실내 수강석 단말기(30)들과 강의 진행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고 후술하는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 접속하여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지원되는 출석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강의지 원정보를 제공받고 강의진행결과를 보고하게 되는 바, 이러한 상기 강의석 단말기(50)는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IMT2000 그리고 유선 전화 등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 적어도 Pentium 급 이상의 중앙처리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64Mb 이상의 메모리 장치, Windows 98 이상의 운영체제를 포함하고 있다.
즉, 최초 강의 개시 이후, 해당 강의석 단말기(50)에는 출석자 등록을 수행한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제공되는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A)에 대한 강의진행 정보가 제공되어 강의시 해당 강의자가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해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모든 수강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강의 개시와 함께 강의석 단말기(50)로 제공하는 강의진행 정보에는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A)에 대한 현재 출석자의 이름, 사진 이미지 및 현재 수강석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해당 강의자가 한눈에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A)의 모든 수강자들의 이름과 얼굴 그리고 현재 앉아있는 자리까지도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현재 출석자의 학부, 학번, 출석현황, 강의참여현황, 질의참여현황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되어 해당 강의자가 각 수강자들의 상세한 강의참여 내역에 관한 정보까지도 알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강의석 단말기(50)로 제공되는 강의진행 정보에는 해당 강의 출석자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강의 결석자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의진행 정보의 제공에 따라 이루어진 강의석 단말기(50)의 강의실 파악을 위한 메인 화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강의석 단말기(50)에는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지원된 주강의실(강의실 A)과 원격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수강자들의 현재 출석상황과 각 수강자들의 자리위치, 기본정보가 표시되게 되며, 또한 해당 강의실의 현재 모습(수강생들의 수강 모습)이 동시에 표시되게 되어 강의자의 강의진행시 한눈에 주강의실(강의실 A)은 물론 원격강의실(강의실 A)의 모든 수강생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의자는 이러한 메인 화면에서 각 수강석에 표시된 하나의 수강자를 선택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강자의 상세한 정보 즉, 이름, 학부, 학번, 출석현황, 강의 참여도, 질문횟수, 수강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의자는 이러한 메인 화면에서 결석생 현황 메뉴를 선택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석자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강의자의 수강자 정보 확인과 결석자 확인 등은 주강의실(강의실 A)의 수강생에 대하여는 물론,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 의해 원격강의실(강의실 A)의 수강생들에 대하여도 모두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강의석 단말기(50)에 표시되는 수강자들에 관한 각종 정보들은 후술하는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강의시 제공된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해당 강의자가 있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는 해당 강의자의 강의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강의자를 향하고 있는 강의자용 카메라(71)가 마련되게 된다.
해당 강의자용 카메라(71)는 강의자를 향해 셋팅되어 해당 강의자의 강의장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로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의자용 카메라(71)는 적외선 등을 사용해 해당 강의자의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해당 강의자를 따라 촬영각과 촬영줌이 변화되는 능동형 트래킹 카메라가 사용되어, 별도의 제어없이 해당 강의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계속적으로 해당 강의자의 영상을 카메라에 담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용 카메라(71)에 의해 촬영된 강의자 영상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의 중계에 의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로 전달되어 해당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비치된 강의 표시기(80)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강의 표시기(80)는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예컨데, 대형 LCD TV)로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강의자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에서,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에는 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해당 강의자의 음성 역시 강의중계지원 서버(60)의 중계를 통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출력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수강생들만이 있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는 해당 수강생들의 수강장 면을 촬영하기 위해 수강생들을 향하고 있는 수강생용 카메라 B(72)가 마련되게 된다.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 B(72)는 수강생들을 향해 셋팅되어 수강생들의 수강장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로 실시간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수강장면이 담긴 동영상 데이터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의 강의석 단말기(50)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강생들이 강의자와 함께 있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도 해당 주강의실내 수강생들의 수강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수강생들을 향하고 있는 수강생용 카메라 A(73)가 마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강생용 카메라 A(73) 및 수강생용 카메라 B(72)는 외부 제어에 의해 팬/틸트/줌 동작이 가능한 무인자동 카메라가 사용되어, 외부 제어 특히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가 강의 중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해 제어 가능하게 된다.
즉,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는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해 팬/틸트/줌 동작에 대한 제어명령을 내리고, 이러한 제어명령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의 중계에 의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수강생용 카메라 B(72)에 전달되거나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수강생용 카메라 A(73)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 B(72)나 수강생용 카메라 A(73)가 팬/틸트/줌 동작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는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해 주강 의실(강의실 A)와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수강생용 카메라 A(73)와 수강생용 카메라 B(72)를 제어하여, 양 강의실의 전체적인 수강생들의 수강태도를 영상확인하거나, 특정 수강생(예컨데, 질문자, 수강태도 불량자)을 집중적으로 영상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해당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는 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가 해당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전체적인 수업 집중도를 체크하거나 또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에 대한 질문이 있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이 자신의 질문을 음성으로 해당 주강의실의 강의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강의석 단말기(50)를 지원하여 해당 강의자가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을 동시에 확인 및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61), 중계기 인터페이스(62), 강의석 인터페이스(63), 영상 인터페이스(67), 제어신호 인터페이스(68), 데이터 저장장치(64), 별도의 운영체제(65), 램과 롬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66)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61)는 대용량의 업무처리, 상호 정보교환시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바, 일반적으로 인텔사의 100MHz P54C, 모토롤라 120MHz 파워PC604 또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의166MHz 울트라SPARC-1 계열 이상의 중앙처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운영체제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메모리 장치(66)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128MB 이상의 메모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계기 인터페이스(62) 및 강의석 인터페이스(63)는 각각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강의 중계기(40), 및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와의 접속을 이루도록 지원한다.
상기 영상 인터페이스(67)는 상기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용 카메라(71)에서 촬영되는 강의영상을 수신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강의 표시기(80)으로 전달하며,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용 카메라(73, 72)에서 촬영되는 수강영상을 수신해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석 단말기(50)으로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어신호 인터페이스(68)는 상기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에서 원격강의실(강의실 B)로 전달되는 각종 제어신호(예컨데, 원격강의실의 수강생용 카메라 B에 대한 팬/틸트/줌 동작 제어신호, 원격강의실의 수강석 단말기들에 대한 동작 제어신호)를 중계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64)에는 강의 스케줄정보 DB, 수강자 개인정보 DB, 강의별 수강자정보 DB, 강의별 진행정보 DB, 강의영상 DB, 수강영상 DB 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오라클사가 제조한 데이터소프트웨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상기 DB 들을 생성하고 관리하게 위해 사용된다.
상기 스케줄정보 DB 는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담당하는 다수의 강의실에 대한 강의 시간, 담당 강의자, 강의실 번호, 강의자 로그인 정보 등을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강자 개인정보 DB 는 각 수강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학생번호, 사진이미지, 주소, 전화번호, 성적, 등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의별 수강자정보 DB 는 각 강의별 정원, 강의 수강자의 인원, 수강자 수강횟수, 수강자별 출석현황, 담당 강의자 등을 포함하는 강의별 수강자정보가 저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의 진행정보 DB 는 강의 진행 중 발생하는 질의 상황(질의자, 질의횟수, 질의시간)에 관한 정보, 강의 진행 중 발생하는 퀴즈 상황(퀴즈응답자, 퀴즈채점결과)에 관한 정보, 각 수강자별 수강태도 평가자료(교재 지참여부, 과제 제출여부, 수강태도 평가치), 각 수강자별 강의이해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강의영상 DB 는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용 카메라(71)에서 촬영된 강의영상이 저장된다.
이러한 강의영상은 후술하는 콘텐츠제작 서버(200)로 전달되어 수강생들의 추가적인 영상학습을 위한 영상 콘텐츠로서 제작된다.
상기 수강영상 DB 는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용 카메라 B(72)에서 촬영된 수강영상이 저장된다.
이러한 수강영상은 강의 후 해당 강의자의 요청에 의해 강의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강의자는 이러한 수강영상을 통해 강의 후에도 수강생들의 강의 태도나 강의 집중도 등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200)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로부터 강의영상을 전달받아 스트림 방식이나 다운로드파일 형식으로 영상 콘텐츠를 변환하여 수강생들이 가정에서 자신의 PC(310)를 이용해 인터넷을 통해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스트림 시청하거나 다운로드받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동 중 수강생들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320)을 이용해 해당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스트림 시청하거나 다운로드받아 시청할 수 있게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강의중계지원 서버(60)가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석 단말기(30)들로부터 출석정보들을 수신하여 출석인증 및 등록을 하고, 강의 개시에 따라 해당 강의석 단말기(50)에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강의 출석자 정보 및 결석자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진행 정보를 제공해 강의의 진행을 지원하며,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 강의화면을 촬영한 강의영상을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강의 표시기로 출력시키는 동시에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의 수강화면을 촬영한 수강영상을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 단말기로 출력시킴으로써 하나의 강의실에만 강의자가 존재하더라도 원격지의 강의실에서도 동등한 질의 강의를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어 대학간 격차 해소나 강의자의 수업시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의 중앙처리장치(61)는 강의가 개시됨을 알리는 강의개시 신호를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로 중계기 인터페이스(62) 및 강의석 인터페이스(63)를 통해 출력하여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내의 수강석 단말기(30) 및 강의석 단말기(50)로 전달함으로써 강의 개시에 따라 양측 강의실 환경을 활성화시키게 된다(S10).
이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각 수강석에 설치된 수강석 단말기(30)에서 무선전송된 출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석정보의 수신시간과 해당 강의의 개시시간 정보를 비교해 상기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 경우 해당 출석정보를 지각출석으로 인증하고,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이 아닌 경우 해당 출석정보를 정시출석으로 인증하여 내부에 저장하여 양측 강의실에 대한 수강생 출석을 체크하게 된다(S12).
이러한 S12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중앙처리장치(61)는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석 단말기(30)에서 무선전송된 출석정보가 각 강의실에 마련된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수신되는 상기 출석정보는 이를 전송한 수강석 단말기의 설치강의실번호와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수강석 정보와 해당 수강석에 자리잡은 수강자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강자 정보는 수강자의 이름, 학생번호,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출석정보의 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주강의실(강의실 A) 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석 단말기(30)에서 전송된 출석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61)는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 스케줄 DB 에서 해당 강의의 개시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출석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지각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61)는 해당 출석정보를 지각출석으로 인증하고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별 수강자 정보 DB 의 해당 수강자 할당영역에 등록시킨다. 한편, 상기 제 S54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이 아닌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61)는 해당 출석정보를 정시출석으로 인증하고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별 수강자 정보 DB 의 해당 수강자 할당영역에 등록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출석정보의 인증결과에 따른 출석확인 정보를 해당 수강생이 위치한 강의실의 수강석 단말기(30)로 전송하여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의 상태를 출석상황으로 변환시키는 한편, 강의의 개시시간에 맞추어 현재 출석인증 단계 수행에 따른 현재 출결자 상황 결과가 포함된 강의진행 정보를 인출하고 주강의실(강의실 A)에 설치된 강의석 단말기(50)로 전송하여, 강의자가 해당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해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각 수강석 출석 수강자 및 결석자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4).
이러한 S14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중앙처리장치(61)는 해당 출석정보의 인증결과에 따른 출석확인 정보를 타겟 수강석 단말기 정보와 함께 주강의실(강의실 A) 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강의 중계기(40)로 출력하여, 해당 인증결과가 원발신 수강석 단말기(30)로 전송되어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의 강 의정보부(38)에 표시(예컨데, 녹색등 수차례 점멸)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강의의 개시시간에 맞추어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64)에서 현재 출석인증 단계 수행에 따른 현재 출결자 상황 결과가 포함된 강의진행 정보를 인출하고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의 정보를 모두 전송한다(S62).
이때, 이러한 강의진행 정보는 차후 지각자의 발생에 따라 갱신되어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 계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강의 개시와 함께 주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의 강의석 단말기(50)로 제공하는 강의진행 정보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실별로 현재 출석자의 이름, 사진 이미지 및 현재 수강석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가 한눈에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내의 모든 수강자들의 이름과 얼굴 그리고 현재 앉아있는 자리까지도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현재 출석자의 학부, 학번, 출석현황, 강의참여현황, 질의참여현황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되어 해당 강의자가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의 각 수강자들의 상세한 강의참여 내역에 관한 정보까지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강의중계지원 서버(60)에서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 제공하는 강의진행 정보에는 해당 강의 출석자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강의 결석자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출석 체크 및 출석 표시 이후에도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의 중앙처리장치(61)는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의 특정 수강석 단 말기(30)에서의 수강자 카드 인출시 발신되는 카드인출 신호가 강의 중계기(40)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수강석 단말기(30)로부터 카드인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강의가 계획된 종료시간이 아닌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종료되는 중간종료 상황인지 여부를 강의석 단말기(50)의 중간종료 보고가 강의 스케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해서, 부득이한 사정에 의한 중간종료인 경우에는 강의종료를 수강석 단말기(30)에 통지한다.
하지만 상기 중간종료 상황이 정당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부득이한 사정에 의한 중간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수강자의 무단강의 이탈을 수강석 단말기(30) 및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에 각각 통보하여 해당 수강석 단말기(30)에는 무단이탈 확인 표시(예컨데, 적색등 수차례 점멸)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주강의실(강의실 A)에 있는 강의자가 수강석의 무단이탈 확인표시나 자신의 수강석 단말기(50)의 소정 알림 메시지를 통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에 대한 무단이탈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주강의실(강의실 A)에 비치된 강의자용 카메라(71)를 구동시키고 해당 강의자용 카메라(71)를 통해 전송되는 강의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내부 강의영상 DB 에 저장한다(S16).
그리고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상기 수신된 강의영상을 실시간으로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비치된 강의 표시기(80)으로 전송하여 해당 강의 표시기(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강의실(강의실 A)에서 촬영된 강의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S18).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비치된 수강생용 카메라 A(73) 및 수강생용 카메라 B(72)를 구동시키고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 A(73) 및 수강생용 카메라 B(72)를 통해 전송되는 수강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내부 수강영상 DB 에 저장한다(S20).
그리고 해당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상기 수신된 양측의 수강영상을 실시간으로 주강의실(강의실 A)에 비치된 강의석 단말기(50)로 전송하여 해당 강의석 단말기(50)을 통해 실시간으로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서 촬영된 수강생들에 대한 수강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S22).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들은 주강의실(강의실 A)에서 진행되는 강의를 강의 표시기(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는 주강의실(강의실 A)는 물론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서 수강하는 수강생들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자신의 수강석 단말기(50)를 통해 확인 및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주강의실(강의실 A) 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설치된 수강생용 카메라 A(73) 또는 수강생용 카메라 B(72)에 대한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이는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자가 주강의실(강의실 A) 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수강생들의 수강태도 등을 정밀하게 그리고 특정 수강생을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강의자의 원격 지 수강생용 카메라 A 또는 B에 대한 제어명령(강의실 전경 촬영, 특정 수강생 집중 촬영, 특정 수강생열 집중 촬영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 S24 단계에 대한 판단결과,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주강의실(강의실 A) 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설치된 수강생용 카메라 B(72)에 대한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해당 강의자의 카메라 제어명령을 주강의실(강의실 A) 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용 카메라 B(72)에 전달하여 해당 강의자가 의도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정될 수 있게 한다(S24).
이때, 해당 강의자가 의도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는 해당 카메라의 팬/틸트/줌 동작 제어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강의종료가 보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강의종료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 해당 강의의 강의 스케줄을 검색해 지정된 강의종료시간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해당 강의가 지정된 강의종료시간을 초과한 경우, 해당 주강의실(강의실 A)의 강의석 단말기(50)로 강의시간 초과 상황을 통보하며, 또한 강의석 단말기(50)에서 강의종료가 보고된 경우, 강의종료 신호를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50) 및 양측 강의실의 수강석 단말기(30)들에 전송해 해당 강의석 단말기(50) 및 수강석 단말기(30)들의 기능을 초기화시켜 강의를 종료시키게 된다(S28).
이러한 강의실의 초기화는 매번 강의 종료와 함께 이루어져 다음 강의를 대비하게 된다.
이때, 해당 강의시간을 초과해 진행되는 경우 양측 강의실의 각 수강석 단말기(30)들에도 이러한 강의시간 초과 상황을 통보해 각 수강석 단말기(30)에 표시되도록 하여 해당 수강자들도 강의시간 초과 상황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렇게 강의가 종료되면,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해당 강의의 진행에 따라 강의영상 DB 에 저장된 강의영상을 상기 컨텐츠제작 서버(200)로 전달하여 해당 컨텐츠제작 서버(200)에서 수강생들의 추가적인 영상학습을 위한 영상 콘텐츠로서 제작되도록 한다(S30).
이상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적용 장소를 강의자와 수강자가 있는 강의실로 특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종 회의실이나, 세미나실, 토론장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강의 도중 양측 강의실(강의실 A, 강의실 B)에 있는 해당 수강석 단말기(30)들과의 정보 교환을 통해 양측 강의실에 있는 수강생들의 질의 처리, 강의자의 퀴즈 진행, 수강자의 이해도 표시 및 수강자의 수강태도 보고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가능하게 되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강의 진행 도중 주강의실(강의실 A) 및 원격강의실(강의실 B)에 있는 특정 수강생들의 수강석 단말기(30)를 통한 강의석 단말기(50)로의 질의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수강생의 질의발생에 따른 보고 정보를 해당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질의발생 보고정보를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진행 정보 DB 에 저장함으로써 차후 해당 질의 수강자의 성적관리에 활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질의발생 보고 정보는 해당 질의 수강생의 수강생 정보와 해당 수강석 단말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수강석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질의발생 보고 정보에 해당 질의에 대한 강의자의 간단한 평가점수나 코멘트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강의 진행 도중 강의자의 강의석 단말기(50)를 통한 주강의실(강의실 A) 및/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석 단말기(30)들로의 퀴즈가 진행된 경우, 해당 수강생 퀴즈 및 이에 따른 응답 수강생의 채점정보를 포함하는 퀴즈진행 결과보고 정보를 해당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퀴즈진행 결과보고 정보를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진행 정보 DB 에 저장함으로써 차후 해당 퀴즈 참여 수강생의 성적관리에 활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퀴즈진행 결과보고 정보는 해당 강의자의 퀴즈 내용과 응답 수강생 정보 그리고 응답 수강생의 채점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강의 진행 도중 주강의실(강의실 A) 및/또는 원격강의실(강의실 B)의 수강생들의 수강석 단말기(30)를 통한 강의석 단말기(50)로의 강의이해도 평가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수강자 개인별 강의이해도 평가 정보를 해당 수강석 단말기(30) 또는 강의석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각 수강자별 강의 이해도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진행 정보 DB 에 저장함으로써 차후 해당 강의자의 강의 진행 자료로 활용되게 한다.
또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60)는 강의 종료 임박에 따라 강의석 단말 기(50)로부터 수강자별 수강태도 보고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수강자별 수강태도 보고정보를 데이터 저장장치(64)의 강의진행 정보 DB 에 저장함으로써 차후 해당 수강자의 성적관리에 활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강자별 수강태도 보고정보는 강의 진행 도중 해당 강의자가 발견하는 수강자들의 수강태도, 예컨데 교재 지참여부, 과제 제출여부, 수강태도 평가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은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강의실을 온라인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강의실에 있는 강의자만으로 양측 강의실의 출결확인은 물론 강의자의 능동적인 영상 강의 진행이 가능해 강의 효율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강의 공유 영상물을 컨텐츠화하여 다시 수강생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양질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의 수강영상을 강의자에게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공정한 수강태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만드는 효과도 있다.
또한, 수도권대학 및 지역대학 등의 경계를 뛰어넘어 전문화된 양질의 지식 서비스를 비주류권 대학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대학간 지역격차의 해소가 가능하고 대학간 교류 증대를 통한 교육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시간이나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어려웠던 대학간의 팀티칭(Team Teaching)을 통해 대학별 전문분야를 공유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교수와 학생간에 인터렉티브한 수업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대감을 강화시키고 학생의 높은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원격지에 대한 동시 강의를 통해 교수의 수업시간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켜 학문연구 시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유명대학과의 강의 공유를 통해 교육의 질적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핵심 기술들에 대해 풍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교수들의 강의를 산업체와연계하여 직장에서 대학 강의를 실시간 수강할 수 있는 산학연계 교육 모델로 확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농어촌 등 격오지의 원격교육 모델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강의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강의실이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연결되며,
    각각의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에는, 강의실내 각 수강석에 설치되며 해당 수강석에서 수강하는 수강자의 수강자 카드에서 수강자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수강자 정보 및 수강석 정보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무선전송하며 그 결과 수신되는 출석인증 확인정보를 무선수신해 출석상태를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방식의 수강석 단말기; 및, 상기 무선 방식의 수강석 단말기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중계하는 강의 중계기; 가 구비되고,
    상기 주강의실에는, 강의실내 강의석에 설치되며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부터 각 수강석의 출석상태 및 수강석의 수강자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강의자에게 인지시키며, 상기 수강석 단말기와 강의 중계기를 통해 통신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석 단말기; 및, 해당 주강의실에서 강의자를 촬영하여 촬영된 강의영상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강의자용 카메라; 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강의실에는,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강의영상을 출력하는 강의 표시기; 가 구비되며,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상기 강의영상을 실시간 중계하며, 상기 강의 중계기를 통해 상기 수강석 단말기의 출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출석정보를 등록시켜 출석인증을 수행하며 해당 출석인증 확인정보를 상기 강의 중계기를 통해 해당 수강석 단말기로 전송해 해당 수강석 단말기를 출석상태로 전환시키는 한편, 상기 출석인증 확인정보를 포함하는 강의실내 각 수강석의 수강자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강의실에는 해당 원격강의실에서 강의를 시청하는 수강생들을 촬영하여 촬영된 수강영상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생용 카메라 B;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수강영상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실시간 중계되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의실에는 해당 주강의실에서 강의를 시청하는 수강생들을 촬영하여 촬영된 수강영상을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수강생용 카메라 A;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수강영상은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를 통해 실시간 중계되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서 발신된 카메라 제어명령이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의 실시간 중계에 의해 주강의실 또는 원격강의실의 수강생용 카메라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의 촬영각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강의영상을 콘텐츠 제작 서버로 전달하여 강의 후 수강생들이 재학습 가능하도록 하는 배포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되게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수강영상을 저장한 후 강의자의 요청시 학습평가 자료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에 구비되는 수강석 단말기는 질의 버튼을 포함하며,
    해당 질의 버튼을 통한 강의 도중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내 수강자의 질의 요청 입력시 해당 수강자 정보 및 수강석 정보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를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송해 질의상태를 접수시키며 그 결과 수신되는 질의접수 상태를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에 구비되는 수강석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된 응답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부터 퀴즈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해당 수강자가 퀴즈대상임을 표시하고 해당 응답 버튼을 통해 선택된 수강자의 퀴즈응답 정보를 상기 강의석 단말기로 회신하며, 그 결과 수신되는 채점 상황을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된 응답 버튼을 포함하는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상기 수강석 단말기는,
    주강의실의 상기 강의석 단말기로부터 주의 또는 호출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강의정보 표시부를 통해 해당 수강자에게 강의자의 주의 또는 호출이 접수되었음을 표시하고 해당 응답 버튼을 통해 수강자의 주의 또는 호출 상황 인지에 따른 응답 정보를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버튼은 번호순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상기 수강석 단말기는 강의 종료에 따라 번호순으로 배열된 상기 응답 버튼 중 하나에 대한 수강자의 선택을 해당 강의에 대한 개인 이해도 평가 정보로 구성하여 주강의실의 상기 강의석 단말기 및 강의중계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주강의실의 상기 강의석 단말기는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수강석 단말기와 강의진행 결과인 수강자 질의 정보, 강의자 퀴즈 정보, 수강자 주의 정보, 수강자별 강의이해도 정보를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12. (a)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주강의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강의실의 각 수강석에 설치된 수강석 단말기에서 무선전송된 출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상기 수신된 출석정보의 수신시간과 해당 강의의 개시시간 정보를 비교해 상기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인 경우 해당 출석정보를 지각출석으로 인증하고, 해당 수신된 출석정보가 지각이 아닌 경우 해당 출석정보를 정시출석으로 인증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출석정보의 인증결과에 따른 출석확인 정보를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 수강석 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수강석 단말기의 상태를 출석상황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d)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강의의 개시시간에 맞추어 현재 출석인증 단계 수행에 따른 현재 출결자 상황 결과가 포함된 강의진행 정보를 인출하고 해당 주강의실내에 설치된 강의석 단말기로 전송하여, 강의자가 해당 강의석 단말기를 통해 주강의실 및 원격강의실의 수강석 출석 수강자 및 결석자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e)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주강의실에서 강의자를 향해 설치된 강의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강의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강의영상을 실시간 중계하여 원격강의실의 강의 표시기로 전달해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상기 원격강의실에서 수강생들을 향해 설치된 수강생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수강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수강영상을 실시간 중계하여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해 표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가 상기 주강의실에서 수강생들을 향해 설치된 수강생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수강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수강영상을 실시간 중계하여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로 전달해 표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서 발신된 카메라 제어명령이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의 실시간 중계에 의해 주강의실 또는 원격강의실의 수강생용 카메라에 전달되어 해당 수강생용 카메라의 촬영각이 주강의실의 강의석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강의영상을 콘텐츠 제작 서버로 전달하여 강의 후 수강생들이 재학습 가능하도록 하는 배포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되게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방법.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중계지원 서버는 실시간 중계하는 수강영상을 저장한 후 강의자의 요청시 학습평가 자료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KR1020060139182A 2006-12-30 2006-12-30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8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182A KR20080078750A (ko) 2006-12-30 2006-12-30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182A KR20080078750A (ko) 2006-12-30 2006-12-30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750A true KR20080078750A (ko) 2008-08-28

Family

ID=3988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182A KR20080078750A (ko) 2006-12-30 2006-12-30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87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8145A2 (en) * 2009-04-07 2010-10-14 Learning Tree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urse instruction
KR101496276B1 (ko) * 2014-03-28 2015-03-05 (주)엔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7449A (ko) * 2014-12-04 2016-06-14 정복문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096501A (ko) * 2015-02-05 2016-08-16 이효행 친구 초대를 통한 모바일 교육 시스템
EP3128106A1 (en) * 2015-08-06 2017-02-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Lectur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858204B1 (ko) * 2017-03-23 2018-06-28 주식회사 포이드림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8145A2 (en) * 2009-04-07 2010-10-14 Learning Tree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urse instruction
WO2010118145A3 (en) * 2009-04-07 2011-01-27 Learning Tree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urse instruction
KR20120029378A (ko) * 2009-04-07 2012-03-26 러닝 트리 인터내셔날, 인크 하이브리드 코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2460487A (zh) * 2009-04-07 2012-05-16 学树国际公司 混合课程教学的系统和方法
US9064232B2 (en) 2009-04-07 2015-06-23 Learning Tree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urse instruction
CN102460487B (zh) * 2009-04-07 2015-08-12 学树国际公司 混合课程教学的系统和方法
US9466222B2 (en) 2009-04-07 2016-10-11 Learning Tree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urse instruction
KR101496276B1 (ko) * 2014-03-28 2015-03-05 (주)엔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7449A (ko) * 2014-12-04 2016-06-14 정복문 웹소켓 기반의 실시간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096501A (ko) * 2015-02-05 2016-08-16 이효행 친구 초대를 통한 모바일 교육 시스템
EP3128106A1 (en) * 2015-08-06 2017-02-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Lectur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858204B1 (ko) * 2017-03-23 2018-06-28 주식회사 포이드림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2436C (zh) 教学服务系统及教学服务提供方法
KR100751911B1 (ko)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에 적합한 양방향 강의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2382385B1 (ko)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WO2016183959A1 (zh) 一种远程教育系统及其方法
KR20050074443A (ko) 원격 교육 시스템, 수강 확인 방법 및 수강 확인 프로그램
KR20190062169A (ko)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17783B1 (ko)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 극대화를 위한 5g 텔레프레즌스 기반 hy-live(하이-라이브) 교육 시스템
US20190347954A1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Interaction with Online Educational Programs
RU2272324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20080078750A (ko)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0820A (ko) 자기 주도 학습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27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에듀테크 학습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48866B1 (ko) 멀티 디바이스를 이용한 양방향 온라인 동영상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8270A (ko) 인터넷 강의를 보완한 온라인 교육 관리 시스템
CN112767759A (zh) 一种直播网课的互动方法、互动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KR20000072429A (ko)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멀티미디어 원격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5181A (ko) 스마트기기 기반의 협업 판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06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erson synchronous remote virtual reality teaching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02072846A (ja) 教育システム
KR20140132951A (ko) 통신망을 이용한 쌍방향 스마트 학습 시스템
KR20170057766A (ko)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강의 지원 시스템
KR20220074465A (ko) 온라인 캠스터디 수강생 학습 지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13982A (ko) 인터넷상에서의 강사선택형 원격과외학습방법 및 그 장치
KR200417504Y1 (ko) 양방향 강의 지원시스템의 수강석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