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204B1 -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204B1
KR101858204B1 KR1020170036641A KR20170036641A KR101858204B1 KR 101858204 B1 KR101858204 B1 KR 101858204B1 KR 1020170036641 A KR1020170036641 A KR 1020170036641A KR 20170036641 A KR20170036641 A KR 20170036641A KR 101858204 B1 KR101858204 B1 KR 101858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question
contents
lecture
participa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이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이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이드림
Priority to KR102017003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Abstract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은 서버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메인 컨텐츠를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메인 컨텐츠에 대한 질문 정보를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질문 정보를 기반으로 질문 컨텐츠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질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응답 컨텐츠를 생성하여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과 디지털 컨텐츠 산업의 확대로 교육 환경도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으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프로젝트 학습법, 플립 러닝,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등이 등장하면서 스마트 러닝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부/산업계 모두 급변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다양한 학습모형, 컨텐츠 생산 및 컨텐츠 생산에 관련한 표준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응하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장으로 인해 지식 서비스도 스마트 디바이스에 최적화되어 서비스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한다.
특히 지식 전달 위주의 전통적인 정형화된 교육(formal learning) 방식 위주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사람들과 공유하며 누구나 교수/학습자가 될 수 있는 비정형 교육(informal learning)의 형태로 변모된다.
전통적 교육 시간인 25분 구성에서 10분 이내로 콘텐츠 구현 시간이 변화하고 있으며, 내용적 구성에서도 도입-학습목표-전개-평가의 교수 설계에서 노하우/팁/정보 중심의 콘텐츠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 컨텐츠의 제작 방식도 하드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에 따라 변화되고 있는데, 이런 비정형 교육 컨텐츠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플랫폼과 더불어 카드뉴스, 꿀 팁 등과 같이 새로운 형태로 변화되고 진행 중이다.
또한 컨텐츠 생산 방식이 기존의 컨텐츠 생산 방식에서 변화되어 1인 크레이티브가 확대되고 단순히 교육 컨텐츠는 그 범주를 넘어 지식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곧 컨텐츠 소비문화와 함께 성장하면서 CPNT(Content, Platform, Network, Terminal)의 선순환 과정을 정착시키는 교두보의 역할을 한다.
10-2012-0136729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은 서버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메인 컨텐츠를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질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질문 정보를 기반으로 질문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응답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컨텐츠,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는 하나의 동영상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메인 컨텐츠는 메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질문 컨텐츠는 질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컨텐츠는 응답 레이어 상에 포함되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 레이어 및 상기 응답 레이어는 하나의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복수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되는 경우,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를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는 상기 메인 컨텐츠와 상기 질문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버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를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질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질문 정보를 기반으로 질문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응답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컨텐츠,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는 하나의 동영상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메인 컨텐츠는 메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질문 컨텐츠는 질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컨텐츠는 응답 레이어 상에 포함되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 레이어 및 상기 응답 레이어는 하나의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복수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되는 경우,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를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는 상기 메인 컨텐츠와 상기 질문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서는 영상 플레이 위에 레이어 형으로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옥외 광고 이벤트, 홍보 영상을 보면서 이벤트 참가, 투표 등의 행위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학습을 위한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입력이가 있는 경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입력이 있는 경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영상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문 컨텐츠에 대한 공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강의 컨텐츠를 판단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과거 이러닝은 next 버튼, 퀴즈 등을 통해 학습자가 끝까지 학습을 할 수 있게 유도하는 데 그쳤다. 현재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러닝에서 드롭 아웃(drop-out)을 줄이며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마이크로 컨텐츠 학습 활동과 연계된 기술/서비스 및 컨텐츠 유통과 큐레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기업 교육 및 취미/자기 개발을 위한 평생 교육에서도 스마트러닝을 위한 컨텐츠 저작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서는 개인별 컨텐츠 특성에 맞는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제작 기술, 양방향 교육 컨텐츠 저작 및 공유 기술, 컨텐츠의 퍼블리싱 및 큐레이션 운영 및 관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웹 중심의 인터랙션 기능은 모바일에서 한계가 있다. 최근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장으로 인해 지식 서비스도 스마트 디바이스에 최적화되어 서비스 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지식 전달 위주의 전통적으로 정형화된 교육(formal learning)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사람들과 공유하며 누구나 교수/학습자가 될 수 있는 비정형교육(informal learning)의 형태로 교육이 변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은 웹/모바일의 구현을 받지않은 동영상 플레이 중심의 스마트 러닝을 위한 양방향(상호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양방향 학습이 개시되나, 양방향 학습이 아닌 다른 다양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가능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시스템이 개시된다.
기존에 PC 기반으로 구현되었던 컨텐츠, 솔루션, 서비스가 모바일 환경에 적용되었을 때 생기는 문제점을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5) 웹 표준화와 반응형 웹으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학습에 참여 또는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게 하며, 대규모 사용자의 접속 등을 고려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시스템의 유연성과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사용으로 높은 성능과 데이터의 일관성을 가져가며, NODE.JS를 활용 HTTP통신 뿐만 아니라 각종 SOCKET 통신을 지원하여 교사와 학생들 간의 실시간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Ascync, Non blocking IO를 활용한 비동기식 서비스로 빠른 커뮤니티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서버(100), 및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10),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10) 및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20) 사이에는 게이트웨이 및 방화벽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확장 가능한 분산 서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서버(100)에서는 메시지, 동영상 등의 대용량 컨텐츠를 위해 분산 서버 구조로 구현되어 스케일 업(scale up), 스케일 아웃(scale out) 또는 오토 스케일(auto scale)이 지원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20)는 메인 컨텐츠를 저작하여 서버(100)를 통해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20)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는 서버를 통해 메인 컨텐츠로서 생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20)는 강의자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20)는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10)에 의해 생성된 메인 컨텐츠에 대한 질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질의 컨텐츠에 응답하기 위한 응답 컨텐츠를 제작하여 서버(100)를 통해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10)는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10)에 의해 생성된 메인 컨텐츠를 서버(100)를 통해 수신하고, 메인 컨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질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10)는 수강자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110)는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서버를 통해 질의 컨텐츠에 대한 응답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컨텐츠는 강의자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질의 컨텐츠는 수강자에 의해 생성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고, 응답 컨텐츠는 질문에 대한 교수자의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학습을 위한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는 컨텐츠 저작부(200), 컨텐츠 생산부(220), 컨텐츠 전송부(240) 및 컨텐츠 재생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작부(200)는 컨텐츠를 위한 텍스트에 대한 입력/수정, 도형 입력, 수정(도형 라이브러리, 및 아이콘 라이브러리), 이미지, 동영상 및 사운드 입력 수정 기능, 생성 컨텐츠 재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생산부(220)는 자동 스크립트 생성 기능, HTML5 기반 저장 기능, 재편집 컨텐츠 버전 관리 기능, PDF 형 저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240)는 HTML5 컨텐츠 인덱스 파일 클라우드 서버 전송 기능, 강사-학생 DB 연동 및 데이터 전송, 수정 컨텐츠 재전송에 다른 버전 기능, 원본 데이터 실시간 백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260)는 크롬/오페라 등의 브라우저 기반의 HTML5 컨텐츠 뷰, IR 기반 컨텐츠 뷰, 별도의 컨텐츠 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서 개시되는 컨텐츠 생성 장치는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및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생성 장치(300)는 처리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표시부(340), 저장부(350) 및 문자판독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장치(300)는 전자칠판,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310)는 명령어를 신행하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사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310)는 컨텐츠 생성 장치(3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저장부(350)에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부(340) 화면에 표시하면서 입력부(330)로부터 수신된 터치 정보 등 입력 정보를 해석하여 이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부(340) 화면에 겹치게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필요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생성 장치(300) 내로 입력 정보를 전송한다. 입력부(330)는, 예를 들면, 문자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거나, 컨텐츠 생성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표시부(340)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관련된 선택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터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처리부(310)로 전송하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입력부(330)는 표시부(340)와 결합되어 표시부(34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330)는 터치 패드나 터치스크린이 아니라 적외선 전자 펜과 적외선 카메라로 이루어져 적외선 전자펜에 의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터치펜, 전자펜 또는 스마트 펜 어떠한 명칭이라도 사용자가 그것을 가지고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표시부(340)는 각종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모니터, TV, 프로젝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34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컨텐츠 생성 장치(3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문자판독부(360)는 사용자가 입력부(330)를 통하여 입력한 입력 정보를 문자, 기호 또는 선 등으로 판독한다. 문자판독부(360)는 반드시 구비되지 않아도 상관없으나 문자판독부(360)에 의하여 판독된 정보를 파일화하여 저장하면 입력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 자체를 파일화하여 저장하는 것에 비하여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입력(판서, 필기 또는 메모)한 내용을 동영상과 함께 추후 재생할 때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저장부(3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및 대용량 스토리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컨텐츠 생성 장치(3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대용량 스토리지 에는 동영상 파일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파일을 저장하거나 문자 판독부(360)에서 판독된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면 이러한 컨텐츠 생성 장치(3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해서 이하 도4에서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컨텐츠 생성 장치는 표시부에 강의 등의 동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한다(단계 S410).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터치 펜이나 전자펜 등으로 표시부 화면 위에 입력을 하면 입력부(130)는 이를 입력 정보로 받아들이고(S420), 처리부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내용을 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동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표시부 화면에 표 시한다(S430).
문자판독부는 입력 정보 또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입력 내용을 문자, 기호 또는 선 등으로 판독한다(S440).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단계(S4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미지에 의한 입력 정보 또는 이미지가 판독된 입력 정보는 동영상이 재생되며 입력된 시점, 위치 등과 함께 파일화되어 저장된다(S450). 이와 같이 입력 정보 파일을 저장함으로써 동영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내용을 쉽게 포함시켜 새로운 동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일단 입력 정보 파일이 생성되어 있으면 동영상 뷰어가 동영상을 재생할 때 해당 동영상과 연관된 입력 정보 파일을 찾아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각 시점에 맞는 입력 내용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동영상 파일은 원본 그대로이지만 입력 정보 파일을 새로이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동영상 파일이 생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물론 원본 동영상 파일에 입력 내용을 더하여 새로운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새로운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면 처리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에 의하면, 강사가 전자 칠판 등으로 다수의 수강자에게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강의를 하는 동안 강사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할 수 있고, 수강자가 태블릿 등으로 동영상을 재생하며 강의를 들으면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이나 장면에 대하여 입력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해당 동영상을 재생할 때 입력 내용을 입력한 시점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생성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통신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및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는 기본적으로 앞선 실시예의 컨텐츠 생성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다만 표시부 화면의 크기가 차이가 날 뿐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망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통신망(530)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510)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520)을 연결하여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서 발생되는 입력 정보를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는 교실이나 회의실 등 동일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같은 공간이 아니라, 서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520)도 서로 같은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고, 멀리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생성 시스템(500)을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입력가 있는 경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입력이 있는 경우의 컨텐츠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서 동시에 동영상이 재생되며(S610, S615),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측의 강 사에 의하여 강의가 진행된다. 강사가 동영상이 재생되는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입력을 하면 입력 정보가 생성되고(S620), 입력 내용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다(S630).
이와 동시에 입력 정보 또는 입력 정보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고,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강사가 입력한 입력 내용이 표시된다(단계 S635). 즉,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입력한 내용이 즉각적으로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강의자가 입력을 하는 경우, 수강자에게도 즉각적으로 입력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입력 내용은 동영상으로 재생되고, 입력된 시점, 입력된 위치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파일화되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 각각에 저장될 수 있다(단계 S640, 645).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서 동시에 동영상이 재생되고(S710, S715),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측에서 강의자에 의하여 강의가 진행된다. 수강자가 동영상이 재생되는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입력을 하면 입력 정보가 생성되고(S725), 입력 내용이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S740).
강의자는 수강자의 질의에 대하여 입력을 하며 답변할 수 있다.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가 생성되고(S750), 입력 내용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다 (S760). 이와 동시에 입력 정보 또는 입력 정보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화면에 강의자가 답변한 입력 내용이 표시된다(S765). 이에 따른 입력 내용은 동영상으로 재생되며 입력된 시점, 위치 등과 함께 파일화되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각각 저장된다(S770, S755).
한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 사이에서 입력 내용이 전달되는 것에 대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편의를 위하여 제1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제2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제1 수강자가 제1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를 사용하고, 제2 수강자가 제2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강의자는 제1 수강자의 입력 내용을 살펴본 후 그 내용이 다른 수강자, 즉 제2 수강자와 공유할 만한 내용이라고 판단하면 제1 수강자의 입력 내용을 제2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S850-예), 제2 수강자 단말 장치는 이를 전달받아 표시한다(S857). 그런 후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제1 수강자의 질의에 대한 답변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 입력 내용은 제1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뿐만 아니라, 제2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도 전달되어 표시된다(S877).
그러나 단계(S850)에서 제2 수강자와 공유할 만한 내용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1 수강자의 입력 내용을 제2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지 않고(S850- 아니오), 강사는 제1 수강자의 질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 입력을 하며 답변할 수 있다.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가 생성되고(S860), 입력 내용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 화면에 표시된다(S870). 이와 동시에 입력 내용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서 제1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어 제1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강사가 답변한 입력 내용이 표시된다(S875). 이에 따른 입력 내용은 동영상이 재생되면서 입력된 시점, 위치 등과 함께 파일화되어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와 제1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각각 저장된다(S880, S885). 그러나 이 경우 강사의 답변에 따른 입력 내용은 제2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사와 수강자들 사이에 입력이 발생하며 발생된 입력 내용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 동일한 동영상을 재생시 이전 입력 내용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뿐만 아니라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컨텐츠 편집 및 생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영상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영상은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인 레이어(900), 수강자에 의해 생성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질문 컨텐츠를 포함하는 질의 레이어(910) 및 질문에 대한 교수자의 응답 컨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레이어(920)를 기반으로 동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시점에서 메인 레이어(900)에 대한 질의 레이어(910), 응답 레이어(920)가 구현될 수 있고, 질의 레이어(910), 응답 레이어(920)는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질의의 개수/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응답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시간 동안 메인 레이어(900)는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질의 레이어(910), 응답 레이어(920)는 강의자, 수강자의 생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만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강자가 질문한 경우, 질의 레이어(910) 상에 질문 컨텐츠가 포함되어 생성되고, 일정 시간 동안 질의 레이어(910) 상에서 해당 질문이 유지될 수 있다. 질의 레이어(910)에 질문이 유지되는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고, 질문의 내용에 따라서도 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강의자가 질문에 대해 응답 컨텐츠를 생성한 경우, 응답 레이어(920) 상에 응답 컨텐츠가 포함되어 생성되고, 일정 시간 동안 응답 레이어(920) 상에서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컨텐츠가 유지될 수 있다. 응답 레이어(920)에 응답 컨텐츠가 유지되는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고, 질문/응답의 내용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문 컨텐츠에 대한 공유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서는 수강자에 의해 생성된 질문 컨텐츠를 다른 수강자들과 공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간으로 복수의 수강자가 복수의 질문 컨텐츠(1020)를 생성하는 경우, 복수의 질문 컨텐츠(1020)에 대한 답변 및 공유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질문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질문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질문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강의자에게 질문에 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질문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기 위해 강의 컨텐츠(1000)와의 연관도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 컨텐츠(1000)에 대한 텍스트 분석 및 질문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질문이 강의와 연관도가 높은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연관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강의 컨텐츠(1000)가 조선시대 사대부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 조선시대 사대부와 관련도가 높은 질문이 우선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관련도가 높고, 강의 컨텐츠(1000)에 포함되지 않은 질문에 대한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강의 컨텐츠(1000)가 조선시대 사대부와 관련되어 있고, 질문(1020)이 사대부의 생활상에 관련된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만약, 강의 컨텐츠(1000)가 질문한 내용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질문(1020)의 경우, 전/후 강의에 의해 설명된 내용에 답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질문(1020)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내려갈 수 있다.
실시간 강의인 경우, 이전 강의 컨텐츠가 질문(1020)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시간 강의가 아닌 녹화 강의인 경우, 이전 강의 컨텐츠(1000)/이후 강의 컨텐츠(1000)가 질문한 내용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1020)의 우선 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하나의 강의 컨텐츠(1000)는 강의 내용에 따라 복수의 주제(또는 목차)를 기반으로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로 나누어질 수 있고, 현재 제공되는 복수의 하위 컨텐츠와 질문의 연관성이 분석될 수 있다.
만약, 강의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강의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강의 주제를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강의자가 중복적으로 말하는 단어가 존재하는지 여부 중복된 단어의 주기적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강의 주제의 변경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선 사대부의 생활상 및 붕당 정치에 관한 내용이 강의의 주제인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강의자가 먼저 조선 사대부의 생활상에 대해 강의할 경우, 조선 사대부의 생활상과 관련된 단어가 중복적으로 일정 기간 내에 사용될 수 있다. 강의자가 붕당 정치에 대해 강의할 경우, 붕당 정치와 관련된 단어가 중복적으로 일정 기간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서버는 강의자가 사용하는 문장/단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강의자가 현재 강의하는 강의 컨텐츠(1000)에 대한 주제를 결정하고 강의 컨텐츠(1000)의 주제에 따른 질문과 주제의 관련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질문의 빈도에 따라서도 질문의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수강자들이 동일/유사한 질문을 일정 개수 이상한 경우, 해당 질문의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동일/유사한 질문이 임계 개수 이상 접수되었다는 것은 해당 내용을 궁금해하는 수강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해당 내용에 대한 질문의 우선 순위는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강의 컨텐츠를 판단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강의 컨텐츠의 내용/주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강의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제1 강의 컨텐츠 정보(1110)로 수집하고, 강의자에 의해 발음되어 음성으로 강의되는 내용을 제2 강의 컨텐츠 정보(1120)로서 수집할 수 있다.
제1 강의 컨텐츠 정보(1110)는 미리 강의자에 의해 업로드된 문서 파일일 수도 있고, 강의자가 입력하는 내용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제2 강의 컨텐츠 정보(1120)는 강의자에 의해 발음되는 음성 인식을 텍스트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1 강의 컨텐츠 정보(1110) 및 제2 강의 컨텐츠 정보(1120)는 일정한 설정 주기(예를 들어, 30초) 별로 수집되어 분석될 수 있다. 설정 주기는 강의 컨텐츠의 양, 강의자의 강의 속도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분석된 제1 강의 컨텐츠 정보(1110) 및 제2 강의 컨텐츠 정보(1120)는 설정 주기 별로 분석되어 주제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의 컨텐츠 정보(1110) 및 제2 강의 컨텐츠 정보(1120)에서 가장 높은 빈도 및 연속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단어가 제1 주제 단어로 설정될 수 있고, 차순위의 빈도 및 연속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단어가 제2 주제 단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설정된 주기로 강의 주제가 선정될 수 있고, 주기별로 설정된 주제의 변화 여부를 고려하여 주제가 변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기에는 A, 제2 주기에는 A, 제3 주기에는 A', 제4 주기에는 B, 제5 주기에는 A, 제6 주기에는 B, 제7 주기에는 B, 제8 주기에는 B가 제1 주제 단어로 선정된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에 제4주기의 B가 A와 연관도가 높은 단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A와 B가 연관도가 높은 단어인 경우, 제1 주기부터 제5 주기까지는 A가 주제어로 선정되고, 제6 주기부터 제8 주기까지는 B가 주제어로 선정될 수 있다.
반대로 A와 B가 연관도가 높지 않은 단어인 경우, 제1 주기부터 제3 주기까지는 A가 주제어, 제4 주기는 B가 주제어로 선정되고, 제5 주기는 별도로 A가 주제어로 선정되고, 제6~8 주기는 B가 주제어로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제어 추출을 기반으로 일정 기간 동안의 강의 컨텐츠에 대한 주제가 설정되고, 주제와 질문 간의 연관도/관련도를 결정하여 질문의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은,
    서버가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메인 컨텐츠를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질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질문 정보를 기반으로 질문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응답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답 컨텐츠는 강의자의 설정에 따라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질문 컨텐츠는 상기 강의자의 강의 컨텐츠와의 연관도 및 상기 강의 컨텐츠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및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의한 상기 질문 컨텐츠와 유사한 질문이 일정 개수를 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반으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상기 강의자의 강의자 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강의자 장치는 상기 질문 컨텐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강의 컨텐츠와의 상기 연관도 및 상기 강의 컨텐츠에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답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 각각과 상기 질문 컨텐츠 간의 연관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컨텐츠가 실시간 강의인 경우, 강의 컨텐츠의 시점을 기준으로가 이전 시점에 생성된 이전 강의 컨텐츠가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강의 컨텐츠가 실시간 강의가 아닌 녹화 강의인 경우, 상기 이전 강의 컨텐츠 및 상기 시점 이후의 이후 강의 컨텐츠가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관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 각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 및 연속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단어가 제1 주제 단어로 설정될 수 있고, 차순위의 빈도 및 연속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단어가 제2 주제 단어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주제 단어 및 상기 제2 주제 단어는 단어 간의 연관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 각각의 주제 단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텐츠,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는 하나의 동영상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메인 컨텐츠는 메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질문 컨텐츠는 질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컨텐츠는 응답 레이어 상에 포함되어 동시에 제공되고,
    상기 질문 레이어 및 상기 응답 레이어는 하나의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복수개 적층되고,
    상기 질문 레이어의 개수 및 상기 응답 레이어의 개수는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질문의 개수 및 상기 질문에 따른 응답의 개수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질문 레이어 및 상기 응답 레이어는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의 설정 및 상기 질문의 내용, 응답의 내용에 따라 유지 시간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되는 경우,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를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는 상기 메인 컨텐츠와 상기 질문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를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질문 정보를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질문 정보를 기반으로 질문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응답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응답 컨텐츠는 강의자의 설정에 따라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질문 컨텐츠는 상기 강의자의 강의 컨텐츠와의 연관도 및 상기 강의 컨텐츠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및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의한 상기 질문 컨텐츠와 유사한 질문이 일정 개수를 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반으로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상기 강의자의 강의자 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강의자 장치는 상기 질문 컨텐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강의 컨텐츠와의 상기 연관도 및 상기 강의 컨텐츠에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답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상기 강의 컨텐츠를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 각각과 상기 질문 컨텐츠 간의 연관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컨텐츠가 실시간 강의인 경우, 강의 컨텐츠의 시점을 기준으로가 이전 시점에 생성된 이전 강의 컨텐츠가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강의 컨텐츠가 실시간 강의가 아닌 녹화 강의인 경우, 상기 이전 강의 컨텐츠 및 상기 시점 이후의 이후 강의 컨텐츠가 상기 질문 컨텐츠에 대한 답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관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 각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 및 연속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단어가 제1 주제 단어로 설정될 수 있고, 차순위의 빈도 및 연속성을 가지고 등장하는 단어가 제2 주제 단어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주제 단어 및 상기 제2 주제 단어는 단어 간의 연관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하위 강의 컨텐츠 각각의 주제 단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텐츠,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는 하나의 동영상 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메인 컨텐츠는 메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질문 컨텐츠는 질문 레이어 상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컨텐츠는 응답 레이어 상에 포함되어 동시에 제공되고,
    상기 질문 레이어 및 상기 응답 레이어는 하나의 상기 메인 레이어 상에 복수개 적층되고,
    상기 질문 레이어의 개수 및 상기 응답 레이어의 개수는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생성된 질문의 개수 및 상기 질문에 따른 응답의 개수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질문 레이어 및 상기 응답 레이어는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의 설정 및 상기 질문의 내용, 응답의 내용에 따라 유지 시간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되는 경우, 상기 질문 컨텐츠 및 상기 응답 컨텐츠를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동시에 상기 메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상기 다른 컨텐츠 참여 사용자 장치와 공유될지 여부는 상기 메인 컨텐츠와 상기 질문 컨텐츠 간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삭제
KR1020170036641A 2017-03-23 2017-03-23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858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41A KR101858204B1 (ko) 2017-03-23 2017-03-23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41A KR101858204B1 (ko) 2017-03-23 2017-03-23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204B1 true KR101858204B1 (ko) 2018-06-28

Family

ID=6278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641A KR101858204B1 (ko) 2017-03-23 2017-03-23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2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26A (ko) * 2018-07-27 2020-02-05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뷰 방식의 학습서비스제공장치
KR102318056B1 (ko) * 2021-01-15 2021-10-27 (주)강안교육 몰입학습을 위한 비대면 학습방법 및 학습시스템
WO2022244942A1 (ko) * 2021-05-20 2022-11-24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다자간의 비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KR20240026002A (ko) 2022-08-19 2024-02-27 토마스 렁 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47A (ko) * 2003-09-19 2003-10-08 (주)엘프텍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사이버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8750A (ko) * 2006-12-30 2008-08-28 (주)인사이드알에프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0994434B1 (ko) * 2009-12-02 2010-11-16 (주)익스트리플 쌍방향 동영상 재생기 및 재생방법과 쌍방향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10085315A (ko) * 2010-01-20 2011-07-27 최화택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KR20120010868A (ko) * 2010-07-27 2012-02-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6729A (ko) 2011-06-10 2012-12-20 안지윤 문 손잡이 자동 교체 및 소독을 위한 장치
KR20140087777A (ko) * 2012-12-31 2014-07-09 (주)씨제이포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2193A (ko) * 2014-03-27 2015-10-07 주식회사 소프트헤븐 양방향 교육 솔루션에 기반한 스마트 스쿨 시스템 및 실시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47A (ko) * 2003-09-19 2003-10-08 (주)엘프텍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사이버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8750A (ko) * 2006-12-30 2008-08-28 (주)인사이드알에프 양방향 강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0994434B1 (ko) * 2009-12-02 2010-11-16 (주)익스트리플 쌍방향 동영상 재생기 및 재생방법과 쌍방향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10085315A (ko) * 2010-01-20 2011-07-27 최화택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KR20120010868A (ko) * 2010-07-27 2012-02-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6729A (ko) 2011-06-10 2012-12-20 안지윤 문 손잡이 자동 교체 및 소독을 위한 장치
KR20140087777A (ko) * 2012-12-31 2014-07-09 (주)씨제이포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2193A (ko) * 2014-03-27 2015-10-07 주식회사 소프트헤븐 양방향 교육 솔루션에 기반한 스마트 스쿨 시스템 및 실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26A (ko) * 2018-07-27 2020-02-05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뷰 방식의 학습서비스제공장치
KR102082245B1 (ko) * 2018-07-27 2020-04-23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뷰 방식의 학습서비스제공장치
KR102318056B1 (ko) * 2021-01-15 2021-10-27 (주)강안교육 몰입학습을 위한 비대면 학습방법 및 학습시스템
WO2022244942A1 (ko) * 2021-05-20 2022-11-24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다자간의 비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KR20240026002A (ko) 2022-08-19 2024-02-27 토마스 렁 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ohey et al. “That sounds so cooool”: Entanglements of children, digital tools, and literacy practices
Bogard et al. Combining traditional and new literacies in a 21st‐century writing workshop
Dale et al. Podagogy: The iPod as a learning technology
Toohey et al. Videomaking as sociomaterial assemblage
Sokoli Clipflai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rough interactive revoicing and captioning of clips
KR101858204B1 (ko)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Toland et al. Enhancing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English-Language Presentation Skills with Mobile-Video Recordings.
Jati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Nichols et al. Rethinking availability in multimodal composing: Frictions in digital design
Savov et al. Multimedia applications in education
Erfanian Mohammadi et al. Systemic functional 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of teaching students developing classroom materials
Dooley et al. Immersive media practices in the classroom: models of the teaching research nexus in an Australian context
Basri et al. Digital languag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a CALL perspective: Perceived knowledge and activeness in ECCR
White Ethnography 2.0: writing with digital video
Smirnov et al. Journalism as model for civic and information literacies
Tan Production-on-the-go practice: storyboarding as a retrospective and redundant school literacy activity
Carter et al. Tools to support expository video capture and access
Thurman Shakespeare. za: digital Shakespeares and education in South Africa
Reid Portable composition: iTunes University and networked pedagogies
Ostashewski et al. The iPad in the classroom: Three implementation cases highlighting pedagogical activities, integration issues,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Beach Digital/media literacies in a media literacy and a digital writing methods course
Steckmest Using film as a multimodal text in the language classroom
Kawamura et al. FastPerson: Enhancing Video-Based Learning through Video Summarization that Preserves Linguistic and Visual Contexts
Lin et al. Increasing Student Online Interactions: Applying the Video Timeline-Anchored Comment (VTC) Tool to Asynchronous Online Video Discussions
Dale et al. The iPod as a learn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