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002A -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002A
KR20240026002A KR1020220104320A KR20220104320A KR20240026002A KR 20240026002 A KR20240026002 A KR 20240026002A KR 1020220104320 A KR1020220104320 A KR 1020220104320A KR 20220104320 A KR20220104320 A KR 20220104320A KR 20240026002 A KR20240026002 A KR 20240026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pace
real
image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렁 서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렁 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렁 서 filed Critical 토마스 렁 서
Priority to KR102022010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002A/ko
Publication of KR2024002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1Content authoring involving branching, e.g. to different story en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Abstract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제1 공간에서 촬영되며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를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제2 공간에서 촬영되며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와 결합된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결된 공간으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상기 제1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CONTENTS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CONTENT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촬영과 방송이 이루어지는 드라마 등의 콘텐츠를 끊김없이(seamless)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시청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이어질 콘텐츠의 내용이 결정되는 상호작용 가능한 실시간 콘텐츠 제공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시장에서 기존의 텍스트 기반 서비스는 성장세가 둔화되고, 영상 콘텐츠에 기반한 서비스의 성장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TV가 차지하고 있던 영상 콘텐츠 시장은 유튜브(Youtube) 및 넷플릭스(Netflix)와 같은 OTT(over-the-top) 형태의 미디어 서비스로 중심을 옮겨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틱톡(TikTok)과 같이 영상, 음원, 프리뷰(preview) 등에서 약 15 내지 60초 정도의 짧은 길이를 갖는 숏폼(short form) 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맞춤형 콘텐츠 제작 및 구독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시청자의 참여가 가능한 참여형 서비스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15개의 시즌이 방송된 장수 드라마인 ER(Emergency Room)의 경우 라이브 드라마를 시도한 사례가 있다. ER의 라이브 드라마는 응급실의 급박한 상황을 잘 표현하여 당시 방영했던 주의 최고 시청률을 달성하고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858204호는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자 참여형 콘텐츠들은 그 내용과 형식이 매우 단순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콘텐츠 내에 다양한 형식의 세부 내용을 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시청자 참여형 드라마에서 시청자의 참여가 가능한 부분은 드라마의 주된 이야기에 한정되며, 드라마 내의 중간 광고와 같은 부가 콘텐츠나 콘텐츠의 다른 부분에 비해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드라마가 단절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820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뉴스, 스포츠 생중계, 드라마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에 있어서 콘텐츠의 촬영과 방송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긴박감과 참신한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콘텐츠 내에서 부가 또는 확장된 내용으로의 전환이 끊김없이(seamless)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시청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참여형으로 다음 콘텐츠의 내용이 결정될 수 있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제1 공간에서 촬영되며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를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제2 공간에서 촬영되며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와 결합된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결된 공간이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상기 제1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로부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시청자 반응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청자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이어질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호작용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정보 및 상기 제2 영상정보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제3 공간에서 촬영되며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연속하는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3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3 영상정보가 상기 제2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1 공간에서 촬영되며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를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2 공간에서 촬영되며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제1 영상정보에 결합함으로써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결된 공간이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상기 제1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로부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시청자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시청자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이어질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1 영상정보 및 상기 제2 영상정보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3 공간에서 촬영되며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연속하는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3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3 영상정보가 상기 제2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과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 의하면, 드라마와 같은 콘텐츠의 촬영 및 방송을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새로운 포맷의 콘텐츠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끊어짐 없이 이어지는 카메라 워킹과 연기자들의 동선을 통해 긴박감을 유발하고 참신한 즐거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과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콘텐츠의 내용(예컨대, 드라마의 이야기 등)과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예컨대, 광고, 오케스트라 등) 간의 연결이 끊어짐 없는(seamless)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므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관심이 자연스럽게 다른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하거나 시청자들에게 좀 더 풍부한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과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는, 콘텐츠의 제공 도중 실시간으로 시청자들의 의견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앞선 콘텐츠에 이어질 콘텐츠의 다음 내용을 결정함으로써, 이야기의 최종 결말이 시청자들의 투표 등에 의해 결정되는 시청자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예시적인 콘텐츠 촬영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영상정보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2 영상정보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또 다른 예시적인 콘텐츠 촬영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 및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공간전환지표의 검출을 통한 영상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콘텐츠를 위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영상의 촬영 시점 또는 영상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 수신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수신 장치(21-23)에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수신 장치(21-23)와 통신함으로써 수신 장치(21-23)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application service server), 또는 수신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하여 열람 가능한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 중계 서버(4)와 더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계 서버(4)는 유튜브(Youtube) 및 넷플릭스(Netflix) 등의 OTT(over-the-top) 미디어 콘텐츠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영 장치(11, 12), 수신 장치(21-23) 및/또는 콘텐츠 중계 서버(4)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 장치(21-23)는 실시간 콘텐츠를 향유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하여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 및/또는 콘텐츠 중계 서버(4)와 통신 가능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1-23)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수신부(31) 및 콘텐츠 제공부(33)를 포함한다. 수신부(31)는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 12)와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되어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제공부(33)는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콘텐츠 중계 서버(4)를 경유하여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제공부(33)에 의하여 제공되는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는, 콘텐츠의 주된 내용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와,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는 서로 동일한 촬영 장치(11, 12)에 의하여 촬영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한 촬영 장치(11, 12)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는 서로 상이한 공간에서 촬영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부(33)는 서로 상이한 공간에서 촬영된 영상정보가 끊어짐 없이(seamless) 스트리밍으로 연결되도록 영상 및/또는 오디오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부(33)는 전송부(331) 및 영상 처리부(332)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부(33)는 오디오 처리부(333)를 더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332)는, 제1 공간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 및 이와 다른 공간인 제2 공간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가 결합되어 스트리밍을 형성함에 있어서, 영상 내의 촬영 공간이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으로 변화되는 시점에 영상정보들 간의 자연스러운 전환이 일어나도록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정보는 드라마 콘텐츠의 이야기 부분이며, 제2 영상정보는 드라마 내의 중간 광고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정보는 미리 촬영되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의 저장부(32)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에서는 제2 영상정보로 드라마 내의 광고를 예로 들었으나, 제2 영상정보는 다른 방식으로 콘텐츠의 내용이나 형식이 부가 및/또는 확장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영상정보란 이미지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결합된 동영상 등을 지칭하고, 제2 영상정보는 제1 영상정보에는 존재하지 않는 배경음향과 같은 추가적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33)의 오디오 처리부(333)는, 제1 영상정보 및 제1 영상정보에 더하여 추가적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정보가 자연스러운 스트리밍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의 오디오 정보에 대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정보에 대한 조정이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 또는 복수의 채널로 합성하거나, 합성되는 음원 신호의 세기, 주파수, 좌우, 고저 등을 조정하는 믹싱(mixing) 또는 정규화(normalize)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부(331)는 이와 같이 생성된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콘텐츠 중계 서버(4) 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영상 처리부(332), 오디오 처리부(333) 및 전송부(331)는 촬영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 장치(21-23)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상호작용부(34)를 더 포함한다. 상호작용부(34)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시청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로부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시청자 반응정보를 수신하고, 시청자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주된 내용(즉, 제1 영상정보)에 이어질 다음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의 스트리밍 제공과 마찬가지로, 스트리밍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콘텐츠 중계 서버(4)를 통하여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예시적인 콘텐츠 촬영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콘텐츠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 또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수신된 제1 영상정보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전송할 수 있다(S12).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실시간으로 촬영과 방송이 이루어지는 드라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실시간 콘텐츠의 유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의 스트리밍 도중 특정 시점에,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제2 영상정보를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제2 영상정보를 로드(load)할 수 있다(S13). 예컨대, 제1 영상정보는 실시간으로 촬영 및 방송되는 드라마이며, 제2 영상정보는 드라마 도중 시청자에게 제공되기 위한 광고일 수 있다.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는 해당 영상이 촬영된 물리적인 공간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촬영 공간(300) 내에서 드라마의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영상정보는 복도(301)에서 촬영되고, 광고에 해당하는 제2 영상정보는 복도(301)에 연결되어 있지만 복도(301)와 상이한 공간인 별도의 방(302)에서 촬영될 수 있다. 이때 방(302)은 예컨대 광고 촬영을 위한 세트장으로서, 광고 물품의 전시를 위한 전시대(3020)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시청자들에게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을 제공함에 있어서, 영상 내의 공간 이동에 맞추어 콘텐츠의 내용 변화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스트리밍을 끊어짐 없이(seamless)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S14). 예를 들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제1 영상정보의 이미지 분석이나 촬영 장치(11, 12)의 위치 변화 등을 통해 영상 내의 공간이 복도(301)로부터 방(302)으로 변화되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공간의 변화에 맞추어 영상 데이터가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끊어짐 없는 영상의 연결은, 복도(301)로부터 방(302)으로의 공간 변화에 맞추어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는 영상의 원본 소스(즉, 촬영 장치(11-12))를 변화시키는 것이나, 또는 복도(301)에서의 촬영 영상의 배경이 방(302)으로 전환되는 이미지 프레임(frame)을 탐지하고 그 뒤에 방(302)에서 촬영된 제2 영상정보가 이어지도록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는 동일한 촬영 장치(11, 12)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일 수도 있고, 또한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촬영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1 영상정보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며,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제2 영상정보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간 촬영 및 방송되는 드라마의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영상정보(401)는 복도(301)를 걷고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출연자(4001, 4002)를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출연자(4001, 4002)들이 복도(301)로부터 미리 설정된 광고 공간인 방(302)으로 진입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방(302) 안으로의 공간 변화에 이어 기존의 출연자(4001, 4002)는 화면에서 사라지고,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302) 안에서 촬영된 제2 영상정보(402)가 시청자들에게 스트리밍된다. 이때 제2 영상정보(402)는 광고의 등장 인물(예컨대, 쇼 호스트 등)(4003, 4004), 광고 대상 제품(4005) 및/또는 세부 판매 정보(제품, 가격, 판매자 연락처 등)(4010)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간 촬영 영상 또는 미리 저장된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정보(402)가 제1 영상정보(401)와 마찬가지로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일 경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의 소스인 촬영 장치를 전환함으로써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의 전환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도(301)에서의 드라마 내용은 제1 촬영 장치에 의하여 촬영되고, 방(302)에서의 광고는 제2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제1 영상정보(301) 내의 공간이 복도(301)로부터 방(302)으로 변화되는 것을 탐지하고, 이러한 공간 변화가 탐지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의 소스를 제1 촬영 장치로부터 제2 촬영 장치로 전환함으로써, 상이한 종류의 영상이 끊어짐 없는 스트리밍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영상정보(301)와 제2 영상정보(302)는 서로 동일한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종류의 콘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1 영상정보(301)가 제2 영상정보(302)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인 제2 영상정보(402)는, 콘텐츠의 내용인 드라마와는 상이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콘텐츠의 내용인 드라마와 관련하여 드라마의 이야기에 기여하거나 또는 드라마의 세부 사항을 보충하는데 기여하는 확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광고를 예로 들어 제2 영상정보를 설명하였으며, 이때 광고되는 물품은 드라마의 이야기 내에 등장하는 물품에 대한 것이거나 또는 드라마의 이야기와 별개로 사전에 결정된 물품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영상정보는 드라마의 이야기에 기여하는 또 다른 영상 및/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확장된 콘텐츠일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촬영 장치는 복도(301)로부터 방(302) 안으로 이동하였다가, 이후 다시 방(302)을 나와 다시 복도(301)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스트리밍되는 영상 내의 공간이 방(302)으로부터 복도(301)로 다시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맞추어 스트리밍되는 내용이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인 제2 영상정보로부터 다시 콘텐츠의 주된 내용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콘텐츠의 내용은, 앞선 제1 영상정보와의 구별을 위하여 제3 영상정보로 지칭된다.
즉,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스트리밍되는 영상 내의 공간이 방(302)에서 다시 복도(301)로 이동하는 시점에 맞추어 제1 영상정보에 이어지는 콘텐츠의 내용인 제3 영상정보가 시청자에게 제공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S15), 이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6).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정보로부터 제3 영상정보로 전환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된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의 전환 과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촬영 공간이 복도(301)로부터 방(302)을 거쳐 다시 복도(301)로 나오는 것을 상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공간(즉, 복도(301))은 제1 영상정보와 제3 영상정보에서 동일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인 제2 영상정보로부터 다시 콘텐츠 내용인 제3 영상정보로 전환되었을 때, 제3 영상정보의 촬영 공간은 앞선 드라마의 배경 공간과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또 다른 예시적인 콘텐츠 촬영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의 종류가 제1 영상정보, 제2 영상정보 및 제3 영상정보로 변환되는 동안 그 배경이 되는 촬영 공간은 복도(501), 방 안(502) 및 또 다른 복도(503)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드라마에서 광고가 방송되기 전(즉, 제1 영상정보)의 배경은 복도(501)이지만, 광고 방송 후 재개된 드라마 내용(즉, 제3 영상정보)의 배경은 복도(501)가 아닌 또 다른 복도(503) 공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각 영상정보의 촬영 공간의 형태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영상정보는 콘텐츠의 내용인 드라마로 설명되었으며 제2 영상정보는 드라마에 부가된 콘텐츠인 광고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영상정보는 주된 콘텐츠인 드라마의 일부를 구성하면서 드라마의 다른 부분과 달리 시청자에게 추가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확장된 콘텐츠일 수도 있다.
도 5를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공간인 방 안(502)은 오케스트라가 위치하여 드라마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추가적인 배경음향을 제공하는 공간일 수 있다. 드라마의 출연자들이 복도(501)로부터 방 안(502)으로 이동하면, 드라마의 이야기는 중단 없이 이어지지만 복도(501)에서의 촬영 영상과 달리 방 안(502)에서의 촬영 영상은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배경음향을 포함하므로 영상정보의 특징이 달라지게 된다. 즉, 복도(501)에서의 촬영 영상을 제1 영상정보, 방 안(502)에서의 촬영 영상을 제2 영상정보로 지칭할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2 영상정보는 제1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배경음향이라는 추가적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스트리밍되는 영상 내의 공간이 복도(501)로부터 방 안(502)으로 변화되는 것에 맞추어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가 끊어짐 없이 스트리밍되도록 하되,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제2 영상정보의 오디오 정보에 대하여 채널의 합성이나 변화, 음원 신호의 세기, 주파수, 좌우, 고저 등을 조정하는 믹싱(mixing) 또는 정규화(normalize) 등과 같은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제1 영상정보에 비해 확장된 콘텐츠인 제2 영상정보가 제1 영상정보와 연속으로 제공됨에 있어서 양 콘텐츠 간의 위화감을 줄이고 일관된 시청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오디오 정보에 대한 조정을 실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상정보는 제1 영상정보와 상이한 이미지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스트리밍되는 영상 내의 공간이 복도(501)로부터 방 안(502)으로 변화되는 경우 제2 영상정보의 이미지에 대한 조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대한 조정이란 이미지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에 대한 조절이나,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pixel) 들의 밝기, 색상, 대조 및 컬러 값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영상정보는 일반적인 드라마와 같이 고정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배경이나 출연자들을 촬영한 영상이며, 제2 영상정보는 디스플레이가 장착 또는 결합된 헤드 마운트형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를 이용하여 시청하도록 구성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드라마의 공간이 복도(501)인 상태에서는 통상의 드라마와 같이 고정 시점으로 콘텐츠가 제공되다가, 드라마의 공간이 방 안(502)으로 변화되면 해당 공간 내에서는 시청자가 HMD를 착용하여 VR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좌우 또는 상하로 분할된 양안용 영상이 제2 영상정보로 스트리밍되도록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스트리밍 영상의 공간이 복도(501)로부터 방 안(502)으로 변화되는 것에 맞추어 콘텐츠의 종류가 VR 영상으로 전환되도록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및 화면 표시 형태(예컨대, 시점 분할 방식)에 대한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제2 영상정보는 콘텐츠의 주된 내용인 제1 영상정보(또는 제3 영상정보)와 상이하거나 이에 추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임의의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의 제2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에는 콘텐츠의 종류가 제1 영상정보(또는 제3 영상정보)와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임의의 메타데이터(metadata)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상정보가 광고일 경우 메타데이터는 현재 스트리밍되는 영상이 광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이와 더불어 광고 물품의 가격이나 구입처 등 시청자 경험 확장을 위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드라마 등 콘텐츠는 시청자들의 참여를 통하여 콘텐츠의 다음 내용이 결정되는 참여형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이와 같이 시청자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드라마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영상정보를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에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S21). 이러한 스트리밍의 전송 도중 또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시점에,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21-23)로부터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 이처럼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이 시청자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콘텐츠 중계 서버(4)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의 내용이 드라마로부터 광고로 전환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광고 동안 시청자들의 반응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절차를 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정보는 광고 물품에 대한 광고를 대신하여 또는 이러한 광고와 더불어 시청자들이 자신의 반응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예컨대, 후보 선택지 및 투표 방법)을 메타데이터로서 포함할 수 있다. 광고가 스트리밍되는 동안 시청자들은 설정된 투표 방법에 따라 이야기의 분기 또는 흐름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반응정보의 형태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으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서는 이러한 반응정보를 수집 및 집계하여 광고 이후 이어질 드라마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S23).
광고 스트리밍이 종료되면, 출연자와 스태프 등 제작진들은 시청자들의 반응정보를 토대로 광고 전의 드라마에 이어질 다음 드라마 내용을 촬영함으로써(S24), 시청자들의 의견이 실시간으로 콘텐츠 내용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정보에 해당하는 광고가 스트리밍되는 동안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한 반응정보의 수신 과정(S22)과 이에 기초한 콘텐츠 내용 결정 과정(S23)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시청자들의 반응을 드라마의 다음 회차에 반영하는 등 실시간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참여형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시청자들의 반응 방식으로 투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투표가 아닌 다른 상이한 형태로 시청자들의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공간 내에 배치된 소정의 지표를 이용하여 영상정보 내의 공간 변화를 탐지하는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드라마 내용에 해당하는 제1 영상정보, 및 광고와 같은 부가 또는 확장 콘텐츠에 해당하는 제2 영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1). 예컨대,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실시간으로 제1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제2 영상정보를 하나 이상의 촬영 장치(11, 12)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사전에 제2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제1 영상정보를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 장치(21-23)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스트리밍과 동시에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즉, 제1 영상정보)에서 공간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전환지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S32). 본 명세서에서 공간전환지표란 공간의 구획을 이미지 상에서 확인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물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벽, 기둥, 문 등과 같은 구조물에 부착되며 바코드 또는 QR코드와 같이 인식이 용이한 패턴을 가진 마커(mark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이러한 공간전환지표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러한 공간전환지표를 이용하여 영상 내의 공간이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으로 전환되는 것을 파악하여, 제2 공간으로 전환되는 프레임에 이어서 제2 영상정보가 결합되도록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S33), 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S34). 즉, 본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스트리밍 영상 내의 공간 변화를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자동 검출하여, 공간이 변화되는 시점에 맞추어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 전환시킴으로써 끊어짐 없는 콘텐츠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서 공간전환지표의 검출을 통한 영상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영상의 촬영 공간이 도 3의 복도(301)로부터 방(302) 안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이미지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영상정보(801, 802), 예컨대, 스트리밍되는 영상의 각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공간전환지표(800)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a 및 8b에서 공간전환지표(800)는 방(302)의 입구 근처의 벽에 부착된 QR 코드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공간전환지표(800)는 복도로부터 방(302)으로 공간이 전환되는 경우 화면 상에 나타나기 쉬운 다른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공간전환지표(800)의 형태는 QR코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인식이 용이한 다른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공간전환지표(800)는 인위적으로 준비된 별도의 물체가 아니라, 벽체, 문틀, 창문 등 복도와 방을 포함하는 촬영 공간을 구성하는 임의의 구조물일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사전에 설정된 구조물을 이미지상에서 탐지하는 방식으로 공간전환지표(800)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전환지표(800)의 탐지에는 이미지 상의 픽셀들을 물체로 인식하고 물체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b는 도 8a와 비교하여 카메라 시점(즉, 촬영 장치의 위치)이 복도로부터 방(302) 쪽으로 더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다. 공간전환지표(800)가 방(302) 외부의 벽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카메라가 복도로부터 방(302) 쪽을 향하면 공간전환지표(800)는 처음에는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전히 이미지 내에 등장하였다가, 카메라가 방(302) 쪽으로 더 전진함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전환지표(800)가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이미지 내에 보여지게 될 것이다. 이후 카메라가 방(302) 안으로 완전히 진입하면, 방(302)의 외벽에 위치하는 공간전환지표(800)는 이미지상에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스트리밍되는 이미지 내에서 공간전환지표(800)가 보이는 형태에 따라 촬영 공간의 위치(즉, 카메라 위치)를 결정하고, 촬영 공간이 방(302)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제1 영상정보로부터 제2 영상정보로의 전환이 일어나도록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전환지표(800)가 이미지 내에 온전히 등장하였다가,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전환지표(800)가 이미지의 가장자리로 이동한 후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된다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공간전환지표(800)가 이미지에 등장 후 완전히 사라진 최초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방(302)으로의 공간 전환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해당 프레임에 이어서 방(302) 안에서 촬영되는 광고(즉, 제2 영상정보)가 결합되도록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전환지표(800)를 이용하여 공간 전환이 일어난 이미지 프레임을 특정하는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전환지표는 외벽이 아닌 방(302)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도로부터 방(302)으로 들어가는 그 중간의 공간(예컨대, 문틀)에 위치하는 물체일 수도 있고, 공간전환지표의 위치에 따라 공간이 전환된 프레임을 특정하는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공간전환지표가 최초로 등장한 프레임을 공간이 전환된 프레임으로 하거나, 또는 공간전환지표가 등장한 후 이미지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그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되었을 때 이미지가 온전히 보이지 않게 된 최초의 프레임을 공간이 전환된 프레임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촬영 장치(11-12)가 촬영한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공간의 전환을 추정할 수 있는 특정 지표를 검출하는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제1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공간(예컨대, 복도(301))으로부터 제2 영상정보에 상응하는 공간(예컨대, 방(302))으로의 전환을 탐지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이미지 처리가 아닌 다른 상이한 방법으로 촬영 공간의 변화를 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촬영 장치(11-12)는 촬영 장치(11-12)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어, 촬영된 영상정보와 함께 촬영 장치(11-12)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11-12)의 위치정보와 촬영 장치(11-12)가 촬영한 영상정보는 촬영 시간 등 소정의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정보의 각 이미지 프레임에는 해당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의 촬영 장치(11-12)의 GPS 좌표가 태깅(tagging)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미리 설정된 촬영 영역 내에서 드라마 촬영 공간과 광고 촬영 공간을 식별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촬영 장치(11-12)의 영상정보에 태깅된 GPS 좌표를 이용하여 영상의 촬영 위치가 제1 공간(예컨대, 복도(301))으로부터 제2 공간(예컨대, 방(302))으로 전환되는 것을 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3)은 드라마를 촬영 중인 촬영 장치(11, 12)의 위치가 제2 공간으로 전환된 것을 탐지한 시점에 이어 광고 영상으로의 전환이 일어나도록 촬영 장치(11, 12)를 제어하거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끊어짐 없는 영상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1 공간에서 촬영되며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를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및
    상기 제1 영상정보가, 제2 공간에서 촬영되며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와 결합된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결된 공간이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상기 제1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로부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시청자 반응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청자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이어질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호작용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정보 및 상기 제2 영상정보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제3 공간에서 촬영되며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연속하는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3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3 영상정보가 상기 제2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5.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1 공간에서 촬영되며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1 영상정보를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2 공간에서 촬영되며 부가 또는 확장된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제1 영상정보에 결합함으로써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연결된 공간이며,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2 영상정보가 상기 제1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로부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시청자 반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시청자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이어질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1 영상정보 및 상기 제2 영상정보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3 공간에서 촬영되며 상기 제1 영상정보에 연속하는 콘텐츠 내용에 상응하는 제3 영상정보를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2 영상정보에 촬영된 공간이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공간으로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제3 영상정보가 상기 제2 영상정보에 끊어짐 없이(seamless) 연속되도록 상기 스트리밍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04320A 2022-08-19 2022-08-19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26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320A KR20240026002A (ko) 2022-08-19 2022-08-19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320A KR20240026002A (ko) 2022-08-19 2022-08-19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002A true KR20240026002A (ko) 2024-02-27

Family

ID=9005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320A KR20240026002A (ko) 2022-08-19 2022-08-19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0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04B1 (ko) 2017-03-23 2018-06-28 주식회사 포이드림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04B1 (ko) 2017-03-23 2018-06-28 주식회사 포이드림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1739B2 (en) Panoramic virtual reality framework providing a dynamic user experience
US102109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content to video/multimedia based on metadata
KR102246305B1 (ko)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330310B2 (en) Encoding device and method,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9252897B2 (en) Multi-feed event viewing
CN103024464B (zh) 提供与视频播放内容相关信息的系统和方法
US10574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live action alpha-numeric text to re-rendered and embedded pixel information for video overlay
US20120233646A1 (en) Synchronous multi-platform content consumption
US20140245367A1 (en)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6903653B2 (ja) 共通メディアセグメントの検出
US8000578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using home server and mobile phone
KR101472013B1 (ko)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US119099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bit rate content encoding
US1069424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ame enhancement using cross-augmentation
US20220165308A1 (en) Point of view video processing and curation platform
US20130205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about content in broadcasting system
JP2016012351A (ja) 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により超高解像度ビデオコンテンツ内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KR20240026002A (ko) 실시간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실시간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090064257A1 (en) Compact graphics for limited resolution display devices
US20080256169A1 (en) Graphics for limited resolution display devices
WO2015199095A1 (ja) 動画コンテンツ表示装置
KR20100047591A (ko) 인터넷 연동형 객체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403730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ermissive auxiliary information user interface
US20090307725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in vod service and vod system implemented with the same
WO2013150724A1 (ja) 送信装置、再生装置及び送受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