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213B1 -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213B1
KR102441213B1 KR1020207002313A KR20207002313A KR102441213B1 KR 102441213 B1 KR102441213 B1 KR 102441213B1 KR 1020207002313 A KR1020207002313 A KR 1020207002313A KR 20207002313 A KR20207002313 A KR 20207002313A KR 102441213 B1 KR102441213 B1 KR 10244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amping force
case
caulking
fla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006A (ko
Inventor
아츠시 마에다
다이키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1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구비한 코킹부는, 솔레노이드 케이스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코킹용 홈부와, 상기 코킹용 홈부 내에 절곡되어 수납되는 밸브 케이스의 박벽부의 일단부로 이루어지며, 코킹용 홈부는, 밸브 케이스측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케이스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이에 의해, 코킹 고정에 의한 솔레노이드 블록 및 밸브 블록에 대한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견고하게 솔레노이드 케이스와 밸브 케이스를 코킹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본 발명은, 자동차나 철도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등에 구비되고,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감쇠력 발생 수단에 의해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감쇠력 발생 수단에 의한 감쇠력 특성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일반적으로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 내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 피스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장착하고,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에 대하여,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생기는 유체의 흐름을 감쇠력 발생 수단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감쇠력 발생 수단에서는, 솔레노이드에 대한 통전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감쇠력 특성을 제어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감쇠력 발생 수단에서는, 솔레노이드를 수용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와, 밸브 기구를 수용하는 밸브 케이스를 너트 부재에 의해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서는,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서, 솔레노이드 케이스와 밸브 케이스가 너트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가 채용되었지만, 너트 부재에 의한 양자의 연결을 폐지하여, 비분해식 구조로서 솔레노이드 케이스와 밸브 케이스를 코킹 고정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제5462142호 명세서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에서는, 밸브 케이스의 외주벽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코킹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케이스에 접속된 슬리브형 연장부의 코킹 홈부에 대응하는 외주벽의 위치에, 코킹 지그에 의해 성형 하중을 부여함으로써 양자를 코킹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에서의 코킹 고정에서는, 성형 시에, 코킹 지그에 의해 슬리브형 연장부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큰 성형 하중이 부여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및 밸브 기구에 큰 성형 하중이 부여되어, 솔레노이드 및 밸브 기구의 각 구성 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코킹 고정에 의한 솔레노이드 블록 및 밸브 블록에 대한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견고하게 솔레노이드 케이스와 밸브 케이스를 코킹 고정할 수 있는 코킹부를 갖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내부에 감쇠력 발생 수단 및 상기 감쇠력 발생 수단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가 수납되는 통부재를 가지며,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이동에 따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상기 통부재 내의 상기 감쇠력 발생 수단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는, 제1 통체와, 상기 제1 통체의 외측이자, 상기 제1 통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통체와, 상기 제1 통체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체를 코킹하여 고정하는 코킹부를 가지며,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제1 통체의 외주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 내에 절곡되어 수납되는 상기 제2 통체의 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통체측으로부터 상기 제1 통체측을 향해 상기 통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의하면,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구비한 코킹부에 의해, 코킹 고정에 의한 솔레노이드 블록 및 밸브 블록에 대한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원하는 제거 하중을 갖도록 견고하게 솔레노이드 케이스와 밸브 케이스를 코킹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구비한 감쇠력 발생 수단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를 나타내고, (a)는 코킹 고정 후의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상기 코킹부에 의해 코킹 고정하기 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를 나타내고, (a)는 코킹 고정 후의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상기 코킹부에 의해 코킹 고정하기 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를 나타내고, (a)는 코킹 고정 후의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상기 코킹부에 의해 코킹 고정하기 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를 나타내고, (a)는 코킹 고정 후의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상기 코킹부에 의해 코킹 고정하기 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는, 차체와 대차 사이에 세로로 놓은 상태로 부착되는 철도 차량용 상하 이동 댐퍼로서 채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로 놓은 상태로 부착되는 철도 차량용 상하 이동 댐퍼를 예로서 나타내지만, 좌우 이동 댐퍼나 요우 댐퍼에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를 자동차의 댐퍼로서 채용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는, 실린더(2)의 외측에 상기 실린더(2)와 동심형으로 외통(3)을 구비한 복통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실린더(2)와 외통(3) 사이에 리저버(4)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 내에는, 피스톤(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 피스톤(5)에 의해 실린더(2) 내부가 실린더 상실(2A)과 실린더 하실(2B)의 2실(室)로 구획되어 있다. 피스톤(5)에는, 피스톤 로드(6)의 하단이 너트(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6)의 상단측은, 실린더 상실(2A)을 통과하고, 실린더(2) 및 외통(3)의 상단부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8) 및 오일 시일(9)에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2)의 하단부에는, 실린더 하실(2B)과 리저버(4)를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5)에는, 실린더 상실(2A)과 실린더 하실(2B)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로(11, 12)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12)에는, 실린더 하실(2B)측으로부터 실린더 상실(2A)측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13)가 설치된다. 한편, 통로(11)에는, 실린더 상실(2A)측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에 개방되어, 이 압력을 실린더 하실(2B)측으로 릴리프하는 디스크 밸브(14)가 설치된다.
베이스 밸브(10)에는, 실린더 하실(2B)과 리저버(4)를 연통시키는 통로(15, 16)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15)에는, 리저버(4)측으로부터 실린더 하실(2B)측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17)가 설치된다. 한편, 통로(16)에는, 실린더 하실(2B)측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에 개방되어, 이 압력을 리저버(4)측으로 릴리프하는 디스크 밸브(18)가 설치된다. 작동 유체로서, 실린더(2) 내에는 오일액이 봉입되고, 리저버(4) 내에는 오일액 및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실린더(2)에는, 상하 양단부에 배치된 시일 부재(19, 19)를 통해 세퍼레이터 튜브(20)가 외측에 끼워져 있고, 실린더(2)와 세퍼레이터 튜브(20) 사이에 고리형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통로(21)는, 실린더(2)의 상단부 부근의 측벽에 설치된 통로(22)에 의해 실린더 상실(2A)에 연통되어 있다. 세퍼레이터 튜브(20)의 하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개구된 원통형의 접속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의 외주벽에는, 접속구(23)와 동심형이며 접속구(23)보다 대직경인 개구(24)가 설치된다. 외통(3)의 하부 외주벽의 외측에는, 개구(24)를 둘러싸도록 감쇠력 발생 수단(25)이 부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감쇠력 발생 수단(25)을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외통(3)에 가까운 쪽을 타단측으로 하고, 외통(3)으로부터 먼 쪽을 일단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쇠력 발생 수단(25)은, 파일럿형의 메인 밸브(32) 및 페일(fail) 시에 작동하는 페일 밸브(33) 등을 구비한 밸브 블록(35)과, 메인 밸브(32)의 개방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구동의 압력 제어 밸브인 파일럿 밸브(36)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블록(37)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솔레노이드 블록(37) 및 밸브 블록(35)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외통(3)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밸브 블록(35)과 솔레노이드 블록(37)은, 원통형의 케이스(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40)는, 밸브 블록(35)을 수용하는 밸브 케이스(41)와, 솔레노이드 블록(37)을 수용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를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 의해 코킹 고정하여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블록(37)이, 일단측에서, 외통(3)으로부터 직경 방향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밸브 블록(35)이, 타단측에서, 외통(3)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40)는 통부재에 해당한다.
밸브 블록(35)은, 원통형의 밸브 케이스(41)에 수용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41)가 제2 통체에 해당한다. 밸브 케이스(41)는, 후벽부(48)와, 상기 후벽부(48)로부터 연속하여 일단측에 설치되는 박벽부(47)를 구비하고 있다. 후벽부(48)와 박벽부(47)는, 일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벽부(4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41)에 있어서, 박벽부(47)에서의 내경과 후벽부(48)에서의 내경은 대략 동일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박벽부(47)의 일단부에는,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0)를 포함하는 박벽부(47)가, 후술하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의 구성이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41)의 타단부에는, 후벽부(48)로부터 연속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 플랜지(52)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플랜지(52)의 내측에 개구(53)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플랜지(52)의 일단부면에는, 리저버(4) 내부와 밸브 케이스(41) 내부의 액실(72)(후술함)을 연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절결(5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41)는, 내측 플랜지(52)의 타단부면이 외통(3)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양자(41, 3)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밸브 블록(35)의 후술하는 메인 보디(68) 내부와,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는 통로 부재(60)를 통해 연통된다. 상기 통로 부재(60)는, 내부에 연통로(63)를 갖는 원통부(61)와, 상기 원통부(61)의 일단부의 외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형의 플랜지부(62)로 구성된다. 통로 부재(60)의 원통부(61)의 내주면 및 외주면과, 플랜지부(62)의 내주측의 일단부면 및 타단부면은 시일 부재(6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 부재(60)의 플랜지부(62)가, 후술하는 메인 보디(68)의 타단부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밸브 케이스(41)의 내측 플랜지(52)에 접촉함으로써, 또한 원통부(61)가 밸브 케이스(41)의 개구(53)에 삽입 관통되어, 그 선단부가 접속구(23) 내에 밀착된다. 그 결과, 통로 부재(60)의 연통로(63)에 의해 접속구(23)와 메인 보디(68) 내부가 연통되고, 또한 통로 부재(60)의 시일 부재(66)에 의해 접속구(23)와 메인 보디(68)의 접합부가 밀봉된다.
밸브 블록(35)은, 메인 밸브(32)와, 상기 메인 밸브(32)가 착좌하는 메인 보디(68)와, 파일럿핀(69)과, 파일럿 밸브(36)와, 상기 파일럿 밸브(36)가 착좌하는 파일럿 보디(70)와, 페일 밸브(33)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보디(68) 및 파일럿 보디(70)와, 밸브 케이스(41)의 사이에 액실(72)이 형성된다. 메인 보디(68)에는, 직경 방향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구멍(7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구멍(74)에 파일럿핀(69)의 타단부가 지지된다. 메인 보디(68)에는, 지지 구멍(74)의 둘레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75)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메인 보디(68)의 지지 구멍(74) 및 각 통로(75)는, 통로 부재(60)의 원통부(61) 내의 연통로(63)에 연통하고 있다.
파일럿핀(69)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핀(69)에는, 타단을 개구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리피스 통로(76)와, 일단을 개구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리피스 통로(76)에 연통하는 대직경 유통로(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핀(69)에는, 그 축방향 대략 중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고리형 돌출부(81)가 돌출되어 있다. 파일럿핀(69)의 타단측이 메인 보디(68)의 지지 구멍(74)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구멍(74)과, 파일럿핀(69)의 대직경 유통로(77) 및 오리피스 통로(76)가 연통된다. 파일럿핀(69)의 고리형 돌출부(81)와, 메인 보디(68)의 일단부면 사이에, 메인 밸브(32)로서의 복수의 메인 디스크 밸브(32A)가 지지된다.
파일럿핀(69)의 일단측에 파일럿 보디(7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보디(70)는 단면이 대략 H자형으로 형성된다. 파일럿 보디(70)의 일단 개구는, 직경 방향 중앙에 관통 구멍(84)을 갖는 유지 플레이트(8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 결과, 파일럿 보디(70)와 유지 플레이트(85) 사이에 밸브실(86)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84)에 작동 로드(125)가 삽입 관통된다. 유지 플레이트(85)의 관통 구멍(84)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통로(88)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플레이트(85)와, 솔레노이드 블록(37)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바닥부 사이로부터 파일럿 보디(70)의 일단 외주에 이르는 범위에 스페이서(90)가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90)는, 삽입 관통 구멍(91)을 갖는 원판부(92)와, 상기 원판부(9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부(93)로 이루어진다. 원통형부(93)는 둘레 방향을 따라 물결형으로 형성된다. 원판부(92)에는, 그 삽입 관통 구멍(91)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원통형부(93)의 일단부에 이르는 범위에 복수의 절결부(94)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70)에는, 그 일단부면의 직경 방향 중앙에 개구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직경 연통 구멍(97)과, 그 타단부면의 직경 방향 중앙에 개구되고, 소직경 연통 구멍(97)에 연통하는 대직경 지지 구멍(98)이 형성된다. 상기 대직경 지지 구멍(98)의 내경은 파일럿핀(69)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직경 지지 구멍(98)에, 파일럿핀(69)의 일단이 지지되고,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과, 파일럿핀(69)의 대직경 유통로(77) 및 오리피스 통로(76)가 연통된다. 또, 대직경 지지 구멍(98)과 파일럿핀(69)의 일단 사이에 연통로(80)가 형성된다. 파일럿 보디(70)에는, 소직경 연통 구멍(97) 및 대직경 지지 구멍(98)의 둘레에, 밸브실(86)에 연통하도록 관통하는 통로(100)가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핀(69)의 고리형 돌출부(81)와 파일럿 보디(70) 사이에, 각 통로(100)를 덮도록 하여 슬릿이 형성된 디스크(102) 및 가요성 디스크(103)가 지지된다. 그리고, 메인 보디(68)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메인 디스크 밸브(32A)와, 파일럿 보디(70)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슬릿이 형성된 디스크(102) 및 가요성 디스크(103)로 둘러싸인 범위에 배압실(105)이 형성된다. 상기 배압실(105)은, 슬릿이 형성된 디스크(102)의 슬릿 및 연통로(80)를 통해,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에 연통된다.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의 둘레의 시트부에, 파일럿 밸브(36)가 착좌·이좌된다. 상기 파일럿 밸브(36)는, 파일럿 밸브 부재(108)와, 상기 파일럿 밸브 부재(108)를 탄성 지지하는 박후판형의 복수의 스프링 부재(109)를 구비하고 있다. 파일럿 밸브 부재(108)는, 파일럿 보디(70)에 착좌·이좌되어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을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파일럿 밸브 부재(108)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11)과, 상기 관통 구멍(111)에 연통하여 작동 로드(125)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112)을 갖는다. 파일럿 밸브 부재(108)의 수용 구멍(112)에 작동 로드(125)의 타단부가 수용된다. 파일럿 밸브 부재(108)의 일단 근처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스프링 받침부(113)가 형성된다. 스프링 받침부(113)의 일단측과 유지 플레이트(85) 사이에, 페일 밸브(33)로서의 복수의 페일 디스크 밸브(33A)가 지지된다.
솔레노이드 블록(37)은, 원통형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2)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케이스(42)가 제1 통체에 해당한다. 솔레노이드 블록(37)은, 솔레노이드 케이스(42) 내에, 보빈(120)에 감긴 코일(121)과, 코일(121) 내에 삽입된 한쌍의 코어(122, 123)와, 코어(122, 123)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124)와, 플런저(124)에 연결된 중공의 작동 로드(125)를 내장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이들은,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일단부에 코킹에 의해 부착된 고리형 스페이서(127) 및 컵형 커버(1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보빈(120)에 감긴 코일(121)은, 몰드 수지부(130)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코일(121)에 통전하는 리드선(도시 생략)이 컵형 커버(128)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코일(121), 코어(122, 123), 플런저(124) 및 작동 로드(125)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리드선을 통해 코일(121)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그 전류에 따라서 플런저(124)[작동 로드(125)]에 축방향의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의 일단측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 의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에 대하여 밸브 케이스(41)를 코킹하여 고정한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경은 밸브 케이스(41)의 내경과 대략 일치한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2)와 밸브 케이스(41)는 시일 부재(131)에 의해 액밀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을 또한 참조하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와,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코킹용 홈부(150A) 내에 절곡되어 수납되는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코킹용 홈부(150A)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밸브 케이스(41)측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을 향해[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A)과, 밸브 케이스(41)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152A)의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직경 방향 평탄면(153A)으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축방향에 대한 경사면(152A)의 경사 각도 α는, 30°∼50°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축방향에 대한 경사면(152A)의 경사 각도 α는 38°로 설정된다. 경사면(152A)과 직경 방향 평탄면(153A)의 교점은, 코일(121)을 보호하는 몰드 수지부(130)의 외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 내에 배치되었을 때,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과, 코킹용 홈부(150A)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A) 사이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과 경사면(152A)의 교점은,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기점보다 타단측[시일 부재(131)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밸브 케이스(41) 내에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을 배치하여 양자(41, 42)를 코킹 고정할 때에는, 우선, 밸브 케이스(41) 내에 그 일단측으로부터 통로 부재(60)를 삽입하여, 통로 부재(60)의 플랜지부(62)를 밸브 케이스(41)의 내측 플랜지(52) 상에 접촉시키고, 통로 부재(60)의 원통부(61)를 밸브 케이스(41)의 내측 플랜지(52)로부터 내측의 개구(53)에 삽입 관통시킨다. 그 후, 밸브 블록(35)과 솔레노이드 블록(37)을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이들을 밸브 케이스(41) 내에 삽입하여 밸브 블록(35)의 메인 보디(68)의 타단부면을 통로 부재(60)의 플랜지부(62)에 접촉시키고,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부를 밸브 케이스(41)의 일단측의 내부에 접촉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과, 코킹용 홈부(150A)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A) 사이에 축방향을 따르는 간격이 형성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과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의 경사면(152A)의 교점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기점보다 타단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축방향을 따라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직경 방향 외측을 이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킹 지그에 의해, 케이스(40)의 내측을 향해 절곡시킨다. 그렇게 하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에서의 돌출부(50)를 제외한 내주면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코킹용 홈부(150A)에 설치한 경사면(152A)에 접촉한다. 이 때,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내주면은, 코킹용 홈부(150A)의 경사면(152A)에는 접촉하지 않고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 내에,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 의해 코킹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피스톤 로드(6)의 신장 행정 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역지 밸브(13)가 폐쇄되고, 디스크 밸브(14)의 개방 전에는 실린더 상실(2A)측의 오일액이 가압되어, 오일액이 통로(22) 및 고리형 통로(21)를 통과하고,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로부터 감쇠력 발생 수단(25)의 통로 부재(60)의 연통로(63)에 유입된다. 그 후, 오일액이 감쇠력 발생 수단(25)을 통과함으로써 감쇠력이 발생하여 리저버(4)로 되돌아간다.
이 신장 행정 시에, 피스톤(5)이 이동한 만큼의 오일액은, 리저버(4)로부터 베이스 밸브(10)의 통로(15)를 경유하여 역지 밸브(17)를 개방시키고, 실린더 하실(2B)에 유입된다. 또, 실린더 상실(2A)의 압력이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14)의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14)가 개방되고, 실린더 상실(2A)의 압력을 통로(11)를 통해 실린더 하실(2B)로 릴리프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 상실(2A)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한다.
한편, 피스톤 로드(6)의 축소 행정 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통로(12)를 유동하는 오일액에 의해 역지 밸브(13)가 개방되고, 베이스 밸브(10)의 역지 밸브(17)가 폐쇄되고, 디스크 밸브(18)의 개방 전에는, 실린더 하실(2B)의 오일액이 통로(12)를 통해 실린더 상실(2A)에 유입되고, 피스톤 로드(6)가 실린더(2) 내에 침입한 만큼의 오일액이, 실린더 상실(2A)로부터 통로(22) 및 고리형 통로(21)를 통과하여,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접속구(23)로부터 감쇠력 발생 수단(25)의 통로 부재(60)의 연통로(63)에 유입된다. 그 후, 오일액이 감쇠력 발생 수단(25)을 통과함으로써 감쇠력이 발생하여 리저버(4)로 되돌아간다. 또, 실린더 하실(2B) 내의 압력이 베이스 밸브(10)의 디스크 밸브(18)의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18)가 개방되어 실린더 하실(2B)의 압력을 통로(16)를 통해 리저버(4)로 릴리프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 하실(2B)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한다.
그리고, 감쇠력 발생 수단(25)에서는, 솔레노이드 블록(37)의 코일(121)에 통전하면, 작동 로드(125)에 의해 파일럿 밸브 부재(108)가 스프링 부재(109)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전진되어, 그 선단이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 둘레의 시트부에 착좌된다. 이에 의해, 코일(121)에 대한 통전 전류에 의해 파일럿 밸브(36)의 개방 압력을 제어하여, 파일럿 밸브(36)에 의한 압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즉, 감쇠력 발생 수단(25)에서는, 피스톤 로드(6)의 신장 행정 시 그리고 축소 행정 시, 오일액이 통로 부재(60)의 연통로(63)를 경유하여 메인 보디(68)의 지지 구멍(74) 및 각 통로(75)에 유입되면, 메인 밸브(32)의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 이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는, 오일액은, 파일럿핀(69)의 오리피스 통로(76) 및 대직경 유통로(77)로부터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을 경유하여, 파일럿 밸브(36)의 파일럿 밸브 부재(108)를 밀어서 개방시켜 밸브실(86) 내에 유입된다. 그리고, 밸브실(86)의 오일액은, 유지 플레이트(85)의 각 연통로(88)로부터 스페이서(90)의 절결부(94), 밸브 케이스(41) 내의 액실(72) 및 밸브 케이스(41)의 내측 플랜지(52)에 형성한 절결(54)을 경유하여 리저버(4)로 흐른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가 상승하여 실린더(2)의 실린더 상실(2A)측의 압력이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통로 부재(60)의 연통로(63)를 통과한 오일액은, 메인 보디(68)의 각 통로(75)를 통과하고,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를 밀어서 개방시켜, 밸브 케이스(41) 내의 액실(72)로 직접 흐른다.
이와 같이, 감쇠력 발생 수단(25)에서, 메인 밸브(32)의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 이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는, 파일럿핀(69)의 오리피스 통로(76) 및 파일럿 밸브(36)의 파일럿 밸브 부재(108)의 개방 압력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 이후(피스톤 속도 고속 영역)에는,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도에 따라서 감쇠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121)에 대한 통전 전류에 의해 파일럿 밸브(36)의 개방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에 상관없이 감쇠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즉, 파일럿 밸브(36)의 개방 압력에 의해, 오일액이 파일럿 보디(70)의 소직경 연통 구멍(97), 연통로(80), 슬릿이 형성된 디스크(102)의 슬릿을 통해 배압실(105)에 유입되는 것에 의해 배압실(105)의 내압이 변화한다. 이 배압실(105)의 내압은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파일럿 밸브(36)의 개방 압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 압력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121)의 단선, 차재 컨트롤러의 고장 등의 페일의 발생에 의해, 플런저(124)[작동 로드(125)]의 추진력이 상실되는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109)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파일럿 밸브 부재(108)가 후퇴하여, 스프링 받침부(113)의 일단부면이 페일 밸브(33)의 각 페일 디스크 밸브(33A)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파일럿 밸브 부재(108)의 상태에서, 밸브실(86) 내의 오일액은 페일 밸브(33)[각 페일 디스크 밸브(33A)]를 밀어서 개방시키고, 유지 플레이트(85)의 각 연통로(88) 및 스페이서(90)의 절결부(94)를 경유하여 밸브 케이스(41) 내의 액실(72)로 흐른다. 이와 같이, 밸브실(86)로부터 밸브 케이스(41) 내의 액실(72)에 대한 오일액의 흐름은, 페일 밸브(33)[각 페일 디스크 밸브(33A)]에 의해 제어되게 되므로, 페일 밸브(33)[각 페일 디스크 밸브(33A)]의 개방 압력의 설정에 의해 원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배압실(105)의 내압, 즉, 메인 밸브(32)의 각 메인 디스크 밸브(32A)의 개방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페일 시에도 적절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에서는, 밸브 케이스(41)와 솔레노이드 케이스(42)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 의해 코킹 고정된다. 특히,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밸브 케이스(41)측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을 향해(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A)을 갖는다. 그리고, 축방향을 따라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직경 방향 외측을 이동하는 코킹 지그에 의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내측을 향해 절곡시키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에서의 돌출부(50)를 제외한 내주면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코킹용 홈부(150A)에 설치한 경사면(152A)에 접촉하도록 하여 코킹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서는,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를, 그 코킹 여유의 편차를 흡수하면서, 확실하게 소정 각도[경사면(152A)의 경사 각도 α에 해당]로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서는, 이 코킹 지그에 의한 성형 중, 케이스(40)의 축방향을 따르는 성형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밸브 블록(35) 및 솔레노이드 블록(37)에 대한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성형 중, 상기 코킹 지그에 의한, 케이스(40)의 축방향을 따르는 성형 하중이, 코킹용 홈부(150A)의 경사면(152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과 경사면(152A)을 따르는 방향으로 분산된다. 그 결과, 코킹 지그에 의한 축방향을 따르는 성형 하중보다 작은 하중이, 밸브 블록(35) 및 솔레노이드 블록(37)에 부여되기 때문에, 성형 시의 밸브 블록(35) 및 솔레노이드 블록에 대한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밸브 블록(35) 및 솔레노이드 블록(37)의 각 구성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코킹 성형 중의 성형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그 축방향을 따르는 성형 하중을 크게 할 수 있어, 제거 하중에 대하여 우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를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와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킹용 홈부(150B)의 형상이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밸브 케이스(41)측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52B)과, 상기 경사면(152B)의 단부로부터 밸브 케이스(41)측과는 반대측에 이어서 설치되고 케이스(4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방향 평탄면(154B)과, 상기 축방향 평탄면(154B)의 단부로부터 이어서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직경 방향 평탄면(153B)으로 구성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에서의 경사면(152B)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에서의 경사면(152A)과 그 경사 각도 α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의 축방향 평탄면(154B)이 제1 평탄면에 해당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의 축방향 평탄면(154B)은, 코일(121)을 보호하는 몰드 수지부(130)보다 케이스(4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그 결과, 축방향 평탄면(154B)과 직경 방향 평탄면(153B)의 교점은, 몰드 수지부(130)보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B)은,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A)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와 동일하다. 또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 내에 배치되었을 때,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은, 축방향 평탄면(154B)의 축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과, 코킹용 홈부(150B)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B) 사이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과 경사면(152B)의 교점은,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기점보다 타단측[시일 부재(131)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을 밸브 케이스(41) 내에 배치한 후,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상기 코킹 지그에 의해 케이스(40)의 내측을 향해 절곡시킨다. 그렇게 하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에서의 돌출부(50)를 제외한 내주면이, 코킹용 홈부(150B)에 설치한 경사면(152B)에 접촉한다. 또한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의 내주 가장자리가, 코킹용 홈부(150B)에 설치한 축방향 평탄면(154B)에 접촉한다. 또, 이때,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내주면은, 코킹용 홈부(150B)의 경사면(152B) 및 축방향 평탄면(154B)에는 접촉하지 않고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에 의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 내에 코킹 고정된다.
그런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A)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A)과 코일(121)의 몰드 수지부(130) 사이의 벽부가 얇고, 코일(121)로부터의 자장 형성에 있어서 그 박육부에서 자속의 포화가 생겨, 소정의 추진력을 얻을 수 없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의 코킹용 홈부(150B)에서는, 축방향 평탄면(154B)을 설치하고, 상기 축방향 평탄면(154B)이 몰드 수지부(130)보다 케이스(40)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와 코일(121)의 몰드 수지부(130) 사이의 벽부의 두께를 제1 실시형태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속의 포화를 억제할 수 있어, 소정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C)를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C)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와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코킹용 홈부(150C)의 형상이 상이하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밸브 케이스(41)측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152C')과, 상기 제1 경사면(152C')의 단부로부터 밸브 케이스(41)측과는 반대측에 이어서 설치되고 케이스(4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방향 평탄면(154C)과,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축방향 평탄면(154C)의 단부까지 연장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으로부터 밸브 케이스(41)측을 향해(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지고 축방향 평탄면(154C)보다 얕은 제2 경사면(152C'')으로 구성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의 축방향 평탄면(154C)이 제1 평탄면에 해당하고, 제2 경사면(152C'')이 제2 평탄면에 해당한다. 또,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에서의 제1 경사면(152C') 및 축방향 평탄면(154C)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에서의 경사면(152B) 및 축방향 평탄면(154B)과 동일한 구성이며,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B)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B)을 제2 경사면(152C'')으로 치환한 구성이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의 제2 경사면(152C'')은, 제1 경사면(152')과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C)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을 밸브 케이스(41) 내에 배치한 후,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상기 코킹 지그에 의해, 케이스(40)의 내측을 향해 절곡시킨다. 그렇게 하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B)와 마찬가지로,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에서의 돌출부(50)를 제외한 내주면이, 코킹용 홈부(150C)에 설치한 제1 경사면(152C')에 접촉한다. 또한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의 내주 가장자리가, 코킹용 홈부(150C)에 설치한 축방향 평탄면(154C)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C)에 의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 내에 코킹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게다가,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상기 코킹 지그에 의해, 케이스(40)의 내측을 향해 절곡시킬 때, 제2 경사면(152C'')에 의해 박벽부(47)의 일단부의 이동 영역에 대한 릴리프를 형성할 수 있어, 코킹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D)를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D)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C)와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코킹용 홈부(150D)의 형상이 상이하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D)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평탄면(153D)과, 상기 직경 방향 평탄면(153D)의 단부로부터 밸브 케이스(41)측과는 반대측에 이어서 설치되고 밸브 케이스(41)측으로부터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152D')과, 상기 제1 경사면(152D')의 단부로부터 밸브 케이스(41)측과는 반대측에 이어서 설치되고 케이스(4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방향 평탄면(154D)과,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축방향 평탄면(154D)의 단부까지 연장되고 솔레노이드 케이스(42)측으로부터 밸브 케이스(41)측을 향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152D'')으로 구성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D)에서의 제1 경사면(152D'), 축방향 평탄면(154D) 및 제2 경사면(152D'')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에서의 제1 경사면(152C'), 축방향 평탄면(154C) 및 제2 경사면(152C'')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D)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C)에 직경 방향 평탄면(153D)을 추가한 구성이다. 또,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D)의 축방향 평탄면(154D)이 제1 평탄면에 해당하고, 제2 경사면(152D'')이 제2 평탄면에 해당하고, 또한 직경 방향 평탄면(153D)이 제3 평탄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D)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을 밸브 케이스(41) 내에 배치한 후,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를, 상기 코킹 지그에 의해, 케이스(40)의 내측을 향해 절곡시킨다. 그렇게 하면,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가, 코킹용 홈부(150D)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D)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과의 교점을 기준으로 케이스(4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고,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에서의 돌출부(50)를 제외한 내주면이, 코킹용 홈부의 제1 경사면(152D')에 접촉한다. 또한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일단의 내주 가장자리가, 코킹용 홈부(150D)에 설치한 축방향 평탄면(154D)에 접촉한다. 또, 이때,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의 일단부에서의 돌출부(50)를 제외한 내주면은, 코킹용 홈부(150D)의 직경 방향 평탄면(153D)에 접촉하지 않고, 박벽부(47)에 설치한 돌출부(50)의 내주면도, 코킹용 홈부(150D)의 제1 경사면(152D') 및 축방향 평탄면(154D)에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D)에 의해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타단이 밸브 케이스(41) 내에 코킹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용 홈부(150D)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코킹부(45A)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게다가, 솔레노이드 케이스(4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평탄면(153D)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직경 방향 평탄면(153D)이, 코킹 가공 시, 밸브 케이스(41)의 박벽부(47)가 절곡되는 기준면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관해, 다른 구성을 추가ㆍ삭제ㆍ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7년 7월 26일부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4452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7년 7월 26일부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44523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적으로 삽입된다.
1 :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2 : 실린더, 2A : 실린더 상실, 2B : 실린더 하실, 3 : 외통, 4 : 리저버, 5 : 피스톤, 6 : 피스톤 로드, 25 : 감쇠력 발생 수단, 35 : 밸브 블록, 37 : 솔레노이드 블록, 40 : 케이스(통부재), 41 : 밸브 케이스(제2 통체), 42 : 솔레노이드 케이스(제1 통체), 45A∼45D : 코킹부, 47 : 박벽부, 150A∼150D : 코킹용 홈부, 152A : 경사면, 152B : 경사면, 152C' : 제1 경사면, 152C'' : 제2 경사면(제2 평탄면), 152D' : 제1 경사면, 152D'' : 제2 경사면(제2 평탄면), 153D : 직경 방향 평탄면(제3 평탄면), 154B : 축방향 평탄면(제1 평탄면), 154C : 축방향 평탄면(제1 평탄면), 154D : 축방향 평탄면(제1 평탄면)

Claims (6)

  1.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통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통부재의 내부에, 감쇠력 발생 수단과 이 감쇠력 발생 수단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실린더 내에서의 피스톤의 이동에 따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이, 상기 통부재 내의 상기 감쇠력 발생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통부재는,
    제1 통체와,
    상기 제1 통체의 외측이자 상기 제1 통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통체와,
    상기 제1 통체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체를 코킹하여 고정하는 코킹부
    를 가지며,
    상기 코킹부는,
    상기 제1 통체의 외주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 내에 절곡되어 수납되는, 상기 제2 통체의 단부
    를 가지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평탄면과,
    상기 제3 평탄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통체측과는 반대측에 이어서 설치되고 상기 제2 통체측으로부터 상기 제1 통체측을 향해 상기 통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
    을 갖는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통체측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1 평탄면으로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속되는 제1 평탄면
    을 갖는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면은 상기 통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통체측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2 평탄면으로서, 상기 제1 평탄면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평탄면보다 상기 제1 통체의 외주측에 설치되는 제2 평탄면
    을 갖는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탄면은, 상기 제1 통체측으로부터 상기 제2 통체측을 향해 상기 통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6. 삭제
KR1020207002313A 2017-07-26 2018-07-23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441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4523 2017-07-26
JP2017144523 2017-07-26
PCT/JP2018/027460 WO2019021994A1 (ja) 2017-07-26 2018-07-23 減衰力調整式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06A KR20200022006A (ko) 2020-03-02
KR102441213B1 true KR102441213B1 (ko) 2022-09-06

Family

ID=6503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313A KR102441213B1 (ko) 2017-07-26 2018-07-23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46421B2 (ko)
JP (1) JP6817447B2 (ko)
KR (1) KR102441213B1 (ko)
CN (1) CN110998132B (ko)
DE (1) DE112018003800B4 (ko)
WO (1) WO2019021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9385B2 (ja) * 2019-07-26 2022-09-01 日立Astemo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DE102019212908B4 (de) * 2019-08-28 2024-10-17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r Dämpfkraft
SE545561C2 (en) * 2021-11-26 2023-10-24 Oehlins Racing Ab Coil assembly for an actively controlled damping valve assembly of a vehicle
US11806847B2 (en) 2021-09-01 2023-11-07 DRiV Automotive Inc. Torque application apparatus
DE202022107012U1 (de) 2022-11-29 2024-03-1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Bauteilverbind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611B2 (ja) * 2000-10-20 2008-02-20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閉成装置
JP6095853B2 (ja) * 2014-05-12 2017-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0887A (en) * 1946-09-11 1953-03-10 Weatherhead Co Hydraulic lock for adjustable chair backs
US3722640A (en) * 1971-03-26 1973-03-27 Paul H Taylor Fluid amplified liquid spring shock absorbers with improved piston heads
US4928579A (en) * 1980-10-31 1990-05-29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Piston for disc brakes
JPS6267342A (ja) * 1985-09-19 1987-03-27 Aisin Seiki Co Ltd 回転角度制御用ロ−タリ−アクチユエ−タ
DE4024920C2 (de) * 1990-08-06 1996-02-01 Fichtel &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US5163706A (en) * 1991-04-24 1992-11-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pressure regulating valve assembly for a hydraulic damper
DE9209505U1 (de) * 1992-07-15 1992-09-24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Ventilbaugruppe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mit veränderbarer Dämpfkraft
JPH09112623A (ja) 1995-10-18 1997-05-02 Unisia Jecs Corp 減衰力特性可変型緩衝器のケーシング構造
JP3475611B2 (ja) * 1995-10-27 2003-12-08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US6065573A (en) * 1998-09-04 2000-05-23 Enidine, Inc. Adjustable energy absorption device with break-off adjustment knob
JP5952760B2 (ja) * 2013-03-13 2016-07-13 Kyb株式会社 減衰弁
JP6108912B2 (ja) * 2013-03-29 2017-04-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101179B2 (ja) * 2013-09-17 2017-03-22 Kyb株式会社 減衰弁
JP6812111B2 (ja) 2016-02-18 2021-01-13 株式会社マキタ 回転工具
JP6383021B2 (ja) 2017-01-26 2018-08-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ソレノイ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611B2 (ja) * 2000-10-20 2008-02-20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閉成装置
JP6095853B2 (ja) * 2014-05-12 2017-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41468A1 (en) 2020-05-07
WO2019021994A1 (ja) 2019-01-31
KR20200022006A (ko) 2020-03-02
DE112018003800T5 (de) 2020-05-07
DE112018003800B4 (de) 2022-06-09
US11346421B2 (en) 2022-05-31
CN110998132A (zh) 2020-04-10
CN110998132B (zh) 2021-09-03
JPWO2019021994A1 (ja) 2020-03-19
JP6817447B2 (ja)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213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1769148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160311B1 (ko) 완충기
KR101756471B1 (ko) 완충기
US9388877B2 (en) Pressure shock absorbing apparatus
KR101568042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1850337B1 (ko) 완충기
JP6877286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239521A1 (ja) 圧力緩衝装置
KR102589604B1 (ko) 완충기 및 완충기의 조립 방법
KR20160040559A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US20230032430A1 (en) Solenoid, damping force adjustment mechanism, and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JP6863667B2 (ja) 緩衝器
US6729446B2 (en) Solenoid-operated driving apparatus and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KR102437459B1 (ko) 완충기
JP2011007322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671927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567834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US20200080612A1 (en) Hydraulic damping device
US20230079968A1 (en) Damping-force generation mechanism and pressure shock absorber
JP6086723B2 (ja) 緩衝器
KR102559735B1 (ko) 완충기
KR20220003099A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