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183B1 -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183B1
KR102441183B1 KR1020207008419A KR20207008419A KR102441183B1 KR 102441183 B1 KR102441183 B1 KR 102441183B1 KR 1020207008419 A KR1020207008419 A KR 1020207008419A KR 20207008419 A KR20207008419 A KR 20207008419A KR 102441183 B1 KR102441183 B1 KR 10244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ocking member
movable
connecting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822A (ko
Inventor
히데타카 도바시
히로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461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71034A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Publication of KR2020014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44C5/2033Hooks provided with pivoting closure mea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를 갖고, 가동부는, 장식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가동부가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면서도,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본 개시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팔찌, 목걸이 등의 장신구는, 체인 부재, 끈 부재 등의 선상 부재가 팔, 목 등에 채워짐으로써 걸쳐진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장신구의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장신구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잠금 부재를 구비한 잠금쇠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방식에 의한 잠금쇠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36244호(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137016호(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9946호(특허문헌 3) 등에 기재되어 있는 삽입식 타입의 잠금쇠 및 나사식 타입의 잠금쇠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예를 들면 도 12를 참조)가 많은 장신구에 채용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타입의 잠금쇠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66625호(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타입의 잠금쇠 등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36244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13701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994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66625호
본 개시의 목적은,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장신구 전체에 대한 디자인의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 그 잠금 부재를 갖는 장신구용 잠금쇠, 그 잠금 부재를 갖는 장신구, 및 그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는, 이하의 태양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장식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면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가동부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가동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가동부를 회전 방향의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본체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와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 장식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구부러지는 상기 가동측 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지지부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는 측방 커버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는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부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가동부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쇠는,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인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피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는,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는,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가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의하면,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장신구 전체에 대한 디자인의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 그 잠금 부재를 갖는 장신구용 잠금쇠, 그 잠금 부재를 갖는 장신구, 및 그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가 제공된다. 또한, 잠금쇠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일례가 이용된 장신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다른 일례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이용된 장신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이용된 장신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다른 일례가 이용된 장신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장식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면서도,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부재이다.
종래의 잠금쇠를 형성하는 한 쌍의 잠금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때, 예를 들면 이하가 섬세한 연결 조작을 행해야 한다. 이 연결 조작에서는, 먼저, 한쪽 잠금 부재를 섬세한 조작으로 열어 작은 개구부(간극)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그 작은 개구부에 대해, 다른 쪽 잠금 부재를 위치를 조정하면서 삽입한다. 특히 팔찌의 경우에는, 상술한 섬세한 조작을 한 손만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목걸이의 경우에는, 상술한 섬세한 조작을, 직접 볼 수 없는 목 뒤쪽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80)는, 당김 고리로서의 제1 부재(81)와, 연결 플레이트로서의 제2 부재(82)를 구비한다. 제1 부재(81)와 제2 부재(82)를 연결시킬 때, 제1 부재(81)의 돌편부(81a)를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스프링 부재 등의 도시하지 않은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1 부재(81)를 개구시킨다. 다음으로, 제1 부재(81)의 개구된 개구부(8lb)에 제2 부재(82)의 일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제2 부재(82)의 구멍부(82a)에 제1 부재(81)의 제1 본체부(81c)를 삽입 통과시킨다. 그 후, 돌편부(81a)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내어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풀어줌(release)으로써, 개구부(8lb)가 막혀 제1 부재(81)와 제2 부재(82)가 연결된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낸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80) 등의 장신구에 장착된 종래의 잠금쇠를 조작할 때, 사용자는, 잠금 부재의 조작 및 잠금쇠의 분리·연결 조작을 어렵게 느끼는 것, 및 번거롭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특히, 팔찌의 잠금쇠는,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한 손만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잠금쇠의 분리·연결 조작이 어렵고,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목걸이의 경우에는, 상술한 섬세한 조작을, 직접 볼 수 없는 목 뒤쪽에서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잠금쇠를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잠금쇠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팔을 목 뒤쪽으로 돌리기 어려운 경우, 또는 사용자의 손끝의 감각이 둔해져 있는 경우 등에는, 사용자는 종래의 잠금쇠를 구비한 장신구의 사용감에 불만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80)의 경우, 잠금쇠(80)의 폭이 선상(線狀) 부재(83)보다 크기 때문에, 선상 부재(83)의 연속하는 디자인성을 도중에 끊어지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장신구의 미관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당김 고리 타입 등의 종래의 잠금쇠가 이용되는 장신구는, 디자인의 일관성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목걸이를 몸에 걸쳤을 경우, 잠금쇠는, 사용자의 목 뒤쪽에 머물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는, 목걸이 사용 중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알아채지 못한 사이에 사용자의 정면측(즉, 가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정면측으로 이동한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는, 장신구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것, 사용자에게 대면하는 사람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팔찌의 잠금쇠로서 적용했을 경우, 누구나 간단하게 몸에 걸칠 수 있으며, 떼어내는 것도 간단해진다. 또한, 목걸이의 잠금쇠로서 적용했을 경우, 목 뒤쪽에서 잠금쇠를 조작하여도 잠금쇠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장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목 뒤쪽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정면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정면측에서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이 가능해지고, 누구나 간단하게 몸에 걸치는 것, 및 떼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것, 및 사용감에게 불만이 생기는 것이 해소된다.
또한,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에 장식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신구 전체의 디자인의 일관성이 부여된다. 특히, 목걸이의 잠금쇠로서 적용했을 경우, 사용 중에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사용자의 정면에서 보였다고 해도, 장신구 전체의 디자인을 도중에 끊어지게 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예를 들면 목걸이의 탑부의 디자인과 장신구용 잠금 부재와의 디자인의 관련성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신구 전체의 스토리성(story nature)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장신구용 잠금 부재를 적극적으로 사용자의 정면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잠금쇠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신구의 베리에이션(variation)을 대폭 늘릴 수 있다.
또한, 탑부를 가지지 않는 목걸이의 경우,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자체를 탑부의 디자인으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는, 디자인의 연속성 및 스토리성을 부여하는 것, 및 장신구의 새로운 형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의하면,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잠금쇠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장신구 전체에 대한 디자인의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그 잠금 부재를 갖는 장신구용 잠금쇠 및 그 잠금 부재를 갖는 장신구가 제공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80)에 장식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80)는, 제1 부재(81)의 돌편부(81a)를 조작함으로써 제1 부재(81)를 개구시킨다. 이 때문에, 잠금쇠(80)에 장식부를 설치하면, 개폐 조작성을 한층 더 저하시켜, 잠금쇠(80)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이 더욱 더 어려워진다. 또한, 장식부를 설치하였다고 해도, 고리 형상의 제1 부재(81)에 개구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신구 전체 디자인의 연속성 및 스토리성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하,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또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잠금쇠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은, 잠금쇠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선상 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서로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겼을 때, 그 끌어당겨지는 힘에 따른 방향(바꿔 말하면, 상기 끌어당겨진 선상 부재에 따른 방향)를 나타낸다. 이 경우, 잠금 부재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은, 잠금쇠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있어서, 도 1을 부호(숫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보았을 때, 당해 도 1의 지면(紙面)에 있어서 좌우를 향하는 방향이 잠금쇠의 전후 방향이 된다. 본 개시의 잠금 부재가, 예를 들면 장신구의 잠금쇠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 또는 장신구 이외의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잠금 부재의 길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은, 본 개시의 잠금 부재와, 그 잠금 부재를 직접 연결시키는 쪽의 부위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의 끌어당기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이 경우, 장신구에 있어서, 또는 장신구 이외의 부재에 있어서,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부위가 피연결부가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잠금쇠의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잠금 부재에 설치한 가동부의 회전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과의 교선에 따른 방향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잠금쇠를 구비한 장신구가 예정되는 올바른 자세로 몸에 걸쳐졌을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잠금쇠의 피부에 접근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잠금쇠의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한다. 잠금 부재의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잠금쇠의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도면 1의 지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 잠금쇠의 상하 방향이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잠금쇠의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잠금쇠의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잠금 부재의 가동부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이 경우, 잠금 부재의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잠금쇠의 폭 방향 및 좌우 방향에 평행하게 따르는 방향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서는 상기 도면 1의 지면에 있어서의 표리(表裏) 방향이 잠금쇠의 좌우 방향이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측면시(側面視), 잠금 부재의 측면시, 및 잠금쇠의 측면시라고 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에 있어서 가동부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잠금쇠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있어서, 피연결부란,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를 직접 연결시키는 부위이며, 예를 들면 잠금 부재의 일부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닫힌 구멍부를 구비한 부위를 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닫힘 위치란, 가동부의 폐쇄 방향측의 회전 한계 위치이며, 가동부의 가동측 연결부가 베이스부의 베이스측 연결부에 맞닿는 위치를 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닫힘 상태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전개(全開) 위치란, 가동부의 열림 방향측의 회전 한계 위치이며, 가동부의 조작부가 베이스부의 회전 정지부에 맞닿아서,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가장 크게 열린 상태가 되는 위치를 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열림 상태란, 가동부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리는 방향측으로 회전하여, 전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태를 말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가동부의 회전 범위란, 닫힘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까지 회전하는 범위를 말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바람직한 일례에 대해,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의 각각 바람직한 일례와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일례가 이용된 장신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나타낸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쇠(1)(이하, 잠금쇠(1)라고도 한다)는, 장신구의 본체 부분 또는 일부인 선상 부재의 일례인 체인 부재(5)와, 체인 부재(5)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제1 잠금 부재(10)와, 체인 부재(5)의 타단부에 접속되는 제2 잠금 부재(50)를 갖는다. 제1 잠금 부재(10)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잠금 부재(50)는, 금속제의 제2 연결 링(5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10) 및 제2 잠금 부재(50)를 형성하는 각 부품은, 예를 들면 금속판에 타발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잠금 부재(10) 및 제2 잠금 부재(50)의 제조 방법 및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쇠(1)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10)가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용 잠금 부재(이하, 잠금 부재라고도 한다)로서 적용된다. 제1 잠금 부재(10)는, 제2 잠금 부재(5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잠금 부재(50)는, 제1 잠금 부재(10)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를 포함하는 피연결 부재로서 적용된다.
선상 부재의 일례인 체인 부재(5)는, 복수의 금속제 링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체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인 부재(5)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의 구체예의 하나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는, 일단부에 잠금쇠(1)의 제1 잠금 부재(10)와, 타단부에 제2 잠금 부재(50)를 각각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체인 부재(5)는, 이른바 케이블 체인, 플랫링크 체인, 베네치안 체인, 볼 체인, 스크루 체인 등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체인 부재(5)는, 가요성을 갖는 연속된 부재일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20)와, 베이스부(20)에 연결되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축부(11)와, 연결축부(11)에 의해 베이스부(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30)와, 가동부(30)를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0)(도 3 및 도 5를 참조)을 갖는다.
베이스부(20)는 체인 부재(5)에 접속된다. 가동부(30)는, 베이스부(20)에 대해, 베이스부(20)에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가동부(30)의 회전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가 개폐된다. 예를 들면, 가동부(30)는, 베이스부(20)에 대해, 제1 잠금 부재(10)가 폐쇄되는 닫힘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연결축부(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0)가 연장되는 베이스부(20)의 전후 방향은, 제1 잠금 부재(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다.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부(20)는, 베이스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21)와,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높이 방향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동부(30)를 지지하는 베이스측 지지부(22)와, 베이스측 본체부(21)의 베이스측 지지부(22)와 떨어진 단부로부터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베이스측 연결부(23)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부(20)는,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체인 부재(5)가 접속되는 단부를 향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정지부(24)와, 회전 정지부(24)로부터 더 연장되는 제1 접속부(25)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상태를, 단지 만곡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잠금 부재(10)의 가동부(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측 본체부(31)를 갖는다. 또한, 가동부(30)는, 가동측 본체부(31)에 대해 접합부(32a)(도 1 및 도 5를 참조)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장식부(32)와, 가동측 본체부(31)의 한쪽 단부로부터 베이스부(20)측으로 구부러지는 가동측 연결부(33)를 갖는다. 또한, 가동부(30)는, 가동측 연결부(33)가 배치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다른 쪽 단부에 배치되고, 베이스부(2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34)를 갖는다. 가동부(30)는, 가동측 본체부(31)로부터 베이스부(20)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측에 설치된 측방 커버부(35)를 갖는다.
베이스부(20)에 있어서, 베이스측 본체부(21)는, 폭 방향의 치수를 일정한 크기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측 본체부(21)는, 강도를 적절히 확보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베이스측 본체부(21)의 두께는,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상면과 하면 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말한다.
도 5에 나타낸 베이스측 지지부(22)는, 베이스측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체인 부재(5) 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측 지지부(22)는, 베이스측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제1 접속부(25)에 가까운 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측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제1 접속부(25)에 가까운 쪽의 단부는, 제2 잠금 부재(50)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가 된다. 베이스측 지지부(22)는, 베이스부(20)를 폭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상단부를 갖는다.
베이스측 지지부(22)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22a)와, 연결축부(11)를 삽입 통과시켜 지지하는 축 구멍부(22b)가 설치되어 있다(도 5를 참조). 수용 공간부(22a)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을 수용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베이스측 지지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부(22a)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을 삽입 가능하도록, 측면시에서 원호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이 적어도 개구되어 있다.
축 구멍부(22b)는, 폭 방향을 따라 베이스측 지지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부(22b)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원형을 나타낸다. 이 축 구멍부(22b)에 연결되는 연결축부(11)는, 가동부(30)의 회전축부가 된다. 연결축부(11)의 좌우 양단부는,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에,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30)가 베이스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코킹 가공은, 가공 대상 부분(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연결축부(11)의 단부)을 눌러서 부분적으로 소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하는 가공이다. 또한, 연결축부(11)를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에 고정하는 방법은, 코킹 가공 이외의 방법일 수도 있다.
회전 정지부(24)는,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베이스측 연결부(23)와는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정지부(24)는, 가동부(30)의 조작부(34)를 맞닿게 하여 가동부(30)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가동부(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목적으로,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제1 접속부(25)를 향해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회전 정지부(24)의 두께는,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최대 두께보다 얇다.
회전 정지부(24)에는, 수용 오목부(24a)가 가동부(30)의 조작부(34)의 위치에 대응하여,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4a)는, 회전하는 가동부(30)의 조작부(34)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4a)는, 본 개시의 제1 잠금 부재(10)가 전개 위치가 되는 상태에서, 조작부(34)의 선단 부분이 수용 오목부(24a)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용 오목부(24a)는, 가동부(30)의 닫힘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까지의 회전 범위가 약 90°가 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24)는,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지만, 베이스부(20)에 대해 독립적인 부재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 정지부(24)는, 베이스부(20)에 대해,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 방법은, 통상적인 사용에 있어서 쉽게 빠지기 어려운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속부(25)는, 체인 부재(5)의 일단부와 접속되는 접속 부분이다. 제1 접속부(25)는, 반원의 원환(円環) 형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2를 참조). 제1 접속부(25)는, 회전 정지부(24)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의 일부에 대해, 반원의 원환 형상의 양단이 납땜 등의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회전 정지부(24)의 단면과, 반원의 원환 형상인 제1 접속부(25)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 방법은, 통상적인 사용에 있어서 쉽게 빠지기 어려운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접속부(25)를 설치하지 않고, 회전 정지부(24)의 길이 방향의 측면의 일부와 체인 부재(5)의 일단부를, 예를 들면, 용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직접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체인 부재(5)의 용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체인 부재(5)와의 제1 접속부가 된다.
베이스측 연결부(23)는, 제1 접속부(25)에 대해 베이스부(20)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측 연결부(23)는,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체인 부재(5)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로부터 가동부(30) 측으로 구부러진다. 예를 들면, 베이스측 연결부(23)는, 베이스측 본체부(21)의 베이스측 지지부(22)와 떨어진 위치의 단부로부터, 상측의 가동측 연결부(33)를 향해,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부는, 베이스측 지지부(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3)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본체부(21)에 연결하는 쪽의 단부와는 반대측 단부를 말한다. 베이스측 연결부(23)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폭 방향의 치수가, 베이스측 본체부(21)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부를 향해 약간 점차 감소하여, 또는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도 1을 참조) 또는 단면시(도 5를 참조)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측에는, 내측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공간부(12)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와 베이스측 본체부(21)의 내주부와,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측면시에서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만곡된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공간부(12)는, 제2 연결 링(50)(제2 잠금 부재(50))의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제2 연결 링(50)의 일부가 내측 공간부(12)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링(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23)는, 내측 공간부(12)에 수용된 제2 연결 링(50)을 맞닿음 가능한 부재 당접부를 내주부에 갖는다. 즉,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부재 당접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있어서 제2 연결 링(50)이 맞닿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연결 링(50)과 제1 잠금 부재(10)의 제1 접속부(25)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는, 길이 방향으로 겹쳐진 베이스측 연결부(23) 및 가동측 연결부(33) 중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제2 연결 링(50)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유지한다. 베이스측 연결부(23)에 있어서의 내주부의 반대측에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는 원호 형상 또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과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의 사이에는, 제2 잠금 부재(50)의 일부가 통과 가능한 삽입 인출 개구부가 설치된다. 삽입 인출 개구부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에 평행한 가상선(15)을 가동부(30)를 향해 연장시켰을 때, 그 가상선(15) 상에서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부(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 또는 개구 부분을 말한다. 삽입 인출 개구부는, 제1 잠금 부재(10)를 열었을 때에 상측으로 개방된다. 이 때, 제1 잠금 부재(10)의 삽입 인출 개구부와 제1 잠금 부재(10)의 외측의 공간이 연통한다.
삽입 인출 개구부의 전후 방향의 크기는, 베이스부(20)에 대한 가동부(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가동부(30)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이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에 의해 덮힌다. 이 때, 삽입 인출 개구부는 일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는, 삽입 인출 개구부의 전후 방향에 따른 개구 위치보다도 상하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간부이다. 이 내측 공간부(12)와 삽입 인출 개구부는 서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잠금 부재(50)를 연결하는 조작에서는, 전후 방향에 따른 삽입 인출 개구부가 상방으로 개방됨으로써, 삽입 인출 개구부가, 제2 연결 링(50)의 일부를 내측 공간부(12)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 또는 입구가 된다.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잠금 부재(50)를 분리하는 조작에서는, 삽입 인출 개구부는 제2 연결 링(50)의 일부를 내측 공간부(12)로부터 꺼내기 위한 인출구 또는 출구가 된다.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길이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서 만곡되어 있는 원호 형상 부분의 중심각이 135° 이상이 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23)는, 원호 형상 부분의 중심각이 180° 이상이 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10)가 닫힌 상태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과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의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된다. 여기서, 간극(G)은,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도 1을 참조)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를 측방 커버부(35)를 향해 가상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시킨 연장선 상의 간극을 말한다. 이 간극(G)의 최소값은, 제2 잠금 부재(50)의 제2 연결 링(50)을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설정된다. 제2 연결 링(50)의 굵기는, 제2 연결 링(50)의 원주 방향에 직교하는 원형 단면의 직경을 말한다. 즉, 상기 간극(G)은, 제2 잠금 부재(50)의 제2 연결 링(50)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잠금 부재(50)의 제2 연결 링(50)이,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과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동부(30)를 전개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부(30)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31)는, 제1 잠금 부재(10)의 단면시(도 5를 참조)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간된 위치로부터, 베이스측 지지부(22)의 상방 위치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본체부(31)는,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가동측 본체부(3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는, 베이스측 본체부(2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 및 베이스측 연결부(2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치수에 대해, 동일한 크기이거나, 또는 조금 크다. 이 가동측 본체부(31)는, 가동측 연결부(33)가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에 맞닿았을 때, 가동측 연결부(33)와 함께 제1 잠금 부재(10)를 폐쇄하여, 베이스부(20)의 내측 공간부(12)를 외측의 공간으로부터 차단한다. 가동측 본체부(31)의 상면은, 좌우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각 측방 커버부(35)는, 가동측 본체부(31)의 좌우 측면부에 연결하여 가동측 본체부(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방 커버부(35)는, 가동측 본체부(31)와 연결하는 부분으로부터 베이스측 본체부(21)를 향해 하방으로 처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지지부(22)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친다. 예를 들면, 측방 커버부(35)에 있어서의 체인 부재(5)에 가까운 쪽의 부분은,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지지부(22)와 겹친다. 좌우의 측방 커버부(35) 사이에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일부와 베이스측 지지부(22)를 삽입 가능한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측방 커버부(35)에 있어서, 베이스부(20)의 축 구멍부(2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술한 연결축부(11)가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각 측방 커버부(35)는, 가동부(30)가 닫힘 위치에 유지되었을 때,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측방 커버부(35)는, 측방 커버부(35)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와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하단 가장자리가 겹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를 닫았을 때의 볼품을 좋게 해여, 잠금쇠(1)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측방 커버부(35)는, 가동부(30)를 닫힘 위치에 유지했을 때,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을 직접 향하는 제한 단연부(35a)를 갖는다. 제한 단연부(35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커버부(35)의 가동측 연결부(33)에 가까운 쪽의 단연부이다. 측방 커버부(35)의 제한 단연부(35a)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부에 겹치는 위치로부터 베이스측 본체부(21)에 겹치는 위치까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를 적절한 크기로 확보하고, 내측 공간부(12) 내에서 제2 연결 링(50)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측방 커버부(35)의 베이스측 본체부(21)에 겹치는 부분이,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본체부(21)를 넓게 덮어 숨겨, 제1 잠금 부재(10)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조작부(34)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본체부(31)의 회전 정지부(24)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가동측 본체부(31)에 대해 구부러진 비스듬하게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부(34)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가동부(30)를 닫힘 위치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가동부(30)의 회전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작부(34)의 내부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있어서의 아암부(42)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34a)가 설치되어 있다(도 5를 참조).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조작부(3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부(34)는, 예를 들면 폭 방향으로 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조작부(34)를 손가락 등으로 누르기 쉽게 할 수 있다.
가동측 연결부(33)는, 가동측 본체부(31)에 있어서의 조작부(34)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로부터 베이스부(20) 측으로 구부러진다. 예를 들면, 가동측 연결부(33)는, 가동측 본체부(31)의 단부로부터, 하측의 베이스측 연결부(23)를 향해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가동측 연결부(33)는, 가동측 연결부(33)의 폭 방향의 치수가, 가동측 본체부(31)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가동측 연결부(33)의 선단부를 향해 약간 점차 감소하여, 또는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연결부(33)는, 가동측 연결부(33)의 적어도 일부의 내주부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가동측 연결부(33)의 일부가 베이스측 연결부(23)에 접촉함으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한 가동부(30)의 베이스부(20)에 접근하는 방향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33)는, 가동측 연결부(33)의 내주부가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에 면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33)의 내주부는, 가동측 연결부(33)의 만곡된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가동측 연결부(33)의 내주부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3)의 외주부보다도, 가동부(30)의 회전축이 되는 연결축부(11)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다.
여기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만곡된 외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보다도 연결축부(11)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다. 즉, 본 개시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3)의 내주부 및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는, 베이스부(20)와 가동부(30)를 연결시키는 연결축부(11)에 대해,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또한, 가동측 연결부(33)의 외주부 및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는, 이 연결축부(11)에 대해, 각각의 내주부보다도 먼 쪽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가동측 연결부(33)의 선단부는, 가동부(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측 연결부(23)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측 연결부(33)의 선단부와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가동부(30)가, 연결축부(11)를 중심으로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동측 연결부(33)의 선단부가 베이스측 연결부(2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가동부(3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가동측 연결부(33)와 베이스측 연결부(23)는, 가동부(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가 겹쳐지는 전후 방향은, 연결 상태의 제1 잠금 부재(10) 및 제2 잠금 부재(5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때, 제1 잠금 부재(10)가 제2 잠금 부재(50)의 제2 연결 링(50)으로부터 힘을 받는 방향이 된다. 또한, 가동부(30)가 닫힘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는, 적어도,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방향의 범위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는, 제1 잠금 부재(10) 및 제2 잠금 부재(5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제2 연결 링(50)이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그 맞닿은 제2 연결 링(50)의 높이 방향의 범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겹쳐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가동측 연결부(33)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 베이스측 연결부(23)에 대해, 다른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 등에 나타낸 가동측 연결부(33)는, 예를 들면 가동부(30)의 일부와 베이스부(20)의 일부의 접촉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33)의 내주부가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외주부에 대해, 작은 간극을 설치하여 대면하는 형상 또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베이스측 연결부(23) 및 가동측 연결부(33)의 상대적인 크기를 변경하여, 예를 들면 가동측 연결부(33)의 외주부가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접촉 가능 또는 대면 가능하게 제1 잠금 부재(10)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측 연결부(33)의 내주측에, 연결 링(50)의 일부가 이동 가능한 내측 공간부(12)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10)에 설치된 장식부(32)는, 꽃 무늬를 디자인의 주제로 한 재킷 부재로서, 가동측 본체부(31)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장식부(32)는, 각각 4장의 꽃잎을 구비하는 3개의 꽃덮이(花被)를 조합한 집합체로 구성된 재킷 부재이다(예를 들면, 도 2 참조). 장식부(32)는 가동부(30)의 상면부에 접합되어 있으며, 조작부(34)보다도 가동측 연결부(33)측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장식부(32)는, 가동측 본체부(31)에 대해, 레이저 가공을 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접합부(32a)가 형성되어 접합되어 있다. 접합부(32a)를 설치하는 수단은, 레이저 가공에 한정되지 않으며, 납땜 등에 의한 용착,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접합 부재의 적용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것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장식부(32)는, 가동부(30)에 장착된다면, 가동부(3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부(3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장식부(32)는, 조작부(34)보다도 가동측 연결부(33) 측의 범위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잠금 부재(10)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1)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면, 가동부(30)의 어떠한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장식부(32)는, 좌우의 측방 커버부(35)의 외벽면부에만, 또는, 가동측 본체부(31)의 상면부와 좌우의 측방 커버부(35)의 외벽면부 양쪽에 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장식부(32)는, 꽃 무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나비 무늬를 디자인의 주제로 한 장식부(39)일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1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이용된 장신구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장식부(39)는, 가동부(30)에 대해, 나비의 2장의 날개(39a)를 2개의 장착 부재(39b)에 의해, 가동부(30)에 다리 걸치기 구조로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장착 부재(39b)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곤충의 배마디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부(39)와 가동측 본체부(31)의 상면부와의 도시하지 않은 접합부는 레이저 가공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가동부(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로서 제1 잠금 부재(10)에 장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는, 탄성 지지 부재라고 할 수도 있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제1 잠금 부재(10)의 배면으로부터,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일부분이 보이게 배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금속 선재의 일부를 코일 형상으로 감아 돌려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금속 선재가 코일 형상으로 감긴 코일부(41)와, 코일부(41)의 2개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42)를 갖는다(도 6을 참조).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가동부(30)의 회전축이 되는 연결축부(11)가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코일부(41) 내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제1 잠금 부재(10)의 연결축부(11)에 장착되는 동시에, 베이스부(20)의 수용 공간부(22a)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은, 가동부(30)를, 가동측 연결부(33)가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가동측 연결부(33)가 베이스측 연결부(23)에 눌러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코일부(41)의 유효 권수가 1이면, 코일부(41)의 폭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을, 베이스부(20)와 가동부(30) 사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코일부(41)의 유효 권수가 2 이상이면,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의한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2개의 아암은, 각각 절곡부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의 감아 돌린 코일부(46)의 중심축 방향(제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며, 도 8은,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의 코일부(46)의 반경 방향(제2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은, 금속 선재를 코일 형상으로 감아 돌려 형성된 코일부(46)와, 코일부(46)의 한쪽 단부(제1 단부)(46a)로부터 연장된 제1 아암부(47)와, 코일부(46)의 다른 쪽 단부(제2 단부)(46b)로부터 연장된 제2 아암부(48)를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코일부(46)에 있어서의 제1 단부(46a)로부터 제2 단부(46b)까지의 유효 권수는 2.25 정도이다. 제1 아암부(47) 및 제2 아암부(48)는, 코일부(46)의 제1 및 제2 단부(46a, 46b)로부터 각각 스트레이트로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아암부(47)는 제1 절곡부(47a)를 구비하고, 제2 아암부(48)는 제2 절곡부(48a)를 구비하고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을 중심축 방향(제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도 7을 참조), 제1 아암부(47) 및 제2 아암부(48)는,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에서 코일부(46)에 대해 떨어지는 쪽(코일부(46)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 제1 아암부(47) 및 제2 아암부(48)는, 코일부(46)의 제1 및 제2 단부(46a, 46b)로부터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까지의 부위에 대해,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로부터 각 아암 선단까지의 부위가, 코일부(4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도 θ1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은,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가 형성되지 않고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코일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아암 선단까지 스트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비해, 보다 큰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을 반경 방향(제2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도 8을 참조), 제1 아암부(47) 및 제2 아암부(48)는,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에서 코일부(46)에 대해 접근하는 쪽(제1 잠금 부재(1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도 8에 있어서, 제1 아암부(47) 및 제2 아암부(48)는, 코일부(46)의 제1 및 제2 단부(46a, 46b)로부터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까지의 부위에 대해,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로부터 각 아암 선단까지의 부위가, 코일부(46)의 중심축 방향의 내측을 향해 각도 θ2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에서는, 제1 아암부(47)의 제1 절곡부(47a)로부터, 제2 아암부(48)의 제2 절곡부(48a)까지의 상기 중심축에 따른 방향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의 폭(W)이 가장 커진다. 한편,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로부터 아암 선단까지의 각 부위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의 상기 폭(W)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은,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절곡부(47a, 48a)가 형성되지 않고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코일부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아암 선단까지 스트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비해,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의 전체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을, 한정된 스페이스에 수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은, 도 6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비해, 베이스부(20)의 한정된 수용 공간부(22a)에 수용되었을 때, 보다 큰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의해, 가동부(30)를 회전 방향의 닫힘 위치를 향해 탄성 지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가동부(30)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에 걸린다. 즉,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의해, 가동측 연결부(33)가 베이스측 연결부(23)에 눌러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걸린다.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보다 큰 하중을 얻기 위해, 도 6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40) 대신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비틀림 코일스프링(40a)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가동부(30)를 닫힘 위치에서 거는 걸림부의 형태 및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부(30)를 닫힘 위치에서 유지 가능하다면, 걸림부를 그 밖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측방 커버부(35)와 베이스측 본체부(21)에 서로 걸어맞춤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 걸림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동측 연결부(33)와 베이스측 연결부(23) 사이의 마찰력, 또는 가동측 연결부(33) 및 베이스측 연결부(23)의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가동측 연결부(33)를 베이스측 연결부(23)에 걸어서 가동부(30)를 닫힘 위치에서 유지할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33) 및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적어도 한쪽에 자석을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자력을 이용하여 가동측 연결부(33)를 베이스측 연결부(23)에 걸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제2 잠금 부재(50)는, 삽입 통과 구멍부(51)를 갖는 원환 형상의 부재인 제2 연결 링(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제2 연결 링(50)은, 제2 잠금 부재(50)와 동일한 의미이며, 제1 잠금 부재(10)를 연결시키는 피연결부를 포함하는 피연결 부재로서 적용된다. 제2 연결 링(50)의 삽입 통과 구멍부(51)는, 상하 방향으로 제2 연결 링(5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 형상의 구멍이다. 제2 연결 링(50)의 삽입 통과 구멍부(51)에,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제2 잠금 부재의 형태는,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 및 가동측 연결부(33)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부를 갖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체인 부재(5)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2 접속부와, 제2 접속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 연결 링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제2 잠금 부재는, 삽입 통과 구멍부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도 5에 나타낸 잠금쇠(1)가, 장신구가 대표적인 예로서 목걸이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잠금 부재(5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잠금 부재(50)를 연결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잠금 부재(10)를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유지한다. 이 때,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부(20)와 가동부(30)의 조작부(34)를 손가락으로 집는다. 또한, 손가락으로 가동부(30)의 조작부(34)를 베이스부(20)의 회전 정지부(2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입한다. 이에 의해, 가동부(3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 1에 있어서, 연결축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제1 잠금 부재(10)를 열어, 제1 잠금 부재(10)의 삽입 인출 개구부를 상측으로 개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10)를 도 4에 나타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가동부(30)를 회전시키는 제1 잠금 부재(10)의 조작은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30)의 조작부(34)를 베이스부(20)의 회전 정지부(24)를 향해 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넣음으로써, 가동부(30)의 조작부(34)를 회전 정지부(24)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부(30)를 전개 위치에서 정지시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조작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10)를 열 경우, 제1 잠금 부재(10)는, 제2 연결 링(50)을 베이스부(20)와 가동부(30)의 사이에서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로 이동 가능하게 열려 있다면, 가동부(30)를 전개 위치까지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제1 잠금 부재(10)를 열린 상태인 채로 제2 잠금 부재(50)에 접근시켜, 베이스부(20)의 베이스측 연결부(23)를, 제2 연결 링(50)의 삽입 통과 구멍부(51)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 때, 제2 연결 링(50)의 일부는, 열려 있는 제1 잠금 부재(10)의 삽입 인출 개구부에 삽입되고,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로 이동한다. 또한, 제2 연결 링(50)의 일부를,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접촉시켜 유지한다. 이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있어서 제2 연결 링(50)을 맞닿음 가능한 부분이,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부재 당접부이다. 이에 의해, 제2 연결 링(50)을,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부(20)에 걸어서 가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오목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내주부에 제2 연결 링(50)이 유지되기 때문에, 제2 연결 링(50)을 베이스측 연결부(23)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에 제2 연결 링(50)의 일부를 수용한 후, 손가락을 가동부(30)의 조작부(34)로부터 떼어냄으로써, 가동부(3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닫힘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에 의해, 가동부(30)가 제1 잠금 부재(10)의 삽입 인출 개구부의 상방측을 막아 제1 잠금 부재(10)가 폐쇄된다. 또한,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이 연결되고, 그 결과, 목걸이로서의 장신구가 고리 형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을 연결시키는 일련의 조작 방법은 일례에 불과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제2 연결 링(50)을 연결시키는 조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이 연결되었을 때, 제2 연결 링(50)의 삽입 통과 구멍부(51)에는,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뿐만 아니라, 가동측 연결부(33)도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잠금 부재(50)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는, 베이스측 본체부(21)의 상면으로부터,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선단부까지의 높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바꿔 말하면, 베이스측 연결부(23) 및 가동측 연결부(33)는, 베이스측 연결부(23)의 제2 연결 링(50)을 맞닿게 하는 부재 당접부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 방향 범위의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예를 들면 잠금쇠(1)에 있어서, 연결 상태의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강하게 끌어당겨졌을 때에는, 제2 연결 링(50)이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의 내주부에 맞닿고, 베이스측 연결부(23)가, 제2 연결 링(50)으로부터 전후 방향에 따른 외력(인장력)을 받는다. 이 때,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는, 높이 방향의 상기 범위의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베이스측 연결부(23)가 제2 연결 링(50)으로부터 외력을 받더라도, 그 외력을 베이스측 연결부(23)와 가동측 연결부(33) 양쪽에서 받아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보다 큰 외력에 견딜 수 있다. 또한, 그 외력에 의해 베이스측 연결부(23) 및 가동측 연결부(33)에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가동부(30)를 닫힘 위치에 유지했을 때, 가동부(30)의 측방 커버부(35)가, 가동측 본체부(31)와 베이스측 본체부(21) 사이의 영역의 일부를 좌우 측방으로부터 피복하는 동시에, 측방 커버부(35)에 만곡 형상의 제한 단연부(35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 내에서 제2 연결 링(50)이 이동 가능한 영역을 적절한 크기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 내에서 제2 연결 링(50)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 부재(10)의 베이스측 연결부(23)와 측방 커버부(35)의 제한 단연부(35a)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이, 제2 연결 링(50)을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잠금 부재(50)의 연결시에, 제2 연결 링(50)이 베이스측 연결부(23)와 측방 커버부(35)의 사이에 끼이는 것 및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연결 링(50)을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링(50)이 측방 커버부(35)에 접촉하여 가동부(30)를 열리는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을 분리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잠금 부재(10)의 조작부(34)를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가동부(30)를,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베이스측 본체부(2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가 열린다.
그 후, 제1 잠금 부재(10) 및 제2 연결 링(50)의 적어도 한쪽을 움직여, 제2 연결 링(50)을 제1 잠금 부재(10)의 내측 공간부(12)에서 삽입 인출 개구부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연결 링(50)을, 베이스부(20)와 가동부(30) 사이로부터 제1 잠금 부재(10)의 외측으로 인출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을 분리시키는 조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잠금 부재(10)를 갖는 잠금쇠(1)에 의하면, 제1 잠금 부재(10)를 여는 조작 및 닫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잠금쇠(1)의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을 연결하는 조작 및 분리하는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종래의 잠금쇠(80)의 조작이 서투른 사람이라도, 본 개시의 제1 잠금 부재(10)가 목걸이(장신구)에 이용됨으로써, 잠금쇠(1)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목 뒤쪽에서 가볍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잠금 부재(10)는, 제1 잠금 부재(10)의 조작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체적인 사이즈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쇠(1)의 제1 잠금 부재(10)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는 것 또는 짧게 하는 것, 및 폭 방향으로 길게 하는 것 또는 짧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에 의해, 체인 부재(5)의 디자인에 맞춰, 제1 잠금 부재(10)의 사이즈를, 또는 제1 잠금 부재(10)의 사이즈와 제2 연결 링(50)의 사이즈 양쪽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 부재(5)의 연속되는 디자인성을 유지하기 쉽게 하여, 장신구의 미관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 부재(10)는, 가동부(30)에 장식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신구 사용 중에, 제1 잠금 부재(10)를 포함하는 잠금쇠(1)가 사용자의 정면으로 돌아갔을 경우에도, 사용자와 대면하는 사람은, 장신구의 디자인의 일부로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사람은, 잠금쇠(1)가 사용자의 정면으로 돌아가서 장신구가 잘못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정면에서 제1 잠금 부재(10)의 개폐 조작을 행하고, 그대로 잠금쇠(1)를 사용자의 정면에 놔두었다고 해도, 사용자와 대면하는 사람은, 잠금쇠(1)가 사용자의 정면에 있다는 것을 알아 차리기 어렵다.
예를 들면, 펜던트 탑의 디자인과 제1 잠금 부재(10)를 포함하는 잠금쇠(1)의 디자인에 관련성을 갖게끔 하면, 사용자와 대면하는 사람은, 장신구의 스토리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10)를 포함하는 잠금쇠(1)가 사용자의 정면으로 돌아갔을 경우, 펜던트 탑과 잠금쇠(1) 양쪽이 사용자와 대면하는 사람에게 인식된다. 따라서, 제1 잠금 부재(10)는, 장신구 전체의 디자인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스토리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며, 체인 부재(5) 및 잠금쇠(1)를 포함하는 장신구 전체의 일관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펜던트 탑의 디자인과 제1 잠금 부재(10)를 포함하는 잠금쇠(1)의 디자인에 관련성을 갖게 하여, 펜던트 탑과 제1 잠금 부재(10)를 사용자의 신체 정면에서 사용하는 구조로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는,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이용된 장신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에는, 장신구로서, 펜던트 탑(61)의 일부에, 상기 제2 연결 링(50)(도 9에는 미도시)을 설치하여, 제2 연결 링(50)과 제1 잠금 부재(10)를 연결시킨 상태의 목걸이(펜던트)(60)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장신구의 펜던트 탑(61)은, 꽃 무늬를 디자인의 주제로 하고 있으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고리 형상으로 형성한 펜던트 탑의 일부에, 도시하지 않은 제2 연결 링(50)을 설치해 둔다. 펜던트 탑의 제2 연결 링(50) 이외의 부분에는, 꽃 무늬 및 원형의 장식이 시행되어 있다. 제1 잠금 부재(10)는, 꽃 무늬의 장식부(3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식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펜던트 탑(61)에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제2 연결 링(50)에 제1 잠금 부재(10)를 연결함으로써, 펜던트 탑과 제1 잠금 부재(10)가 디자인의 일관성을 갖는 장신구가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10)는 3개의 꽃 무늬 장식부(32)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꽃 무늬 장식부(32) 대신에, 다른 외관을 구비한 꽃 무늬 장식부, 또는 나비, 벌 등의 곤충류 장식부(39)(도 11을 참조)를 제1 잠금 부재(10)의 가동부(30)에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꽃 무늬와는 다른 스토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펜던트 탑(61)의 베리에이션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장신구용 잠금 부재가 이용된 장신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장신구의 일례인 도 10에 나타낸 목걸이(70)에서는, 체인 부재(71)의 중간부에 제2 연결 링(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목걸이는, 제2 연결 링(50)에 제1 잠금 부재(10)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이 제2 연결 링(50)으로부터, 하트 형상의 장식을 선단부에 구비한 장식용 체인부(72)가 중력 방향을 따라 내려뜨려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앞가슴에서 Y자 형상을 형성하며 사용된다.
이 경우, 제1 잠금 부재(10)가 꽃 무늬 장식부(3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잠금 부재(10)가 장신구 전체의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꽃 무늬 장식부(32) 대신에, 다른 외관을 구비한 꽃 무늬 장식부, 또는 나비, 벌 등의 곤충류 장식부를, 제1 잠금 부재(10)의 가동부(30)에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하트 형상의 장식을 구비한 Y자 목걸이의 베리에이션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장식부(32)가 가동부(30)의 가동측 본체부(31)에 접합되어 있으며, 가동부(30)의 조작부(34)를 덮어 가리지 않기 때문에, 장식부(32)의 존재에 의해 제1 잠금 부재(10)의 조작성 저하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제1 잠금 부재(10)와 제2 연결 링(50)과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사용자의 앞가슴(사용자의 정면측)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목걸이를 몸에 쉽게 걸치는 것, 및 벗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신체 정면에서 개폐 조작을 해도 부자연스럽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본 개시의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당김 고리 타입의 잠금쇠 및 삽입식 타입의 잠금쇠가 이용되는 경우에 비해, 잠금 부재의 개폐 조작, 및 잠금쇠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장신구 전체에 대한 디자인의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잠금 부재(10)의 경우, 베이스측 연결부(23) 및 가동측 연결부(33)는, 제1 잠금 부재(10)의 측면시에 있어서,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베이스측 연결부가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은, 예를 들면 대략 L자 형상, 대략 C자 형상, 대략 U자 형상,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상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의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은,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에 대해 접촉 또는 대면시키기 위해, 베이스측 연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L자 형상, 대략 C자 형상, 대략 U자 형상,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상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측 연결부 및 가동측 연결부가, 제1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후크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매끄럽게 만곡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연결부는, 그 선단부가 가동부의 가동측 본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다면, L자 형상, V자 형상, 또는 이것들에 가까운 형상 등의 적어도 일부가 굴곡되어 모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동측 연결부는, 제1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그 선단부가 베이스부의 베이스측 본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다면, L자 형상, V자 형상, 또는 이것들에 가까운 형상 등의 적어도 일부가 굴곡되어 모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잠금 부재(10)에서는, 베이스부(20)에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가동부(30)에 고정되는 연결축부(11)에 의해, 가동부(30)가 베이스부(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또는 연결되어 있지만,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에서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 및 가동부에, 원기둥 형상의 볼록부, 및 그 볼록부를 끼워 넣는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가동부가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에는, 상술한 목걸이 이외에, 팔찌, 펜던트, 발찌 등이 포함된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하여 사용하는 장신구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는, 목걸이 등의 체인 부재의 양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쇠에 적용될 수도 있고, 체인 부재의 한쪽 단부와 중간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쇠에 적용될 수도 있다(도 10을 참조).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는, 예를 들면 체인 부재와 펜던트 탑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 적용될 수도 있다(도 9를 참조).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에는, 예를 들면 선상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브로치, 이어링, 피어싱, 비녀, 넥타이 핀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장신구에서는,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를 이용하여 장신구에 포함되는 부재끼리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장신구와 다른 물건(의복, 신변의 일상용품 등)을 연결할 수도 있고, 복수의 장신구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세트의 바람직한 일례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인 장신구용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세트이다.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10))의 조립 세트는, 예를 들면 가동부(30)와 베이스부(20)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조립 세트는, 예를 들면, 가동부(30)와, 베이스부(20)에 더해, 탄성 지지 부재로서의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가동부(30)와 베이스부(20)와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장신구용 잠금쇠가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장신구용 잠금쇠의 조립 세트는 탄성 지지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4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립 세트에 있어서의 가동부(30)는, 가동부(30)의 일단측에 조작부(34)를 구비하고, 가동부(30)의 타단측에 가동측 연결부(33)를 구비하는 가동부 본체와, 장식부(32)가 별체일 수도 있고, 가동부 본체에 미리 장식부(32)가 접합부(32a)에 의해 접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제1 잠금 부재(10))는, 가동부(30) 및 베이스부(20)를 준비하는 공정(공정 1)과, 연결축부(11)를 준비하는 공정(공정 2)과, 가동부(30), 베이스부(20) 및 연결축부(11)를 조립하는 공정(공정 3)을 갖는다. 공정 1은, 장식부(32)를 미리 가동부(30)에 장착하는 과정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장식부(32)는, 공정 3 이후에, 완성품으로서의 제1 잠금 부재(10)가 구비하는 가동부(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코일스프링(4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정 2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를 준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잠금 부재(10)는,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조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가동부(30) 및 베이스부(2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연결축부(11)와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을 준비한다. 이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40)의 코일부(41)에 연결축부(11)를 삽입하고, 가동부(30), 베이스부(20),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40)에 삽입된 연결축부(11)를, 코킹 가공에 의해 일체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레이저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가동부(30)의 상면부와 장식부(32)의 사이에 접합부(32a)를 형성하여 장식부(32)를 가동부(30)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장식부(32)를 구비한 제1 잠금 부재(10)가 얻어진다.
본 개시는, 더욱이 하기의 태양도 포함된다.
<1>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피연결부와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접속 부분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때, 그 끌어당겨지는 힘에 따른 방향이며,
상기 가동부는, 장식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부재.
<2>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를 회전 방향의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장식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부재.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가동부 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 측으로 구부러지는, 잠금 부재.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본체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와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 장식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구부러지는 상기 가동측 연결부를 갖는, 잠금 부재.
<5>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는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가동부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를 갖는, 잠금 부재.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 또는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측에, 상기 피연결부의 일부가 이동 가능한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연결부와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접속 부분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졌을 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 및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한쪽 내주부에, 상기 피연결부의 일부를 맞닿게 하는, 잠금 부재.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측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측 지지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동부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본체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는 측방 커버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가동측 본체부에 대해 구부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측방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베이스측 지지부에 연결축부에 의해 연결되는, 잠금 부재.
<8>
<7>에 있어서,
상기 측방 커버부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겹치는, 잠금 부재.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 또는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는, 상기 피연결부와 상기 잠금 부재의 상기 접속 부분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을 때에 상기 피연결부의 일부를 맞닿게 하는 부재 당접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 또는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부재 당접부가 설치되어 있다 높이 방향 범위의 전체에 걸쳐, 상기 길이 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잠금 부재.
<10>
<1> 내지 <9> 중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걸리는, 잠금 부재.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회전 방향의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잠금 부재.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잠금 부재인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피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쇠.
<13>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부재는, 상기 장신구의 선상 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는, 상기 선상 부재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잠금 부재에 설치한 삽입 통과 구멍부에, 상기 제1 잠금 부재의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상기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제2 잠금 부재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쇠.
<14>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신구용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5>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신구용 잠금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가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1…잠금쇠, 5…체인 부재, 10…제1 잠금 부재, 11…연결축부, 12…내측 공간부, 15…가상선, 20…베이스부, 21…베이스측 본체부, 22…베이스측 지지부, 22a…수용 공간부, 22b…축 구멍부, 23…베이스측 연결부, 24…회전 정지부, 24a…수용 오목부, 25…제1 접속부, 30…가동부, 31…가동측 본체부, 32…장식부, 32a…접합부, 33…가동측 연결부, 34…조작부, 34a…수용부, 35…측방 커버부, 35a…제한 단연부, 39…장식부, 39a…날개, 39b…장착 부재, 40,40a…비틀림 코일스프링, 41…코일부, 42…아암부, 46…코일부, 46a…코일부의 제1 단부, 46b…코일부의 제2 단부, 47…제1 아암부, 47a…제1 절곡부, 48…제2 아암부, 48a…제2 절곡부, 50…제2 연결 링(제2 잠금 부재), 51…삽입 통과 구멍부, 60…목걸이(펜던트), 61…펜던트 탑, 70…목걸이, 71…체인 부재, 72…장식용 체인부, G…간극, W…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폭, θ1,θ2…각도

Claims (10)

  1. 피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로서,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개폐시키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장신구의 일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분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는, 장식부와 가동측 연결부를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잠금 부재를 닫는 닫힘 위치에 배치될 때,
    -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와,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가 서로 접촉 또는 대면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일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 상기 가동측 연결부가,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유지되고, 상기 전후 방향은 상기 잠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에 연결하는 제2 잠금 부재가 서로 떨어지도록 끌어 당겨지는 방향이며,
    - 상기 가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를 측방향으로부터 피복하는 측방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 커버부는,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피연결부의 이동 가능한 영역을 제한하는 제한 단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의 선단과 상기 제한 단연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은 상기 피연결부를 삽입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는, 상기 가동부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가동측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구부러지는, 잠금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걸리는, 잠금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회전 방향의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잠금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가동측 본체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와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 장식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가동측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구부러지는 상기 가동측 연결부를 갖는, 잠금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동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시에 있어서 베이스측 지지부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치는 상기 측방 커버부를 갖는, 잠금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측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측 본체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측 연결부와는 상기 길이 방향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부의 일부를 맞닿게 하여 상기 가동부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를 갖는, 잠금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잠금 부재인 제1 잠금 부재와,
    상기 피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쇠.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잠금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가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KR1020207008419A 2019-06-19 2019-11-29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KR102441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3302 2019-06-19
JP2019113302 2019-06-19
JPPCT/JP2019/034614 2019-09-03
JP2019160448 2019-09-03
PCT/JP2019/034614 WO2020071034A1 (ja) 2018-10-03 2019-09-03 装身具用留め具、装身具用留め具の組み立てセット及び装身具
JPJP-P-2019-160448 2019-09-03
PCT/JP2019/046848 WO2020255445A1 (ja) 2019-06-19 2019-11-29 装身具用留め部材、装身具用留め具、装身具、及び装身具用留め部材の組み立て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22A KR20200145822A (ko) 2020-12-30
KR102441183B1 true KR102441183B1 (ko) 2022-09-06

Family

ID=7403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419A KR102441183B1 (ko) 2019-06-19 2019-11-29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41183B1 (ko)
CN (1) CN112399809B (ko)
WO (1) WO202025544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049B2 (ja) * 1994-09-01 2001-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の特定状態表示方法
JP3155597B2 (ja) * 1992-02-03 2001-04-09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07200A (en) * 1912-03-25 1913-01-30 William Frederick Jennens Improvements in Snaps or Fastenings for Necklets, for other Chains, and for other like uses.
US1637699A (en) * 1927-01-04 1927-08-02 Lauterbach Samuel Jewelry clasp
US2874435A (en) * 1954-08-23 1959-02-24 Albert C Nielsen Jewelry clasps
JPS5837298Y2 (ja) * 1980-12-10 1983-08-23 中川株式会社 ネツクレス用留め金具
CA1162753A (fr) * 1981-08-24 1984-02-28 Guy Couture Fermoir utilise en bijouterie
JPS6383020U (ko) * 1986-11-19 1988-05-31
JPH0657216U (ja) * 1993-01-25 1994-08-09 株式会社田中宝飾 留め具
JP3829158B2 (ja) * 1996-04-04 2006-10-04 株式会社ヤマ 装身具用ジョイント
JP3083998B2 (ja) 1996-11-14 2000-09-04 株式会社パールスペンサー 装身具の留め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3299724B2 (ja) 1998-12-01 2002-07-08 株式会社プラネット 止め具
JP3098789U (ja) * 2003-06-25 2004-03-11 株式会社桑山 連珠ネックレスと糸留め具カバー
JP4634976B2 (ja) 2006-08-08 2011-02-16 株式会社ムラオ 留め金具
JP3118764U (ja) * 2005-11-24 2006-02-02 三枝 藤原 針金アクセサリー
JP3136049U (ja) * 2007-07-06 2007-10-11 株式会社ギリオン アクセサリー用連結具
JP3155597U (ja) * 2009-06-10 2009-11-26 株式会社ストリーム 装身具用留め具
JP5660489B2 (ja) 2010-07-14 2015-01-28 株式会社パールスペンサー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WO2012117577A1 (ja) * 2011-03-01 2012-09-07 Hoshino Masahiro 挿入式クラスプ
CN205568073U (zh) * 2016-04-28 2016-09-14 河南梦祥纯银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饰品卡扣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597B2 (ja) * 1992-02-03 2001-04-09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JP3136049B2 (ja) * 1994-09-01 2001-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の特定状態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5445A1 (ja) 2020-12-24
KR20200145822A (ko) 2020-12-30
CN112399809A (zh) 2021-02-23
CN112399809B (zh)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182B1 (ko)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및 장신구
US20150033795A1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US8108974B2 (en) Closure for joining at least two pieces of material
US10973286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production for preventing chains of a plurality of necklaces simultaneously worn by a user from entangling
KR102441183B1 (ko) 장신구용 잠금 부재, 장신구용 잠금쇠, 장신구, 및 장신구용 잠금 부재의 조립 세트
WO2020110054A1 (en) Clasp for item of jewelry and methods of use
WO202003320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production for preventing chains of a plurality of necklaces simultaneously worn by a user from entangling
US5433088A (en) Snap-on earring clasp
KR200431088Y1 (ko) 귀걸이
JP4990880B2 (ja)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EP1938704A1 (en) Pin-retained clip
JP3939647B2 (ja) 装身具
US20080163467A1 (en) Snap fastener
KR10185477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JP7002498B2 (ja) 装身具用留め具、及び装身具
JP6000517B2 (ja) 装身具用留め具
JP3153253U (ja) 装飾用鎖類の止め金具
JP2008228841A (ja) 装身具用終端留め具および装身具
JP3084843U (ja) ネックレス
JP3080281U (ja) バネ圧式スライド連結具
WO2018154834A1 (ja) 装身具
JP3131399U (ja) カフスボタン
JP2001000214A (ja) クラスプ
JPH09215509A (ja) 装身具
GB2296648A (en) Improved closure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