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59B1 - 루프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59B1
KR102439459B1 KR1020150128876A KR20150128876A KR102439459B1 KR 102439459 B1 KR102439459 B1 KR 102439459B1 KR 1020150128876 A KR1020150128876 A KR 1020150128876A KR 20150128876 A KR20150128876 A KR 20150128876A KR 102439459 B1 KR102439459 B1 KR 10243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cushion
unit
roof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459B9 (ko
KR20170031406A (ko
Inventor
민병호
박해권
이석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59B1/ko
Publication of KR10243945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5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루프 에어백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루프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루프를 따라 전개되는 쿠션부와, 쿠션부에 결합되고, 쿠션부의 전개 시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이동되는 테더부와, 루프에 설치되고, 테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루프 에어백장치{ROOF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루프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루프에 설치되는 루프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에어백은 충돌 사고 발생 시 에어백쿠션을 전개시켜 착석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장치로, 운전석 에어백(DAB, Driver Air-Bag)과 동승석 에어백(PAB, Passenger Air-Bag), 사이드 에어백(SAB, Side Air-Bag), 커튼 에어백(CAB, Curtain Air-Bag), 무릎 에어백(KAB, Knee Air-Bag), 루프 에어백(RAB, Roof Air-Bag) 등이 있다.
루프가 파노라마 구조를 가지는 경우, 파노라마 루프 구조를 가지지 않은 차량에 비해 루프가 쉽게 파손되며, 이에 따라 루프의 파손으로 인해 승객의 상해가 가중되거나 승객의 외부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루프 에어백은 차량의 루프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에어백을 통칭하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루프의 파손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루프 에어백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7620호(2011.07.01. 등록, 발명의 명칭: 루프 에어백 장착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사고 시 루프의 파손으로 인한 승객 상해와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루프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루프를 따라 전개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시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이동되는 테더부; 및 상기 루프에 설치되고, 상기 테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는, 가스의 유입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전개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더부와 결합되는 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부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부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가 교대로 배치되게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가 연속된 수평면을 이루도록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탭부는, 상기 상향연장부 또는 상기 하향연장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의 전개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고, 상기 테더부는, 상기 탭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탭부는, 상기 쿠션본체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테더부가 결합되는 테더결합부; 상기 테더결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겹쳐지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테더결합부간의 경계부, 상기 테더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간의 경계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탭부는, 상기 쿠션본체부와 겹쳐지는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를 상기 쿠션본체부에 접합시키는 제2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탭부는, 상기 테더부가 결합되는 테더결합부; 상기 테더결합부의 일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테더결합부의 타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겹쳐지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테더결합부간의 경계부, 상기 테더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간의 경계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제1접합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를 상기 쿠션본체부에 접합시키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더결합부는, 상기 테더부의 일측부가 걸리는 테더결속부; 및 상기 테더결속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터부의 일측부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는 상기 테더부의 타측부가 관통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더부는, 상기 쿠션부에 결속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측으로 연장되는 목부; 및 상기 목부의 단부에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쿠션부의 전개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한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루프에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본체부; 상기 레일본체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더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공간부; 및 상기 가이드공간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레일본체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연결된 상기 테더부의 목부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본체부는, 상기 가이드슬롯부의 하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목부가 안착되며, 상기 헤드부의 이탈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가이드턱부; 및 상기 가이드슬롯부를 따라 이동 중인 상기 목부가 인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턱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턱부의 상부에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목부가 인입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의 내벽부를 이루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턱부의 상부에 상기 걸림홈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에 의하면, 쿠션부가 테더부를 매개로 하여 루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그 전개가 원활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의 루프를 커버하도록 전개시킴으로써 차량 사고 시 루프의 파손으로 인한 승객 상해와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와 테더부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탭부의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탭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가 전개되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 상의 쿠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가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와 테더부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탭부의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탭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가 전개되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 상의 쿠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가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부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는 쿠션부(10), 테더부(20), 가이드레일(30)을 포함한다.
쿠션부(10)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에어쿠션을 이루는 부분으로, 차량의 루프를 따라 전개된다. 쿠션부(10)는 차량 사고 시 루프의 하부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수평되게 전개된다. 이에 따라, 쿠션부(10)는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력이나 차량의 롤오버 등으로 인해 루프가 손상되더라도 루프의 손상된 부분에 의해 승객이 상해를 입거나, 차량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테더부(20)는 쿠션부(10)에 결합된 상태로, 쿠션부(10)의 전개에 연동하여 쿠션부(10)의 전개방향으로 이동된다. 테더부(20)를 쿠션부(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쿠션부(10)가 전방을 향해 전개되는 경우, 테더부(20) 또한 쿠션부(10)의 변위에 비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테더부(20)는 쿠션부(10)의 단부와 중간부에 선택적, 복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0)은 쿠션부(10)의 전개가 목적한 방향과 형태로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테더부(20)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레일(30)은 루프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며, 쿠션부(10)의 전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30)은 루프의 형상에 따라 직선 또는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부(10)는 쿠션본체부(11)와 탭부(14)를 포함한다.
쿠션본체부(11)는 가스의 유입에 의해 부풀어지며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에어쿠션을 이루게 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본체부(11)는 가이드레일(30)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전개되거나, 가이드레일(30)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 전개되거나, 가이드레일(30)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방과 후방을 향해 동시에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전방과 후방을 전후방향으로 통칭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쿠션본체부(11)가 가이드레일(30)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전개되는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본체부(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부(12)와, 상향연장부(12)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13)가 전후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게 접힌 상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의 후방부에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차량 충돌 시 인플레이터(40)에서 가스가 방출되면, 쿠션본체부(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40)와 근접한 부분부터 수평되게 펼쳐지며 루프를 따라 전방으로 전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부(11)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향연장부(12)와 하향연장부(13)는 연속된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
탭부(14)는 테더부(2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쿠션본체부(1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부(14)는 제1연결부(15), 테더결합부(16), 제2연결부(17), 제1접합부(18), 제2접합부(19)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15)는 쿠션본체부(1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테더결합부(16)는 테더부(20)가 결합, 결속되는 부분으로, 제1연결부(15)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2연결부(17)는 테더결합부(16)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1연결부(15), 테더결합부(16)와 함께 연속된 띠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더결합부(16)는 테더결속부(16a)와 관통홀부(16b)를 포함한다. 테더결속부(16a)는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와 함께 연속된 띠 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를 겹친 상태에서 테더부(20)의 바디부(21)를 감쌀 수 있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게 된다. 관통홀부(16b)는 테더부(20)의 슬라이딩이동부(22)가 관통할 수 있도록 테더결속부(16a)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이동부(2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16b)를 통과하게 되고, 슬라이딩이동부(22)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바디부(21)는 테더결속부(16a)에 걸려 테더결합부(16) 외부로의 이탈이 구속된다.
제1접합부(18)는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친 상태에서 제1연결부(15)와 테더결합부(16)간의 경계부, 테더결합부(16)와 제2연결부(17)간의 경계부를 상호 접합하는 부분이다. 제1접합부(18)에 의해 테더부(20)를 테더결합부(16)에 상기와 같이 이탈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접합부(18)는 봉제, 접착 등의 접합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2접합부(19)는 쿠션본체부(11)와 겹쳐지는 제2연결부(17)의 단부를 쿠션본체부(11)에 접합한다. 제2접합부(19)를 구비함으로써, 제1접합부(18)만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탭부(14)의 강성 및 쿠션본체부(11)와의 접합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부(11)와 일체로 제작된 상태에서 테더부(20)와 조립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탭부(14)는 쿠션본체부(11)와 테더부(20)를 연결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탭부(14)는 도 4에 도시된 비와 같이 쿠션본체부(11)와 별도로 제작된 후 쿠션본체부(11)에 접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결합부(16)를 사이에 두고 연속된 띠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테더결합부(16)의 관통홀부(16b)에 테더부(20)를 끼우고,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를 겹친 후, 제1접합부(18)를 형성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부(20)와 탭부(14)가 결합된 형태의 부품을 쿠션본체부(11)와 별도로 제작할 수 있다.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17)의 단부를 쿠션본체부(11)의 가장자리부에 봉제,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하여 제2접합부(19)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본체부(11)와 탭부(14)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더부(20)는 바디부(21)와 슬라이딩이동부(22)를 포함한다.
바디부(21)는 쿠션부(10)의 테더결합부(16)에 결속되는 부분으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테더결합부(16)와의 접촉면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원주 형상을 가진다. 슬라이딩이동부(22)는 가이드레일(30)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바디부(21)에서 가이드레일(3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동부(22)는 목부(23)와 헤드부(24)를 포함한다.
목부(23)는 바디부(21)에서 가이드레일(30)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바디부(21)보다 작은 너비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21)는 전후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상을 가지며, 목부(23)는 바디부(21)의 외면부에서 바디부(21)의 연장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헤드부(24)는 가이드레일(30)의 가이드공간부(37)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부분으로, 목부(23)의 단부에 목부(23)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헤드부(24)는, 가이드레일(30)의 전길이에 걸쳐 일정한 너비로 형성되는 가이드공간부(37) 내부에서 쿠션부(10)의 전개에 연동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 형상을 가진다. 이때, 가이드레일(30)의 가이드공간부(37)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헤드부(24)는 가이드공간부(37)의 각 면에 점접촉될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30)은 레일본체부(31), 가이드공간부(37), 가이드슬롯부(38)를 포함한다.
레일본체부(31)는 가이드레일(3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루프에 쿠션부(10)의 전개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공간부(37)는 헤드부(24)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레일본체부(31)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레일본체부(31)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가이드슬롯부(38)는 목부(23)가 관통하게 되는 부분으로, 가이드공간부(37)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24)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쿠션부(10)와 마주하는 레일본체부(31) 상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본체부(31)는 가이드턱부(32)와 걸림부(33)를 포함한다. 가이드턱부(32)는 목부(23)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헤드부(24)의 이탈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이다. 가이드턱부(32)는 가이드슬롯부(38)의 하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턱부(32)는 레일본체부(31)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테더부(20)의 목부(23)는 가이드슬롯부(38)를 관통한 상태로 가이드턱부(32)에 안착된다.
걸림부(33)는 가이드슬롯부(38)를 따라 이동되면서 목적한 전후방향 위치에 도달된 목부(23)가 인입되어 걸리도록 가이드턱부(32) 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1,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부(33)는 걸림홈부(34), 걸림턱부(35), 경사턱부(36)를 포함한다.
걸림홈부(34)는 목부(23)가 인입되는 수용되는 부분으로, 가이드턱부(32)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걸림턱부(35)는 걸림홈부(34)의 내부로 인입된 목부(23)가 걸림홈부(34)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이루는 부분으로, 걸림홈부(34)의 내벽부 상에 쿠션부(10)의 전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쿠션부(1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개되는 경우, 걸림턱부(35)는 하측으로 갈수록 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쿠션부(10)의 전개 시 테더부(20)는 그 목부(23)가 가이드턱부(32)에 받쳐진 상태로 가이드슬롯부(38)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다가 걸림홈부(34)에 도달되면 걸림홈부(34)에 빠지게 된다. 쿠션부(10)는 그 전개 시 에어쿠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공기층을 설정 두께로 형성하도록 수직방향으로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되고, 이에 따라 전개되기 이전의 상태와 비교해 좌측부와 우측부, 전방부와 후방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목부(23)가 걸림홈부(34)에 끼워지고 걸림턱부(35)에 걸린 상태에서 그 후방으로의 이동이 안정되게 구속될 수 있어, 쿠션부(10)의 전방부가 임의의 위치로 후방 이동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고, 쿠션부(10)의 최종 전개 형상과 위치가 신뢰성있게 구현될 수 있다.
경사턱부(36)는 가이드턱부(32)의 상부에 걸림홈부(34)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테더부(20)의 목부(23)는 경사턱부(36)의 경사면을 타고 걸림홈부(34)의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으면서도, 걸림홈부(34)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걸림턱부(35)와 경사턱부(36)를 합한 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걸림턱에 걸리되어, 걸림홈부(34) 외부로의 이탈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본체부(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연장부(12)와 하향연장부(13)가 교대로 배치되게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힌 상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의 후방부에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차량 충돌 시 인플레이터(40)에서 가스가 방출되면, 쿠션본체부(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40)와 근접한 부분부터 수평되게 펼쳐지며 루프를 따라 전방으로 전개된다.
이때, 쿠션본체부(11)의 전방부는 점차 전방으로 이동되며, 탭부(14)를 매개로 하여 쿠션본체부(11)의 전방부에 결합된 테더부(2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부(11)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테더부(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의 전방부에 형성된 걸림부(33)에 걸리게 되고, 그 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때, 쿠션본체부(11)의 전방부의 후방 이동도 함께 구속되어, 쿠션본체부(11)의 전방부는 걸림부(33)에 해당되는 지점에 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탭부(14)는 상향연장부(12) 또는 하향연장부(13)에 해당되는 너비를 가지고, 상향연장부(12)에 결합되거나, 하향연장부(1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연장부(12)와 하향연장부(13)가 상향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힌 상태에서 탭부(14)와, 탭부(14)에 결속된 테더부(20)의 바디부(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는 중에 탭부(14)와 바디부(21)는 상향연장부(12)와 하향연장부(13)가 수평되게 눕혀지는 쿠션본체부(11)의 전개에 연동하여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게 된다. 이때 테더부(20)는 그 헤드부(24)가 구 형상을 가짐에 따라 가이드레일(30)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탭부(14)의 회동에 연동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에어백장치에 의하면, 쿠션부(10)가 테더부(20)를 매개로 하여 루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그 전개가 원활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의 루프를 커버하도록 전개시킴으로써 차량 사고 시 루프의 파손으로 인한 승객 상해와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쿠션부 11 : 쿠션본체부
12 : 상향연장부 13 : 하향연장부
14 : 탭부 15 : 제1연결부
16 : 테더결합부 16a : 테더결속부
16b : 관통홀부 17 : 제2연결부
18 : 제1접합부 19 : 제2접합부
20 : 테더부 21 : 바디부
22 : 슬라이딩이동부 23 : 목부
24 : 헤드부 30 : 가이드레일
31 : 레일본체부 32 : 가이드턱부
33 : 걸림부 34 : 걸림홈부
35 : 걸림턱부 36 : 경사턱부
37 : 가이드공간부 38 : 가이드슬롯부
40 : 인플레이터

Claims (15)

  1. 차량의 루프를 따라 전개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시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이동되는 테더부; 및
    상기 루프에 설치되고, 상기 테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가스의 유입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전개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더부와 결합되는 탭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본체부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부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향연장부가 교대로 배치되게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가 연속된 수평면을 이루도록 전개되고,
    상기 탭부는, 상기 상향연장부 또는 상기 하향연장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의 전개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고,
    상기 테더부는, 상기 탭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는,
    상기 쿠션본체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테더부가 결합되는 테더결합부;
    상기 테더결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겹쳐지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테더결합부간의 경계부, 상기 테더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간의 경계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는,
    상기 쿠션본체부와 겹쳐지는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를 상기 쿠션본체부에 접합시키는 제2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는,
    상기 테더부가 결합되는 테더결합부;
    상기 테더결합부의 일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테더결합부의 타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겹쳐지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테더결합부간의 경계부, 상기 테더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간의 경계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제1접합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를 상기 쿠션본체부에 접합시키는 제2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8. 차량의 루프를 따라 전개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시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이동되는 테더부; 및
    상기 루프에 설치되고, 상기 테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가스의 유입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전개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더부가 결합되는 테더결합부가 구비되는 탭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더결합부는,
    상기 테더부의 일측부가 걸리는 테더결속부; 및
    상기 테더결속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더부의 일측부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는 상기 테더부의 타측부가 관통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부는,
    상기 쿠션부에 결속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측으로 연장되는 목부; 및
    상기 목부의 단부에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쿠션부의 전개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한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루프에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본체부;
    상기 레일본체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더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공간부; 및
    상기 가이드공간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레일본체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연결된 상기 테더부의 목부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13. 차량의 루프를 따라 전개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 시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이동되는 테더부; 및
    상기 루프에 설치되고, 상기 테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루프에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본체부;
    상기 레일본체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테더부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공간부; 및
    상기 가이드공간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레일본체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연결된 상기 테더부의 목부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롯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본체부는,
    상기 가이드슬롯부의 하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목부가 안착되며, 상기 헤드부의 이탈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가이드턱부; 및
    상기 가이드슬롯부를 따라 이동 중인 상기 목부가 인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턱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턱부의 상부에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목부가 인입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의 내벽부를 이루고, 상기 쿠션부의 전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턱부의 상부에 상기 걸림홈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에어백장치.
KR1020150128876A 2015-09-11 2015-09-11 루프 에어백장치 KR10243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76A KR102439459B1 (ko) 2015-09-11 2015-09-11 루프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76A KR102439459B1 (ko) 2015-09-11 2015-09-11 루프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06A KR20170031406A (ko) 2017-03-21
KR102439459B1 true KR102439459B1 (ko) 2022-09-02
KR102439459B9 KR102439459B9 (ko) 2023-05-11

Family

ID=5850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876A KR102439459B1 (ko) 2015-09-11 2015-09-11 루프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903B1 (ko) * 2017-09-29 2022-11-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KR102475714B1 (ko) * 2017-10-13 2022-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530935B1 (ko) * 2017-12-11 2023-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2422957B1 (ko) * 2018-01-09 2022-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102651824B1 (ko) 2020-01-31 2024-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 에어백 장치
US11345301B2 (en) * 2020-11-05 2022-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veable roof supported airbag
US11364872B1 (en) 2021-02-17 2022-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supported by a post movable along roof and floor tracks
US11708044B2 (en) 2021-04-19 2023-07-25 Autoliv Asp, Inc. Roof airbag for a vehicle
US11623604B2 (en) 2021-05-05 2023-04-11 Autoliv Asp, Inc. Roof airbag arrangement for a vehicle
US11565648B1 (en) * 2021-08-02 2023-01-31 Autoliv Asp, Inc. Guide assembly for guiding an airbag of a roof airbag arrangement of a vehicle
US11590921B1 (en) 2022-05-17 2023-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lidable post for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327A (ja) 2002-11-26 2004-08-12 Takata Corp 乗員保護装置
JP5037611B2 (ja) * 2007-05-14 2012-10-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023A (ja) * 1998-02-02 1999-08-10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のサンシェード装置
JPH11222037A (ja) * 1998-02-03 1999-08-17 Toyota Motor Corp サンルーフ付き車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327A (ja) 2002-11-26 2004-08-12 Takata Corp 乗員保護装置
JP5037611B2 (ja) * 2007-05-14 2012-10-0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459B9 (ko) 2023-05-11
KR20170031406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459B1 (ko) 루프 에어백장치
JP690710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
KR102545853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US9079559B2 (en) Airbag device
KR20190019195A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KR102641419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US11447089B2 (en) Airbag assembly with reaction surface
KR102478237B1 (ko) 루프 에어백장치
US9713999B2 (en) Curtain airba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20980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JP6895345B2 (ja) エアバッグ
KR102641414B1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20220098974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JP5748552B2 (ja) エアバッグ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KR102439460B1 (ko) 무릎 에어백
JP641702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ストラップの保持部材、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並びに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設置構造
KR102641418B1 (ko) 탑승자 보호 에어백 장치
JP6433771B2 (ja) エアバッグ
KR102533287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2321096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KR102460903B1 (ko) 에어백 장치
JP2016107882A (ja) エアバッグ
KR102465666B1 (ko) 루프 에어백장치의 쿠션
JP6329051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