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668B1 -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668B1
KR102438668B1 KR1020200072744A KR20200072744A KR102438668B1 KR 102438668 B1 KR102438668 B1 KR 102438668B1 KR 1020200072744 A KR1020200072744 A KR 1020200072744A KR 20200072744 A KR20200072744 A KR 20200072744A KR 102438668 B1 KR102438668 B1 KR 10243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ressure
retaining wall
support
pressure transfer
transfer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475A (ko
Inventor
정성욱
최민석
김기훈
김자옥
이명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주)디큐브파트너스
(주)지에스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큐브파트너스, (주)지에스지이엔지 filed Critical (주)디큐브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0007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66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망형태의 포대의 내부에 물에 의해 경화되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같은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물을 붓거나 물에 담그는 등의 방법으로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이나 흙막이 벽체와 보나 슬래브 부분의 사이에 끼워넣고 경화시켜 시공을 완료하도록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 크기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포대와; 포대의 내부에 충전되며 물에 의해 경화되는 충전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Using Retaining Soil Pressure Pack}
본 발명은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망형태의 포대의 내부에 물에 의해 경화되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같은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물을 붓거나 물에 담그는 등의 방법으로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이나 흙막이 벽체와 보나 슬래브 부분의 사이에 끼워넣고 경화시켜 시공을 완료하도록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벽체와 띠장이 이격되면, 흙막이 벽체에 대한 띠장의 지지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결국 흙막이 벽체가 토압에 의하여 무너져 내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이격공간에 합판에 의한 거푸집을 만들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 사용되었지만, 시공이 어렵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점 등의 단점이 있고, 특히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협소한 이격공간에 거푸집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앵글, 강판, H빔 등을 절단하여 흙막이 벽체와 띠장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하여 용접하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흙막이 벽체와 띠장 사이의 이격거리를 정확하게 계측하여 오차 없이 시공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흙막이 벽체와 띠장의 양측에 모두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접량이 많아 별도의 공사기간이 필요하여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하 구조물 축조 시 지하 구조물의 안전성과 공기 단축 등의 이유로 역타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역타공법 시공시 흙막이 벽체와 층간 슬래브가 만나는 경계부분에 테두리 보가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 보를 중간 구조체로 하여 층간 슬래브가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흙막이 벽체 토압을 지지하기 위해 띠장이나 테두리보와 같은 구조물이 필요하여 시공이 어렵고 경제성이 저하는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364227호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메우기용 자바라 잭"(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 및 저면에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주름부(21)가 형성된 플라스틱 케이스(20)와;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20)의 전면 상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띠장(12)에 걸 수 있도록 한 후크부(22)와;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20)의 후면 상단에 덧대어진 형태로 일체로 성형되고, 흙막이 벽체(10)와의 체결을 위한 장착홀(23)이 관통 형성된 강성보강면(24)과;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20)를 여러개 상호 적층 결합시킬 수 있도록 플라스틱 케이스(20)의 전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층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층 결합수단(30)은: 플라스틱 케이스(20)의 후크부(22)에 관통 형성된 제1결속홀(31) 및 제3결속홀(33)과; 플라스틱 케이스(20)의 후면 상단에 관통 형성된 제2결속홀(32)과; 제1 내지 제3결속홀(31,32,33)에 차례로 관통 삽입된 후, 결속되는 결속띠(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메우기용 자바라 잭.'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후크부(22)로만 하중을 지탱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바라잭은 통상 흙막이 띠장에만 사용되며 사용 거리가 100~150mm 정도로 짧아서 역타 접합부에서 요구되는 지하 외벽 두께인 400~1000mm에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364227호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메우기용 자바라 잭"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 설치 공정이 매우 단순하며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고, 필요 용접 작업이 고정용 점용접(태그용접)으로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철골자재를 대폭적으로 줄이어 시공성 저하 및 원가 증가를 방지, 시공 오차를 흡수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자재가 경량으로 인력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 저하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흙막이 벽체에 고정 설치된 받침 브라켓과, 받침 브라켓과 받침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보와, 받침보 상부에 종방향으로 거치되는 철골보와, 흙막이 벽체에서 소정의 폭을 이격하여 횡방향으로 지하구조물의 철골보의 상부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와, 일정 길이의 지지대와,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 접합되는 일정 길이의 설치부재로 이루어지는 토압 지지부재를 엔드플레이트와 H파일의 사이에서 지지대의 일단부가 엔드플레이트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토압 전이팩을 물에 담구거나 물을 부어 설치부재의 상부에서 지지대의 타측 단부와 H파일의 사이를 채우도록 삽입하여 경화시켜 토압을 전달하도록 하며,
토압 전이팩은 일정 크기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포대와, 포대의 내부에 충전되며 물에 의해 경화되는 충전재로 이루어지고, 충전재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혼입된 건식 콘크리트 또는 건식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설치부재는 H, U, L 단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망형태의 포대의 내부에 물에 의해 경화되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같은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물을 붓거나 물에 담그는 등의 방법으로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이나 흙막이 벽체와 보나 슬래브 부분의 사이에 끼워넣고 경화시켜 시공을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현장 설치 공정이 매우 단순하며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고, 필요 용접 작업이 고정용 점용접(태그용접)으로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철골자재를 대폭적으로 줄이어 시공성 저하 및 원가 증가를 방지, 시공 오차를 흡수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자재가 경량으로 인력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 저하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 역타 접합부 기술은 용접량이 많아 별도의 공사기간이 필요하여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데크 및 철골 작업에 병행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시공시간이 매우 짧아 공사기간 단축에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기존에는 흙막이 벽체의 콘크리트 곡면에 대한 대처가 어려워서 실측해서 철골이나 앵글을 잘라넣긴 하지지만 콘크리트 면과 용접도 안되고 면이 반듯하지 않아 시공이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토압 전이팩을 활용하여 흙막이 벽체의 콘크리트 곡면이나 경사면에도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상기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상기 도 5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d는 상기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토압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10)은 도 1에서와 같이, 일정 크기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포대(110)와, 포대(1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20)로 이루어진다.
포대(110)는 투수가 가능하도록 망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정크기 바람직하게는 10~30cm 의 길이로 공장제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포대(110)의 내부에는 충전재(120)가 충전되도록 하는데, 충전재(120)는 물에 담그거나 물을 부으면 경화되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식 콘크리트 또는 건식 시멘트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토압 전이팩(10)에 물을 뿌리거나 물에 담근 후 설치하여 충전재가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충전재(120)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일정 비율로 혼입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 등에 시공될 때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는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 우레탄폼, 스티로폼 등 공지의 다양한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흙막이 벽체의 말뚝(2)과 띠장(5)의 사이에 본 발명의 토압 전이팩(10)을 사용하여 홈메우기를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 벽체는 CIP공법으로 시공시에 시공오차로 인하여 말뚝(2)간 이격되거나 열을 벗어나 시공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차 등에 의한 홈을 메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앵글 등을 이용하여 메워야 하지만, 중량이 무거워 인력 운반이 어렵고 말뚝(2)과 띠장(5) 사이의 간격을 매번 측정하여 홈메우기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벽체의 말뚝(2)과 띠장(5)의 이격공간에 설치부재(710)를 삽입하여 접합시킨 후에 토압 전이팩(10)에 물에 담구거나 물을 부어 설치부재(710)의 상부에서 흙막이 벽체(1)와 띠장(5)의 이격공간을 채우도록 삽입하여 경화시키도록 함으로써 홈메우기를 하여 토압을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말뚝(2)과 띠장(5) 간의 이격공간이 매번 달라지더라도 토압 전이팩(10)이 형상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채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에 의해 경화되어 토압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설치부재(710)의 경우에는 단순히 토압 전이팩(10)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설치부재(710)의 일측 단부 만이 띠장(5)에 단순 고정용 태그 용접 등의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고 타단은 접합 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이때 설치되는 설치부재(710)의 길이는 말뚝(2)과 띠장(5) 간의 이격공간과 정확히 일치할 필요 없이 설치부재(710)의 길이는 일괄로 공장제작하고 일단부만이 접합되고 오차는 토압 전이팩(10)이 흡수하도록 하기 때문에 타단은 말뚝(2)과 접합이 필요치 않다.
따라서, 설치부재(710)는 토압 전이팩(10)을 거치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며 토압 전이팩(10)이 토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치부재(710)는 일정 길이의 다양한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압 전이팩(10)을 거치할 수 있는 H형 단면, U형 단면, ㄴ 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측벽의 H 파일(21)과 띠장(5)의 이격공간에도 본 발명의 토압 전이팩(10)을 삽입하여 홈메우기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측벽의 H 파일(21)과 띠장(5)의 이격공간에 설치부재(710)를 삽입하여 접합시킨 후에 설치부재(710)의 상부에 토압 전이팩(10)을 측벽의 H 파일(21)과 띠장(5)의 이격공간을 채우도록 삽입한 후 토압 전이팩(10)을 경화시키도록 함으로써 홈메우기를 하여 토압을 전달하도록 한다.
토압 전이팩(10)은 물에 담구거나 물을 부어 경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H 파일(21)과 띠장(5) 간의 이격공간이 매번 달라지더라도 토압 전이팩(10)이 형상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채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에 의해 경화되어 토압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설치부재(710)의 경우에는 단순히 토압 전이팩(10)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설치부재(710)의 일측 단부 만이 띠장(5)에 용접 등의 곶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고 타단은 접합 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이때 설치되는 설치부재(710)의 길이는 H 파일(21)과 띠장(5) 간의 이격공간과 정확히 일치할 필요 없이 다소 짧게 구성되도록 하고 일단부만이 접합되고 타단은 말뚝(2)과 접합되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특별한 접합 수단이 필요치 않다.
따라서, 설치부재(710)는 토압 전이팩(10)을 거치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며 토압 전이팩(10)이 토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치부재(710)는 일정 길이의 다양한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압 전이팩(10)을 거치할 수 있는 H형 단면, U형 단면, ㄴ 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의 평면도이며, 도 5c는 상기 도 5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5d는 상기 도 5a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토압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토압 전이팩(10)을 이용하여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1)는 일반적으로 소정 간격으로 H파일(21)이 매입되어 있고, H파일(21)의 플랜지면에는 받침 브라켓(22)과, 받침 브라켓(22)과 받침 브라켓(22)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보(23)와, 받침보(23) 상부에 종방향으로 거치되는 철골보(24)가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파일(21)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에는 흙막이 벽체(1)의 콘크리트 곡면에 대한 대처가 어려워서 실측해서 철골이나 앵글을 잘라넣긴 하지지만 콘크리트 면과 용접도 안되고 면이 반듯하지 않아 시공이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토압 전이팩(10)을 활용하여 흙막이 벽체(1)의 콘크리트 곡면이나 경사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벽체(1)에서 소정의 폭을 이격하여 횡방향으로 지하구조물의 철골보(24)의 상부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27)를 구성하도록 한다.
엔드플레이트(27)는 철골보(24)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 등을 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본 발명의 토압 지지부재(70)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토압을 전달하기 위한 토압 지지부재(70)는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일정 길이의 지지대(720)과, 지지대(720)의 타측 단부에 접합되는 일정 길이의 설치부재(710)로 이루어진다.
토압 지지부재(70)는 엔드플레이트(27)와 흙막이 벽체(1)의H파일(21)과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각 H파일(21) 마다 흙막이 벽체(1)의 H파일(21)과의 이격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고, H파일(21)의 일부에만 흙막이 벽체(1)의 H파일(21)과의 이격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대(720)는 H파일 등 공지의 다양한 일정길이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대(720)의 단부에는 별도의 설치부재(710)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지지대(720)의 단부에는 마감판(721)이 구성되어 설치부재(710)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토압 지지부재(70)는 일측 단부 즉, 지지대(720)의 단부가 엔드플레이트(27)와 H파일(21)의 사이에서 지지대(720)의 일단부가 엔드플레이트(27)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설치부재(710)의 상부에 토압 전이팩(10)을 지지대(720)의 타측 단부와 H파일(21)의 사이를 채우도록 삽입하여 경화시켜 토압을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설치부재(710)는 토압 전이팩(10)을 거치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며 토압 전이팩(10)이 토압을 전달받아 지지대(7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치부재(710)는 일정 길이의 다양한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압 전이팩(10)을 거치할 수 있는 H형 단면, U형 단면, ㄴ 형 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7b에서와 같이 설치부재(710)가 ㄴ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필요시 단부를 일부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말뚝과 띠장 또는 H 파일과 띠장 간의 홈메우기 구조,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는 망형태의 포대의 내부에 물에 의해 경화되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같은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물을 붓거나 물에 담그는 등의 방법으로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이나 흙막이 벽체와 보나 슬래브 부분의 사이에 끼워넣고 경화시켜 시공을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현장 설치 공정이 매우 단순하며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고, 필요 용접 작업이 고정용 점용접(태그용접)으로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철골자재를 대폭적으로 줄이어 시공성 저하 및 원가 증가를 방지, 시공 오차를 흡수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자재가 경량으로 인력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 저하 및 공사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 역타 접합부 기술은 용접량이 많아 별도의 공사기간이 필요하여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데크 및 철골 작업에 병행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시공시간이 매우 짧아 공사기간 단축에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기존에는 흙막이 벽체의 콘크리트 곡면에 대한 대처가 어려워서 실측해서 철골이나 앵글을 잘라넣긴 하지지만 콘크리트 면과 용접도 안되고 면이 반듯하지 않아 시공이 어려우나, 본 발명에서는 토압 전이팩을 활용하여 흙막이 벽체의 콘크리트 곡면이나 경사면에도 적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흙막이 벽체
2 : 말뚝
5 : 띠장
10 : 토압 전이팩
110 : 포대
120 : 충전재
21 : H파일
22 : 받침 브라켓
23 : 받침보
24 : 철골보
27 : 엔드플레이트
70 : 토압 지지부재
710 : 설치부재
720 : 지지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흙막이 벽체(1)에 고정 설치된 받침 브라켓(22)과, 받침 브라켓(22)과 받침 브라켓(22)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보(23)와, 받침보(23) 상부에 종방향으로 거치되는 철골보(24)와, 흙막이 벽체(1)에서 소정의 폭을 이격하여 횡방향으로 지하구조물의 철골보(24)의 상부에서 상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27)와,
    일정 길이의 지지대(720)와, 지지대(720)의 타측 단부에 접합되는 일정 길이의 설치부재(710)로 이루어지는 토압 지지부재(70)를 엔드플레이트(27)와 H파일(21)의 사이에서 지지대(720)의 일단부가 엔드플레이트(27)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토압 전이팩(10)을 물에 담구거나 물을 부어 설치부재(710)의 상부에서 지지대(720)의 타측 단부와 H파일(21)의 사이를 채우도록 삽입하여 경화시켜 토압을 전달하도록 하며,
    토압 전이팩(10)은, 일정 크기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포대(110)와, 포대(110)의 내부에 충전되며 물에 의해 경화되는 충전재(120)로 이루어지고, 충전재(120)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혼입된 건식 콘크리트 또는 건식 시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설치부재(710)는 H, U, L 단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역타 구조물의 흙막이 벽체 지지구조.
KR1020200072744A 2020-06-16 2020-06-16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KR10243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44A KR102438668B1 (ko) 2020-06-16 2020-06-16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744A KR102438668B1 (ko) 2020-06-16 2020-06-16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75A KR20210155475A (ko) 2021-12-23
KR102438668B1 true KR102438668B1 (ko) 2022-08-31

Family

ID=7917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44A KR102438668B1 (ko) 2020-06-16 2020-06-16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6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7600A (ja) * 2001-04-19 2002-10-31 Showa Mining Co Ltd 通気透湿性収容体と発泡樹脂粒状体による地山変位抑制工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03247235A (ja) * 2002-02-25 2003-09-05 Ohbayashi Corp 腹起しの裏込め用スペーサ
KR101827619B1 (ko) * 2016-01-14 2018-02-08 이병희 흙막이 벽체 토압 지지공법
KR101880014B1 (ko) * 2018-01-27 2018-07-18 양병진 주열식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가변식 필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27B1 (ko) 2013-10-11 2014-02-18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흙막이 벽체와 띠장 간의 홈메우기용 자바라 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7600A (ja) * 2001-04-19 2002-10-31 Showa Mining Co Ltd 通気透湿性収容体と発泡樹脂粒状体による地山変位抑制工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03247235A (ja) * 2002-02-25 2003-09-05 Ohbayashi Corp 腹起しの裏込め用スペーサ
KR101827619B1 (ko) * 2016-01-14 2018-02-08 이병희 흙막이 벽체 토압 지지공법
KR101880014B1 (ko) * 2018-01-27 2018-07-18 양병진 주열식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가변식 필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75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7118A (ko)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46879B1 (ko)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20090041707A (ko) 말뚝 두부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말뚝과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2438668B1 (ko) 건식 충전재가 충전된 토압 전이팩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지지구조
KR2019006991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20110132909A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50043913A (ko)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JP2007177492A (ja) 橋脚補強方法
JP6835138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構造
KR101167495B1 (ko) 라멘형 파형강판 구조물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JP3848518B2 (ja) 杭式基礎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641960B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을 이용한 수중 기초구조물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CN213951931U (zh) 一种伸缩缝装置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JP7138945B2 (ja) 型枠付き壁体構成部材および型枠付き壁体
US5295337A (en) Isolation element and the use thereof at an isolation arrangement
KR102098141B1 (ko)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JP4404263B2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JP3763061B2 (ja) 橋脚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