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346B1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346B1
KR102437346B1 KR1020200105225A KR20200105225A KR102437346B1 KR 102437346 B1 KR102437346 B1 KR 102437346B1 KR 1020200105225 A KR1020200105225 A KR 1020200105225A KR 20200105225 A KR20200105225 A KR 20200105225A KR 102437346 B1 KR102437346 B1 KR 10243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lider
plate
spr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972A (ko
Inventor
쇼타로 구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Publication of KR2021002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pneuma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하나의 작동판으로, 풍압에 의해 폐쇄하는 기능과 수동에 의해 개폐하는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환기구(14)가 형성된 장치 본체(10)의 칸막이벽(13)의 실외측에, 작동판(20)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판(20)은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캠 기구(60)의 작용으로 회동한다. 캠 기구(60)는 장치 본체(10)에 마련된 제1 캠부(61)와 작동판(20)에 마련된 제2 캠부(62)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40)와 작동판(20)은 연결 기구 M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기구 M은, 슬라이더(40)에 마련된 제1 걸림 결합부(42)와 작동판(20)에 마련된 제2 걸림 결합부(50)를 갖고 있다. 작동판(20)은, 스프링(55)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풍압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수동 조작 기구(70)는, 슬라이더(40) 및 연결 기구 M을 개재하여 작동판(20)을 슬라이드시킨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풍압에 의해 폐쇄할 수 있음과 함께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환기 장치는, 환기구가 형성된 칸막이벽을 갖는 가늘고 긴 장치 본체와, 칸막이벽의 실내측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환기구를 개폐하는 제1 작동판과, 이 제1 작동판을 수동으로 개폐 조작하는 수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환기 장치는, 칸막이벽의 실외측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작동판과, 이 제2 작동판을 칸막이벽으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수동 조작 기구에 의해 제1 작동판을 개방 상태로 하고 부재 중이었을 때, 비바람이 심해진 경우에는, 제2 작동판이 풍압에 의해 눌려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칸막이벽에 접하여 환기구를 막으므로, 비바람이 실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환기 장치는, 환기구가 형성된 칸막이벽을 갖는 가늘고 긴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동에 수반하여 환기구를 개폐하는 작동판과,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를 장비하고 있다. 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는, 장치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캠과, 슬라이더에 마련되며 이동 캠을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과 바이어스 스프링을 갖고, 유닛화되어 있다. 기온에 따라서 이동 캠이 이동하면, 이 이동 캠과 걸림 결합하는 작동판이 회동하여, 환기구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환기 장치는, 수동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닛화된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 전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작동판을 강제적으로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WO2015/198416호 공보 WO2013/12865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환기 장치에서는, 풍압에 의해 폐쇄하는 기능과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2개의 작동판을 필요로 한다.
특허문헌 2의 환기 장치는, 작동판을 풍압에 의해 폐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환기 장치에 있어서,
환기구가 형성된 칸막이벽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칸막이벽의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를 갖고,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의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판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기 작동판을 회동시키는 캠 기구와,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작동판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상기 작동판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작동판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며,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상기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작동판을 슬라이드시키는 수동 조작 기구와,
상기 작동판을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된 제1 캠부와 상기 작동판에 마련된 제2 캠부를 갖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제1 캠부의 실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풍압에 의해 상기 작동판이 상기 스프링에 저항하여 폐쇄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1 캠부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풍압에 의해 폐쇄하는 기능과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동판이 하나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된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작동판으로부터 실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작동판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 기구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이 작동판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함께 이동하므로, 스프링의 힘을 확실하게 작동판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기구를 사용하여 스프링의 힘을 작동판에 전달하므로, 이 전달을 위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수용 공간을 갖고, 이 수용 공간에 상기 제2 걸림 결합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이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걸려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 기구 및 스프링의 힘을 전달하는 구성을, 보다 한층 더 간략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작동판과 대향하는 캠면을 갖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작동판으로부터 실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캠면에 접하는 맞닿음부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 기구가 상기 축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캠 부재의 비교적 작은 변위로 작동판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 양태에서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별체를 이루는 걸림 결합 블록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 블록은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 결합 블록을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과 바이어스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림 결합 블록과 상기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과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에 의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가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작동판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양태에서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작동판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동 조작 기구에 의해 슬라이더가 슬라이드할 때, 작동판을 동시에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고, 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 및 바이어스 스프링과,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기 작동판을 회동시키는 제2 캠 기구를 갖고, 상기 제2 캠 기구는, 상기 이동 부재에 마련된 제3 캠부와 상기 작동판에 마련된 제4 캠부를 갖고, 상기 제4 캠부가 상기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제3 캠부에 접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에 의해,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제어에서는, 작동판의 슬라이드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부재는 중공 프레임 형상을 갖고, 상기 이동 부재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캠부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면을 갖고, 상기 제4 캠부는,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캠부의 캠면에 접하는 맞닿음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4 캠부가 제2 걸림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작동판으로, 풍압에 의해 폐쇄하는 기능과 수동 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환기 장치를 내장한 새시창을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 표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환기 장치를 커버판을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 화살 표시 확대 단면도이며, 기온이 높을 때 작동판이 완전 개방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기온이 낮을 때 작동판이 1/3 개방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4a 상당도이다.
도 5a는 도 3에 있어서의 V-V 화살 표시 확대 단면도이며, 기온이 높을 때 작동판이 완전 개방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풍압에 의해 작동판이 완전 폐쇄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5a 상당도이다.
도 6은 작동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환기 장치에 내장된 슬라이딩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와, 작동판과, 캠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있어서의 IX-IX 화살 표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환기 장치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기온이 높을 때 작동판이 완전 개방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간략화를 위해 몇 가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어 있다.
도 10b는 기온이 낮을 때 작동판이 1/3 개방 위치로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0a 상당도이다.
도 11은 동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환기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 유닛의 슬라이더와 걸림 결합 블록과 이동 블록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슬라이더와 걸림 결합 블록과 이동 블록을 조립 상태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동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환기 장치에 있어서, 걸림 결합 블록과 이동 블록과 작동판의 걸림 결합 돌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걸림 결합 블록과 이동 블록과 작동판의 걸림 결합 돌기를 조립 상태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건물의 벽의 개구에 붙박이 상태로 설치되는 새시창을 나타낸다. 새시창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는 프레임(1)과, 프레임(1)에 내장되며 위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4개의 중간살(2a 내지 2d)과, 중간살(2a, 2b) 사이에 배치된 상측의 유리판(3a)과, 중간살(2c, 2d) 사이에 배치된 하측의 유리판(3b)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의 상부 프레임부와 중간살(2a) 사이, 중간살(2b, 2c) 사이, 중간살(2d)과 프레임(1)의 하부 프레임부 사이에는, 각각 동일 구성을 갖는 환기부(4)가 내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부(4)는, 실외와 실내를 연결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압출형재(이하, 간단히 형재라 함)(5)를 구비하고 있다. 형재(5)의 실외측에는 펀칭 메탈로 이루어지는 필터(6)가 마련되고, 형재(5)의 실내측에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7)가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7)는, 좌우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장치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0)의 주요부는 알루미늄 합금제 형재로 이루어진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는, 상부 벽(11)과, 하부 벽(12)과, 이들 상부 벽(11)과 하부 벽(12)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수직의 칸막이벽(13)을 갖고 있다. 상부 벽(11), 하부 벽(12)의 실외측 부분과 칸막이벽(13)에 의해, 실외측이 개방된 실외측 공간(15)이 형성되고, 상부 벽(11), 하부 벽(12)의 실내측 부분과 칸막이벽(13)에 의해, 실내측이 개방된 실내측 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벽(13)에는, 긴 변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기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의 실내측 공간(16)은, 장치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판(8)(도 1, 도 2에만 도시함)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8)에는 세로로 긴 통기구(8a)가 가로로 나란히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7)는, 장치 본체(10)의 긴 변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작동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판(20)도 알루미늄 합금제의 형재로 이루어지고, 실외측 공간(15)(즉 칸막이벽(13)의 실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판(20)은 상부 테두리(폭 방향의 한쪽의 측부 테두리)에 축부(21)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10)는, 상부 벽(11)과 칸막이벽(13)의 교차부에 베어링부(17)를 갖고 있다. 작동판(20)의 축부(21)가 베어링부(17)에 수용됨으로써, 작동판(20)은, 긴 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또한 칸막이벽(13)에 대하여 접근·이격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동판(20)의 실내측의 면에는, 상기 칸막이벽(13)에 있어서의 복수의 환기구(14)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는 패킹(30)이 첩부되어 있다.
작동판(20)의 실외측의 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L자형의 보유 지지편(22, 2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보유 지지편(22, 23) 사이에 흡음 패드(35)가 수용되어 있다. 상측의 보유 지지편(22)의 선단 테두리에는 실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24)에는 후술하는 맞닿음 부재(62)가 고정되어 있다.
환기 장치(7)는,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20)을 자동적으로 개폐 제어하는 기능과, 작동판(20)이 개방 상태에 있더라도 실외의 풍압에 의해 폐쇄하는 기능과, 수동으로 작동판(20)을 강제적으로 폐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 상세히 기술한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의 실내측 공간(16)에는, 슬라이딩 유닛(40)이 장치 본체(10)의 긴 변 방향(작동판(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40)은, 장치 본체(10)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라이더(41)와, 이 슬라이더(41)에 지지된 수지제의 걸림 결합 블록(42)(제1 걸림 결합부)과, 2개의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43)(이하, 형상 기억 스프링이라 함)과, 2개의 바이어스 스프링(44)을 구비하고 있다. 형상 기억 스프링(43)과 바이어스 스프링(44)은 인장 코일 스프링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형상 기억 스프링(43)과 바이어스 스프링(44)은 1개씩 배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걸림 결합 블록(42)과 형상 기억 스프링(43)과 바이어스 스프링(44)에 의해, 후술하는 작용을 이루는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49)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41)는, 금속제의 박판을 단면 コ자형으로 가공한 슬라이더 본체(41a)와, 슬라이더 본체(41a)의 양단에 고정된 수지제의 스프링 홀더(41b, 41c)를 갖고 있다. 우측의 스프링 홀더(41b)에는 상하로 돌출되는 볼록부(41x)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볼록부(41x)가 장치 본체(10)의 상부 벽(11)과 하부 벽(12)의 실내측의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 지지 플랜지부(11a, 12a)에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더(41)는 장치 본체(10)에 작동판(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블록(42)의 상하면에는, 볼록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42a)가 슬라이더 본체(41a)의 상하의 판부에 형성된 긴 구멍(걸림 결합 구멍)(41y)에 삽입되어 있다. 걸림 결합 구멍(41y)은, 볼록부(42a)보다 작동판(20)의 슬라이드 방향의 치수가 크고, 그 때문에, 걸림 결합 블록(42)은 슬라이더(41)에 대하여 작동판(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볼록부(42a)와 긴 구멍(41y)은, 슬라이더(41)에 대한 걸림 결합 블록(42)의 스트로크 및 좌우의 이동 한계 위치를 결정하는 규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블록(42)과 우측의 스프링 홀더(41b) 사이에 걸린 형상 기억 스프링(43)은, 걸림 결합 블록(42)을 우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걸림 결합 블록(42)과 좌측의 스프링 홀더(41c) 사이에 걸린 바이어스 스프링(44)은, 걸림 결합 블록(42)을 좌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블록(42)은 수용 공간(42b)을 갖고 있다. 한편, 작동판(20)의 긴 변 방향 중간부의 실내측의 면에는 걸림 결합 돌기(50)(제2 걸림 결합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 걸림 결합 돌기(50)가 칸막이벽(13)의 환기구(14)의 하나를 통해, 수용 공간(42b)에 들어가 있다. 걸림 결합 돌기(50)가 수용 공간(42b)의 양측면에 접함으로써, 걸림 결합 돌기(50)는 걸림 결합 블록(42)에 대한 좌우 방향의 상대적 이동(작동판(20) 및 슬라이더(41)의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이 금지되고, 실내외 방향(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걸림 결합 블록(42)과 걸림 결합 돌기(50)에 의해, 슬라이더(41)와 작동판(20)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 M이 구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블록(42)의 수용 공간(42b)에는 스프링(55)이 수용되어 있다. 이 스프링(55)은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이 걸림 결합 블록(42)의 저부에 걸리고, 타단이 걸림 결합 돌기(50)의 슬릿(50a)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 돌기(50)의 실내측 단부에 걸려 있다. 스프링(55)에 의해, 작동판(20)은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7)는 또한, 장치 본체(10)의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캠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캠 기구(60)는 실외측 공간(15)에 있어서 작동판(20)보다 실외측에서 축부(21)의 근방(작동판(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축부(2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캠 기구(60)는, 장치 본체(10)에 고정된 수지제의 캠 부재(61)(제1 캠부)와, 작동판(20)의 돌기(24)에 고정된 캠 팔로어로서의 수지제의 맞닿음 부재(62)(제2 캠부)를 갖고 있다.
캠 부재(61)는, 장치 본체(10)의 상부 벽(11)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부(61a)와, 이 고정부(61a)로부터 수하된 수하부(61b)를 갖고 있다. 수하부(61b)에 있어서의 작동판(20)에 대향하는 면이 캠면(61c)으로서 제공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캠면(61c)은 중앙부(61x)가 가장 작동판(20)으로부터 멀고, 좌우 양단부(61y)가 작동판(20)에 가장 가깝고, 중앙부(61x)와 좌우 양단부(61y) 사이가 경사부(61z)로 되어 있다. 중앙부(61x)는, 장치 본체(10)의 긴 변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부(61x)와 좌측의 경사부(61z)와 좌측의 단부(61y)만이 이용된다.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판(20)의 돌기(24)에는 한 쌍의 절결(24a)이 형성되고, 이들 절결(24a)간에 있어서 돌기(24)의 남겨진 부분에, 맞닿음 부재(62)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24a)은, 캠 부재(6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작동판(20)이 스프링(55)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맞닿음 부재(62)는 스프링(55)의 힘으로 캠 부재(61)의 캠면(61c)에 접하고 있다.
맞닿음 부재(62)의 선단 테두리는 작동판(20)의 긴 변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맞닿음 부재(62)의 긴 변 방향 치수는, 캠면(61c)의 중앙부(61x)의 긴 변 방향 치수와 대략 동등하다. 맞닿음 부재(62)의 선단 테두리의 횡단면 형상은 원호를 이루고 있다.
도 3,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7)는 또한, 장치 본체(10)의 좌측 단부에 마련된 수동 조작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딩 유닛(40)의 좌측의 스프링 홀더(41c)에는, 링크(71)의 일단이 연결되고, 링크(71)의 타단에는 조작 레버(72)(조작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0)에는 홀더(75)가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75)는, 대략 중앙에 형성된 지지 구멍(75a)과, 좌측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용 오목부(75b)와, 우측부에 형성된 스프링 보유 지지부(75c)를 갖고 있다. 스프링 보유 지지부(75c)에는, 산형을 이루는 판 스프링(76)이 장착되어 있다. 링크(71)에는, 이 판 스프링(76)의 중앙의 정상부를 수용하는 2개의 오목부(71a, 71b)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72)는, 홀더(75)의 지지 구멍(75a)을 통해 실내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지지 구멍(75a)을 중심으로, 개방 조작 위치와, 폐쇄 조작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방 조작 위치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72)가 조작 본체(10)를 따라서 쓰러져 있다. 홀더(75)의 손가락 삽입용 오목부(75b)에 손가락을 넣어 조작 레버(72)에 걸고, 조작 레버(72)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으켜 세우면, 조작 레버(72)는 폐쇄 조작 위치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조작 레버(72)와 링크(71)의 연결부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슬라이딩 유닛(40)이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상기 조작 레버(72)의 개방 조작 위치와 폐쇄 조작 위치는, 판 스프링(76)의 정상부가 링크(71)의 오목부(71a, 71b)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유지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8)에는, 상기 조작 레버(72)를 노출시키는 조작 구멍(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환기 장치(7)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동 조작 기구(70)의 조작 레버(72)가 도 9에 도시한 개방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 유닛(40)의 슬라이더(41)는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49)는,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20)을 자동적으로 개폐 제어한다.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형상 기억 스프링(43)의 탄성력이 강하므로, 걸림 결합 블록(42)은 슬라이더(41)에 대하여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걸림 결합 블록(42)의 한층 더한 우방향 이동은, 걸림 결합 블록(42)의 볼록부(42a)가 슬라이더 본체(41a)의 긴 구멍(41y)의 우측 단부에 닿음으로써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41)가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걸림 결합 블록(42)이 슬라이더(41)에 대하여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 스프링(55)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작동판(20)의 맞닿음 부재(6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61)의 캠면(61c)의 중앙부(61x)에 접하고 있다. 그 결과, 작동판(20)은 칸막이벽(13)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완전 개방 위치에 있다.
기온이 내려가 예를 들어 18℃를 하회하면, 형상 기억 스프링(43)의 탄성력이 약해지고, 형상 기억 스프링(43)에 비해 바이어스 스프링(44)의 힘이 상대적으로 강해지기 때문에, 걸림 결합 블록(42)은 슬라이더(41)에 대하여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걸림 결합 블록(42)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걸림 결합 블록(42)과 걸림 결합 돌기(50)의 걸림 결합을 통해 작동판(20)이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작동판(20)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맞닿음 부재(62)는 캠면(61c)의 중앙부(61x)로부터 경사부(61z)로 이행한다. 기온이 저하될수록 맞닿음 부재(62)는 경사부(61z)에 접하면서 좌방향으로 진행한다. 그 때문에, 작동판(20)은 점차 칸막이벽(13)에 접근하여, 그 개방도가 감소된다.
기온이 더 내려가 예를 들어 12℃로 되면, 맞닿음 부재(62)가 경사부(61z)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작동판(20)의 개방도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시의 1/3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걸림 결합 블록(42)의 볼록부(42a)가 슬라이더 본체(41a)의 긴 구멍(41y)의 좌측 단부에 걸림 지지되기 때문에, 기온이 12℃로부터 더 하회해도 걸림 결합 블록(42)의 한층 더한 좌방향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작동판(20)은 환기구(14)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완전 폐쇄 위치)에 이르지 않고, 1/3 개방도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20)의 자동 개폐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 실외로부터 강한 풍압이 작동판(20)에 부여되었을 때는, 스프링(55)의 힘에 저항하여 작동판(20)이 폐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작동판(20)은 도 5a에 도시한 완전 개방 위치 또는 기온에 따른 개방도 위치로부터, 도 5b에 도시한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패킹(30)이 칸막이벽(13)에 접함으로써, 환기구(14)를 완전히 막는다. 이에 의해, 거주자가 부재 시라도 비바람의 실내로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강풍 시의 과잉 환기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동판(20)의 풍압에 의한 폐쇄 동작 시에는, 맞닿음 부재(62)가 캠 부재(61)의 캠면(61c)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캠 기구(60)가 작동판(20)의 폐쇄 동작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
작동판(20)이 칸막이벽(13)에 강하게 닿아도, 작동판(20)에 마련된 흡음 패드(35)에 의해 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다.
거주자는, 공조 장치를 가동하여 실온을 조절하는 경우나 폭풍 시에, 수동 조작에 의해 의도적으로 작동판(20)을 폐쇄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동 조작 기구(70)의 조작 레버(72)를 일으켜 조작 레버(72)를 폐쇄 조작 위치로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41)가 소정 거리만큼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슬라이드 시에, 슬라이더 본체(41a)의 긴 구멍(41y)의 우측 단부가 걸림 결합 블록(42)의 볼록부(42a)에 닿음으로써, 걸림 결합 블록(42)이 슬라이더(41)와 함께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41)의 슬라이드 거리는, 캠면(61c)의 중앙부(61x)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측의 단부(61y)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길다. 그 결과, 작동판(20)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라도(즉, 기온이 높아, 걸림 결합 블록(42)이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맞닿음 부재(62)가 캠면(61c)의 중앙부(61x)에 위치하고 있을 때라도), 맞닿음 부재(62)를 확실하게 캠면(61c)의 좌측의 단부(61y)까지 이동시킬 수 있어, 작동판(20)을 완전 폐쇄 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온이 낮아 예를 들어 걸림 결합 블록(42)이 슬라이더(41)에 대하여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맞닿음 부재(62)가 캠면(61c)의 경사부(61z)에 위치하고 있을 때(작동판(20)이 1/3 개방의 위치에 있을 때) 레버(72)를 폐쇄 조작 위치로 하면, 슬라이더(41)의 슬라이드의 도중에 슬라이더 본체(41a)의 긴 구멍(41y)의 우측 단부가 걸림 결합 블록(42)의 볼록부(42a)에 닿음으로써, 걸림 결합 블록(42)을 슬라이더(41)와 함께 좌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작동판(20)을 완전 폐쇄 위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는, 도시하지 않거나 또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성부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딩 유닛(40A)은, 슬라이더(41)와, 슬라이더(41)에 마련된 이동 블록(45)(이동 부재), 걸림 결합 블록(47)(제1 걸림 결합부), 형상 기억 스프링(43) 및 바이어스 스프링(4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동 블록(45)은, 슬라이더 본체(41a)에, 그 긴 변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 블록(45)은, 좌우 한 쌍의 측판(45a)과, 이들 한 쌍의 측판(45a)을 상하 단부에서 연결하는 가교부(45b)를 갖고 있다. 이동 블록(45)은, 정면으로부터 보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중공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측판(45a)의 외면에는, 형상 기억 스프링(43)의 일단이 걸리는 걸림부(45c)가 형성되고, 좌측의 측판(45a)의 외면에는, 바이어스 스프링(44)의 일단이 연결되는 걸림부(45d)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45a)의 중간부의 내면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부재(81)(제3 캠부)가 걸쳐져 있다. 이 캠 부재(81)의 상면이 캠면(81a)으로서 제공된다. 캠면(81a)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최하위부(81x)와, 이 최하위부(81x)의 우측 단부에 이어져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81y)와, 경사부(81y)의 우측 단부에 이어지는 최상위부(81z)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 블록(47)은 좌우 한 쌍의 측판(47a)과 상하의 판(47b)을 갖고, 정면으로부터 보아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중공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수용 공간(47c)을 갖고 있다.
걸림 결합 블록(47)은, 그 상하면에 볼록부(47d)를 갖고 있고, 이 볼록부(47d)가 슬라이더 본체(41a)의 걸림 결합 구멍(41z)에 끼워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47d)와 걸림 결합 구멍(41z)이 거의 같은 치수이므로, 걸림 결합 블록(47)은, 슬라이더 본체(41a)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걸림 결합 블록(47)은, 이동 블록(45)보다 폭이 좁고, 이동 블록(4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이동 블록(45)의 좌우의 측판(45a)이, 슬라이더 본체(41a)에 고정된 걸림 결합 블록(47)의 좌우의 측판(47a)에 닿음으로써, 이동 블록(45)의 슬라이드의 스트로크는 제한된다.
걸림 결합 블록(47)의 측판(47a)에는, 상기 캠 부재(81)를 통과시키기 위한 오목부(47e)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블록(47)의 하판(47b)에는, 스프링(55)의 하단이 걸리는 핀(47g)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판(20)의 실내측의 면에 고정된 걸림 결합 돌기(51)(제2 걸림 결합부)는, 걸림 결합 블록(47)의 수용 공간(47c)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걸림 결합 돌기(51)는 걸림 결합 블록(47)에 대한 좌우 방향(슬라이드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금지되고,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대적 이동이 허용되어 있다.
걸림 결합 돌기(51)의 실내측의 단부에는, 스프링(55)의 상단이 걸리는 핀(51a)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 돌기(51)의 실내측의 부분의 하면은, 이동 블록(45)의 캠 부재(81)의 캠면(81a)에 접하는 맞닿음부(82)(제4 캠부)로서 제공된다. 이들 캠 부재(81)와 맞닿음부(82)에 의해, 제2 캠 기구(80)가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블록(45)과 형상 기억 스프링(43)과 바이어스 스프링(44)과 제2 캠 기구(80)에 의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동 조작 기구(70)의 조작 레버(72)가 도 9에 도시한 개방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 유닛(40)의 슬라이더(41)는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캠 기구(60)의 맞닿음부(62)는, 캠면(61a)의 중앙부(61x)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맞닿음부(62)는 중앙부(61x)에 접하고 있어도 되고, 약간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기온이 높을 때는, 우측의 형상 기억 스프링(43)의 탄성력이 강하므로, 이동 블록(45)은 슬라이더(41)에 대하여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동 블록(45)의 한층 더한 우방향 이동은, 이동 블록(45)의 좌측의 측판(45a)이 걸림 결합 블록(47)에 닿음으로써 제한된다.
이동 블록(45)이 슬라이더(41)에 대하여 가장 우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 스프링(55)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된 작동판(20)의 걸림 결합 돌기(51)의 맞닿음부(82)는, 도 10a,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81)의 캠면(81a)의 최하위부(81x)에 접하고 있다. 그 결과, 작동판(20)은 칸막이벽(13)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완전 개방 위치에 있다.
기온이 내려가 예를 들어 18℃를 하회하면, 형상 기억 스프링(43)의 탄성력이 약해지고, 형상 기억 스프링(43)에 비해 바이어스 스프링(44)의 힘이 상대적으로 강해지기 때문에, 이동 블록(45)은 슬라이더(41)에 대하여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이동 블록(45)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걸림 결합 돌기(51)의 맞닿음부(82)가 캠면(81a)의 최하위부(81x)로부터 경사부(81y)로 이행한다. 기온이 저하될수록 맞닿음부(82)는 경사부(81y)에 접하면서 캠면(8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우방향으로 진행한다. 그 결과, 맞닿음부(82)는 캠면(81a)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작동판(20)은 점차 칸막이벽(13)에 접근하도록 회동하여, 그 개방도가 감소된다. 이 작동판(20)의 회동에 수반하여, 맞닿음부(62)는 캠면(61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온이 더 내려가 예를 들어 12℃로 되면, 맞닿음부(82)가 캠면(81a)의 최상위부(81z)에 도달하고, 작동판(20)의 개방도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3 개방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이동 블록(45)의 우측의 측판(45a)이 걸림 결합 블록(47)에 닿기 때문에, 기온이 12℃로부터 더 하회해도 이동 블록(45)의 한층 더한 좌방향의 슬라이드가 저지되어, 작동판(20)은 환기구(14)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완전 폐쇄 위치)에 이르지 않고, 1/3 개방도를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판(20)의 슬라이드를 수반하지 않고, 작동판(20)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작동판(20)의 개방도를 자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강풍 시의 작동판(20)의 완전 폐쇄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 레버(72)에 의해, 작동판(20)을 강제적으로 폐쇄하는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비슷하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41)와 작동판(20)은, 걸림 결합 블록(47)과 걸림 결합 돌기(51)를 개재하여 슬라이드 방향의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20)이 어떤 개방도 위치에 있더라도, 슬라이더(41)의 슬라이드와 동시에 작동판(20)을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약되지 않고 다양한 양태가 가능하다.
기온에 따라서 작동판을 자동 개폐 제어하는 기능은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형상 기억 스프링과 바이어스 스프링을 생략하고, 슬라이더의 소정 위치에 걸림 결합 블록(제1 걸림 결합부)을 고정해도 된다. 이 경우, 수동 조작 기구는, 슬라이더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작동판의 슬라이드 위치를 직접 조절하여, 작동판의 개방도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수동 조작 기구의 조작 부재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기온이 낮은 경우에 작동판을 완전 폐쇄로 해도 된다.
캠 기구는, 실외를 향하는 캠면을 갖는 캠 부재(제2 캠 부재)를 작동판에 마련하고, 캠면과 접하는 맞닿음 부재(제1 캠 부재)를 장치 본체에 마련해도 된다.
본 발명의 환기 장치는 붙박이 새시창뿐만 아니라, 개폐 가능한 새시창이나, 슬라이드식 새시문에 내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강풍 시에 자동적으로 폐쇄할 수 있고, 수동으로도 개폐 조작할 수 있는 환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7 : 환기 장치
10 : 장치 본체
13 : 칸막이벽
14 : 환기구
20 : 작동판
21 : 축부
41 : 슬라이더
42 : 걸림 결합 블록(제1 걸림 결합부)
42b : 수용 공간
43 :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
44 : 바이어스 스프링
45 : 이동 블록(이동 부재)
47 : 걸림 결합 블록(제1 걸림 결합부)
47c : 수용 공간
49 :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
50, 51 : 걸림 결합 돌기(제2 걸림 결합부)
55 : 스프링
60 : 캠 기구
61 : 캠 부재(제1 캠부)
61c : 캠면
62 : 맞닿음 부재(제2 캠부)
70 : 수동 조작 기구
80 : 제2 캠 기구
81 : 캠 부재(제3 캠부)
81a : 캠면
82 : 맞닿음부(제4 캠부)
M : 연결 기구

Claims (10)

  1. 환기구가 형성된 칸막이벽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칸막이벽의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를 갖고,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의 실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판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기 작동판을 회동시키는 캠 기구와,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작동판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상기 작동판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작동판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며,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상기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작동판을 슬라이드시키는 수동 조작 기구와,
    상기 작동판을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된 제1 캠부와 상기 작동판에 마련된 제2 캠부를 갖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제1 캠부의 실내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풍압에 의해 상기 작동판이 상기 스프링에 저항하여 폐쇄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1 캠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된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작동판으로부터 실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작동판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수용 공간을 갖고, 이 수용 공간에 상기 제2 걸림 결합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이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는 상기 작동판과 대향하는 캠면을 갖고, 상기 제2 캠부는 상기 작동판으로부터 실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캠면에 접하는 맞닿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가 상기 축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별체를 이루는 걸림 결합 블록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 블록은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 결합 블록을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과 바이어스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림 결합 블록과 상기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과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에 의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작동판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고, 이 온도 감응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 기억 합금제 스프링 및 바이어스 스프링과,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기 작동판을 회동시키는 제2 캠 기구를 갖고,
    상기 제2 캠 기구는, 상기 이동 부재에 마련된 제3 캠부와 상기 작동판에 마련된 제4 캠부를 갖고, 상기 제4 캠부가 상기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제3 캠부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중공 프레임 형상을 갖고, 상기 이동 부재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걸림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3 캠부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면을 갖고,
    상기 제4 캠부는,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캠부의 캠면에 접하는 맞닿음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0. 삭제
KR1020200105225A 2019-08-26 2020-08-21 환기 장치 KR102437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3592 2019-08-26
JPJP-P-2019-153592 2019-08-26
JP2020089665A JP7390020B2 (ja) 2019-08-26 2020-05-22 換気装置
JPJP-P-2020-089665 2020-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72A KR20210024972A (ko) 2021-03-08
KR102437346B1 true KR102437346B1 (ko) 2022-08-30

Family

ID=7471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225A KR102437346B1 (ko) 2019-08-26 2020-08-21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90020B2 (ko)
KR (1) KR102437346B1 (ko)
CN (1) CN112443255B (ko)
AU (1) AU2020223654B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417A (en) 1980-04-30 1981-10-20 Isley Window Manufacturing Co., Inc. Window unit
KR200246671Y1 (ko) 2001-06-15 2001-10-31 주식회사 동방 자동개폐 환기창
KR100770969B1 (ko) 2006-04-25 200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외피전면개방형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및이의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3181B2 (ja) 2003-02-07 2007-09-26 株式会社佐原 換気装置
WO2013128658A1 (ja) 2012-02-29 2013-09-06 株式会社佐原 二重窓
KR20160015196A (ko) * 2014-06-25 2016-02-12 가부시키가이샤 사하라 환기 장치
JP6868276B2 (ja) * 2017-07-25 2021-05-12 株式会社佐原 換気装置
JP7100881B2 (ja) * 2018-05-21 2022-07-14 株式会社佐原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417A (en) 1980-04-30 1981-10-20 Isley Window Manufacturing Co., Inc. Window unit
KR200246671Y1 (ko) 2001-06-15 2001-10-31 주식회사 동방 자동개폐 환기창
KR100770969B1 (ko) 2006-04-25 200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환기를 위한 외피전면개방형 기능성 이중외피구조 및이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23654A1 (en) 2021-03-18
KR20210024972A (ko) 2021-03-08
CN112443255B (zh) 2023-02-17
JP7390020B2 (ja) 2023-12-01
AU2020223654B2 (en) 2021-07-01
CN112443255A (zh) 2021-03-05
JP2021036121A (ja)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409B2 (en) Door pull and sash window having the door pull
KR102437346B1 (ko) 환기 장치
JP4772524B2 (ja) 多方向開放窓
JP4758224B2 (ja) 開口部装置
JP6951696B2 (ja) 換気装置
JP6868276B2 (ja) 換気装置
EP1873336B1 (en) A locking assembly for a ventilating window
JP4041096B2 (ja) ストッパー部材および開き窓
JP4002819B2 (ja) 換気装置
JP2506435Y2 (ja) 換気装置
JPH08240062A (ja) 引戸の振れ止め装置
JP3983181B2 (ja) 換気装置
JP4321822B2 (ja) 窓用換気ステー
JP6685552B2 (ja) 換気装置
JP7067790B2 (ja) 換気装置
JP4086155B2 (ja) 開き窓
JP3715075B2 (ja) 換気装置
JP2002242509A (ja) 開口部装置
JP2019132483A (ja) 換気装置
JP7221044B2 (ja) 建具
JPH08291936A (ja)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バルブシャッター開閉操作ユニット及び同吹出装置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JP6576270B2 (ja) 開度規制装置及び建具
JP2004238992A (ja) 換気装置
JP3689844B2 (ja) 内倒し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