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79B1 - 교량 점검 차량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979B1
KR102434979B1 KR1020220012039A KR20220012039A KR102434979B1 KR 102434979 B1 KR102434979 B1 KR 102434979B1 KR 1020220012039 A KR1020220012039 A KR 1020220012039A KR 20220012039 A KR20220012039 A KR 20220012039A KR 102434979 B1 KR102434979 B1 KR 10243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ight
bridge
fixed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관석
Original Assignee
고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관석 filed Critical 고관석
Priority to KR102022001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with frameworks composed of telescop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60Industrial applications, e.g. pipe inspecti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점검 차량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점검로를 형성하여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점검자가 투입되어 슬래브나 거더의 아래 전체 영역과 교각의 상측을 점검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은, 교량의 슬래브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의 적재함에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고 교량의 슬래브 하측으로 신장되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래브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는 점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 점검 차량{VEHICLE FOR BRIDGE INSPECIION}
본 발명은 교량 점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점검로를 형성하여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점검자가 투입되어 슬래브나 거더의 아래 전체 영역과 교각의 상측을 점검하도록 할 수 있는 교량 점검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교량의 증가를 수반하는 바, 큰 강이나 만에 건설되는 교량은 장대화 및 대형화의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교량은 건설될 때의 철저한 시공 뿐만 아니라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 후의 점검과 보수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는 한편,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신속히 시의적절한 조치 등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교량을 장기보전하기 위해서는, 교가의 녹 제거나 방청 또는 미장용 도색작업과, 교좌장치의 안전점검이나 보수 또는 교체작업 및 교각 상단부나 거더의 아래 손상여부를 점검하는 작업 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교가 상판의 양단에 세운 난간의 바깥쪽으로 설치한 승강사다리와 교가의 하부에 설치되고서 교량의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검사로가 구비된 고정식 교량점검장치나,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교량 상판의 하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대차와 교량을 가로질러 그 하부에 설치된 수평거더를 갖춘 교량점검용 차량 등을 이용하였다.
교량의 유지 및 보수를 목적으로 육안 검사를 위한 점검대가 교량 하부에 설치되는데, 교량 시공시 설치되는 고정식 점검대의 경우 교량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훼손에 의한 교체시 교각으로부터의 분리가 난해하고, 이동식 점검대의 경우 교각 부분을 따라 다수의 작업자가 직접 설치 및 해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경제성 및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이들모두 설치 후에는 이동할 수 없어 육안검사를 위한 검사영역이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식 교량점검장치는, 교량의 가로방향의 검사만이 가능하고 교각의 주변에 주로 설치하여 교좌나 교각상단부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데에 한정되므로 많은 사각지역이 있어 전체적인 교량점검에는 미흡할 뿐만 아니라, 교량 전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정식 교량점검장치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여 비교적 먼 거리에서 육안에 의한 관찰로 점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량점검에 정확성을 기하기에는 곤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식 교량점검장치는 교량의 파손 등 이상유무의 조기발견 및 예방에 미비한점이 많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303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래브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점검로를 형성하여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점검자가 투입되어 슬래브나 거더의 아래 전체 영역과 교각의 상측을 점검하도록 할 수 있는 교량 점검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점검로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슬래브에서 차량이 교량을 따라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점검장소를 옮길 때마다 점검로를 슬래브의 상측으로 올렸다가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량 점검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점검로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점검로가 자중이나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휘어질 경우, 점검로가 휘어지는 반대측에 가해지는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작업자와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 점검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은, 교량의 슬래브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의 적재함에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고 교량의 슬래브 하측으로 신장되는 신장부; 및 상기 신장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래브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는 점검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대는, 상기 신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발판유닛; 및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쇄적으로 결합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발판유닛에 결합되는 연결발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발판유닛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난간부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발판유닛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점검대를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시키는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은 폐쇄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발판유닛의 무게 및 점검대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상기 중량부의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채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부착되도록 반대극성을 갖는 부착판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은 상기 중량부의 내부공간에서 부착판을 매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적층되고, 상기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의 상면에는 인양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판에는 상기 인양고리를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발판유닛의 무게 및 점검대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발판유닛에 지탱력을 가변하여 적용하는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는 상기 고정발판유닛의 상면에 고정되는 중량탱크;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고 액상의 중량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 및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중량물을 상기 중량탱크에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관리자 제어에 의해 설정된 양의 중량물을 상기 중량탱크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고정발판유닛과 어느 하나의 연결발판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 및 상기 연결발판유닛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수광센서가 발광센서의 신호를 미수신할 경우 상기 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중량물을 중량탱크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센서과 발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은, 슬래브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점검로를 형성하여 적어도 한명 이상의 점검자가 투입되어 슬래브나 거더의 아래 전체 영역과 교각의 상측을 점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점검로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슬래브에서 차량이 교량을 따라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점검장소를 옮길 때마다 점검로를 슬래브의 상측으로 올렸다가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검로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점검로가 자중이나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휘어질 경우, 점검로가 휘어지는 반대측에 가해지는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작업자와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적용된 점검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중량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적용된 회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와,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와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적용된 수광센서와, 공급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적용된 점검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중량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적용된 회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와,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와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에 적용된 수광센서와, 공급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1)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동되고 작업자가 점검을 위해 이동하게 되는 점검로를 회전시켜 거더(122)의 하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거더(122)의 하부 전체나 교각의 상측 부분을 점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점검로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1)은, 차량부(10)와, 크레인(20)과, 신장부(30)와, 회전구동부 및 점검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부(10)는 교량(120)의 슬래브(121)를 따라 주행하는 구성이다.
차량부(10)는 공지의 트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레인(20)은 차량부(10)의 적재함에 설치된다.
따라서, 크레인(20)은 슬래브(121)의 상측에서 신장부(30)를 지지해준다.
신장부(30)는 상단이 크레인(20)에 결합되고, 슬래브(121)의 하부로 신장된다.
신장부(30)는 다단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공지의 붐 또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신장부(30)가 붐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신장부(30)는 하부에 점검대(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30)가 적용된다.
일 예로, 회전부(130)는 신장부(30)의 하단에 결합되며, 베어링(132)을 매개로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축(131)과, 축(13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피동기어(133)와, 고정발판유닛(41) 상에 배치되는 모터(134) 및 모터(134)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피동기어(13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35)와 피동기어(133)는 중간기어(136)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기어(136)는 회전속도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 인해 모터(134)가 작동할 경우 구동기어(135)가 피동기어(133)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점검대(40)는 축(131)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다른 일 예로, 회전부(13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어링(132)을 매개로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축(미도시)과, 축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웜휠(미도시)과, 웜휠에 치합되는 웜(미도시) 및 웜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34)가 회전할 경우, 웜이 웜휠과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점검대(40)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점검대(40)를 거더(122)의 하측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점검대(40)를 거더(122)의 하측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점검대(40)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더(1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점검대(40)는 작업자가 발로 밟고 이동하면서 거더(122)의 하측전체나 교각의 상측부분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점검대(40)는 회전부(130)에 의해 회전되어 거더(122)의 하측에 위치되거나 또는 거더(122)의 하부에서 이탈되도록 회전된다.
이러한 점검대(40)는 고정발판유닛(41) 및 연결발판유닛(4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발판유닛(41)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는 전술한 축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는 축(131)의 하측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411)가 형성된다.
연결발판유닛(42)은 다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쇄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발판유닛(42) 중 어느 하나는 고정발판유닛(41)에 결합된다.
연결발판유닛(42)은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421) 및 가장자리가 본체(421)의 각 내벽면에 고정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디딤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딤부(422)는 작업자가 발로 밟고 지나가는 구성이다.
디딤부(422)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작업자의 하중을 분할하여 지지할 수 있다.
본체(421)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홈(42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홈(421a)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삽입돌기(421b)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발판유닛(42)들은 고정홈(421a)과 삽입돌기(421b)를 통해 서로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421)들이 접하는 부분의 상,하면 또는 양측면은 커플러(C)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C)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C)의 일측은 어느 하나의 본체(421)에 볼팅결합되고, 타측은 이 본체(421)와 접하는 다른 본체(421)에 볼팅결합된다.
고정홈(421a)과 삽입돌기(421b) 및 커플러(C)를 통해 본체(421)들을 이중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발판유닛(42)들이 작업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등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체(421)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작업자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부(43)가 설치된다.
난간부(43)는 본체(421)의 상면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수직바 및 수직바들을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바는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작업자의 허리나 가슴 높이에 위치된다.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는 고정발판유닛(41)과 연결발판유닛(42)들을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시키는 중량부(50)가 설치된다.
중량부(50)는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 고정되어 축(131)을 중심으로 점검대(40) 전체의 균형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중량부(50)는 연결발판유닛(4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중량을 갖는다. 중량부(50)의 재질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량부(50)는 타워크레인과 같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중량부(50)가 고정발판유닛(41)에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고정발판유닛(41)에 연결된 연결발판유닛(42)들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량부(50)는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은 폐쇄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는 연결발판유닛(42)의 무게나 길이, 점검대(40)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채움되는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이 적용된다.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은 대략 다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로 적용되어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가감된다.
즉, 중량부(50)의 내부에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의 개수를 추가할수록 고정발판유닛(41)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고, 중량부(50)의 내부에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의 개수를 감소시킬수록 고정발판유닛(41)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는 바, 연결발판유닛(42)에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자중이나 작업자에 의해 연결발판유닛(42)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할 경우, 연결발판유닛(42)이 하부로 처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발판유닛(42)의 무게 및 연결발판유닛(42)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을 수용시켜 점검대(40) 전체를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을 통해 점검대(4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발판유닛(42)들에 많은 작업자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연결발판유닛(42)들에 무거운 점검기구나 교량(120)을 수리하기 위한 각종 수리기구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교량(120)의 점검을 완료한 다음에는 고정발판유닛(41)에서 중량부(50)를 분리한 다음, 별도의 인양장치로 적재함으로 인양해야 한다.
이때,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이 수용된 경우에 매우 무겁기 때문에 인양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적어도 중량부(50)와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을 각각 인양하여 하중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부착되도록 반대극성을 갖는 부착판(70)이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은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서 부착판(70)을 매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적층된다.
그리고,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의 상면에는 인양고리(61)가 형성되며, 부착판(70)에는 인양고리(61)를 노출시키는 노출홀(71)이 형성된다.
따라서, 교량(120)의 점검이나 수리를 완료한 다음에는, 인양장치의 고리를 최상층에 위치된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의 인양고리(61)에 걸어, 모든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들을 적재함으로 인양하면 된다.
이후, 고정발판유닛(41)에서 중량부(50)를 분리한 다음, 중량부(50)도 인양장치로 인양하면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량부(50)의 상측에도 인양장치의 고리를 걸기 위한 고리가 형성된다.
이때, 인양장치는 크레인(20)과 함께 적재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1)은 고정발판유닛(41)에 인가하기 위한 하중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80)는 연결발판유닛(42)의 무게 및 점검대(40)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고정발판유닛(41)에 지탱력을 가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중량탱크(81), 공급탱크(82) 및 공급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탱크(81)는 고정발판유닛(41)의 상면에 고정된다.
공급탱크(82)는 적재함에 배치되고 액상의 중량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중량물은 수돗물이나 빗물일 수 있다.
공급부(83)는 적재함에 배치된다. 공급부(83)는 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부(83)는 펌핑작동에 의해 공급탱크(82)에 저장된 중량물을 중량탱크(81)에 공급한다.
이때, 중량탱크(81), 공급탱크(82) 및 공급부(83)는 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적재함에는 공급부(8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어판넬을 통해 공급부(83)를 제어하여 중량탱크(81)에 공급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은 고정발판유닛(41)에 하중을 효율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그 무게가 kg 단위로 나간다.
예를 들어,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은 약 5kg, 10kg, 15kg, 20kg 중 어느 하나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발판유닛(42)의 무게 및 점검대(40)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따라 다르겠지만, 점검대(40)를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발판유닛(41)에 인가해야 할 무게가 약 93kg이라고 가정하고, 중량부(50)의 하중이 60kg이라고 가정하며,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의 개당 무게가 20kg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중량부(50)의 내부공간에 1개의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을 수용시키고, 중량탱크(81)에 중량물을 13kg에 해당하는 양만 공급하면 된다.
이러한,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80)를 통해 점검대(40)를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발판유닛(41)에 인가해야 할 무게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연결발판유닛(42)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 점검기구, 수리기구가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발판유닛(41)에 기 적용된 중량부(50)와,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60) 및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80)의 무게보다 연결발판유닛(42)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결발판유닛(42)이 하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1)은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해 수광센서(90)와, 발광센서(10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센서(90)는 고정발판유닛(41)의 측면에 형성된 'ㄴ'자 형상의 지지대에 설치되고, 발광센서(100)는 가장 끝에 위치한 연결발판유닛(42)의 측면에 형성된 'ㄴ'자 형상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한다.
따라서, 발광센서(100)는 광을 조사하고, 수광센서(90)는 발광센서(100)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한다.
연결발판유닛(42)이 작업자, 점검기구, 수리기구 등의 하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광센서(90)는 발광센서(100)에서 조사하는 광을 수신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110)는 공급부(83)를 작동시켜 공급탱크(82)에 저장된 중량물을 중량탱크(81)에 공급한다.
중량탱크(81)에 중량물이 공급됨에 따라 고정발판유닛(41)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는 경우, 연결발판유닛(42)은 다시 상승되며, 결국 점검대(40) 전체가 다시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광센서(90)는 발광센서(100)에서 조사하는 광을 다시 수신하게 된다.
수광센서(90)가 발광센서(100)에서 조사하는 광을 다시 수신할 시, 제어부(110)는 공급부(8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 차량(1)은 수광센서(90)와 발광센서(100) 및 제어부(110)를 통해 연결발판유닛(42)이 휘어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연결발판유닛(42)이 휘어지는 즉시 고정발판유닛(41)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켜 점검대(4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교량 점검 차량 10 : 차량부
20 : 크레인 30 : 신장부
40 : 점검대 41 : 고정발판유닛
411 : 케이스 42 : 연결발판유닛
421 : 본체 421a : 고정홈
421b : 삽입돌기 422 : 디딤부
43 : 난간부 50 : 중량부
60 :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 61 : 인양고리
70 : 부착판 71 : 노출홀
80 :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 81 : 중량탱크
82 : 공급탱크 83 : 공급부
90 : 수광센서 100 : 발광센서
110 : 제어부 120 : 교량
121 : 슬래브 122 : 거더
130 : 회전부 130 : 회전부
131 : 축 132 : 베어링
133 : 피동기어 134 : 모터
135 : 구동기어 136 : 중간기어

Claims (4)

  1. 교량의 슬래브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의 적재함에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고 교량의 슬래브 하측으로 신장되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래브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는 점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대는,
    상기 신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발판유닛; 및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쇄적으로 결합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발판유닛에 결합되는 연결발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발판유닛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난간부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발판유닛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점검대를 수평상태로 균형을 유지시키는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부는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은 폐쇄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발판유닛의 무게 및 점검대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상기 중량부의 내부공간에 선택적으로 채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부착되도록 반대극성을 갖는 부착판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중조절 웨이트 유닛은 상기 중량부의 내부공간에서 부착판을 매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적층되고, 상기 하중조절웨이트 유닛의 상면에는 인양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판에는 상기 인양고리를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발판유닛의 무게 및 점검대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총 하중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발판유닛에 지탱력을 가변하여 적용하는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 하중조절 웨이트는,
    상기 고정발판유닛의 상면에 고정되는 중량탱크;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고 액상의 중량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 및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중량물을 상기 중량탱크에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관리자 제어에 의해 설정된 양의 중량물을 상기 중량탱크에 공급하며,
    상기 고정발판유닛과 어느 하나의 연결발판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 및 상기 연결발판유닛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수광센서가 발광센서의 신호를 미수신할 경우 상기 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중량물을 중량탱크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수광센서과 발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교량 점검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12039A 2022-01-27 2022-01-27 교량 점검 차량 KR10243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39A KR102434979B1 (ko) 2022-01-27 2022-01-27 교량 점검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39A KR102434979B1 (ko) 2022-01-27 2022-01-27 교량 점검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979B1 true KR102434979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039A KR102434979B1 (ko) 2022-01-27 2022-01-27 교량 점검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9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351B1 (ko) 2000-03-03 2005-11-2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KR100727841B1 (ko) * 2006-04-10 2007-06-13 서해토건주식회사 지레 원리를 이용한 차량 이동식 회전형 교량 점검장치
KR101910289B1 (ko) * 2017-09-20 2018-10-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 변형 저감을 위한 위성체 접근 장치
KR20200097125A (ko) * 2019-02-07 2020-08-18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교량점검장치
KR20210049287A (ko) * 2019-10-25 2021-05-06 신승옥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
KR20210097945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코아스 무인 이동을 위한 자동 수평 기술을 적용한 교량 점검 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351B1 (ko) 2000-03-03 2005-11-2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KR100727841B1 (ko) * 2006-04-10 2007-06-13 서해토건주식회사 지레 원리를 이용한 차량 이동식 회전형 교량 점검장치
KR101910289B1 (ko) * 2017-09-20 2018-10-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 변형 저감을 위한 위성체 접근 장치
KR20200097125A (ko) * 2019-02-07 2020-08-18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교량점검장치
KR20210049287A (ko) * 2019-10-25 2021-05-06 신승옥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
KR20210097945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코아스 무인 이동을 위한 자동 수평 기술을 적용한 교량 점검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4035A (zh) 导轨安装装置和用于安装导轨的方法
KR101883423B1 (ko)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보수공법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ES2618326T3 (es) Procedimiento para modernizar un accionamiento en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CN114955887B (zh) 一种船舶上门座起重机安装方法
KR102434979B1 (ko) 교량 점검 차량
WO2011072328A1 (en) A loading platform
CN105246811A (zh) 电梯的底坑脚手架装置
US2067344A (en) Bridge span inspection and maintenance traveler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EP0385992A1 (en) Offshore access systems
EP0345947A1 (en) An offshore drilling/production platform with a retractable work deck
NL9220018A (nl) Werkplatformsysteem voor een gebouw met verschillende verdiepingen.
CN206529691U (zh) 桥梁检修系统钢结构检修平台
GB2217296A (en) Lift building construction
JP3210271B2 (ja) 支承装置及び仮受け用ジャッキの橋脚上部への搬入方法
WO2023070257A1 (zh) 一种智能吊装机器人
CN207175168U (zh) 用于竖井的检修吊笼
JP4839052B2 (ja) 貯槽の回転解体工法
CN110820556A (zh) 一种桥梁梁底检测、养护检查、养护维修的平台及其系统
JP3289560B2 (ja) 歩道橋用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26475B1 (ko) 고압을 다루는 절연차
CN214006443U (zh) 一种装修用脚手架
KR200277879Y1 (ko) 건물 증고 및 증층용 상승장치.
JP4706973B2 (ja) 開口養生付き工事用仮設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