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125A - 교량점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125A
KR20200097125A KR1020190014509A KR20190014509A KR20200097125A KR 20200097125 A KR20200097125 A KR 20200097125A KR 1020190014509 A KR1020190014509 A KR 1020190014509A KR 20190014509 A KR20190014509 A KR 20190014509A KR 20200097125 A KR20200097125 A KR 20200097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bridge
expansion
height adjust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1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125A/ko
Publication of KR2020009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의 저면을 점검하기 위한 교량점검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적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하부를 향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신축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되는 탑승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신축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센서를 통해 붐대들의 신축정도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길이까지 정확하고 안전하게 붐대들을 신축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점검장치{BRIDG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교량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 위치된 차량에 설치되어 교량의 저면을 점검하도록 구성된 교량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누어진다. 상부구조는 교량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 등 통과물의 하중을 하부에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하부구조는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지반 로 전달하는 구조로서 교좌, 교대, 교각 및 기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교량은 완공 후 과하중이나 자연적인 노후로 인하여 피로도가 증가하거나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는바, 공공의 안전 확보 및 교량의 공용년수를 늘려 사용하고자 지속적인 유지 및 보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교량의 유지 및 보수를 목적으로 육안 검사를 위한 점검대가 교량 하부에 설치되는데, 교량 시공시 설치되는 고정식 점검대의 경우 교량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훼손에 의한 교체시 교각으로부터의 분리가 난해하고, 이동식 점검대의 경우 교각 부분을 따라 다수의 작업자가 직접 설치 및 해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경제성 및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이들 모두 설치 후에는 이동할 수 없어 육안검사를 위한 검사영역이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사다리를 교각에 위치시켜 작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다른 교각으로의 이동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기본붐에서 연장붐과, 탑승대가 순차적으로 신장되게 하는 한편, 이동차량에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교량의 난간대가 규정된 높이에 해당될 때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교량 형태에 따라 다양한 높이 및 형상을 이루게 되는 난간대가 설치되는데, 이 경우 설치 및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탑승대가 연장붐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 작업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량점검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붐대들의 신축 정도에 따라 신축 동작을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의 저면에 위치된 신축붐대들이 자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점검장치는 차량의 적재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의 저면을 점검하기 위한 교량점검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적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하부를 향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신축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되는 탑승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신축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일측이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지지대; 일단이 상기 회전지지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교량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붐대; 및 일단이 상기 회전지지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붐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붐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붐대를 지지하는 제1 익스텐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붐대의 타단에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 브라켓; 일단이 상기 회전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교량 하부를 향해 다단의 형태로 신축되는 복수의 가변붐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일단이 상기 가변붐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변붐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단의 형태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신축붐대; 및 일단이 상기 가변붐대의 타단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붐대를 회전시키는 연결붐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기 신축붐대 각각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신축붐대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업 플레이트; 상기 작업 플레이트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휀스; 및 일측이 상기 작업 플레이트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신축붐대 각각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신축부의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에 대한 응력을 기초로 신축하여 상기 신축부의 응력을 일정하게 유지키시는 동시에 상기 신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붐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신축붐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값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재; 일단이 상기 연결붐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의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붐대를 지지하는 제2 익스텐더; 및 상기 장력측정부재로부터 상기 장력값을 제공받고, 상기 장력값을 기 설정된 장력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익스텐더를 신축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신축 길이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재를 통해 상기 신축 길이를 전달받고, 기 설정된 신축 길이에 도달하면 신축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결되는 신축제어모터; 및 일단이 상기 신축제어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중 어느 하나가 신축할 때 상기 와이어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신축제어모터의 회전량을 기초로 신축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를 통해 붐대들의 신축정도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길이까지 정확하고 안전하게 붐대들을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저면에 위치된 붐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붐대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점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점검장치의 신축부 및 탑승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장치의 연결붐대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점검장치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점검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교량점검장치는 차량(2)의 적재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1)의 저면을 점검하기 위한 교량점검장치로서 차량(2)을 점검이 필요한 교량(1)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탑승부(400)를 교량(1)의 하부에 위치시켜 교량(1)의 하부를 점검할 수 있다.
본 실예에서 차량(2)은 아우트리거에 의해 교량(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점검장치는 차량(2)의 적재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높이조절부가 교량(1)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신축하고 교량(1)의 측면에 배치된 높이조절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차량(2) 적재부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지지대(11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지지대(110)는 일측이 적재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적재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대(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붐대(130)가 교량(1)의 측면을 향하도록 베이스붐대(1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 지지대(110)의 타측에는 베이스붐대(130)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붐대(130)는 일단이 회전 지지대(1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 지지대(110)로부터 교량(1)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붐대(13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 익스텐더(120)의 동작에 따라 일단이 회전 지지대(110)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교량(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붐대(130)는 아래에서 설명할 높이 조절부(200)가 교량(1)의 측면을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붐대(13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붐대(130)는 유압 또는 공압의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회전지대와 베이스붐대(130) 사이에는 제1 익스텐더(1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익스텐더(120)는 일단이 회전 지지대(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붐대(1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익스텐더(120)는 신장하면서 베이스붐대(130)의 타단을 교량(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익스텐더(120)는 축소하면서 베이스붐대(130)의 타단을 교량(1)과 나란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익스텐더(120)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베이스붐대(130)의 타단에는 높이 조절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0)는 교량(1)의 측면에서 교량(1)의 하부를 향해 신축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0)에는 가변붐대(210)가 구비될 수 있다. 가변붐대(210)는 일단이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 브라켓(220)에 고정되고 타단이 교량(1)의 하부를 향해 신축될 수 있다. 가변붐대(21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붐대(210)는 유압 또는 공압식으로도 신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변붐대(210)는 교량(1)의 하부 방향으로 신축될 때 가변붐대(210)의 자중으로 인해 신축될 수도 있다. 이 때 가변붐대(210)가 감축하기 위해서는 가변붐대(210)의 타단에 연결된 별도의 케이블을 감아 올리는 동작으로 가변붐대(210)를 감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붐대(210)는 네 개로 구비되어 신축되지만 가변붐대(210)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붐대(210)는 유압 또는 공압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베이스붐대(130)의 타단과 가변붐대(210)의 사이에는 회전 브라켓(22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220)은 일측이 베이스붐대(130)의 타단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가변붐대(21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220)은 베이스붐대(130)로부터 가변붐대(210)를 교량(1)의 하부를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변붐대(210)의 일단에는 권취롤러(230)가 설치될 수 있다. 권취롤러(230)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압 호스를 회전을 통해 권취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권취롤러(230)에는 유압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유압 호스는 일단이 귄취 롤러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변붐대(210)를 신축하기 위한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권취롤러(230)는 가변 붐대의 신축동작에 따라 유압 호스를 권취할 수 있다.
또는, 귄취 롤러에 연결된 유압 호스는 신축붐대를 신축하기 위한 실린더에 연결되어 신축붐대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롤러(230)와 유압 호스는 각각 한 세트로 구성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권취롤러(230)에 연결된 유압 호스는 가변붐대(210)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권취롤러(230)에 연결된 유압 호스는 신축붐대와 연결될 수 있다.
가변붐대(210)의 타단에는 신축부(500)가 고정될 수 있다. 신축부(500)는 교량(1) 하부를 향해 신축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탑승부(400)를 교량(1) 하부를 향해 신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신축부(500)에는 신축붐대가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신축붐대는 일단이 가변붐대(210)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교량(1) 하부를 향해 가변붐대(2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신축붐대는 가변붐대(21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 구비되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다. 신축붐대는 아래에서 설명할 탑승부(400)를 신축시키는 것과 동시에 탑승부(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붐대(210)의 타단과 신축붐대의 일단의 사이에는 연결붐대(53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붐대(530)는 일단이 가변붐대(2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ㄷ'형태로 절곡되어 타단이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붐대(530)의 타단에는 신축부(5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붐대(530)는 회전에 따라 신축부(500)를 교량(1)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붐대(530)는 통상적인 링기어와 모터를 통해 가변붐대(2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500)는 연결붐대(530)를 통해 교량(1)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2)을 이동하지 않고도 넓은 작업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와서, 신축부(500)의 상부에는 탑승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탑승부(400)는 신축부(500)의 동작에 따라 신축부(5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탑승부(400)에는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는 복수의 신축붐대(511, 512, 513) 각각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 각각은 신축붐대(511, 512, 513)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는 신축붐대(511, 512, 513)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텔레코스픽 방식으로 신축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 각각과 신축붐대(511, 512, 513) 각각의 사이에는 고정 브라켓(B)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B)은 복수개 구비되어 일측이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 각각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측이 신축붐대(511, 512, 513) 각각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B)은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와 신축붐대(511, 512, 51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의 상부에는 휀스(420)가 연결될 수 있다. 휀스(420)는 일단이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의 외측과 연결되어 타단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휀스(420)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 플레이트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휀스(420) 각각의 접촉면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장치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의 신축정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는 제어부(700)가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의 신축정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700)에는 다수의 센서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센서부재(S) 각각은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센서부재(S) 각각은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의 신축 길이 정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700)는 센서부재(S) 각각으로부터 검출정보를 전달받고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의 신축길이가 기 설정된 수치에 도달하면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의 신축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재(S)는 회전 지지대(1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대(110)에 설치된 센서부재(S)는 회전 지지대(110)의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검출된 회전각도를 기초로 회전 지지대(1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200)에 구비된 센서부재(S)는 자이로 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부재(S)는 높이 조절부(200)가 수직을 이루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700)는 신축제어모터(710)와 와이어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제어모터(710)는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신축제어모터(710)는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제어모터(710)에는 와이어부재(72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부재(720)의 타단은 해당하는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와이어부재(720)는 신축제어모터(710)에 연결된 상태로 권취될 수 있다.
예컨대, 신축제어모터(710) 및 와이어부재(720)가 설치된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의 길이가 신축되면 와이어부재(720)의 타단이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의 타단부를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신축제어모터(710)는 와이어부재(720)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회전수를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모터 회전량을 기초로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의 신축동작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완료 되어야만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 중 어느 하나를 작동 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와 높이 조절부(200) 및 신축부(500)가 항시 순차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조작 미숙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점검장치에는 지지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600)는 높이 조절부(200)와 신축부(500)의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신축부(500)에 대한 응력을 기초로 신축하여 신축부(500)의 응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신축부(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신축부(500)에는 와이어(620)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620)는 일단이 연결붐대(53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신축붐대(511, 512, 513)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620)는 신축붐대(511, 512, 513)의 자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와이어(620)의 일단과 신축붐대의 사이에는 장력측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장력측정부재(미도시)는 신축붐대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와이어(620)의 장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600)에는 신축동작을 통해 신축붐대(511, 512, 513)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2 익스텐더(6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익스텐더(610)의 일단은 연결붐대(53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511, 512, 513)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익스텐더(610)는 해당 신축붐대(511, 512, 513)의 하부를 향해 신축함으로써 신축붐대(511, 512, 513)를 하중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600)는 제어부(700)에 의해 와이어(620)의 장력값을 기초로 제2 익스텐더(610)를 신축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장력측정부재로부터 장력값을 제공받고, 와이어(620)의 장력값을 기 설정된 장력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2 익스텐더(610)를 신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신축붐대(511, 512, 513)가 자중으로 인해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와이어(620)의 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2 익스텐더(610)를 신축붐대(511, 512, 513)를 향해 연장되도록 신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700)는 신축붐대(511, 512, 513)가 자중으로 인해 기울어지기 전(즉, 정상독작일 때의 장력값) 상태의 와이어(620) 장력값을 기준 장력값으로 설정하고, 와이어(620)의 장력값이 신축붐대(511, 512, 513)의 자중으로 인해 변화가 생기면 제2 익스텐더(610)를 신축시킴으로써 신축붐대(511, 512, 513)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익스텐더(610)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차량(2)의 내부에는 차량(2)의 바퀴와 연결된 차량(2)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2)구동부는 차량(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2)구동부는 챠랑 바퀴에 해당하는 기어박스에 연결되고, 차량(2)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2)을 미세하게 일정량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2)의 외측에 연결된 아우트리거는 지면과 접촉하는 단부에 바퀴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차량(2)의 이동을 제한 할 때는 아우트리거에 형성된 바퀴를 잠금으로써 차량(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교량점검장치가 교량(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인접한 위치의 작업장소로 이동할 때 차량(2)의 자체 동력을 통해 차량(2)을 이동시키지 않고 차량(2)구동부를 통해 차량(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차량(2)의 동력을 이용해 차량(2)을 이동시킨다면 차량(2)의 진동 및 차량(2)의 급작스런 출발 등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으나, 차량(2)구동부를 통해 부드럽게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2)구동부는 유압모터일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3를 통해 탑승부(400)와 신축부(5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작업 플레이트(411, 412, 413)는 제1 작업 플레이트(411), 제2 작업 플레이트(412) 및 제3 작업 플레이트(413)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신축붐대는 제1 신축붐대(511), 제2 신축붐대(512) 및 제3 신축붐대(513)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작업 플레이트(411), 제2 작업 플레이트(412) 및 제3 작업 플레이트(413)로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너비로 형성되어 제3 작업 플레이트(413)는 제2 작업 플레이트(412)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 작업 플레이트(412)는 제1 작업 플레이트(41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작업 플레이트(411)의 타단은 제1 신축붐대(511)의 타단과 고정 브라켓(B)을 통해 결합되고, 제2 작업 플레이트(412)의 타단은 제2 신축붐대(512)의 타단과 고정 브라켓(B)을 통해 결합되며, 제3 작업 플레이트(413)의 타단은 제3 신축붐대(513)의 타단과 고정 브라켓(B)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신축붐대(511, 512, 513)가 교량(1)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하게 되면, 고정 브라켓(B)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 작업 플레이트(413)가 제1 내지 제3 신축붐대(513)가 제1 내지 제3 신축붐대(513)를 따라 신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교량
2: 차량
100: 베이스부
200: 높이 조절부
400: 탑승부
500: 신축부
S: 센서
B: 고정 브라켓

Claims (10)

  1. 차량의 적재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량의 저면을 점검하기 위한 교량점검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적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하부를 향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교량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신축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되는 탑승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신축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일측이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지지대;
    일단이 상기 회전 지지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교량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 붐대; 및
    일단이 상기 회전 지지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붐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붐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붐대를 지지하는 제1 익스텐더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붐대의 타단에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 브라켓;
    일단이 상기 회전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교량 하부를 향해 다단의 형태로 신축되는 복수의 가변붐대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일단이 상기 가변붐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변붐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단의 형태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신축붐대; 및
    일단이 상기 가변붐대의 타단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붐대를 회전시키는 연결붐대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기 신축붐대 각각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신축붐대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작업 플레이트;
    상기 작업 플레이트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휀스; 및
    일측이 상기 작업 플레이트 타단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신축붐대 각각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신축부의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에 대한 응력을 기초로 신축하여 상기 신축부의 응력을 일정하게 유지키시는 동시에 상기 신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붐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신축붐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값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재;
    일단이 상기 연결붐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붐대의 하부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붐대를 지지하는 제2 익스텐더; 및
    상기 장력측정부재로부터 상기 장력값을 제공받고, 상기 장력값을 기 설정된 장력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익스텐더를 신축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신축 길이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재를 통해 상기 신축 길이를 전달받고, 기 설정된 신축 길이에 도달하면 신축동작을 정지시키는
    교량점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결되는 신축제어모터; 및
    일단이 상기 신축제어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중 어느 하나가 신축할 때 상기 와이어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신축제어모터의 회전량을 기초로 신축동작을 정지시키는
    교량점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신축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 시키는
    교량점검장치.

KR1020190014509A 2019-02-07 2019-02-07 교량점검장치 KR20200097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09A KR20200097125A (ko) 2019-02-07 2019-02-07 교량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09A KR20200097125A (ko) 2019-02-07 2019-02-07 교량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25A true KR20200097125A (ko) 2020-08-18

Family

ID=7229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09A KR20200097125A (ko) 2019-02-07 2019-02-07 교량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1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6862A (zh) * 2020-09-25 2021-01-05 重庆綦航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用多功能施工和避险一体式吊篮
CN112482740A (zh) * 2020-10-27 2021-03-12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凹曲作业面施工作业装置及其施工作业方法
CN114293501A (zh) * 2021-12-14 2022-04-08 谷长明 一种消防用桥梁除冰凌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34979B1 (ko) * 2022-01-27 2022-08-22 고관석 교량 점검 차량
CN115748448A (zh) * 2022-12-07 2023-03-07 罗冬成 一种公路桥梁检测维修车及其工作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6862A (zh) * 2020-09-25 2021-01-05 重庆綦航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用多功能施工和避险一体式吊篮
CN112482740A (zh) * 2020-10-27 2021-03-12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凹曲作业面施工作业装置及其施工作业方法
CN112482740B (zh) * 2020-10-27 2022-05-1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凹曲作业面施工作业装置及其施工作业方法
CN114293501A (zh) * 2021-12-14 2022-04-08 谷长明 一种消防用桥梁除冰凌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34979B1 (ko) * 2022-01-27 2022-08-22 고관석 교량 점검 차량
CN115748448A (zh) * 2022-12-07 2023-03-07 罗冬成 一种公路桥梁检测维修车及其工作方法
CN115748448B (zh) * 2022-12-07 2023-09-08 罗冬成 一种公路桥梁检测维修车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7125A (ko) 교량점검장치
JP6154921B1 (ja) 風力発電装置における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装置
US8584801B2 (en) Self-climbing hoist, deck and scaffold platform system
AU2013204839B2 (en) Building System
CN108431345B (zh) 攀爬设备和用于建造建筑物的攀爬方法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CN113646136A (zh) 缆索机器人
AU2012226370A2 (en) Suspended scaffolding system
CN109059854A (zh) 用于钢平台的状态监测装置、状态监测与调控系统及方法
US20190177988A1 (en) Tower apparatus
GB2520939A (en) A Platform
KR20210097945A (ko) 무인 이동을 위한 자동 수평 기술을 적용한 교량 점검 차량
KR20180086740A (ko) 붐 조립체 회전각 측정이 가능한 작업기기
JP6779740B2 (ja) 高架構造物点検方法
CN115125857A (zh) 一种斜拉索安装施工技术
WO2001053630A1 (en) Temporary access structures
KR100650073B1 (ko) 수직이동과 좌우 확장이 가능한 교량의 안전점검장치
CN111005549A (zh) 一种用于塔筒建造的内爬升平台装置及塔筒搭建方法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JP5474617B2 (ja) 高所作業車用アウトリガジャッキ装置
US8668482B2 (en) Formwork and formwork method of a concrete construction
KR100651227B1 (ko) 건축물 천정용 안전 점검대
JPH1018598A (ja) ハウスアップ装置
JPH07317304A (ja) 外部被覆体およびその盛り替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