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943B1 -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 Google Patents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943B1
KR102433943B1 KR1020200160584A KR20200160584A KR102433943B1 KR 102433943 B1 KR102433943 B1 KR 102433943B1 KR 1020200160584 A KR1020200160584 A KR 1020200160584A KR 20200160584 A KR20200160584 A KR 20200160584A KR 102433943 B1 KR102433943 B1 KR 10243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nonwoven fabric
separation unit
base frame
cylindrical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973A (ko
Inventor
노경일
Original Assignee
노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일 filed Critical 노경일
Priority to KR102020016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9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며, 전·후진 동작되는 피스톤(22)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이격 설치되어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와 일렬로 배치되며, 부직포(F)가 권취된 상태의 롤러(R)의 양측 외주면이 끼워져 거치되는 롤러거치홈(32)이 대응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ROLLER SEPARATION UNIT FOR NON-WOVEN FABRIC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부직포가 권취된 상태의 롤러에서 롤러만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는 섬유를 기계적·화학적 또는 열로 처리하여 섬유집합체를 결속시켜 포의 형태를 이루게 한 것으로,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여러 종류의 가공장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롤 형태로 가공되는 부직포의 경우 롤러분리유닛을 이용하여 부직포로부터 롤러를 분리한다.
종래의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부직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밀대)을 권취롤에 대치시킨 후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피스톤(밀대)이 권취롤을 일정 거리 밀어내어 부직포와 권취롤이 분리된다.
위에서 설명한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등록특허공보 제10-03020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권취롤에 권취된 상태의 부직포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없어, 권취롤의 분리작업이 어렵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롤러에 권취된 상태의 부직포에서 롤러만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전·후진 동작되는 피스톤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형 액추에이터와 일렬로 배치되며, 부직포가 권취된 상태의 롤러의 양측 외주면이 끼워져 거치되는 롤러거치홈이 대응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롤러의 분리작업 시 한 쌍의 롤러거치대가 부직포가 권취된 상태의 롤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롤러에 권취된 상태의 부직포에서 롤러만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푸시바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롤러거치대 및 승강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롤러이송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작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부직포(F)가 권취된 롤러(R)에서 롤러(R)만을 별도로 분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은 베이스프레임(1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푸시바(40);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롤러이송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직사각형의 테이블 형상을 가지며, 그 하단에는 이동 휠(1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및 롤러이송대(50) 등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그 작동에 의해 전·후진 동작되는 피스톤(22)이 구비되며, 피스톤(22)의 선단 외주면에는 푸시바(4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구동원으로는 공압 또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일정의 높이로 기립 설치되어, 부직포(F)가 권취된 상태의 롤러(R)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이격 설치되어,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와 일렬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물론,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사이의 이격거리는 부직포(F)가 권취된 롤러(R)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상단에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22)과 일렬로 배치되어 롤러(R)의 양측 외주면이 끼워져 거치되는 반원형의 롤러거치홈(32)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롤러거치홈(32)의 폭은 롤러(R)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롤러(R)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는 롤러(R)의 직경 변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사이에는 부직포(F)가 안착되는 플레이트형의 승강대(30c)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대(30c)의 승강동작에 의해 부직포(F)로부터의 롤러(R) 분리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승강대(30c)의 승강수단으로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d)가 사용되며, 승강수단으로는 승강대(30c)의 승강동작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푸시바(40)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22) 선단에 연결되어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의 롤러거치홈(32)과 일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푸시바(40)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22) 동작과 연동되어 롤러거치홈(32)에 거치되어 있는 부직포(F)가 권취된 상태의 롤러(R)를 일정 거리 밀어내어 부직포(F)로부터 롤러(R)를 완전히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푸시바(F)의 동작은 그 선단이 롤러(R)의 샤프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푸시바(40)는 그 구성적 특징으로 인해 롤러(R)의 길이에 따른 제약을 없앨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22)을 통해 롤러(R)를 직접적으로 밀어낼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롤러(R)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도 그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푸시바(40)를 사용하면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교체없이 다양한 길이의 롤러(R)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푸시바(40)는 테이퍼진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22)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스크류 결합됨으로 인해, 롤러(R)의 크기 등에 따라 그에 맞는 것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푸시바(40)의 선단에는 롤러(R)와의 접촉 시 충격완화를 위한 고무패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푸시바(40)는 하나의 연결부로부터 2개로 분기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도 그에 맞게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롤러이송대(50)는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와 일렬로 배치되며,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로부터 이탈되는 롤러(R)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롤러이송대(5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복수 개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롤러(R)가 수용되는 반원형의 가이드홈(52)이 각각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반원형의 가이드홈(52)은 롤러(R)의 이송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롤러이송대(50)는 롤러(R)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을 정도의 일정 경사도를 가질 수 있도록 그 높이를 달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60은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및 승강대(30c)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의 작동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대(30c)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부직포(F)를 올려 놓는다.
이때, 부직포(F)는 롤러(R)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대(30c)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d)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컨트롤러(60)를 통해 롤러분리유닛을 작동시키면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d)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30c)가 하강하여 롤러(R)의 양측 외주면이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의 롤러거치홈(32)에 끼워져 거치된다.
이후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해 푸시바(40)가 전진되어 롤러(R)를 밀어낸다.
이때, 부직포(F)는 승강대(30c)에 안착되어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사이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롤러(R)는 부직포(F)로부터 분리되어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로부터 이탈되면서 그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롤러이송대(50)로 안내되어 이송된다.
최종적으로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해 푸시바(40)가 후진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아울러 승강대(30c)도 마찬가지로 부직포(F)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d)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10 : 베이스프레임 20 :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22 : 피스톤 30a, 30b : 롤러거치대
30c : 승강대 32 : 롤러거치홈
40 : 푸시바 50 : 롤러이송대
52 : 가이드홈 F : 부직포
R : 롤러

Claims (5)

  1. 부직포(F)가 권취된 롤러(R)에서 롤러(R)만을 분리하기 위한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며, 전·후진동작되는 피스톤(22)이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 상기 베이스프레임(30) 상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형 액추에이터(20)와 일렬로 배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롤러(R)의 양측 외주면이 끼워져 거치되는 롤러거치홈(32)이 대응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상기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 사이에 설치되어 실린더형 액추에이터(30d)에 의해 승강동작되는 승강대(30c); 상기 피스톤(22)과 연결되는 푸시바(4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거치대(30a, 30b)와 일렬로 배치되는 롤러이송대(50)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바(40)는 상기 피스톤(22)의 선단에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롤러거치홈(32)과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22)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롤러거치홈(32)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롤러(R)를 밀어내어 상기 부직포(F)로부터 분리시키며,
    상기 롤러이송대(50)는 일정 경사도를 가질 수 있도록 높이를 달리 설정하여 일렬로 복수 개 배치되며, 상부에는 반원형의 가이드홈(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60584A 2020-11-26 2020-11-26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KR10243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84A KR102433943B1 (ko) 2020-11-26 2020-11-26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84A KR102433943B1 (ko) 2020-11-26 2020-11-26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973A KR20220072973A (ko) 2022-06-03
KR102433943B1 true KR102433943B1 (ko) 2022-08-18

Family

ID=819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584A KR102433943B1 (ko) 2020-11-26 2020-11-26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9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368B1 (ko) 2008-09-03 2009-05-15 삼덕물산 주식회사 비닐시트 무지관 권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548A (ko) * 1999-11-05 2001-06-05 이구택 간지 와인더의 간지 인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368B1 (ko) 2008-09-03 2009-05-15 삼덕물산 주식회사 비닐시트 무지관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973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08336D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Wechseln von Folienrollen einer Maschine für das Umwickeln von Palettenladungen
JP5688600B2 (ja) 巻線導体供給装置
JPH01266296A (ja) スーパーカレンダーの弾性ロールの交換装置
KR101508640B1 (ko)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CN205290083U (zh) 一种镭雕装置
KR101288431B1 (ko) 파이프 잔류응력 제거용 교정장치
KR102433943B1 (ko) 부직포 가공장치용 롤러분리유닛
JP2678075B2 (ja) 横型多管式熱交換器における管束の引出及び押込装置
KR101867684B1 (ko) 슬리브 교환에 사용되는 지그 및 이를 사용하는 슬리브 교환 장치
KR102401206B1 (ko) 부직포 가공장치
US10093503B2 (en) Method and machine for discharging a roll of tape from a winding spindle
KR101824134B1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JP6319079B2 (ja) 粗紡機の管替装置
JP5907385B2 (ja) 逆浸透膜エレメント取外し治具、逆浸透膜エレメント取外し装置、逆浸透膜エレメントの取外し方法
KR20200129622A (ko) 효과적인 실크스크린인쇄기
CN206875080U (zh) X射线机探伤支架
KR20150097265A (ko) 환봉 외경 연마장치
KR102537508B1 (ko) 릴 환적 장치
KR20030053742A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1529188B1 (ko) 차륜 고임 장치
KR100355680B1 (ko) 직물 권취 장치
KR101579207B1 (ko) 전복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CN213384308U (zh) 一种砌砖机器人专用物料输送设备
KR100774401B1 (ko)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KR100219464B1 (ko) 이송대차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