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849B1 -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 Google Patents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849B1
KR102433849B1 KR1020210128663A KR20210128663A KR102433849B1 KR 102433849 B1 KR102433849 B1 KR 102433849B1 KR 1020210128663 A KR1020210128663 A KR 1020210128663A KR 20210128663 A KR20210128663 A KR 20210128663A KR 102433849 B1 KR102433849 B1 KR 10243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ece
support
flashing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환
Original Assignee
박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환 filed Critical 박상환
Priority to KR102021012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06B2001/628Separate flexible joint covering strips; Fla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가 내창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후레싱을 창틀에 기밀히 결합할 수 있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창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01)에 구비된 슬랫(120)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70)과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쳐서 고정하는 탄성고정편(280), 상기 결합홈(101)의 외측단에 끼움결합되는 결합편(250), 상기 결합편(250)과 상기 탄성고정편(280)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27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편(260)을 갖는 후레싱(200)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편(280)과 상기 걸림편(260) 사이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탄성고정편(28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재(300)는, 상기 탄성고정편과 상기 걸림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의 내측 단부에 탄성아크(340)로 탄성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서포트(350), 상기 탄성서포트(350)의 탄성 변형을 단속하도록 그 하면을 받치는 탄성스토퍼(32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FLASHING WITH PRESSING MEMBER}
본 발명은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로가 내창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후레싱을 창틀에 기밀히 결합할 수 있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후레싱은 벽과 창호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마감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로 내창에 적용된다.
이러한 후레싱은 창호의 단열 및 미려함을 위한 내장재의 기능을 겸하며, 분리형 및 일체형으로 대별된다.
도 7은 창호(W) 및 후레싱(20)에 대한 종래기술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창틀(10)의 하부에 형성된 홈으로 후레싱(20)의 결합편(21)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크류(screw)로 체결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창틀(10)과 후레싱(20)을 체결하므로 외부에서 창호 방향으로 내리는 빗물이나 습기 등이 스크류와 창틀(1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타고 내창 방향으로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기술은 창틀(10)과 후레싱(20)의 체결 위치를 잘못 설정한 상태에서 스크류로 나사결합한 경우, 다시 스크류를 빼고 창틀(10)과 후레싱(20)을 정 위치에 설정한 상태에서 스크류로 체결해야 하므로, 스크류를 빼낸 자리에 구멍이 형성되어 창호(W)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창호(W)의 내창에서 발생된 결로가 창틀(10)과 후레싱(20) 사이의 틈으로 타고 스며들어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5359호(등록일자 1998년11월02일) ‘창호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내창문틀에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편과 연결부재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집개를 통해 내창문틀과 연결부재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고정집개와 끼움편이 정확히 맞지 않거나 고정집개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끼움편을 견고히 고정할 수 없을 때에, 내창문틀과 연결부재 사이의 기밀성이 떨어져서 틈이 발생되고, 이 틈으로 결로가 스며들어 곰팡이의 번식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선형으로 길게 형성된 내창문틀과 연결부재가 운반·보관·이동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휨이 발생할 경우 고정집개와 끼움편이 잘 맞지 않고, 이로 인하여 내창문틀과 연결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32072호(공개일자 2020년11월25일) (0002) 대한민국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5359호(등록일자 1998년11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레싱과 창틀 사이로 결로가 흐르지 않도록 후레싱을 창틀에 기밀히 결합할 수 있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01)에 구비된 슬랫(120)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70)과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쳐서 고정하는 탄성고정편(280), 상기 결합홈(101)의 외측단에 끼움결합되는 결합편(250), 상기 결합편(250)과 상기 탄성고정편(280)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27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편(260)을 갖는 후레싱(200)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편(280)과 상기 걸림편(260) 사이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탄성고정편(28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재(300)는, 상기 탄성고정편과 상기 걸림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의 내측 단부에 탄성아크(340)로 탄성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서포트(350), 상기 탄성서포트(350)의 탄성 변형을 단속하도록 그 하면을 받치는 탄성스토퍼(32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토퍼(320)는 ‘∧’ 모양으로 형성된 양측의 리니어스토퍼(321)와, 상기 양측 리니어스토퍼(321)가 만나는 지점을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크스토퍼(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리니어스토퍼(321)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스토퍼 핑거그립(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서포트(350)는 ‘∧’ 모양으로 형성된 양측의 리니어서포트(351)와, 상기 양측 리니어서포트(351)가 만나는 지점을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크서포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리니어서포트(351)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서포트 핑거그립(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가압부재(3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31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디텐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텐트(320)는, 상기 걸림편(260)에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310)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디텐트(321), 상기 수평디텐트(321)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레싱(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직디텐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레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휨이 발생한 요소에 탄성고정편과 걸림편 사이로 탄성가압부재를 삽입하여 탄성고정편과 탄성가압부재가 슬랫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므로 후레싱과 창틀 사이의 결합력을 기밀히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스토퍼에 의해 탄성서포트가 탄성적으로 받쳐져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단속하므로 탄성고정편을 가압력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와 후레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압부재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압부재의 종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압부재가 후레싱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은, 창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01)에 구비된 슬랫(120)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70)과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쳐서 고정하는 탄성고정편(280), 결합홈(101)의 외측단에 끼움결합되는 결합편(250), 결합편(250)과 탄성고정편(280)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지지편(27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편(260)을 갖는 후레싱(200)에 있어서, 탄성고정편(280)과 걸림편(260) 사이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탄성고정편(28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300)를 포함한다.
창틀(100)은 대략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슬랫(120)을 갖는 결합홈(101)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창틀(100)의 내창(IW) 측 가장자리 둘레에 해당하는 하부에는 대략 사각 단면 모양의 결합홈(101)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01)에는 후레싱(200)의 결합편(250)과 평행한 방향으로 얇고 평평하게 형성된 슬랫(120)이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슬랫(120)은 창틀(100)의 내창(IW)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둥글게 만곡된 외측 단부를 갖는다.
또한, 슬랫(120)의 상면(121)에는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지지돌기(12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지지편(270)의 지지홈(270a)에 요철결합되고, 하면(122)에는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고정홈(124)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탄성고정편(280)의 고정돌기(282a)에 요철결합된다.
후레싱(200)은 결합홈(101)에 결합되어 창틀(100)을 마감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후레싱(200)은 상부패널(210), 하부패널(220), 좌측 사이드패널(230) 및 우측 사이드패널(240)을 포함한다.
우측 사이드패널(240)의 외면 하단에는 결합편(250)이 형성되어 창틀(100)의 결합홈(101) 외측단(102)에 결합된다.
우측 사이드패널(240)의 외면 상단에는 지지편(270)이 구비되어 슬랫(120)의 상면(121)을 지지한다.
우측 사이드패널(240)의 외면 중앙에는 탄성고정편(280)이 구비되어 슬랫(120)의 하면(122)을 탄성적으로 받쳐서 지지편(270)과 함께 슬랫(120)을 끼움결합으로 고정한다.
우측 사이드패널(240)의 외면에는 탄성고정편(280)과 결합편(2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걸림편(26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걸림편(260)의 외측 단부는 결합홈(101)의 내면에 걸려서 후레싱(20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걸림편(260)의 외측 단부는 수직연결편(261)을 통해 결합편(260)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탄성가압부재(300)를 받치는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지지편(270)은 후레싱(200)의 상부패널(210) 표면에 연이어지도록 형성되고, 지지편(270)의 외측 단부에는 거치부(271)가 연장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슬랫(120)의 외측 단부 상면(121)에 먼저 거치되므로 결합되는 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거치부(271)의 외측 선단(先端)에는 창틀(100)의 내면(100a)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복수의 벤딩슬릿(273)에 의해 상향으로 벤딩되는 탄성밀착부(272)가 구비된다.
여기서, 탄성밀착부(272)는 단부를 향해 점차 얇은 두께를 갖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그 끝 부분은 둥글게 만곡 형성되어 창틀(100)의 내면(100a)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때에 스크래치를 방지하며, 벤딩슬릿(273)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로 이루어져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즉, 후레싱(200)을 창틀(100) 방향으로 밀어서 슬랫(120)의 상면(121)에 지지편(270)이 결합할 때에 탄성밀착부(272)가 벤딩슬릿(273)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벤딩되면서 창틀(100)의 내면(100a)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편(270)의 하면에는 지지홈(270a)이 형성되어 슬랫(120)의 지지돌기(123)가 요철결합된다.
탄성고정편(280)은 지지편(270)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탄성고정편(280)과 지지편(270) 사이의 간극(G)은 슬랫(120)의 두께(D)보다 두꺼운 간격을 이루도록 우측 사이드패널(240)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유는 슬랫(12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휨 변형에 의한 두께(D) 편차가 발생할 경우에 보완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고정편(280)은 탄성변형부(281)와 고정부(282) 및 진입안내부(283)를 포함한다.
탄성변형부(281)는 그 상면과 우측 사이드패널(240)의 외면 사이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우측 사이드패널(240)에 연결되어 슬랫(120)이 끼움결합될 때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면 변형된다.
고정부(282)는 탄성변형부(28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편(270)과 함께 슬랫(120)의 하면(122)을 받쳐서 끼움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부(282)의 상면에는 고정돌기(282a)가 구비되어 슬랫(120)의 고정홈(124)에 요철결합된다. 선택적으로, 고정돌기(282a)는 지지편(270)의 지지홈(270a)에 결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지지편(270)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때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안내부(283)는 고정부(282)의 선단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슬랫(120)의 진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가압부재(300)는 탄성고정편과 걸림편 사이로 삽입되어 슬랫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치는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가압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정편(280)과 걸림편(260) 사이로 삽입되어 걸림편(260)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310), 베이스(310)의 내측 단부에 탄성아크(340)로 탄성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서포트(350), 탄성서포트(350)의 탄성 변형을 단속하도록 하면을 받치는 탄성스토퍼(320)를 포함한다.
탄성가압부재(300)는 금속 또는 비철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베이스(310)의 좌측 단부에는 디텐트(320)가 연결되어 탄성가압부재(3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데, 이러한 디텐트(320)는 걸림편(260)에 안착되도록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디텐트(321)와, 수평디텐트(321)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우측 사이드패널(240)에 밀착되는 수직디텐트(322)를 포함한다. 수평디텐트(321)와 수직디텐트(322)에 의해 걸림편(260)과 탄성고정편(280)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가압부재(300)의 삽입 위치를 안정화시킨다.
베이스(310)의 우측 단부에는 탄성스토퍼(320)가 연결되어 탄성서포트(350)의 탄성 변형을 단속하도록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치는데, 이러한 탄성스토퍼(320)는 ‘∧’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양측의 리니어스토퍼(321)와, 양측 리니어스토퍼(321)가 만나는 지점을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크스토퍼(322)를 포함한다. 즉, 탄성스토퍼(320)는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탄성서포트(35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쳐서 탄성서포트(35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탄성스토퍼(320)는 우측 리니어스토퍼(321)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스토퍼 핑거그립(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0)의 좌측 상면에는 원호 모양의 탄성아크(340)가 형성되어 탄성서포트(350)가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탄성서포트(350)는 탄성아크(340)를 통해 베이스(310)의 상부에 연결되어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서포트(350)는 ‘∧’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양측의 리니어서포트(351)와, 양측 리니어서포트(351)가 만나는 지점을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크서포트(352)를 포함한다. 즉, 탄성서포트(350)는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그 하면은 탄성스토퍼(320)에 의해 탄성 변형이 단속되므로 결과적으로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탄성서포트(350)는 우측 리니어서포트(351)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서포트 핑거그립(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서포트(350)의 아크서포트(352)와 탄성스토퍼(320)의 아크스토퍼(322)는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되, 탄성아크(340)를 중심으로 탄성 회전하는 탄성서포트(350)의 양측 리니어서포트(351)가 탄성스토퍼(320)의 양측 리니어스토퍼(321)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중심을 달리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재(300)는, 탄성서포트(350)가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탄성스토퍼(320)가 탄성서포트(350)의 탄성 변형을 단속하므로, 지지편(270)과 탄성고정편(280) 사이로 결합된 슬랫(12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서포트 핑거그립(360)과 스토퍼 핑거그립(330)을 잡고 누른 상태에서 탄성가압부재(300)를 탄성고정편(280)과 걸림편(260) 사이로 삽입한다.
이때, 우측 사이드패널에 디텐트(320)가 닿을 때까지 탄성가압부재(300)를 밀어 넣어서 삽입 위치를 제한한다.
이후 서포트 핑거그립(360)과 스토퍼 핑거그립(330)에서 손가락을 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재(300)의 베이스(310)는 걸림편(260)에 안착되고 탄성서포트(350)는 탄성아크(340)를 중심으로 탄성 회전되어 탄성고정편(28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후레싱(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휨이 발생한 요소(要所)에 탄성가압부재(300)를 삽입할 수 있다.
다음, 후레싱(200)의 결합편(250)이 창틀(100)의 결합홈(101) 외측단(102)에 평행하면서 후레싱(200)의 지지편(270)과 탄성고정편(280) 사이에 창틀(100)의 슬랫(120)이 평행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후레싱(200)의 거치부(271)를 슬랫(120)의 외측단 상면(121)에 거치한 상태에서 창틀(100) 방향으로 밀어 후레싱(200)의 결합편(250)이 창틀(100)의 외측단(102)으로 진입시킨다.
계속해서, 후레싱(200)을 창틀(100) 방향으로 밀면, 창틀(100)의 슬랫(120)은 탄성고정편의 진입안내부(283)로 안내된 후 고정부(282)와 지지편(270) 사이로 진입되고, 후레싱(200)의 결합편(250)은 결합홈(101)의 외측단(102)으로 진입된다.
이때, 탄성가압부재(300)의 탄성서포트(350)는 탄성아크(340)를 중심으로 탄성 회전되어 탄성고정편(280)의 고정부(282)를 지지한다.
이어서, 후레싱(200)의 걸림편(260)이 창틀(100)의 결합홈(101) 내면에 걸리도록 창틀(100) 방향으로 계속해서 밀면, 창틀(100)의 슬랫(120)은 지지편(270)과 탄성고정편(280) 사이로 완전히 진입되고, 슬랫(120)의 지지돌기(123)는 지지홈(270a)에 그리고 고정홈(124)은 고정돌기(282a)에 동시에 요철결합되며, 후레싱(200)의 결합편(250)은 결합홈(101)의 외측단(102)으로 깊숙히 진입된다.
이때, 후레싱(200)의 지지편(270) 선단에 형성된 탄성밀착부(272)는 벤딩슬릿(273)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벤딩되면서 창틀(100)의 내면(100a)에 밀착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토퍼(320)로 탄성 변형이 단속된 탄성서포트(350)에 의해 탄성고정편의 하면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지지편(270)과 탄성고정편(280) 사이로 결합된 슬랫(120)은 탄성고정편(280)과 탄성가압부재(300)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된 고정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레싱(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휨이 발생한 요소에 탄성고정편(280)과 걸림편(260) 사이로 탄성가압부재(300)를 삽입하면 탄성고정편(280)과 탄성가압부재(300)가 슬랫(12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므로 후레싱(200)과 창틀(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력을 기밀히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창틀 101 : 결합홈
120 : 슬랫 123 : 지지돌기
124 : 고정홈 200 : 후레싱
240 : 우측 사이드패널 250 : 결합편
260 : 걸림편 270 : 지지편
271 : 거치부 272 : 탄성밀착부
273 : 벤딩슬릿 280 : 탄성고정편
281 : 탄성변형부 282 : 고정부
300 : 탄성가압부재 310 : 베이스
320 : 디텐트 330 : 탄성스토퍼
340 : 탄성아크 350 : 탄성서포트

Claims (6)

  1. 창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01)에 구비된 슬랫(120)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편(270)과 하면을 탄성적으로 받쳐서 고정하는 탄성고정편(280), 상기 결합홈(101)의 외측단에 끼움결합되는 결합편(250), 상기 결합편(250)과 상기 탄성고정편(280) 사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27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걸림편(260)을 갖는 후레싱(200)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편(280)과 상기 걸림편(260) 사이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탄성고정편(280)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재(300)는, 상기 탄성고정편과 상기 걸림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310), 상기 베이스(310)의 내측 단부에 탄성아크(340)로 탄성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탄성고정편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서포트(350), 상기 탄성서포트(350)의 탄성 변형을 단속하도록 그 하면을 받치는 탄성스토퍼(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토퍼(320)는 ‘∧’ 모양으로 형성된 양측의 리니어스토퍼(321)와, 상기 양측 리니어스토퍼(321)가 만나는 지점을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크스토퍼(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니어스토퍼(321)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스토퍼 핑거그립(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서포트(350)는 ‘∧’ 모양으로 형성된 양측의 리니어서포트(351)와, 상기 양측 리니어서포트(351)가 만나는 지점을 원호 모양으로 만곡되게 연결하는 아크서포트(3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니어서포트(351)의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서포트 핑거그립(3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3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31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디텐트(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텐트(320)는, 상기 걸림편(260)에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310)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디텐트(321), 상기 수평디텐트(321)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레싱(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직디텐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KR1020210128663A 2021-09-29 2021-09-29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KR10243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63A KR102433849B1 (ko) 2021-09-29 2021-09-29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663A KR102433849B1 (ko) 2021-09-29 2021-09-29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849B1 true KR102433849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663A KR102433849B1 (ko) 2021-09-29 2021-09-29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8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59Y1 (ko) * 1996-03-16 1999-03-30 박국경 창호구조
JP2001082032A (ja) * 1999-09-09 2001-03-27 Howa Mach Ltd 額縁の取付構造及び額縁取付用補助部材
JP2006169871A (ja) * 2004-12-17 2006-06-29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撓み規制構造と撓み規制部材
KR101758296B1 (ko) * 2015-01-21 2017-07-18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KR20200132072A (ko) 2019-05-15 2020-11-25 노홍문 창호용 공틀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59Y1 (ko) * 1996-03-16 1999-03-30 박국경 창호구조
JP2001082032A (ja) * 1999-09-09 2001-03-27 Howa Mach Ltd 額縁の取付構造及び額縁取付用補助部材
JP2006169871A (ja) * 2004-12-17 2006-06-29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撓み規制構造と撓み規制部材
KR101758296B1 (ko) * 2015-01-21 2017-07-18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KR20200132072A (ko) 2019-05-15 2020-11-25 노홍문 창호용 공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842B2 (en) Filter fan with a quick fastening device
US7685782B2 (en) Muntin clip
KR102433849B1 (ko)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EP2677109B1 (en) Fastener for a sunshade
KR101828368B1 (ko) 천장 몰딩장치
KR101342831B1 (ko)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FI125477B (fi) Kiinnike ja menetelmä kiinnikkeen kiinnittämiseksi lasitusosaan
KR102324347B1 (ko) 후레싱을 갖는 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950034661A (ko) 기판용 카세트에 있어서의 사이드레일 및 기판용 카세트
KR20150002556U (ko) 방풍 및 방음용 패킹부재
JPH10219861A (ja) 建築用ガスケット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20190003027U (ko)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CZ164896A3 (cs) Zaklapávací rám
JP5128307B2 (ja) 屋外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及びその屋外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2000144984A (ja) オフィス仕切り壁配置
KR200408084Y1 (ko) 롤 방충망 장치
CN108131078A (zh) 一种玻璃门窗的玻璃固定结构、玻璃门窗
JP6297961B2 (ja) サッシ用額縁
JP6953368B2 (ja) 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JP7337765B2 (ja) 笠木のエンドキャップ、笠木のエンドキャップの取付構造及び取り付け方法
KR200237912Y1 (ko) 시트재 현수용 홀더장치
JPH0139207Y2 (ko)
JP3034771B2 (ja) 外装笠木装置
KR200463669Y1 (ko) 결로 배출용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