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96B1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Google Patents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8296B1 KR101758296B1 KR1020150010014A KR20150010014A KR101758296B1 KR 101758296 B1 KR101758296 B1 KR 101758296B1 KR 1020150010014 A KR1020150010014 A KR 1020150010014A KR 20150010014 A KR20150010014 A KR 20150010014A KR 101758296 B1 KR101758296 B1 KR 1017582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wall
- finishing
- finishing material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 설치부에 시공되는 벽체 마감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부를 갖는 창틀안치부와 창틀안치부의 저면과 일치하여 연결 형성된 마감설치부를 갖는 압출 성형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를 형성함에 따라,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에 상기 벽체 마감재를 삽입 고정한 후, 상기 창틀안치부 상에 창호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공부를 갖는 마감설치부로 인해 벽체 개구부에 대한 단열 및 차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고, 창틀안치부는 불균일한 벽체 개구부에 대한 평탄면을 제공하여 창호 설치의 용이함은 물론 창호와 마감설치부가 함께 벽체에 고정될 수 있어 마감재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마감설치부를 이용하여 외부 블라인드 혹은 방충망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창호 설치용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창호가 설치될 개구부의 내면 전체에 대한 마감이 일시에 이루어지므로 시공 기간의 단축 및 인력 단축으로 인해 경제성 또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중공부를 갖는 마감설치부로 인해 벽체 개구부에 대한 단열 및 차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고, 창틀안치부는 불균일한 벽체 개구부에 대한 평탄면을 제공하여 창호 설치의 용이함은 물론 창호와 마감설치부가 함께 벽체에 고정될 수 있어 마감재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마감설치부를 이용하여 외부 블라인드 혹은 방충망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창호 설치용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창호가 설치될 개구부의 내면 전체에 대한 마감이 일시에 이루어지므로 시공 기간의 단축 및 인력 단축으로 인해 경제성 또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 설치부에 시공되는 벽체 마감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안치부와 마감설치부가 형성된 압출 성형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를 형성함에 따라, 예컨데 에너지 절약형 주택(passive house)에서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에 대하여 사방으로 차수 및 단열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벽체 마감재를 이용하여 창호의 안착 고정 및 실외 블라인드 또는 방충망 등을 창호 개구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벽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공되는 주택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은 기존의 콘크리트 벽체와 외벽 단열재 및 마감재로 국한되지 않고 단열재의 개선 및 보강을 거쳐 건물 내,외부 간의 에너지 순환 또는 손실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건물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라 일컬어지는 에너지 절약형 주택의 경우 단열 성능을 보완 및 강화하여 실내 온도가 실외의 환경에 의해 가변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의 열에너지가 실외로 낭비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효율의 에너지 절약형 주택으로서 진일보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의 패시브 하우스란, 수동적(passive)인 집이라는 뜻으로 능동적(active)으로 에너지를 끌어쓰는 액티브 하우스(active house)에 대응하는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액티브 하우스가 태양열 등 외부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반면 패시브 하우스는 집안의 열 에너지의 유출을 억제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에너지 절감형 주택이다. 이를 위해 단열재 등을 충분히 활용하고 벽체도 두껍게 하며 창문도 이중 혹은 삼중창을 사용하는 등 단열효과를 극대화한 것으로, 이러한 패시브 하우스는 1991년 독일에서 처음 도입됐고 이후 오스트리아, 영국 등 유럽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끌어쓰거나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막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동적'(passive)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연간 난방 에너지가 건물 m²당 15KWh를 넘어서는 안 되고, 냉방과 난방 및 온수, 전기기기 등 1차 에너지 소비량이 연간 m²당 120㎾h 미만이어야 한다.
또한, 문을 닫은 집에서 공기가 새어나가는 양이 50파스칼 압력에서 실내공기 부피의 60% 미만일 정도로 기밀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고, 이렇게 되면 바깥온도가 35℃일 때 맨 위층 실내온도는 26℃를 넘지 않으며, 바깥온도가 영하 10℃일 때도 난방시설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1988년 독일의 건설물리학자 볼프강 파이스트와 스웨덴의 룬드대학 교수 보 아담손이 제안하여 1991년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처음 지어진 후 유럽에서는 보편화된 건축기법으로 자리 잡았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지역의 경우 패시브 하우스로 설계해야만 건축허가를 내주기에 이르렀다.
더욱이, 이러한 패시브 하우스의 경우 단열공사비 때문에 일반 주택보다 평당 건축비가 15% 정도 비싸지만 겨울철 난방비는 95% 이상, 여름철 냉방비는 50% 이상 절약할 수 있다고 하고, 한국의 경우 한라건설이 인천에 지은 '청라비발디' 단지 내 부속 노인정이 국내 최초로 독일 패시브협회(Passive House Institute/PHI)가 인증하는 패시브 하우스로 인증받은 바 있다.
또한, 2011년 '한국, 오스트리아 지속가능 국제 건축전'에 전시된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우체국 청사의 경우 패시브 기법을 통해 지어져 '탄소 제로 우체국'으로도 불리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패시브 하우스의 경우에도 일반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 및 개수의 창호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창호는 환기의 목적 이외에도 채광 및 조망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건축물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인데, 상기의 창호 부분은 벽체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열의 측면에서 취약하기 때문에 삼중창과 같은 과도한 복합 설계가 불가피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 건축물은 물론 패시브 하우스의 경우에도 단열 강화를 목적으로 점진적으로 벽체의 두께(단열재의 두께도 증가)가 두꺼워지는 추세인데 도 1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 혹은 조적에 의한 벽체(100)를 시공한 상태에서 벽체(100)의 외벽에 상당히 두꺼운 단열층(110)을 형성한 후 마감층(120)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 마감층(120)과 단열층(110)을 포함하고 있는 벽체(100)의 전체 단면은 매우 두껍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벽체의 단면은 점진적으로 더욱 두꺼워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창호가 설치되는 개구부는 벽체에 대한 단면 결손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단열에 취약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에는 사방으로 대리석 등의 마감패널(130)을 고정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패널(130) 내에 창호를 설치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대리석에 의한 마감패널은 습기를 머금는 것은 물론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며, 가공성 역시 불량하여 합리적인 시공 및 마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대리석에 의한 마감재의 경우 전기와 같이 합리적인 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합판이나 강판 등 상대적으로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마감재로 사용하기도 하나 이들 마감재의 경우 가공성은 양호하나 대리석에 비하여 단열성이 떨어져 패시브 하우스와 같이 단열이 중요한 건축물에서는 사용이 적절하지 못한 것이다.
특히, 패시브 하우스의 경우 실내의 과도한 냉방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창문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야 하는 것인데, 이러한 태양열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블라인드가 효율적인 것이고, 내부 블라인드의 경우 미관을 해치고 실내 가용공간을 침해하여 근래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창호(2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블라인드(300)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외부 블라인드(300)의 경우 창호의 외측 개구부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형태가 있으며, 전동식 블라인드의 경우 상측 전동 작동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되게 하거나 벽체 내에 매설하는 등 다양한 시공 사례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외부 블라인드의 경우 창호 개구부에 창호와 대응하여 설치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만큼 상기 창호 개구부 내면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야 할 당연성을 갖고 있는데, 대리석이나 합판 또는 강판 등을 이용하여 시공된 창호 개구부의 마감재는 외부 블라인드를 고정 설치하는데 많은 취약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대리석에 의한 마감재의 경우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대리석에 설치공을 타공한 후 앙카볼트 혹은 칼블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블라인드가 고정되게 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과정에서 대리석에 의한 마감재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고, 마감재의 가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정확한 각도 및 방향으로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합판이나 강판 등으로 된 마감재의 경우 자체의 단열성도 매우 떨어지지만 중량을 갖는 외부 블라인드를 견고하게 지지 및 고정해주지 못하여 외부 블라인드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추가의 브라켓이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지극히 불합리한 것이고, 이러한 고정수단들은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므로 실효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불합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중공부를 갖는 창틀안치부와 창틀안치부의 저면과 일치하여 연결 형성된 마감설치부를 갖는 압출 성형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를 형성함에 따라,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에 상기 벽체 마감재를 삽입 고정한 후, 상기 창틀안치부 상에 창호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수 및 단열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된 마감부재는 가공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이며, 외부 블라인드 또는 방충망 등을 고정 설치하는데에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의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창틀안치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설치부가 형성된 마감부재를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고, 상기 마감부재를 절단하여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를 형성하되,
마감부재의 창틀안치부와 마감설치부는 저면이 일치하여 연속되게 하고, 상기 창틀안치부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된 마감설치부에는 중공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부에는 보강리브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마감설치부의 끝단 저면에는 요홈 형태로 된 물끊음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 내에 벽체 마감재가 삽입되어 상기 벽체 마감재의 내측 창틀안치부 상에 창호가 안치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부를 갖는 마감설치부로 인해 벽체 개구부에 대한 단열 및 차수 효과가 증대되도록 하고, 창틀안치부는 불균일한 벽체 개구부에 대한 평탄면을 제공하여 창호 설치의 용이함은 물론 창호와 마감설치부가 함께 벽체에 고정될 수 있어 마감재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마감설치부를 이용하여 외부 블라인드 혹은 방충망 등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고, 창호 설치용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창호가 설치될 개구부의 내면 전체에 대한 마감이 일시에 이루어지므로 시공 기간의 단축 및 인력 단축으로 인해 경제성 또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호 및 개구부에 대한 단면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창호 및 개구부에 외부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제작하기 위한 마감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이용한 창호 설치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이용한 창호 설치부에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마감부재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경사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벽체 마감재에 의한 창호 설치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벽체 마감재에 의한 창호 설치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창호 및 개구부에 외부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제작하기 위한 마감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이용한 창호 설치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이용한 창호 설치부에 외부 블라인드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마감부재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경사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벽체 마감재에 의한 창호 설치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벽체 마감재에 의한 창호 설치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를 제작하기 위한 마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시와 같은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는 일반 건축물은 물론 에너지 절약형 주택에 해당하는 패시브 하우스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건축물에 창호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 내에 창호 설치전 상기 벽체 마감재를 이용하여 개구부 단면을 마감하는 동시에 벽체 마감재의 내측에 창호를 삽입 및 고정 설치함에 따라 개구부 단면에 대한 마감과 함께 창호의 용이하고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20)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압출 성형된 마감부재(10)를 필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이를 통해 사각틀체 형상으로 된 벽체 마감재(20)를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벽체 마감재(20)는 창호의 크기에 따라 높이와 폭의 설계 제작이 자유로운 것으로 압출 성형되는 마감부재(10)의 필요 길이 절단을 통해 다양한 형태(사각의 틀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및 다양한 크기로의 벽체 마감재(20)로서의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마감부재(10)는 저면이 일치하여 평평한 상태로 일측에는 창틀안치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설치부(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마감설치부(12)는 창틀안치부(11)에 비하여 두꺼운 형태로 높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설치부(12)는 내측의 중공부(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중공부(12a)는 마감부재(10)의 경량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중공부(12a)로 인한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중공부(12a)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 또는 규칙적이지 않은 간격의 보강리브(12b)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마감설치부(12)의 일측 끝단 저면에는 요홈 형태로 된 물끊음부(12c)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끊음부(12c)로 인해 마감설치부(12)의 상면으로부터 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상기 물끊음부(12c)에 이르러 저면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수직으로 떨어져 내리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물끊음부(12c)로 인해 벽체 마감재(20)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등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벽체 마감재(20)와 벽체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될 소지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설치부(12)의 타측에는 요홈 형태로 된 접착홈부(1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접착홈부(12b)에 별도로 구비되는 양면테이프(13)를 부착 형성한 상태에서 벽체 마감재(20)에 창호(200)를 밀착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양면테이프(13)에 의해 이들 벽체 마감재(20)와 창호(200)를 서로 접착 고정하여 상호 일체감을 갖고 창호 설치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양면테이프(13)는 마감설치부(12)와 창호(200) 간의 틈새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마감부재(10)를 절단하여 양 끝단을 직각 형태로 서로 융착 또는 끝단에 대한 사선 가공을 통해 상호 접착 형성함에 따라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20)가 완성되는 것으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벽체 마감재(20)를 건축물의 벽체(100)에 형성된 창호 설치부의 개구부 내에 삽입한 후, 벽체 마감재(20)의 내측인 창틀안치부(11) 상에 상기의 창호(200)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창호(200)와 창틀안치부(11)가 동시에 관통되어 벽체(100)에 단단하게 박힐 수 있도록 한 나사볼트 또는 고정앵커 등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틀안치부(11)는 벽체(100)의 콘크리트 양생부 또는 조적부 상에 위치하여 실내 방향을 향하게 될 것이고, 상기 마감설치부(12)는 벽체(100)의 단열층(110) 및 마감층(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실외 방향을 향하게 될 것으로, 이들 창틀안치부(11)와 마감설치부(12)는 벽체(100)의 두께 혹은 단열층(110)과 마감층(120)의 두께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벽체(100)의 창호 개구부 내에 벽체 마감재(20)를 이용한 창호(2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상기의 벽체 마감재(200)는 벽체의 개구부 내면 전체를 일시에 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발수 및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이며, 마감설치부(12)의 중공부(12a)로 인해 단열성도 뛰어난 것이다. 또한, 창호(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창호(200)의 삽입 안내 및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 틀체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므로 창호 시공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 마감재(200)와 벽체 혹은 창호 간의 틈새 등은 실란트 작업을 통해 방수 처리를 해야할 것이다.
이에, 상기 벽체 마감재(20)를 이용한 창호(2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벽체 마감재(20)의 마감설치부(12) 상에, 도 7의 도시와 같이 외부 블라인드(300) 또는 롤 방충망 등을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외부 블라인드(300)를 벽체 마감재(20) 내에 삽입한 후 외부 블라인드(300)의 내측으로부터 상부 하부 및 측부를 상기 마감설치부(12)에 견고하게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에 따라 이들 외부 블라인드(300) 또는 롤 방충망 등을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20)는 마감부재(10)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 마감재(20)를 제작하기 전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또는 창호(200)의 두께에 따라 마감부재(10)의 창틀안치부(11)에 대한 폭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마감부재(10)의 창틀안치부(11)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서로 대응하는 절단홈부(11a)를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벽체 두께 또는 창호 두께에 따라 상기 절단홈부(11a)를 이용하여 창틀안치부(11)의 일부를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벽체 및 창호와 대응하는 폭으로 된 창틀안치부(11)를 갖는 마감부재(10)를 이용한 벽체 마감재(20)의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벽체 마감재(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마감부재(10)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마감설치부(12)의 중공부(12a) 내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브라켓(30)을 삽입한 상태로 벽체 마감재(20)를 제작 형성함에 따라 상기 마감설치부(12)를 이용하여 외부 블라인드(300) 등을 고정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블라인드(300)를 관통하고 마감설치부(12)의 상측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나사못 등의 체결나사(301)가 상기 체결브라켓(30)에 견고하게 나사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외부 블라인드(3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의 체결브라켓(30)은 필요에 따라 벽체 마감재(20)의 측부 및 상부에도 내입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20)는 벽체(100)의 두께가 두껍거나 깊은 경우 상기 마감설치부(12) 상에 먼지나 오염물 등이 쌓일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오염물은 미관을 해치게 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벽체 마감재(20)의 하부 상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경사부재(40)를 안치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된 경사부재(40)를 벽체 마감재(20)의 내측 하부에 올려놓은 상태로 이들을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하거나 접착 고정함에 따라 상기 경사부재(40)가 갖고 있는 상면의 경사각으로 인해 오염물 등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경사부재(40)의 표면으로 내려앉은 먼지 등은 빗물과 함께 흘러내리면서 제거될 것이므로 경사부재(40)의 상면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경사부재(40)는 평판 형태로 된 몸체 저면에 점진적으로 길이를 달리하는 지지리브를 일정 간격으로 하향 돌출 형성함에 따라 지지리브의 하단이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벽체 마감재(20)에 경사부재(40)에 안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 블라인드(300)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외부 블라인드(300)가 설치될 위치의 경사부재(40) 상면에 별도로 구비되는 수평브라켓(41)을 선행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수평브라켓(41)을 통해 경사부재(40)에 의한 경사각을 보상하여 수평브라켓(41)의 상면에 수평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외부 블라인드(300)의 하단과 경사부재(4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한 수평브라켓(41)을 통해 상기 외부 블라인드(300)와 경사부재(40) 및 벽체 마감재(20)가 일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외부 블라인드(300)에 대한 수직 설치는 물론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마감재(20)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벽체 마감재(20)의 하측 저면에 별도의 연장차수판(50)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벽체 마감재(20)의 폭 이상의 두께를 갖는 벽체(100)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시공이 가능한 것인데, 상기의 연장차수판(50)은 일측단에 끼움부(51)가 상향 절곡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하향의 절곡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끼움부(51)는 벽체 마감재(20)의 저면 물끊음부(12c)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4의 도시와 같이 벽체의 두께가 벽체 마감재(20)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벽체 마감재(20)의 하부 또는 하부를 포함한 측부와 상부에 이르기까지 상기의 연장차수판(50)을 결합 형성한 상태에서 창호가 설치될 개구부에 벽체 마감재(20) 및 창호(200)를 고정 설치함에 따라 상기 연장차수판(50)은 벽체 마감재(20) 끝단의 노출부를 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연장차수판(50)의 절곡부(52)는 자연스럽게 물끊음부의 역할을 수행하여 벽체 마감재(2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연장차수판(50) 상부의 빗물을 지면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20)는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에 대한 빠르고 효과적인 마감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창호(200)를 안내하여 창호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창호(200)와 더불어 벽체(100)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설치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고, 벽체(100)의 두께에 따라 창틀안치부(11)의 폭을 조절하거나 연장차수판(50)을 결합 사용함으로써 신축 주택이나 기존 주택의 개보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일반 건축물은 물론 패시브 하우스에도 합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마감부재 11 : 창틀안치부
11a : 절단홈부 12 : 마감설치부
12a : 중공부 12b : 보강리브
12c : 물끊음부 12d : 접착홈부
13 : 양면테이프
20 : 벽체 마감재
30 : 체결브라켓
40 : 경사부재 41 : 수평브라켓
50 : 연장차수판 51 : 끼움부
52 : 절곡부
100 : 벽체
110 : 단열층
120 : 마감층
200 : 창호
300 : 외부 블라인드 301 : 체결나사
11a : 절단홈부 12 : 마감설치부
12a : 중공부 12b : 보강리브
12c : 물끊음부 12d : 접착홈부
13 : 양면테이프
20 : 벽체 마감재
30 : 체결브라켓
40 : 경사부재 41 : 수평브라켓
50 : 연장차수판 51 : 끼움부
52 : 절곡부
100 : 벽체
110 : 단열층
120 : 마감층
200 : 창호
300 : 외부 블라인드 301 : 체결나사
Claims (7)
- 일측에 창틀안치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설치부(12)가 형성된 마감부재(10)를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고, 상기 마감부재(10)를 절단하여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20)를 형성하되, 마감부재(10)의 창틀안치부(11)와 마감설치부(12)는 저면이 일치하여 연속되게 하고, 상기 창틀안치부(11)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된 마감설치부(12)에는 중공부(12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부(12a)에는 보강리브(12b)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마감설치부(12)의 끝단 저면에는 요홈 형태로 된 물끊음부(12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창호(200)가 설치될 벽체(100)의 개구부 내에 벽체 마감재(20)가 삽입되어 상기 벽체 마감재(20)의 내측 창틀안치부(11) 상에 창호(200)가 안치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벽체 마감재(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마감부재(10)의 상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경사부재(40)가 안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경사부재(40)는 상면이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한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40) 상에 외부 블라인드(300)의 하단을 고정하여, 경사부재(40)의 상부와 외부 블라인드(300)의 하단 사이에는 경사부재(40)의 경사각을 보정하는 수평브라켓(41)을 삽입 고정하여 상기 수평브라켓(41)에 의해 외부 블라인드(300)가 수직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벽체 마감재(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마감부재(20)의 마감설치부(12) 저면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연장차수판(5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연장차수판(50)은 일측 끝단에 상향의 끼움부(51)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하향의 절곡부(52)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51)를 마감설치부(12)의 물끊음부(12c)에 삽입 형성함에 따라 벽체(100)의 전체 두께가 벽체 마감재(20)의 폭 보다 넓은 경우 상기 연장차수판(50)이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014A KR101758296B1 (ko) | 2015-01-21 | 2015-01-21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014A KR101758296B1 (ko) | 2015-01-21 | 2015-01-21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441A KR20160090441A (ko) | 2016-08-01 |
KR101758296B1 true KR101758296B1 (ko) | 2017-07-18 |
Family
ID=5670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0014A KR101758296B1 (ko) | 2015-01-21 | 2015-01-21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829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4347B1 (ko) * | 2021-03-29 | 2021-11-09 | 엄봉 | 후레싱을 갖는 창호 및 그 시공방법 |
KR102422381B1 (ko) | 2021-09-06 | 2022-07-20 | (주)에스알펜스터 |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KR102433849B1 (ko) * | 2021-09-29 | 2022-08-19 | 박상환 |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
KR20220140886A (ko) * | 2021-02-16 | 2022-10-18 | 김승현 | 창호용 공틀 |
KR20230072812A (ko) | 2021-11-18 | 2023-05-25 | 주식회사 용진창호 | 창호 틀과 개구부 가장자리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500Y1 (ko) * | 2003-06-28 | 2003-10-30 | 주식회사 한국프라시스 | 문틀용 프로파일 |
KR200340552Y1 (ko) * | 2003-10-08 | 2004-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창틀 내부에 블라인드 및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이중창틀 |
KR100514381B1 (ko) * | 2003-04-02 | 2005-09-13 |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 방충망레일 일체형 공틀 |
-
2015
- 2015-01-21 KR KR1020150010014A patent/KR1017582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4381B1 (ko) * | 2003-04-02 | 2005-09-13 | 주식회사 플러스창호 | 방충망레일 일체형 공틀 |
KR200331500Y1 (ko) * | 2003-06-28 | 2003-10-30 | 주식회사 한국프라시스 | 문틀용 프로파일 |
KR200340552Y1 (ko) * | 2003-10-08 | 2004-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창틀 내부에 블라인드 및 방범창 설치가 용이한 이중창틀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0886A (ko) * | 2021-02-16 | 2022-10-18 | 김승현 | 창호용 공틀 |
KR102701738B1 (ko) * | 2021-02-16 | 2024-08-30 | 김승현 | 창호용 공틀 |
KR102324347B1 (ko) * | 2021-03-29 | 2021-11-09 | 엄봉 | 후레싱을 갖는 창호 및 그 시공방법 |
KR102422381B1 (ko) | 2021-09-06 | 2022-07-20 | (주)에스알펜스터 |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KR102433849B1 (ko) * | 2021-09-29 | 2022-08-19 | 박상환 |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
KR20230072812A (ko) | 2021-11-18 | 2023-05-25 | 주식회사 용진창호 | 창호 틀과 개구부 가장자리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441A (ko) | 2016-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8296B1 (ko)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
CA2577139C (en) | Modular room and structure | |
JP6532608B2 (ja) |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 |
CA3054764A1 (en) | An energy conservation house with energy-saving curtain wall, decorative wall, and plastered wall | |
KR200465304Y1 (ko) | 건물 외벽의 사이딩 패널 조립구조 | |
KR101672855B1 (ko) |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 |
CN219281023U (zh) | 一种遮阳装饰一体化的幕墙结构及幕墙立面 | |
KR101172391B1 (ko) | 친환경 단열 커튼월 창호 | |
US11306485B2 (en) |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 |
KR100591393B1 (ko) | 창호시스템 | |
KR101650811B1 (ko) |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 |
US20190211551A1 (en) | Energy-saving Solar Panel | |
KR101612412B1 (ko) |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 |
KR100955875B1 (ko) | 에너지 절약을 위한 외벽용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구조 시스템 | |
EP2631405B1 (en) | Composite window support | |
KR100849933B1 (ko) | 조립식 커튼박스 | |
KR20210130668A (ko) | 창호 개구부의 누수방지용 마감재 | |
JP2017517662A (ja) | 建築物における改良 | |
KR101068231B1 (ko) | 조립식 막 구조물 | |
KR101129964B1 (ko) | 조립식 통풍 창호 | |
KR102080850B1 (ko) |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 |
KR101586427B1 (ko) |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 |
KR102277966B1 (ko) | 가스켓이 생략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 |
KR101552020B1 (ko) | 경량 단열창 | |
CN108360946B (zh) | 一种外部独立装配式保温门窗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