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81B1 -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2381B1 KR102422381B1 KR1020210137112A KR20210137112A KR102422381B1 KR 102422381 B1 KR102422381 B1 KR 102422381B1 KR 1020210137112 A KR1020210137112 A KR 1020210137112A KR 20210137112 A KR20210137112 A KR 20210137112A KR 102422381 B1 KR102422381 B1 KR 1024223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shing
- flashing body
- building opening
- water
-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6—Covering plastic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06B3/025—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consisting of multiple glazing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06B3/4645—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with the sliding wing flush closing or moving a considerable distance towards the opening when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특히,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특히,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건축자재의 많은 연구와 노력으로 다양한 기능성을 갖춘 훌륭한 건축자재가 개발되고 있고, 특히, 건축 외장재의 경우 다양한 설치 위치별로 마감 특성을 갖는 여러 종류의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에 있어서, 외부의 콘크리트 마감이 차가운 느낌이 들고, 메마른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단점을 보완하려는 것으로, 고도의 기능을 가진 다양한 건축 외장재가 등장함에 따라 건물 미관이 수려해지면서 가치가 상승하고, 도시경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건축 외장재가 유사한 디자인과 기능을 수행하므로 건물 미관이 획일화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758296호에서, 일측에 창틀안치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감설치부가 형성된 마감부재를 압출 성형하여 구성하고, 상기 마감부재를 절단하여 사각틀체로 된 벽체 마감재를 형성하되, 마감부재의 창틀안치부와 마감설치부는 저면이 일치하여 연속되게 하고, 상기 창틀안치부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된 마감설치부에는 중공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부에는 보강리브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마감설치부의 끝단 저면에는 요홈 형태로 된 물끊음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창호가 설치될 벽체의 개구부 내에 벽체 마감재가 삽입되어 상기 벽체 마감재의 내측 창틀안치부 상에 창호가 안치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벽체 마감재의 하측에 위치하는 마감부재의 상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경사부재가 안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경사부재는 상면이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한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 상에 외부 블라인드의 하단을 고정하여, 경사부재의 상부와 외부 블라인드의 하단 사이에는 경사부재의 경사각을 보정하는 수평브라켓을 삽입 고정하여 상기 수평브라켓에 의해 외부 블라인드가 수직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실용 20-0385984호에서, 창틀과 벽체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하거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된 누수 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 마감자재는 벽체 바닥면과 길이방향으로 접지되는 하부접지면과, 상기 하부접지면의 일 끝단에 하측수직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전면스커트와, 상기 전면스커트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시켜 형성한 빗물 막이턱과, 상기 빗물 막이턱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접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된 상부접지면과, 상기 상부접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적정깊이 함몰시켜 형성한 빗물 고임부와, 상기 상부접지면 끝단과 하부접지면 끝단을 연결하는 수직벽이 일체의 압출성형으로 구성되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창호(창틀) 주변에 설치되는 외장재로서, 창호 사이에 차수(수밀) 및 단열기능을 가지는 것이나,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창틀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적 특성상 손상으로 인해 교체시 창틀을 철거 후, 재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건물 개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건물 외벽 대비 돌출되어 비 막이구간을 형성하며, 건물 개구 형상을 따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후레싱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레싱본체는, 블레이드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플레이트와,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비 막이구간 측으로 갈수록 아우터 플레이트와 간격이 축소되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이너 플레이트와, 아우터 플레이트와 이너 플레이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레싱본체는 창틀과 건물 개구가 접하는 코너영역과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 모서리 부분이 코너영역과 비접촉상태로 이격되며, 상기 경사면과 직교하도록 연장편이 돌출되어 블레이드와 연결되고, 경사면과 연장편이 접하는 양측 모서리에 내, 외측 V형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물 개구 형상을 따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을 형성하는 후레싱본체는 이너조인트 모듈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너조인트 모듈은, 이너 플레이트 내주면에 후레싱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U형 레일과, U형 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와, 와이어 양단부에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를 조여주는 장력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과 연장편이 접하는 위치에 내, 외측 V형 라인으로 경사홀이 관통되고, 상기 외측 V형 라인에 수용되어 아우터 플레이트와 건물 개구 내주면 사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내측 V형 라인에 수용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레싱본체의 아우터 플레이트와 건물 개구 내주면 사이로 물이 침투하면, 오링에 의해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로 이동이 차단되면서 외측 V형 라인으로 물이 포집되고, 상기 외측 V형 라인으로 포집된 물은 경사홀을 타고 내측 V형 라인으로 이동되어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를 팽창시키며, 상기 수팽창 지수제의 팽창력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연장편과 함께 블레이드를 축으로 선회력이 작용하면서 건물 개구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와 건물 개구 내주면 사이로 침투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모듈은, 아우터 플레이트 상에 후레싱본체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복수의 상부 배수홀이 관통되는 아우터 포집라인과, 아우터 포집라인과 대응하는 이너 플레이트 내주면에 후레싱본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배수홀을 통하여 후레싱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포집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이너 포집라인과, 상측,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의 이너 포집라인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배수라인과, 하측 후레싱본체의 아우터 플레이트에 관통되어, 하측 후레싱본체 내부로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하부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포집라인과 상부 배수홀을 통하여 상측 후레싱본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상측 후레싱본체의 이너 포집라인을 타고 양측으로 배수되어 좌우측 후레싱본체의 이너 포집라인을 경유하여 하측 후레싱본체로 포집되어 하부 배수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 처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이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이너조인트 모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기밀성 자가복원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배수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이너조인트 모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기밀성 자가복원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배수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이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이너조인트 모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기밀성 자가복원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의 배수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창틀과 건물 개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후레싱본체가 사각틀 구조로 지지되어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특히, 시공 후 후레싱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처리함과 더불어 기밀성을 자가 복원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00), 후레싱본체(2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100)는 창틀(1)과 건물 개구(2) 사이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100)는 후술하는 후레싱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고, 후레싱본체(200)의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는 창틀(1) 폭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고, 창틀(1)과 건물 개구(2) 사이에 억지 끼움하거나, 블레이드(100)를 삽입 설치 후 접착 고정 또는 쐐기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레싱본체(200)는 상기 블레이드(100)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건물 개구(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건물 외벽 대비 돌출되어 비 막이구간(210)을 형성하며, 건물 개구(2) 형상을 따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창틀(1)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는바, 일예로서, 도 1과 같이 사각형의 창틀(1)에 적용할 경우, 후레싱본체(200)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블레이드(100)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이격되어, 비 막이구간(210) 측으로 갈수록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간격이 축소되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이너 플레이트(230)와,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격판(24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가 3개의 격판(240)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에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가 경사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우천시, 창호 측으로 유입된 우수가 이너 플레이트(230) 경사면을 타고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처리된다.
이때,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창틀(1)과 건물 개구(2)가 접하는 코너영역과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이 경사면(20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02)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230) 모서리 부분이 코너영역과 비접촉상태로 이격되며, 상기 경사면(202)과 직교하도록 연장편(204)이 돌출되어 블레이드(100)와 연결되고, 경사면(202)과 연장편(204)이 접하는 양측 모서리에 내, 외측 V형 라인(206)(207)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후레싱본체(200)가 경사면(202)에 의해 창틀(1)과 건물 개구(2)가 접하는 코너영역에 비접촉상태로 그외 영역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성이 유지됨과 더불어 후레싱본체(200)의 들뜸현상으로 인한 시공불량이 방지된다.
도 2에서, 상기 건물 개구(2) 형상을 따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을 형성하는 후레싱본체(200)는 이너조인트 모듈(30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너조인트 모듈(300)은, 이너 플레이트(230) 내주면에 후레싱본체(2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U형 레일(310)과, U형 레일(31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와이어(320)와, 와이어(320) 양단부에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200)를 조여주는 장력유지구(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양단부가 45° 경사각으로 절단되어, 이웃하는 후레싱본체(200)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틀을 형성한 상태로 이너조인트 모듈(300)에 의해 구속되어, 비접착, 무볼팅, 무용접 방식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현장 시공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유지된다.
도 3에서, 상기 경사면(202)과 연장편(204)이 접하는 위치에 내, 외측 V형 라인(206)(207)으로 경사홀(208)이 관통되고, 상기 외측 V형 라인(207)에 수용되어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건물 개구(2) 내주면 사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250)이 설치되며, 내측 V형 라인(206)에 수용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260)가 구비된다.
이에 상기 후레싱본체(200)의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건물 개구(2) 내주면 사이로 물이 침투하면, 오링(250)에 의해 창틀(1)과 건물 개구(2) 사이로 이동이 차단되면서 외측 V형 라인(207)으로 물이 포집되고, 외측 V형 라인(207)으로 포집된 물은 경사홀(208)을 타고 내측 V형 라인(206)으로 이동되어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260)를 팽창시키며, 수팽창 지수제(260)의 팽창력에 의해 후레싱본체(200)가 연장편(204)과 함께 블레이드(100)를 축으로 선회력이 작용하면서 건물 개구(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외측 V형 라인(207)에 설치되는 오링(250)에 의해 1차 기밀성이 유지되고, 시공후 변형으로 인해 후레싱본체(200)와 건물 개구(2) 사이에 틈새가 확장되어 오링(250) 사이로 물이 침투하더라도, 수팽창 지수제(260)의 팽창력에 의해 후레싱본체(200)와 건물 개구(2)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오링(250)에 의한 기밀성이 자가 복원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에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건물 개구(2) 내주면 사이로 침투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모듈(400)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모듈(400)은, 아우터 플레이트(220) 상에 후레싱본체(20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복수의 상부 배수홀(412)이 관통되는 아우터 포집라인(410)과, 아우터 포집라인(410)과 대응하는 이너 플레이트(230) 내주면에 후레싱본체(2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배수홀(412)을 통하여 후레싱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포집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이너 포집라인(420)과, 상측,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200)의 이너 포집라인(420)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배수라인(430)과, 하측 후레싱본체(200)의 아우터 플레이트(220)에 관통되어, 하측 후레싱본체(200) 내부로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하부 배수홀(4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포집라인(410)과 상부 배수홀(412)을 통하여 상측 후레싱본체(2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상측 후레싱본체(200)의 이너 포집라인(420)을 타고 양측으로 배수되어 좌우측 후레싱본체(200)의 이너 포집라인(420)을 경유하여 하측 후레싱본체(200)로 포집되어 하부 배수홀(4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 처리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누수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창틀 2: 건물 개구
100: 블레이드 200: 후레싱본체
210: 비 막이구간 220: 아우터 플레이트
230: 이너 플레이트 240: 격판
300: 이너조인트 모듈 310: U형 레일
320: 와이어 330: 장력유지구
400: 배수모듈 410: 아우터 포집라인
420: 이너 포집라인 430: 이너 배수라인
440: 하부 배수홀
100: 블레이드 200: 후레싱본체
210: 비 막이구간 220: 아우터 플레이트
230: 이너 플레이트 240: 격판
300: 이너조인트 모듈 310: U형 레일
320: 와이어 330: 장력유지구
400: 배수모듈 410: 아우터 포집라인
420: 이너 포집라인 430: 이너 배수라인
440: 하부 배수홀
Claims (5)
- 창틀(1)과 건물 개구(2) 사이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
상기 블레이드(100)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건물 개구(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건물 외벽 대비 돌출되어 비 막이구간(210)을 형성하며, 건물 개구(2) 형상을 따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후레싱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블레이드(100)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이격되어, 비 막이구간(210) 측으로 갈수록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간격이 축소되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이너 플레이트(230)와,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이너 플레이트(230)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격판(240)을 포함하되,
상기 후레싱본체(200)는 창틀(1)과 건물 개구(2)가 접하는 코너영역과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이 경사면(20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02)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230) 모서리 부분이 코너영역과 비접촉상태로 이격되며,
상기 경사면(202)과 직교하도록 연장편(204)이 돌출되어 블레이드(100)와 연결되고, 경사면(202)과 연장편(204)이 접하는 양측 모서리에 내, 외측 V형 라인(206)(20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개구(2) 형상을 따라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어 사각구획을 형성하는 후레싱본체(200)는 이너조인트 모듈(30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너조인트 모듈(300)은,
이너 플레이트(230) 내주면에 후레싱본체(2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U형 레일(310)과,
U형 레일(31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와이어(320)와,
와이어(320) 양단부에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하,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200)를 조여주는 장력유지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02)과 연장편(204)이 접하는 위치에 내, 외측 V형 라인(206)(207)으로 경사홀(208)이 관통되고,
상기 외측 V형 라인(207)에 수용되어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건물 개구(2) 내주면 사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250)이 설치되며,
상기 내측 V형 라인(206)에 수용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2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싱본체(200)의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건물 개구(2) 내주면 사이로 물이 침투하면, 오링(250)에 의해 창틀(1)과 건물 개구(2) 사이로 이동이 차단되면서 외측 V형 라인(207)으로 물이 포집되고,
상기 외측 V형 라인(207)으로 포집된 물은 경사홀(208)을 타고 내측 V형 라인(206)으로 이동되어 팽창되는 수팽창 지수제(260)를 팽창시키며,
상기 수팽창 지수제(260)의 팽창력에 의해 후레싱본체(200)가 연장편(204)과 함께 블레이드(100)를 축으로 선회력이 작용하면서 건물 개구(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20)와 건물 개구(2) 내주면 사이로 침투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모듈(40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모듈(400)은,
아우터 플레이트(220) 상에 후레싱본체(200)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복수의 상부 배수홀(412)이 관통되는 아우터 포집라인(410)과,
아우터 포집라인(410)과 대응하는 이너 플레이트(230) 내주면에 후레싱본체(2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배수홀(412)을 통하여 후레싱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포집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이너 포집라인(420)과,
상측, 좌우측에 배치되는 후레싱본체(200)의 이너 포집라인(420)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배수라인(430)과,
하측 후레싱본체(200)의 아우터 플레이트(220)에 관통되어, 하측 후레싱본체(200) 내부로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하부 배수홀(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18672 | 2021-09-06 | ||
KR1020210118672 | 2021-09-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2381B1 true KR102422381B1 (ko) | 2022-07-20 |
Family
ID=8260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7112A KR102422381B1 (ko) | 2021-09-06 | 2021-10-15 |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238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7193A (ja) * | 2000-03-01 | 2001-11-16 | Kubota Corp | リフォーム壁面に対するサッシ窓枠の補修部材 |
KR200385984Y1 (ko) | 2005-03-04 | 2005-06-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누수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 |
KR20130095496A (ko) * | 2012-02-20 | 2013-08-28 | 오경란 | 캠버를 이용한 물탱크의 외부보강장치 |
KR20160090441A (ko) * | 2015-01-21 | 2016-08-01 |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
2021
- 2021-10-15 KR KR1020210137112A patent/KR1024223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7193A (ja) * | 2000-03-01 | 2001-11-16 | Kubota Corp | リフォーム壁面に対するサッシ窓枠の補修部材 |
KR200385984Y1 (ko) | 2005-03-04 | 2005-06-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누수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 |
KR20130095496A (ko) * | 2012-02-20 | 2013-08-28 | 오경란 | 캠버를 이용한 물탱크의 외부보강장치 |
KR20160090441A (ko) * | 2015-01-21 | 2016-08-01 |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KR101758296B1 (ko) | 2015-01-21 | 2017-07-18 | 주식회사 토네이도시스템 | 창호 개구부용 다목적 벽체 마감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461747B2 (ja) | 太陽電池パネルを用いた外装構造 | |
JP6205197B2 (ja) | 建物の換気構造 | |
US11846134B2 (en) | Modular sill | |
JPS6227637Y2 (ko) | ||
KR102422381B1 (ko) | 창호 개구용 아우터 후레싱 시스템 | |
CN111173208A (zh) | 内置排水构造的天窗系统 | |
JP2003096998A (ja) | 家屋の構造 | |
JP6609106B2 (ja) | 建物ユニットの防水構造 | |
JP5563868B2 (ja) | 建物の防水構造 | |
JP5947058B2 (ja) | 建物における壁排水構造 | |
JP5563351B2 (ja) | 建物ユニット | |
JPH0821162A (ja) | 壁体内浸入水のサッシ部に設ける排水工法及びその排水構造 | |
JP3408625B2 (ja) | 内樋及び屋根又はバルコニーの内樋回りの防水構造 | |
JP3361019B2 (ja) | サッシの雨仕舞構造 | |
JPH09195401A (ja) | 床下換気構造及び換気見切縁材 | |
JP3167272B2 (ja) | 屋根の接続構造 | |
JP4056931B2 (ja) | 外壁パネル間の縦目地部分の止水構造 | |
CN212295367U (zh) | 内置排水构造的天窗系统 | |
KR102596556B1 (ko) | 다양한 설치 각도에서 수밀성을 극대화시키는 개폐형 창문 구조 | |
JP2012233340A (ja) | 外壁構造 | |
JP3205521B2 (ja) | 建具の排水構造 | |
JP3064934B2 (ja) | 太陽電池パネルを用いた屋根構造および施工方法 | |
JP2557168B2 (ja) | バルコニ付きユニット式建物 | |
KR20240050170A (ko) | 창호 | |
JP5477856B2 (ja) | 建物用囲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