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027U -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027U
KR20190003027U KR2020180002360U KR20180002360U KR20190003027U KR 20190003027 U KR20190003027 U KR 20190003027U KR 2020180002360 U KR2020180002360 U KR 2020180002360U KR 20180002360 U KR20180002360 U KR 20180002360U KR 20190003027 U KR20190003027 U KR 201900030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wing
support
ceil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880Y1 (ko
Inventor
조옥주
Original Assignee
조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옥주 filed Critical 조옥주
Priority to KR2020180002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8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가 개시된다. 다수 개의 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에 의해 형성된 끼움홈을 클립 지지체에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는 클립 바디; 및 상기 클립 바디의 다수 개의 면 중에서 한쪽 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을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홈을 구비한 고정 윙을 포함하여, 천장 패널에 점검구 커버를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CLIP AND FIXING STRUCTURE FOR CHECK HOLE COVER OF CEILING}
본 고안은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립을 이용하여 천정 점검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천정 패널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물의 천장에는 각종 공조기기의 덕트나 혹은 전기배선 등이 설치되고 있으므로, 이들을 커버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천장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 패널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고 있는 바, 특히 욕실 천장 패널은 욕실의 특성상 습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습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외관미도 우수한 ABS 수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ABS 수지 재질의 욕실 천장 패널은 대체로 사각 형상을 한 2개의 패널로 구성되고, 2개의 패널은 적절한 고정구를 사용해서 서로 연결한 형태로 욕실 천장에 시공되고 있다.
또한, 한쪽 욕실 천장 패널에는 욕실 조명기기의 배선이나 혹은 환기 덕트 등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구가 형성되고 있고, 점검구를 개폐하기 위해 점검구 커버가 욕실 천장 패널에 탈거 및 장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점검구 커버를 욕실 천장 패널에 개폐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자석이나 브래킷 등을 활용한 경우가 있지만, 욕실의 문을 개방할 때에 욕실 내부의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해 점검구 커버가 욕실 천장 패널에 안정되게 지지되지 못하고, 덜렁거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대상물을 끼워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천장 패널의 점검구 커버를 천장 패널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도 용이한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은 다수 개의 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에 의해 형성된 끼움홈을 클립 지지체에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는 클립 바디; 및 상기 클립 바디의 다수 개의 면 중에서 한쪽 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을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홈을 구비한 고정 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면은 상면 및 상기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2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2개의 측면에 의해 상기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클립 지지체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은 상기 끼움홈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윙은 상기 2개의 측면 중에서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쪽 측면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윙은 상기 상면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2개의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윙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로부터 하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된 제1윙; 및 상기 제1윙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윙 및 상기 제2윙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윙 및 제2윙과 상기 상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면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클립 바디의 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끼움홈의 폭 보다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지지체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지지체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지지체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양측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걸림홈이 상기 양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측면의 상단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클립의 상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는 높이 차를 가진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립을 이용한 천장 패널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는 천장 패널에 점검구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의 주변 가장자리에 클립 지지체가 장착되며; 상기 클립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클립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클립에 상기 점검구를 커버하는 점검구 커버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패널은 욕실 천장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천장 패널에는 상기 클립이 삽입되는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 사이에는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에 의하면, 천장 패널에 점검구 커버를 클립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면서도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욕실 천장 패널에 적용할 경우에는 욕실 문의 개방으로 욕실 내에 압력이 급격이 변화되어도 점검구 커버가 욕실 천장 패널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점검구 커버가 덜렁거리거나 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으므로,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2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이 클립 지지체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이 클립 지지체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이 적용되는 천장 패널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을 매개로 점검구 커버가 천장 패널에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구 커버의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클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클립(1)은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클립 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립 바디(10)는 대체로 사각 평판 형상의 상면(11)과, 이 상면(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2개의 측면(12)을 구비하고, 전면과 후면 및 바닥면은 개방되어, 상기 상면(11)과 2개의 측면(12)에 의해 "ㄷ"자 형상의 개방된 끼움홈(13)을 형성하게 된다.
클립 바디(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등과 같은 클립 지지체(30)에 끼움홈(13)을 통해 끼워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2개의 측면(12)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연장부(1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연장부(14)는 클립 바디(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2개의 연장부(14)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측면(12)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장부(14) 사이의 간격은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끼움홈(13)의 입구를 끼움홈(13)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므로, 클립 바디(10)를 그 끼움홈(13)을 통해 클립 지지체(30)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2개의 측면(12)은 각각 전방 가장자리(121)와 후방 가장자리(122)를 구비할 수 있고, 전방 가장자리(121)와 후방 가장자리(122)의 소정 부위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15)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15)은 측면(12)의 일부를 대체로 삼각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15)의 형상은 삼각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클립 바디(10)를 클립 지지체(30)에 결합시키면, 걸림턱(1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지지체(30)에 형성한 걸림홈(31)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되므로, 일단 클립 지지체(30)에 결합된 클립 바디(10)는 걸림턱(15)과 걸림홈(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결합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립 바디(10)는 스틸과 같은 재질로 탄성력을 갖도록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어, 클립 바디(10)가 클립 지지체(30)에 끼움홈(13)을 통해 결합될 때에 클립 바디(10)가 탄성 변형되면서 클립 지지체(30)에 밀착되어, 클립(1)이 클립 지지체(3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끼움홈(13)의 폭은 클립 지지체(30)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11)에는 고정 윙(110)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윙(110)은 상면(11)으로부터 거의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돌출한 지지부(111)와, 이 지지부(111)의 선단부로부터 하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일측 측면(12) 쪽으로 연장된 제1윙(112) 및, 제1윙(112)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윙(11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윙(113)은 제1윙(112)으로부터 날카로운 예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지 않고, 부드러운 곡률을 형성하면서 상방향 및 예각으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윙(110)은 2개의 측면(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윙(112) 및 제2윙(113)은 상면(11)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윙(112) 및 제2윙(113)과 상면(11) 사이에는 고정 대상물, 예를 들면 패널 등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대상물이 상면(11)과 고정 윙(110) 사이의 고정 홈(114)에 삽입되면, 제1윙(112)과 제2윙(113)은 고정 대상물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그 복원력으로 고정 대상물을 눌러서 고정 대상물을 상면(11)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 윙(110)은 상면(11)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면(11)에는 절개에 따른 절개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클립(20)은, 앞선 실시 예의 상면(11), 2개의 측면(12), 끼움홈(13), 2개의 연장부(14) 및 걸림턱(15)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고정 윙(210)의 형상은 앞선 실시 예의 고정 윙(110)의 형상과 유사하지만, 그 방향이 상이하다.
즉 고정 윙(210)은 상면(11)으로부터 거의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돌출한 지지부(211)와, 이 지지부(211)의 선단부로부터 하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면(1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된 제1윙(212) 및, 제1윙(212)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윙(21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윙(213)은 제1윙(212)으로부터 날카로운 예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지 않고, 부드러운 곡률을 형성하면서 상방향 및 예각으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윙(210)은 2개의 측면(12) 사이에서 2개의 측면(1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윙(212) 및 제2윙(213)은 상면(11)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윙(212) 및 제2윙(213)과 상면(11) 사이에는 고정 대상물, 예를 들면 패널 등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고정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대상물이 상면(11)과 고정 윙(210) 사이의 고정 홈(214)에 삽입되면, 제1윙(212)과 제2윙(213)은 고정 대상물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그 복원력으로 고정 대상물을 눌러서 고정 대상물을 상면(11)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 윙(210)은 상면(11)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면(11)에는 절개에 따른 절개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클립 지지체(30)는 프레임 형상을 하고서 예를 들면 천장 패널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고, 제2클립(20)의 끼움홈(13)에 클럽 지지체(30)가 삽입되게 하여 제2클립(20)을 클립 지지체(30)에 적절히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1클립(1)도 동일한 방식으로 클립 지지체(3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제2클립(20)의 끼움홈(13)에 클립 지지체(30)가 삽입되면 제2클립(20)의 걸림턱(15)은 클립 지지체(30)의 걸림홈(31)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됨으로써, 제2클립(20)이 클립 지지체(3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클립 지지체(30)는 대체로 "U"자 형상의 단면이 채널 형태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립 지지체(30)는, 바닥면(32)과 바닥면(3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대체로 수직하게 절곡된 양측면(3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양측면(33)의 소정 부위에 상기 걸림홈(31)이 양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양측면(33)의 상단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대체로 역 "U"자 형상의 안착부(34)를 형성하고, 이 안착부(34)에 제2클립(20)의 상부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바닥면(32)에는 높이 차를 가진 단차부(35)가 형성되어, 클립 지지체(30)가 천장 패널(40)에 장착되었을 때에 클립 지지체(30)의 단차부(35)와 천장 패널(40)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실런트(50)를 주입하여, 클립 지지체(30)와 천장 패널(4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차부(35)는 중앙 바닥면(36)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접착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천장 패널(40)에는 전기 배선이나 환기 덕트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점검구(41)가 구비될 수 있다.
천장 패널(40)의 점검구(41) 주변에는 다수 개의 클립 지지체(30)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적절한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구(41)를 개폐하기 위해 점검구 커버(60)가 점검구(4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천장 패널(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천장 패널(40)의 점검구(41) 주변에 장착된 다수 개의 클립 지지체(30)에 하나 이상의 제1클립(1) 및 제2클립(20)을 끼워서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제1클립(1) 및 제2클립에 점검구 커버(60)을 끼워주면, 점검구 커버(60)가 천장 패널(40)의 점검구(51)를 커버하면서 천장 패널(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클립(20)에 점검구 커버(60)를 끼워서 결합하기 위해서는 점검구 커버(60)의 한쪽 가장자리에 끼움홀(61)을 형성시키고, 끼움홀(61)에 제2클립(20)이 삽입되게 한 다음에 끼움홀(61)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2클립(20)의 고정홈(214)에 삽입하여 끼워주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클립(1) 및 제2클립(20)을 매개로 점검구 커버(60)를 천장 패널(40)에 결합하면, 점검구 커버(60)가 제1클립(1) 및 제2클립(20)을 매개로 천장 패널(40)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욕실의 문을 개방할 때와 같이 급격한 외부 압력 변환에도 천장 패널(40)에 결합된 점검구 커버(60)가 덜겅거리거나 하여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 커버(60)를 제1,2클립(1,20)를 통해 클립 지지체(30)에 장착한 다음에 그 장착 위치 혹은 장착 자세를 조절하거나 또는 점검구 커버(60)를 탈거할 경우에, 작업자가 점검구 커버(60)를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점검구 커버(60)의 한쪽 면에는 파지홀(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제1클립
10: 클립 바디
11: 상면
12: 측면
13: 끼움홈
14: 연장부
15: 걸림턱
20: 클립
30: 클립 지지체
40: 천장 패널
50: 실런트
60: 점검구 커버
110: 고정 윙
210: 고정 윙

Claims (21)

  1. 다수 개의 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면에 의해 형성된 끼움홈을 클립 지지체에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는 클립 바디; 및
    상기 클립 바디의 다수 개의 면 중에서 한쪽 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을 끼워서 지지시킬 수 있는 고정홈을 구비한 고정 윙;
    을 포함하는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면은 상면 및 상기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2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2개의 측면에 의해 상기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클립 지지체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걸림턱은 상기 끼움홈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윙은 상기 2개의 측면 중에서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쪽 측면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윙은 상기 상면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2개의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윙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로부터 하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된 제1윙; 및
    상기 제1윙의 선단부로부터 상방향 및 예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윙 및 상기 제2윙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윙 및 제2윙과 상기 상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클립 바디의 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끼움홈의 폭 보다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지지체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지지체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지지체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양측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걸림홈이 상기 양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의 상단부는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클립의 상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높이 차를 가진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 사이에는 곡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8. 천장 패널에 점검구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의 주변 가장자리에 클립 지지체가 장착되며;
    상기 클립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제6항 및 제7항의 클립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클립에 상기 점검구를 커버하는 점검구 커버가 끼워져 지지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은 욕실 천장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커버에는 상기 클립이 삽입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커버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KR2020180002360U 2018-05-31 2018-05-31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KR200491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60U KR200491880Y1 (ko) 2018-05-31 2018-05-31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60U KR200491880Y1 (ko) 2018-05-31 2018-05-31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27U true KR20190003027U (ko) 2019-12-10
KR200491880Y1 KR200491880Y1 (ko) 2020-06-24

Family

ID=6883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60U KR200491880Y1 (ko) 2018-05-31 2018-05-31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63U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두리텍 천장 점검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65Y1 (ko) * 1999-06-10 2003-05-14 본 춘 구 천정판용 걸침고리
KR200365002Y1 (ko) * 2004-07-02 2004-10-16 박복규 천정 점검구
KR200375762Y1 (ko) * 2004-11-03 2005-03-11 양성욱 욕실용 천정패널 점검구의 개폐 장치
KR20050108748A (ko) * 2004-05-13 2005-11-17 (주) 웹스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KR101045266B1 (ko) * 2010-11-19 2011-06-29 주식회사 중앙기업사 슬라이드 체결방식의 천정 점검구
KR101234675B1 (ko) * 2011-06-30 2013-02-22 김성주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20160019719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광스틸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65Y1 (ko) * 1999-06-10 2003-05-14 본 춘 구 천정판용 걸침고리
KR20050108748A (ko) * 2004-05-13 2005-11-17 (주) 웹스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KR200365002Y1 (ko) * 2004-07-02 2004-10-16 박복규 천정 점검구
KR200375762Y1 (ko) * 2004-11-03 2005-03-11 양성욱 욕실용 천정패널 점검구의 개폐 장치
KR101045266B1 (ko) * 2010-11-19 2011-06-29 주식회사 중앙기업사 슬라이드 체결방식의 천정 점검구
KR101234675B1 (ko) * 2011-06-30 2013-02-22 김성주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20160019719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광스틸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63U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두리텍 천장 점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80Y1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67297A1 (en) Clip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KR101398676B1 (ko) 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구
KR200491880Y1 (ko)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KR101828368B1 (ko) 천장 몰딩장치
KR20150137234A (ko) 도어 휨방지 프로파일
US10006199B2 (en) Trim strip system for use with underhung ceiling panels
KR20210045060A (ko) 커넥터 클립
KR102052642B1 (ko) 풍하중 저항형 마감장치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KR101508282B1 (ko)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KR100561541B1 (ko) 장식용 유리부재 고정구조
CN209637574U (zh) 一种组合式角码及其移动式门架
KR20150002213U (ko) 방충망 및 그에 사용되는 방충망지 고정대
KR20140040592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6009807B2 (ja) カーテンの光漏れ防止具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200395376Y1 (ko) 환기구 마감재
JP6133468B2 (ja) カーテンの光漏れ防止具
CN104085279B (zh) 一种汽车的天窗遮阳板总成以及汽车
KR200402840Y1 (ko) 판스프링
KR200171369Y1 (ko) 커튼박스의 고정구조
JP5893933B2 (ja) カーテンの隙間塞ぎ装置
KR102433849B1 (ko) 분리형 탄성가압부재를 갖는 후레싱
KR101913136B1 (ko) 붙박이장 마감용 몰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