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831B1 -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831B1
KR101342831B1 KR1020130017909A KR20130017909A KR101342831B1 KR 101342831 B1 KR101342831 B1 KR 101342831B1 KR 1020130017909 A KR1020130017909 A KR 1020130017909A KR 20130017909 A KR20130017909 A KR 20130017909A KR 101342831 B1 KR101342831 B1 KR 101342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guide movement
horizontal
holder profi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190A (ko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filed Critical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ublication of KR2013009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가이드 이동 홈을 형성하고, 위치 이동형 홀딩 ?이 가이드 이동 홈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게 함으로써 모듈상호간의 단차문제가 해결되게 함과 동시에 보다 정교한 시공선(건축선)의 유지, 시공면 평활도의 정밀성 확보와 함께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장 판넬의 삽입부 양 측벽에 할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위치 이동형 홀딩 ?이 삽입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 가이드 이동 홈에 전도열 차단 ?(insulation tap)을 삽입하되 위치 이동형 홀딩 ?이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 조립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통해 건물내외로 전도/복사되는 발산열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 이동형 홀딩 ?과, 전도열 차단 ?이 가이드 이동 홈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가이드 이동 홈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할렬이 방지되면서 모듈상호간의 보다 정밀한 시공선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시공면 전체의 보다 정밀한 평활도의 확보는 물론, 전도열이 차단되는 효과를 지닌 오픈조인트시스템 기술분야에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Open-joint system supported building line of panel module by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ed of holding tap and guide groove of horizontal profile}
본 발명은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가이드 이동 홈을 형성하고, 위치 이동형 홀딩 ?이 가이드 이동 홈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게 함으로써 모듈상호간의 단차문제가 해결되게 함과 동시에 보다 정밀한 시공선(건축선)의 유지와 함께, 전체 시공면의 정밀한 평활도 확보는 물론,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장 판넬의 삽입부 양 측벽에 할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위치 이동형 홀딩 ?이 삽입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 가이드 이동 홈에 전도열 차단 ?(insulation tap)을 삽입하되 위치 이동형 홀딩 ?이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 조립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통해 건물내외로 전도/복사되는 발산열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 이동형 홀딩 ?과, 전도열 차단 ?이 가이드 이동 홈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가이드 이동 홈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할렬이 방지되면서 모듈상호간의 보다 정밀한 시공선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전체 시공면의 정밀한 시공면의 확보는 물론, 전도열이 차단되는 효과를 지닌 오픈조인트시스템 기술분야에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본인이 개발한 특허등록 제 10-1037905호(이하 ‘종래기술’이라한다)를 개선한 발명이다.
가) 먼저 종래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은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판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졌다.
두께(t)가 5~15mm인 내ㆍ외장재 판넬(12)의 배면에 두께(T)가 두꺼운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결합되어있되 고형의 단열재(14)두께(T)는 내ㆍ외장 판넬 두께(t)의 5~8배이고, 고형의 단열재(14) 4변 중 수평 변 상ㆍ하부에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상ㆍ하향 수직 고정날개부(222)(224) 삽입홈(142)(144)이, 그리고 고형의 단열재(14) 4변 중 수직변 양측에는 수직 홀더 프로파일(30)의 단열재 삽입 수직 날개부(34a)(34b) 삽입홈(145a)(145b)이 형성되어있으며, 단열재(14) 상단에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사선장공(262)과 L형 브라켓(40)의 수평부(44)의 사선장공(442)을 일치시켜 체결볼트(50)에 의하여 체결이 가능한 체결조립 홈(146)이 단열재(14)의 상ㆍ하부에 형성되어 내ㆍ외장 판넬과 고형 단열재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하 내ㆍ외장 판넬을 편의상 ‘외장 판넬’로 부르기로 한다.
이를 요약하면, 종래기술의 기본구성은 첫째, 외장 판넬(12)과 고형 단열재(14)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판넬(10)과, 둘째, 수평 홀더 프로파일(20)과, 셋째, L형 브라켓(40) 및 레벨링 키트(46)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위의 종래기술은 옹벽에 고정된 L형 브라켓(40)과 이에 고정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하여 외장 판넬(12)이 지지되는 구조이다. 즉, 외장 판넬(12)을 지지하는 백 프레임 대신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지지하는 구조이다. 백 프레임에 의해 외장 판넬(12)이 지지되게 되면 벽면시공레벨로 인한 시공오차에 상관없이 외장 판넬을 시공선(건축선)에 맞춰 시공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백 프레임에 많은 강재량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시공선의 정밀도와 전체 시공면의 평활도를 정밀하게 확보하기에는 애로가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오픈 조인트(Open Joint; Curtain Wall)시스템은 건축물의 옹벽과 외장 판넬 사이를 이격시켜 공기 흐름층(Air flow)의 이격 공간이 되게 하면서 외장 판넬사이의 줄눈을 대기에 오픈시켜 이격 공간이 대기와 유통되게 하여 내ㆍ외부압력이 등압상태가 되게 한 시스템이다. 대기와 이격 공간의 압력이 등압상태가 되도록 한 시스템이다. 다시 말하면, 오픈 조인트시스템은 등압원리에 기초한 단열시스템이다. 외장 판넬사이의 줄눈을 완전히 밀폐하여 공기유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시스템과 정반대되는 개념이다.
외장 판넬(12)과 고형 단열재(14)가 일체화된 중량은, 옹벽에 고정된 L형 브라켓(40)에 연결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나) 다음으로 일체화된 종래기술의 외장 판넬(12)과 고형 단열재(14)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체화된 외장 판넬(12)과 고형 단열재(14)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이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은 옹벽에 앵커된 L형 브라켓(40)의 견고한 고정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해 지지되는 외장 판넬(12)과 고형 단열재(14)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는 종 방향으로 길게 돌출ㆍ형성된 고정클립(22b)과, 그리고 상향 수직 고정날개부(222)가 형성되어있다. (도1a~도1d참조)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종 방향 돌출 고정클립(22b)에는 외장 판넬(12)의 종 방향 개구홈(12a)이, 그리고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상향 수직 고정날개부(222)에는 정형 단열재(14)의 종 방향으로 삽입홈(142)이 대응된다. 즉, 종 방향 고정클립(22b)은 외장 판넬(12)의 종 방향 개구홈(12a)에, 그리고 상향 수직 고정날개부(222)는 정형 단열재(14)의 종 방향 삽입홈(142)에 삽입ㆍ고정된다.
다) 그 다음으로 외장 판넬(12)과 고형 단열재(14)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구조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본다.
통상 오픈 조인트시스템은 시공선(건축선)에 맞춰 외장 판넬을 건물외벽(옹벽)에 조립ㆍ설치한다.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위해서다. 시공선(건축선)에서 이탈하게 되면 외관이 흉하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시공선(건축선)이란 시공선이 이탈되지 않은 상태, 즉 시공오차로 인한 모듈상호간의 이탈이 생기지 않으면서 원래 설계된 시공선(건축선)이 유지된 시공을 말한다.
통상 사용되는 단위 외장 판넬은 그 가로길이가 1.5m~3.0m이고, 그 두께(t)는 5~15mm이다.
도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장 판넬(12)의 두께(t)에는 종 방향 개구홈(12a)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종 방향 개구홈(12a)에는 도1d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종 방향 돌출 고정클립(22b)이 삽입ㆍ고정된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종 방향 돌출 고정클립(22b)은 외장 판넬(12)의 두께(t)부의 종 방향 개구홈(12a)에, 그리고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상향 수직 고정날개부(222)는 정형 단열재(14)의 종 방향 삽입홈(142)에 삽입ㆍ지지되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지지구조가 갖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① 첫 번째 문제점; 외장 판넬(12)의 종 방향 개구홈(12a)의 양 측벽이 할렬되는 문제점
종방향의 긴 개구홈(12a)이 외장 판넬(12)의 얇은 두께(t)부에 형성되어있으므로 개구홈(12a)을 이루고 있는 양 측벽의 두께는 훨씬 얇다.
종 방향 고정클립(22b)은 두께가 얇은 양 측벽사이의 개구홈(12a)에 삽입ㆍ고정되어 있다.
외장 판넬(12)의 두께(t)가 얇은데다 얇은 두께(t)부에 종방향으로 길게 개구홈(12a)이 형성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홈(12a)을 이루고 있는 양 측벽의 두께가 종 방향을 따라 얇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종 방향 돌출 고정클립(22b)에 전달된 상재하중이 얇은 양 측벽에 집중응력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집중응력이 얇은 양 측벽에 국부적인 할렬응력(spalling stress)으로 작용되게 되어 양 측벽이 균열ㆍ파열되는 할렬파괴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② 두 번째 문제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지지구조에서는 이탈된 시공선의 보정이 사실상 불가능한 점과, 정밀한 시공선의 확보가 어렵다는점,그리고 전체 시공면의 정밀한 평활도의 확보가 어렵다는 점
옹벽에 앵커된 L형 브라켓(40)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을 고정함에 있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시공오차는 불가피하다. 시공오차로 인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제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에서는 단위 외장 판넬(12)의 종 방향 개구홈(12a)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종 방향 고정클립(22b)을 삽입한다하여도 단위 외장 판넬(12)은 시공선으로부터 시공오차만큼 그 방향이 이탈되게 된다.
이탈된 방향이 아주 미세하더라도 이들이 집합된 외장 판넬(12) 집합체의 시공선은 그 이탈의 정도가 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지지구조가 지닌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다.
그 구조적인 문제는 바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단위 외장 판넬(12)의 삽입이 어떠한 경우에도 오로지 일직선 형태의 고정구조에 있다.
일직선 형태의 고정구조라고 해서 반드시 우리가 원하는 시공선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컨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시공오차가 존재된 경우 이에 삽입ㆍ고정된 단위 외장 판넬(12)의 평면도 일직선형태의 평면이기는 하나, 이탈이 없는 시공선은 아니다.
이와 같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시공오차로 인하여 단위 외장 판넬(12)의 시공선(건축선)이 이탈된 경우 이를 보정하기위해서는 단위 외장 판넬(12)의 종 방향 개구홈(12a)이나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종 방향 고정클립(22b)을 변형시켜야하는데 이중 어느 하나도 변형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이러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지지구조에서는 이탈된 시공선을 제 위치로 보정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은 길이가 길면서 일직선 형태의 고정형 고정클립(22b)과, 그리고 이동이 불가능한 일직선 형태의 고정형 개구홈(12a)에 의한 지지구조이므로 이탈된 시공선을 제 위치로 보정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은 강성 재질의 알루미늄이고, 정형 단열재(14)는 연질이므로 외장 판넬(12)의 모듈과 모듈상호간에 단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모듈상호간의 단차는 건축선(시공선)이 흉하게 되어 외관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하자로 이어진다.
모듈상호간에 단차발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된 모듈이 지속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거나 강한 태풍 등으로 충격이 주어지게 되면 연질의 삽입홈(145a)(145b)이 유동되면서 그 삽입홈(145a)(145b)이 점점 커지게 되어 모듈상호간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고, 둘째, 생산과정 및 시공과정에서 불가피한 오차로 인하여 단차가 발생하게 되며, 셋째, 건축물 외부기온이 섭씨 40도 이상이거나 섭씨 영하 30도 이하로 60일 이상 지속되는 지역에 시공되는 경우 외장 판넬(110)과 정형 단열재(120)사이의 접착이 박리, 탈루되어 외장 판넬(110)이 탈락되어 시공면의 변형으로 모듈상호간에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시공오차로 인한 외장 판넬(12)과 외장 판넬(12)사이의 단차의 문제는 건축선의 외관을 그르치는 가장 큰 원인중의 하나이다. 이는 일직선 형태의 고정형 고정클립(22b)과, 그리고 이동이 불가능한 일직선 형태의 고정형 개구홈(12a)에 의한 지지구조에도 근본원인이 있다.
단차의 문제는 항구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로서 시공선이 이탈되어 건축선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모듈간의 단차 발생 문제를 해결하였다. →풍압 등 외생변수에 의한 시공선 이탈 문제를 해결하였다.
③ 세 번째 문제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통해 방사되는 전도열/복사열 방지수단이 없는 문제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가로줄눈 지지부(22)의 선단부에는 가로줄눈의 외관을 위한 가로줄눈 커버(22a)가 삽입되어있다. 그러나 가로줄눈 커버(22a)가 금속재질도 가능한 것이므로 전도열/복사열 방지수단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가로줄눈 커버(22a)의 형상은 ㄷ자형상이다. ㄷ자형상의 가로줄눈 커버(22a)를 가로줄눈 지지부(22)의 선단부에 삽입함으로써 가로줄눈의 외관을 좋게 한 것일 뿐이다.
종래기술에는 금속재질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을 통해 전도열/복사열이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단이 없어 단열상의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일체형 외장 판넬의 삽입부의 종 방향(가로방향) 길이 및 폭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위치 이동형 홀딩 ?(holding tap)의 돌출부의 가로길이 및 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외장 판넬의 삽입부의 개수와 위치 이동형 홀딩 ?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외장 판넬의 삽입부 양 측벽에 할렬 응력으로 인한 할렬파괴를 방지하고자한 것이며, 이와 함께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을 따라 위치 이동형 홀딩 ?이 자유롭게 이동되게 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불가피한 시공오차로 인해 발생된 이탈된 단위 외장 판넬의 시공선(건축선)을 제 위치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에, 가로길이가 짧고, 그 폭이 얇은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그리고 전도열 차단 ?(insulation tap)의 2부재를 함께 조립ㆍ설치하여 할렬방지기능과, 이탈된 시공선(건축선)의 보정기능과, 그리고 전도열/복사열차단기능의 3중 기능을 가이드 이동 홈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이동 홈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2개의 부재가 3중 기능을 효율적ㆍ경제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에 탄성복원력을 갖는 전도열 차단 ?을 조립ㆍ설치함으로써 보수작업 시 가로줄눈을 통해 직접 전도열 차단 ?의 제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두께(t)가 5~15mm인 외장 판넬(110)의 배면에 외장 판넬(110) 두께(t)의 5~8배인 두께(T)를 갖는 정형(定型)의 단열재(120)가 일체로 결합되어있으면서 정형 단열재(120)의 수평 변 상ㆍ하부에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상ㆍ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 삽입홈(122)(124)이 형성된 일체형 패널(100)을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오픈조인트시스템에 있어서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136)에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지지부(142)가 삽입되어 이동이 자유롭고, 가이드 이동 홈(136)에는 소경부(136a)와 대경부(136b)순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경계면에는 지지턱(136c)이 형성되어있고, 위치 이동형 홀딩 ?(140)에는 지지부(14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하 돌출부(144)(144)가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 지지부(142)의 보강부(142a)가, 그리고 소경부(136a)에는 지지부(142)의 네크부(142b)가 각각 삽입되는 한편, 외장 판넬(110)의 두께(t)부에 형성된 삽입부(112)에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상하 돌출부(144)(144)가 삽입되되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 및 폭과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이 거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시스템이다.
여기에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지지부(142)가 가이드 이동 홈(136)에 삽입되어 그 설치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위치 이동형 홀딩 ?(140)과 위치 이동형 홀딩 ?(140)사이의 가이드 이동 홈(136)에 전도열 차단 ?(150)(160)을 삽입ㆍ조립하되 전도열 차단 ?(150)(160)의 구조는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 삽입되는 걸림부(152)(162)와, 소경부(136a)에 삽입되는 목부(154)(164)와, 그리고 전도열을 차단하는 차단부(156)(166)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져있으면서 걸림부(152)(162)와 목부(154)(164)사이의 경계면에는 걸림턱(157)(167)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카버(159)(169)를 가이드 이동 홈(136)에 삽입된 전도열 차단 ?(150)(160)에 더 추가 형성하되 전도열 차단 ?(150)(160)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버(159)(169)는 차단부(156)(166)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또 차단부(156)(166)에 대하여 직각방향이면서 상 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쪽을 향하여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가이드 이동 홈(136)에 삽입되는 연질의 전도열 차단 ?(150)의 걸림부(152)의 중심부에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중공부(158)가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은 종래기술의 오픈조인트시스템과 그 상위개념에 있어서 양자 동일하다. 다만 그 하위개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옹벽에 앵카 고정된 L형 브라켓에 연결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에 의하여 일체형 패널이 지지되는 상위개념의 지지방식은 양 시스템이 동일하다.
하위개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첫째, 외장 판넬의 할렬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이탈된 단위 외장 판넬의 시공선(건축선)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둘째,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통해 방사되는 건물내외의 전도열/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먼저 외장 판넬의 할렬 문제의 해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은 외장 판넬(110)의 얇은 두께(t)(이때 t는 5~15mm)에 개구홈(12a)이 종방향으로 길게 끝까지 형성되었다. 이에 대응ㆍ삽입되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종 방향 고정클립(22b)도 종방향으로 길게 끝까지 형성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종 방향 개구홈(12a)이나 종 방향 고정클립(22b)모두 일직선으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외장 판넬(110)의 종 방향 개구홈(12a)이나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종 방향 고정클립(22b)모두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고정 상태이면서 일직선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도 1c 및 도1d 참조)
외장 판넬(110)의 얇은 두께부에 개구홈(12a)이 종방향으로 길게 끝까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개구홈(12a)의 양 측벽의 두께가 너무 얇아 할렬응력으로 인한 할렬이 발생되게 된다.
할렬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 방향(가로방향)의 가로길이가 길면서 일직선 형태의 고정형 고정클립(22b)을 갖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가로길이가 짧으면서 이동이 가능한 위치 이동형 홀딩 ?(140)과, 그리고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한 가이드 이동 홈(136)을 구성한 것이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가로길이를 짧게 한 것은 상하 돌출부(144)(144)의 가로길이를 짧게 하기위해서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이에 대응ㆍ삽입되는 외장 판넬(110)의 두께(t)부에 형성된 삽입부(112)의 가로길이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삽입부(112)의 가로길이가 짧게 됨으로써 할렬의 우려가 큰 삽입부(112)의 양 측벽의 가로길이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돌출부(144)의 폭의 두께도 종래기술의 고정클립(22b)의 폭의 두께보다 훨씬 얇게 형성된다. 돌출부(144)와 삽입부(112)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할렬응력을 방지하기위해서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는 2~5cm가 바람직하다.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도 이에 대응된다. 실제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은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 및 폭보다 약간 크다. 돌출부(144)의 삽입이 원활하게 하기위해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설명의 편의상 돌출부(144)의 가로길이 및 폭과,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은 동일하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탈된 시공선(건축선)의 보정이 가능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시공선(건축선)이란 시공선이 이탈되지 않은 상태, 즉 시공오차로 인한 이탈이 생기지 않으면서 원래 설계된 시공선이 유지된 시공을 말한다. 시공선이 유지되면 외관이 미려하나, 모듈상호간의 단차 등으로 인하여 이탈되게 되면 외관이 흉하게 된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가 짧고, 동시에 가이드 이동 홈(136)내에서 위치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시공상의 오차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시공선의 보정이 용이하다.
왜냐하면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시공상의 오차를 그대로 두고,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에 대응되는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를 돌출부(144)의 방향에 맞춰 천공하든지 아니면 돌출부(144)를 삽입부(112)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삽입부(112)를 천공하면 되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든 보정이 가능하면서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재질은 스텐인레스와 같은 강한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상하 돌출부(144)(144)의 가로길이를 짧게 하면서 그 폭이 얇으면서도 지지강도가 커야하기 때문이다. 할렬을 방지하기위해서다.
한편,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삽입되는 가이드 이동 홈(136)은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있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은 가이드 이동 홈(136)의 양단부에서 슬라이드 형식으로 삽입된다.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보강부(142a)가, 그리고 소경부(136a)에는 네크부(142b)가 각각 삽입되기 때문에 가이드 이동 홈(136)의 양단부 이외에서는 삽입ㆍ이탈이 되지 않는다.
상부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상부 돌출부(144)가, 그리고 하부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하부 돌출부(144)가 삽입ㆍ지지된다.
상ㆍ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가 형성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은, 정형 단열재(120)의 수평 변 상ㆍ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22)(124)에 삽입되어 정형 단열재(120)를 지지하고 있다. 이는 종래기술의 상위개념과 동일하다.
그 다음으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통해 방사되는 건물내외의 전도열/복사열을 차단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이동 홈(136)이 형성되어있다. 가이드 이동 홈(136)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된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은 기껏해야 3~4개 삽입된다. 통상 가이드 이동 홈(136)의 종 방향(가로방향) 길이는 1.5~3.0m이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선단부는 가로줄눈을 형성하는 곳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선단부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삽입되는 가이드 이동 홈(136)이 형성되어있다. 가이드 이동 홈(136)에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차지하는 길이는 극히 일부분이다. 이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 이동 홈(136)의 종 방향 길이에다 전도열 차단 ?(150)(160)을 삽입한 것이다.
가이드 이동 홈(136)은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가이드 삽입홈일 뿐만 아니라 전도열 차단 ?(150)(160)의 가이드 삽입홈으로서 작용되는 2중 기능을 갖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전도열 차단 ?(150)(160)의 형상 및 구조는 가이드 이동 홈(13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있다.
즉, 전도열 차단 ?(150)(160)의 구조는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 삽입되는 걸림부(152)(162)와, 소경부(136a)에 삽입되는 목부(154)(164)와, 그리고 전도열/복사열을 차단하는 차단부(156)(166)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져있으면서 걸림부(152)(162)와 목부(154)(164)사이의 경계면에는 걸림턱(157)(167)이 형성되어있는 구조이다.
전도열 차단 ?(150)(160)의 재질은 ABS, PE, PVC. 등의 연질 소재가 우선이나 경질소재도 가능하다. 탄성복원력이 있는 연질 소재가 바람직하다.
가이드 이동 홈(136)의 형상이 변하지 않는 한 전도열 차단 ?(150)(160)의 기본형상 및 구조는 달라지지 않는다. 다만 연질인 경우[전도열 차단 ?(150)이 이에 해당된다]는, 탄성복원력이 있어 가로줄눈을 통해 직접 가이드 이동 홈(136)에 직접 밀어 넣음으로써 설치가 용이한데 대하여, 경질인 경우[전도열 차단 ?(160)이 이에 해당된다]는, 탄성복원력이 없어 가이드 이동 홈(136)의 양단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해야한다.
보수작업 시 가로줄눈을 통해 전도열 차단 ?의 제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한 것은 연질의 전도열 차단 ?(150)이 유리하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통해 방사되는 건물내외의 전도열/복사열의 차단을 더 확실하게 하기위하여 전도열 차단 ?(150)(160)에 카버(159)(169)를 더 추가하였다.
카버(159)(169)는 차단부(156)(166)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또 차단부(156)(166)에 대하여 직각방향이면서 상 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쪽을 향하여 길게 뻗은 형상이다.
또한 연질인 전도열 차단 ?(150)에는 탄성복원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전도열 차단 ?(150)의 중심부에 중공부(158)가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중공부(158)의 수축에 의해 전도열 차단 ?(150)의 걸림부(152)가 소경부(136a)의 통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경부(136b)에 삽입된 후에는 탄성이 복원되어 전도열 차단 ?(150)의 걸림턱(157)이 가이드 이동 홈(136)의 지지턱(136c)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이동 홈(136)은, 가로길이가 짧고, 그 폭이 얇은 위치 이동형 홀딩 ?(140)과, 그리고 전도열 차단 ?(150)(160)의 삽입ㆍ조립이 가능한 단순한 구조이면서 할렬방지 기능과 전도열/복사열 차단기능의 2중 기능을 갖는 구조이어서 삽입ㆍ조립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이다.
⒜ 본 발명은 일체형 외장 판넬의 삽입부의 종 방향(가로방향) 길이 및 폭과, 이에 대응 삽입되는 위치 이동형 홀딩 ?(holding tap)의 돌출부의 가로길이 및 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외장 판넬의 삽입부의 개수와 위치 이동형 홀딩 ?의 개수를 최소화한 것이므로 외장 판넬의 삽입부 양 측벽에 할렬 응력으로 인한 할렬파괴를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 또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을 따라 위치 이동형 홀딩 ?이 자유롭게 이동되게 한 구성이므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불가피한 시공오차로 인해 발생된 단위 외장 판넬의 이탈된 시공선(건축선)의 보정이 가능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듈간의 단차문제가 정밀하게 해결되어 정밀 시공됨으로서 시공품질을 확보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에, 가로길이가 짧고, 그 폭이 얇은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그리고 전도열 차단 ?(insulation tap)의 2부재를 함께 조립ㆍ설치함으로써 할렬방지기능과, 시공선의 보정기능과 정밀시공성의 확보, 그리고 전도열/복사열차단기능의 3중 기능을 가이드 이동 홈이 수행하도록 한 구성이므로 가이드 이동 홈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2개의 부재가 3중 기능을 효율적ㆍ경제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에 탄성복원력을 갖는 전도열 차단 ?을 조립ㆍ설치한 구성이므로 보수작업 시 가로줄눈을 통해 직접 전도열 차단 ?의 제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일체로 된 외장재와 정형 단열재를 수평홀더 프로파일과 옹벽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지지구조를 보인 종래 오픈 조인트 시스템의 단면도
[도1b] 도1a의 수평홀더 프로파일의 지지구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1c] 도1a의 일체로 된 외장재와 정형 단열재의 단면도
[도1d] 도1a의 일체로 된 외장재와 정형 단열재를 지지하는 수평홀더 프로파일의 사시도
[도2] 일체로 된 외장재와 정형 단열재가 수평홀더 프로파일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오픈 조인트 시스템의 분해단면도
[도3] 일체로 된 외장재와 정형 단열재가 수평홀더 프로파일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오픈 조인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4] 도3의 결합사시도
[도5] 본 발명 오픈 조인트 시스템의 가이드 이동 홈에 삽입되는 전도열 차단 ?의 여러 형상의 타입을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의 기술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픈조인트시스템은 종래기술의 오픈조인트시스템과 그 상위개념에 있어서 양자 동일하다. 즉, 옹벽에 앵카 고정된 L형 브라켓에 연결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에 의하여 일체형 패널이 지지되는 상위개념의 지지방식은 종래기술의 오픈조인트시스템과 동일하다.
다만 그 하위개념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하위개념, 즉 할렬방지기능과, 시공선의 보정기능과 정밀시공성의 확보,그리고 전도열/복사열차단기능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오픈조인트시스템의 기술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132)은 옹벽에 앵카 고정된 L형 브라켓에 연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있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132)의 그 선단부에는 가이드 이동 홈(136)이 형성되어있다.
먼저, 가이드 이동 홈(136)의 양측단부로부터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보강부(142a)가, 그리고 소경부(136a)에는 네크부(142b)가 각각 삽입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하부 외장 판넬(110)(110)의 두께부(t)에 형성된 삽입부(112)(112)에 대응되는 이동형 홀딩 ?(140)의 상하 돌출부(144)(144)를 각각 삽입ㆍ고정한다.
이때 상하부 외장 판넬(110)(110)의 삽입부(112)(112)에 이동형 홀딩 ?(140)의 상하 돌출부(144)(144)가 각각 삽입ㆍ고정된 상태에서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상ㆍ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가 정형 단열재(120)의 수평 변 상ㆍ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22)(124)에 삽입ㆍ고정된 상태가 된다.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 및 폭과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은 거의 같다. 실제로는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이 약간 크다.
위의 방식을 반복하면서 단위 일체형 패널(100)을 조립설치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외장 판넬(110)의 집합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오차로 인하여 단위 외장 판넬(110)의 평면방향이 미세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시공상의 오차를 그대로 둔 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에 대응되는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를 돌출부(144)의 방향에 맞춰 천공하든지 아니면 돌출부(144)를 삽입부(112)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같은 방향으로 삽입부(112)를 천공하여 삽입부(112)에 돌출부(144)를 삽입ㆍ고정하게 되면 시공선의 보정이 가능하고 용이하다.
시공선의 보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평 홀더 프로파일(132)의 가이드 이동 홈(136)에 탄성복원이 가능한 연질의 전도열 차단 ?(150)을 직접 가로줄눈을 통해 삽입하면 된다.
이때 전도열 차단 ?(150)은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위치되지 않은 곳에만 설치된다.
경질의 전도열 차단 ?(160)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이 삽입될 때 함께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첫째, 외장 판넬의 할렬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단위 외장 판넬의 이탈된 시공선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과 단차와 관련된 시공면의 평활도에 대한 정밀설의 확보이고, 둘째,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통해 방사되는 건물내외의 전도열/복사열을 차단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나 종래기술에서 사용된 일체형 패널(100)은 외장 판넬(110)과 정형 단열재(120)를 일체로 접착시킨 것으로 외장 판넬(110)은 경질(hard)이고, 정형 단열재(120)는 상대적으로 연질(soft)이다.
외장 판넬(110)의 재질은 세라믹 타일, 석재, 고밀도 압축패널, FC 보드, CRC 보드, 외장 목재 보드 등이다. 정형 단열재(120)는 주로 스치로폼, PS, XPS, P.E, P.A, PIR, 등으로 된 재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간의 단차문제를 가이드 이동 홈(136)과, 위치 이동형 홀딩 ?(140)에 의하여, 그리고 전도열/복사열 차단을 가이드 이동 홈(136)과, 전도열 차단 ?(150)(160)에 의하여 해결함으로써 시공선의 이탈 방지 및 건축선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면서 단열의 문제를 해결한 유용한 발명이다.
100; 일체형 패널
110; 외장 판넬, 112; 삽입부
120; 정형 단열재, 122; 상향 수직 고정날개부 삽입홈, 124; 하향 수직 고정날개부 삽입홈,
130; 수평 홀더 프로파일, 132; 상향 수직 고정날개부, 134; 하향 수직 고정날개부, 135; 사선장공, 136; 가이드 이동 홈, 136a; 소경부, 136b; 대경부, 136c; 지지턱
140; 위치 이동형 홀딩 ?, 142; 지지부, 142a; 보강부, 142b; 네크부, 144; 돌출부
150; 전도열 차단 ?, 152; 걸림부, 154; 목부, 156; 차단부, 157; 걸림턱, 158; 중공부, 159; 카버
160; 전도열 차단 ?, 162; 걸림부, 164; 목부, 166; 차단부, 167; 걸림턱, 169; 카버

Claims (4)

  1. 두께(t)가 5~15mm인 외장 판넬(110)의 배면에 외장 판넬(110) 두께(t)의 5~8배인 두께(T)를 갖는 정형(定型)의 단열재(120)가 일체로 결합되어있으면서 정형 단열재(120)의 수평 변 상ㆍ하부에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상ㆍ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 삽입홈(122)(124)이 형성된 일체형 패널(100)을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오픈조인트시스템에 있어서

    수평 홀더 프로파일(1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이동 홈(136)에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지지부(142)가 삽입되어 이동이 자유롭고, 가이드 이동 홈(136)에는 소경부(136a)와 대경부(136b)순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경계면에는 지지턱(136c)이 형성되어있고, 위치 이동형 홀딩 ?(140)에는 지지부(14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하 돌출부(144)(144)가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는 위치 이동형 홀딩 ?(140) 지지부(142)의 보강부(142a)가, 그리고 소경부(136a)에는 지지부(142)의 네크부(142b)가 각각 삽입되는 한편, 외장 판넬(110)의 두께(t)부에 형성된 삽입부(112)에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상하 돌출부(144)(144)가 삽입되되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돌출부(144)의 가로길이 및 폭과 외장 판넬(110)의 삽입부(112)의 가로길이 및 폭이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이동형 홀딩 ?(140)의 지지부(142)가 가이드 이동 홈(136)에 삽입되어 그 설치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위치 이동형 홀딩 ?(140)과 위치 이동형 홀딩 ?(140)사이의 가이드 이동 홈(136)에 전도열 차단 ?(150)(160)을 삽입ㆍ조립하되 전도열 차단 ?(150)(160)의 구조는 가이드 이동 홈(136)의 대경부(136b)에 삽입되는 걸림부(152)(162)와, 소경부(136a)에 삽입되는 목부(154)(164)와, 그리고 전도열을 차단하는 차단부(156)(166)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져있으면서 걸림부(152)(162)와 목부(154)(164)사이의 경계면에는 걸림턱(157)(167)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카버(159)(169)를 가이드 이동 홈(136)에 삽입된 전도열 차단 ?(150)(160)에 더 추가 형성하되 전도열 차단 ?(150)(160)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카버(159)(169)는 차단부(156)(166)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또 차단부(156)(166)에 대하여 직각방향이면서 상 하향 수직 고정날개부(132)(134)쪽을 향하여 길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이동 홈(136)에 삽입되는 연질의 전도열 차단 ?(150)의 걸림부(152)의 중심부에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중공부(158)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시스템
KR1020130017909A 2012-02-21 2013-02-20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KR101342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394 2012-02-21
KR20120017394 2012-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90A KR20130096190A (ko) 2013-08-29
KR101342831B1 true KR101342831B1 (ko) 2013-12-17

Family

ID=4921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09A KR101342831B1 (ko) 2012-02-21 2013-02-20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582A (ko) 2016-06-20 2017-12-28 이태연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76270A (ko)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바우테크월 건축물 커튼 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565A (zh) * 2013-10-28 2014-02-19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玻璃砖干挂安装结构
JP6712103B2 (ja) * 2015-06-02 2020-06-17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外壁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75A (ja) 1998-12-25 2000-07-11 Nichiha Corp 壁材取付金具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75A (ja) 1998-12-25 2000-07-11 Nichiha Corp 壁材取付金具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582A (ko) 2016-06-20 2017-12-28 이태연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76270A (ko)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바우테크월 건축물 커튼 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90A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831B1 (ko)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JP5946869B2 (ja)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KR101421965B1 (ko)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EP3284877A1 (en) Ventilated façade
ES2366128T3 (es) Cajón de persiana enrollable montado por el exterior.
US20130312343A1 (en) Window assemblies including bronze elements
US8959851B1 (en) Manufactures, methods and structures to reduce energy transfer in buildings
US7941980B2 (en) Window drain
KR101763154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CZ18866U1 (cs) Skrín rolety
JP2007217972A (ja) サイディング取付金具
JP5405182B2 (ja) 壁材留具
KR102053956B1 (ko) 브래킷조립체와 이를 포함한 외단열 벽체의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공 구조체
KR20200016589A (ko)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US20140123589A1 (en) Window frame with jamb extender
KR101724052B1 (ko) 프로젝트 창이 구비된 커튼 월의 단열 및 지지구조
KR101124574B1 (ko) 유리도어채널과 이를 이용한 유리도어
KR100843933B1 (ko) 루버
JP6422313B2 (ja) 改修用サッシ
WO2014012555A1 (en) Facade system and corner element for such system
KR102623863B1 (ko) 창호 설치용 l-브라켓
KR102584596B1 (ko) 내구도가 향상된 단열물막이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